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파인애플 세이지 (Salvia elegans Vahl) 추출물의 화장품 약리활성에 관한 연구
장예진,이선아,박시현,변지아,권용진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4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41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ineapple sage (Salvia elegans Vahl) on antioxidant, whitening, wrinkle improvement,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in deionized water (SEW) and 70% ethanol (SEE) solvents. As a result,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of SEW was higher than that of SEE. SEW and SEE showed DPPH radical, ABTS+ radical, hydrogen peroxide (H2O2) scavenging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which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SEW showed superior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SEE. As a result of analyzing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SEE showed a slight whitening effect, and SEW showed a slight wrinkle improvement effect. SEW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E. coli), Pseudomonas aeruginosa (P. aeruginosa)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S. epidermidis), while SEE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and Cutibacterium acnes (C. acnes). As for the anti-inflammatory effect, it was confirmed that SEE had superior NO production inhibition effect compared to SEW in RAW 264.7 cell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LPS). In addition, the protein expression of iNOS and COX-2 showed a higher decrease in SEE compared to SEW, and accordingly, SEE showed superior efficacy in mRNA expression. This showed the same trend as the NO production inhibition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W exerts antioxidant and wrinkle-improving effects and shows antibacterial effects against E. coli, P. aeruginosa, S. epidermidis. On the other hand, SEE has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has an antibacterial effect against S. aureus, C. acne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SEW and SEE have potential as natural materials for industrial raw materials such as pharmaceuticals, health foods, and cosmetics.
장예진,전용태 한국경호경비학회 2012 시큐리티연구 Vol.- No.30
현대 범죄의 증가로 주거공간의 범죄를 최소화 및 예방하고자 스마트 홈이 보편화되었으 며, 스마트 홈 관련 시큐리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는 미래의 집안환경에 대한 이해 와 스마트 홈 시큐리티의 시사점 및 대응에 관련하여 제안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 홈 시큐리티의 표준 수립이다. 주거공간에 있어서 자체적으로 건설사의 정책만으로 반영되거나 주민들이 필요에 의해 서 개선된 내용을 적용하는 수준에 그치는 상황이며, 또한 건설사마다의 특성을 부각시켜 스마트 홈 시큐리티를 나타낼 뿐 표준화되어 있지는 못한 실정이라 정리할 수 있다. 둘째, 스마트 홈 시큐리티 인증제도 도입이다. 사람만이 가지던 자격증이 이젠 주거공간에도 자격증 시대이다. 주거공간의 성능을 나타 내어 주는 인증제도는 아파트의 품질을 평가하는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 없으나, 현재 정부 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정책과 편리한 주택환경을 위한 기본적인 요건이라 할 수 있다. 스마트 홈 시큐리티 인증제도 역시 도입하여 다른 주거공간에 상호 경쟁적으로 보안장비를 더 보강하거나 또는 경비인력을 전문화하여 인증받으려 할 것이기에 부수적인 안전확보가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변화하는 스마트 홈 시큐리티를 연구하여 어떤 중심의 요소로 변화하고 발전하고 있는지 앞으로 어떤 변화로 대응해야할지를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To cope with rapidly increasing crimes, the Smart-home system has become common to minimize and prevent crimes in the residential space. Accordingly, the interest on the security-related Smart-home system is also increasing. First is the establishment of Smart-home security standard. At present, the Smart-home security systems are implemented by individual policies of construction companies or by the requirement of residents. Each construction company has their own characteristics in the Smart-home security system; while there is no standardized system. Second is the introduction of Smart-home security certificate system. Like people have certificates, now the residential spaces may also need certificates. A certificate system that represents the performance of residential spaces cannot be an absolute criterion in the evaluation of apartment quality, however, it can be a basic requirement for the convenient residential environment and policies being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If a certificate system would be introduced, construction companies will compete with each other to provide with better security system and apartment operation companies will hire more specialized security personnel in order to get higher certificates. Consequently, better security of residential space will be secured. It is also required to develop and establish response measures by studying the key changes and trends of Smart-home security system. The advance in mechanical security devices will bring about more changes in the future. Therefore, more various in-depth studies are required on the basic specifications of security system in the residential spaces.
