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고대 동물희생의례의 특징 - 삼국시대 신라 분묘유적을 중심으로 -

        고은별 대한체질인류학회 202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3 No.2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way in which rituals involving animal sacrifice were undertaken at Silla elite tombs by approaching and analyzing animal remains excavated from the high-mounded tomb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s the remnants of ritual practices. As with funerary practices, each step of an animal sacrifice ritual is also imbued with different meanings. Based on this premise, it is assumed that the different contexts of animal remains represent different forms of ritual practices; accordingly, ‘the deposition of animals as grave goods’ and ‘animal sacrifice rituals’ were distinguished. ‘Animal deposition as grave goods’ took place within the tomb (in either the main burial chamber or the auxiliary grave goods chamber), an involved the burial of birds, fish, shellfish, mammals, etc. that had been placed in ceramic and other containers. Such remains may represent the use of animals as foodstuffs (both prepared or as ingredients), but this may not necessarily have been the case. ‘Animal sacrifice ritual’, on the other hand, took place after the main burial chamber and the auxiliary grave goods chamber were sealed off, and its remains can be found outside the chambers, above the stones used to seal off the chambers, in and around the mound, and around the tomb. The remains of ‘animal sacrifice rituals’ can be further divided into that which had been placed with containers, which are likely to represent ritual food offerings made during the process of tomb construction or the following funerary ceremony. These remains can be distinguished from those found within the main burial chamber or the auxiliary grave goods chamber, are likely to have been in the form of edible dishes. Animal remains that are likely to represent ritual sacrifice, on the other hand, have been discovered above the stones used to seal off the tomb’s chambers, about the tomb’s protective stones, and in detached deposition pits; the animals retained the form of their living state and the absence of containers in notable. The well-known horse burials or horse deposition pits are an example of this. 본 논문은 삼국시대 신라권역에 축조된 거대한 무덤인 고총고분에서 출토되는 동물유존체를 동물희생의례의 결과물로 이해하고 이에 대한 검토를 통해 신라시대 지배층의 무덤에서 어떻게 동물희생의례가 이루어졌는지 그구체적인 양상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장송의례가 본질적으로 다양한 의례 행위의 연속인 것과 마찬가지로 이 과정에서 행해진 동물희생의례 역시 단계별로 각각 다른 의미가 부여되었다. 따라서 그 위치에 따라 의례의 성격이 상이한 것으로 판단하여 각각 동물부장과 동물희생으로 구분하였다. 동물부장은 분묘 내부, 즉 주곽과 부곽 내부에 부장품으로 매납된 경우를 가리킨다. 이때는 조류, 어류, 패류, 포유류 등이 토기 등의 용기에 담겨 부장된다. 이처럼 동물부장의 맥락에서 출토되는 동물유존체는 음식으로 준비되었을 가능성이 크지만 반드시 음식이나 식재료만부장되는 것은 아니다. 동물희생은 死者와 일체의 부장품을 넣은 공간을 닫은 이후에 이루어진 의례행위로, 분묘 외부, 즉 개석 위나 봉토 또는 분묘 주변에서 확인된다. 이는 다시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먼저 용기류에 담겨 매납된 공물로, 이는 분묘 축조 과정이나 이후 제사 과정에서 행해진 의례에서 이용된 祭需 음식을 매납한 경우다. 이는 분묘내부에 매납되는 부장품과는 구분되며, 음식물의 형태였을 가능성이 크다. 마지막은 희생된 제물이 매납된 경우로, 살아있는 존재의 목숨을 앗는다는 행위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이 동물들은 분묘 축조 과정 혹은 그 이후의 제사 과정에서 행해진 의례에서 희생되어 개석 위, 호석 주변, 인접한 독립매장유구 등 분묘 외부에 매납되는데 용기류에 담기지 않고 살아있을 때의 형태를 유지한 채 출토된다. 많이 알려진 말무덤이나 마갱이 이에 해당한다.

      • KCI등재

        후피질위축증의 증상이 동반된 파킨슨병

        고은별,황일중,김정우,정다은,이주석,유상원,김중석 대한신경과학회 2023 대한신경과학회지 Vol.41 No.3

        We report a rare and unique presentation of a patient with early and levodopa-responsive Parkinson’s disease (PD) who exhibited clinical features similar to posterior cortical atrophy (PCA). The imaging evidence suggested the coexistence of PD and PCA, without the presence of amyloid pathology. Although the present case lacks pathologic evidence, this case represents a distinct manifestation of PD characterized by a combination of parkinsonism and early prominent posterior cognitive deficits, reminiscent of the visual variant of Alzheimer’s disease.

      • KCI등재

        국내 하천에 분포하는 ampicillin 내성균의 다양성

        고은별,정인영,김혁,석광설,김벼리,유용재,장예진,채종찬,Go, Eun Byeul,Chung, In-Young,Kim, Hyuk,Seok, Kwang-Seol,Kim, Byeori,Yoo, Yong-Jae,Jang, Yejin,Chae, Jong-Chan 한국미생물학회 2015 미생물학회지 Vol.51 No.4

        임상과 자연환경에서 발견되는 항생제내성균의 문제는 보건학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환경 중의 미생물은 항생제 내성유전자 확산의 한 요인으로 판단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하천 7지점으로부터 분리한 배양성 ampicillin 내성균의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498종의 세균들 중에서 Aeromonas와 Acidovorax 속의 내성균 분포가 가장 높았으며, 66%의 분리균들이 조사된 14종의 항생제 중 6종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7종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비율이 19.7%로 가장 높았다. 또한 항생제감수성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포율이 높았던 Aeromonas, Acidovorax, Pseudomonas, Elizabethkingia 속의 내성균에 대한 자연내성 특징을 파악하였다. The widespread emergence of antibiotic resistant microorganisms in clinics and natural environments has attracted public concern. Especially, microorganisms inhabiting natural environment is considered as a source responsible for increasing the abundance of antibiotic resistant genes in ecosystem. In this study, the diversity of culturable bacteria resistant to ampicillin was investigated with water samples collected from seven locations in Korea. The genera belonging to Aeromonas and Acidovorax were dominant among the isolated 498 strains. The 66% of isolates showed multi-drug resistance against more than six antibiotics among tested fourteen ones and isolates resistant to seven antibiotics were the most prevalent with 19.7% abundance. Using the antibiotics susceptibility results, the intrinsic resistance profile was suggested for the most dominant genera, Aeromonas, Acidovorax, Pseudomonas, and Elizabethkingia.

      • KIM 시스템에서의 대기-해양 결합자료동화 시스템 설계

        고은별,Adam Clayton,권인혁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태풍이나 장마 및 폭염 등과 같은 다양한 시간 규모에 걸쳐 발생하는 위험기상의 예측성능을 향상시키고자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을 고려해야한다. 이에 국외 현업기관에서는 예측성능 향상뿐만 아니라 예측기간 연장을 위해 대기-해양 결합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각각 대기와 해양모델에서 생산된 초기장으로 결합모델이 구동될 때 초기장과 물리과정 등의 차이로 인하여 모델 불안정성이 커지면서, 결합자료동화 방법을 적용하게 된다. 이 시스템은 비결합자료동화방법보다 예측성능이 향상되어 여러기관의 현업시스템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운용중인 결합자료동화 시스템을 조사하여 차세대수치예보모델사업단에서 개발한 하이브리드 4차원앙상블변분자료동화(Hybrid 4DEnVAR) 시스템 한국형모델(Korean Integrated Model, KIM)에 결합가능한 해양순환모델 및 결합자료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추후 KIM 시스템에서의 약한 결합자료동화 시스템을 적용할 계획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