시큐리티업체의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USN) 응용전략
장예진,안병수,주철현 한국경호경비학회 2009 시큐리티연구 Vol.- No.21
기계경비시스템은 대부분 전자․정보․통신기기로 구성되기 때문에 사회전반적인 환경, 범죄동향적인 환경적인 면에서 기계경비시스템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RFID의 무선인식과 추적기능은 사람 또는 차량의 출입통제나 반입, 감시, 통제 등을 위해 유용하게 쓰여질 부분으로 사회전반적인 환경 즉 고령화사회에 맞는 실버를 위한 케어 및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어가고 동시에 흉악범죄의 증가로 인한 첨단 도난방지기계시스템의 본격화 할 것으로 그 중요성은 더해가고 있다.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의 이론적인 고찰을 알아보고, 기술 및 응용분야를 중점을 두고 향후 시큐리티업체의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두고 있다. 시큐리티업체의 새로운 환경에 대응전략 제시를 한다면, 첫째, 시큐리티업체의 다각화 전략이 요구된다. 자율시장 경쟁의 원칙에 의하여 높은 수준의 시큐리티업체만 시장에 생존함으로써 시큐리티 시장의 질적 성장과 경쟁력을 가져올것이다. 둘째, 시큐리티업체의 적극적 홍보가 요구된다.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의 광고와 선전의 홍수에 묻혀 살고 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큐리티업체에 대한 국민들의 의식전환을 위해 대중매체를 이용하여 시큐리티의 활동영역이나 중요성을 강조하는 홍보활동을 활발하게 전개 해야하며 최근에는 영화나 드라마에서도 시큐리티요원의 활동을 소재로 삼을 만큼 국민들에게 가깝게 부각되고 있는 점을 잘 활용하여 시큐리티의 공공적 측면을 함께 강조하는 홍보활동을 병행하는 방안을 강구해야한다. 셋째,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와 전자태그의 기술적 보안적 구축이 요구된다. U-Home, U-Health Care 등 모바일 전자태그서비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모바일 전자태그 단말기의 상용화 지원, 통신요금 및 정보이용료 인하, 지속적인 기술개발 및 프라이버시 보호 강화하기 위해 기존 프라이버시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안전한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안에 전자태그 환경을 조성하여 우리 생활 전반에 이용되며, 이러한 부분은 학계, 민간 연구소 등 산․학․연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Since mechanical security systems are mostly composed of electronic,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they have effects in the aspects of overall social environment and crime-oriented environment. Also, the importance is increasing for wireless recognition of RFID and tracing function, which will be usefully utilized in controlling the incomings and outgoings of people/vehicles or allowance, surveillance and control. This is resulting from the increase in the care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overall social environment, namely, the aging society, and the number of women entering, as well a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heinous cr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ubiquitous sensor network and present a direction for securities companies for their development by focusing on the technological and application areas. To present strategies of response to a new environment for security companies, First, a diversification strategy is needed for security companies. The survival of only high level of security companies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liberal market competition will bring forth qualitative growth and competitiveness of security market. Second, active promotion by security companies is neede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we are living in the modern society in the sea of advertisements and propaganda. The promotional activities that emphasize the areas of activity or importance of security need to be actively carried out using the mass media to change the aware of people regarding security companies, and they need to come up with a plan to simultaneously carry out the promotional activities that emphasize the public aspect of security by well utilizing the recent trend that the activities of security agents are being used as a topic in movies or TV dramas. Third, technically complementary establishment of ubiquitous sensor network and electronic tag is needed. Since they are used in mobile electronic tag services such as U-Home and U-Health Care, they are used throughout our lives by forming electronic tag environment within safe ubiquitous sensor network based on the existing privacy guideline for the support of mobile electronic tag terminal commercialization, reduction in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usage costs, continuous technical development and strengthening of privacy protection, and the system of cooperation of academic-industrial-research needs to be established among the academic world and private research institutes for these parts.
물리보안 전공 대학생들의 선택 동기가 전공만족도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장예진,최정일 한국융합보안학회 2022 융합보안 논문지 Vol.22 No.1
본 연구는 물리보안전공 대학생들의 전공 선택 동기가 전공만족도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내용은 “첫째, 선택 동기, 둘째, 전공만족도, 셋째, 진로결정”으로 작성하였다. 본 연구 에서는 변수의 신뢰도 및 중요도 분석, 탐색적 요인 등을 살펴보기 위해 Chronbach's Alpha 수치를 산출하고 베리 맥스(Berimax) 방식을 실시하였다. 측정항목들의 AVE 값과 CR 값 모두 기준치 0.7 이상으로 산출되어 각 항목들 의 집중타당성이 우호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설검증결과에서 표준화계수를 보면 ‘선택 동기 ⇨ 전공만족도’는 0.653으로, ‘전공만족도 ⇨ 진로결정’은 0.403으로 산출되어 두 연구가설은 채택되었으나 ‘선택 동기 ⇨ 진로결정’은 0.392로 기각되었다. 향후 경호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선택 동기와 전공만족도를 동시에 높여주기 위해 대학과 관련 교수들의 노력이 더욱 필요해 보인다.
물리보안기업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조직유효성 및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장예진,최수호 한국융합보안학회 2024 융합보안 논문지 Vol.24 No.3
본 연구는 물리보안기업에 근무하는 보안담당자를 대상으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조직유효성 및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물리보안관련 기업에 종사하는 130여 보안담당자를 대상으로 2024년 4월 15부터 5월 17일까지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내용에서 변수를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조직유효성, 기업성과”로 나누어 작성하였다. 분석결과, 연구가설 중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 조직유효성, 조직유효성 ⇨ 기업성과,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 기업성과”이 모두 채택되었다. 보안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유효성을 향상시켜야 하고, 이를 위해 기업 내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를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이 유지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신입직원이 갖추어야할 직무기술에 관한 제반사항을 제시하고 현장에 투입되기 전 실무에 관한 훈련기회를 충분히 제공해 주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orporate performance targeting security personnel working in a physical security company.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5 to May 17, 2024 targeting 130 security managers working in physical security-related companies. In the survey, the variables were divided into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orporate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mong the research hypotheses,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corporate performance,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 corporate performance” were all adopted. In order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security compani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ust be improved, and to this end, efforts must be maintained to improve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within the company. In order to improve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esent all the job skills that new employees must have and provide sufficient training opportunities on the job before being put into the field.
국가핵심기술을 보유한 기업의 물리보안수준이 보안성과와 업무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장예진,최정일 한국융합보안학회 2022 융합보안 논문지 Vol.22 No.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ake a look the effect of the physical security level of companies possessing national core technology on security performance and work efficiency. To this end, a survey was set out for about 200 security officers for a month. In the survey,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physical security level, the parameter was security performance,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work efficiency.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discriminant validity analysis, etc. were analyzed for causality through SPSS. As a result, “Physical Security Level ⇒ Security Performance, Security Performance ⇒ Work Efficiency” was adopted, but “Physical Security Level ⇒ Work Efficiency” was rejecte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physical security level affects work efficiency through security performance, which is a parameter.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physical security level did not directly affect work efficiency. In order to improve work efficiency in the future, improving security performance should be a priority.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의 물리보안수준이 보안성과와 업무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보안요원 200여명을 대상으로 한 달 동안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설문조사에서 독립변수는 물리보안수준, 매개변수는 보안성과, 종속변수는 업무효율성으로 선정하였다. 신뢰도분석과 타당성분석, 판별타당성분석 등을 SPSS를 통해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물리보안수준 ⇒ 보안성과, 보안성과 ⇒ 업무효율성”는 채택되었으나 “물리보안수준 ⇒ 업무효율성”은 기각되었다. 따라서 물리보안수준이 매개변수인 보안성과를 거쳐 업무효율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물리보안수준이 직접 업무효율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업무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안성과를 높이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공항 환승여객과 CCTV, 전기진단 및 의료기기, 전기경보 및 신호장치의 수출이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장예진,최정일 한국융합보안학회 2020 융합보안 논문지 Vol.20 No.4
최근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해 해외 여행객이 대폭 감소하는 반면 개인의 안전과 보안을 위해 CCTV나 전기경보 및 신호장치, 전기진단 및 의료기기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공항 환승여객과 CCTV, 전기진단 및 의료기기, 전기경보 및 신호장치의 수출이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서 각 변수별 동조화현상을 찾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서 2000년 1월부터 2020년 04월까지 총 231개 월별자료를 이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 CCTV와 전기진단 및 의료기기의 수출이 한국 수출에 상대적으로 높은 동조화현상을 보여주었다. 전기경보 및 신호장치의 수출과 환승여객이 수출액과 일정 수준 동조화현상을 보여주었으나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났다. In recent years, the “social distance” has drastically reduced overseas travelers. On the other hand, for personal safety and security, it is expected that interest and demand for CCTV, electric alarm and signaling devices, electric diagnostics and medical devices will increase significant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airport transfer passengers and exports of CCTV, electrical diagnostics and medical devices, electrical alarms and signaling devices on exports to Korea, and the synchronism of each variable. To this end, this study used a total of 231 monthly data from January 2000 to April 2020 in the National Statistics Service.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CCTV and electrical diagnostics and medical devices showed relatively high synchronization with respect to exports to Korea. Electric alarms & signaling devices and transit passengers also showed a certain level of synchronization with exports, but were relatively we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