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개념이 포함된 불일치 상황에서 초등학생의 학습자 특성에 따른 과학 개념변화

        강지훈,유병길 한국물리학회 2018 새물리 Vol.68 No.10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hanges in science concepts when they were faced with misconceptions provided by the teacher with intellectual authority. We selected scientific attitude, scientific self-concept, and science process skill, which are expected to influence scientific conceptual changes, as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nd analyzed conceptual changes when using three concepts, the 'weight of air', 'dissolution', and the 'change of weight when water freezes'.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230 elementary school students (117 girls, 113 boys) in 5th and 6th gr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cientific attitudes, curiosity and open-mindedness of the students who changed concepts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ose of students who did not change concepts. However, in terms of science self-concepts and scientific process skill, no significant differences or no consistent results were obtained. Second, scientific self-concept showe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scientific attitude ($r=.55$) and competence correlated positively with curiosity ($r=.45$) and criticism ($r=.40$).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개념을 가진 초등학생들이 지적 권위를 가진 교사가 제공하는 오개념에 대면했을 때 학습자 특성별 과학 개념변화와 학습자 특성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학습자 특성으로 과학적 태도, 과학 자아개념, 과학 탐구 능력을 선정하였으며, '공기의 무게', '용해', '물이 얼 때 무게의 변화'라는 세 개념을 이용하여 개념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Changed 유형의 과학적 태도 및 호기심, 개방성이 Unchanged 유형보다 통계적으로 더 높게 나왔다. 하지만 과학 자아개념과 과학 탐구 능력의 경우, 두 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거나 차이가 있더라도 일관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과학 자아개념은 과학적 태도와 높은 상관($r = .55$)을 나타냈지만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는 서로 관련이 없었다. 과학 자아개념의 하위 요소인 능력감은 호기심 ($r = .45$), 비판성($r = .40$)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인 비판성과 호기심 ($r = .53$), 비판성과 개방성 ($r = .41$), 호기심과 개방성 ($r = .39$)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과학학습에서 예상과 결과의 일치 여부에 따른 초등학생의 상태호기심 및 상태불안 수준 변화

        강지훈,김지나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80 No.-

        과학 학습 과정에서 학생이 느끼는 호기심(이하 상태호기심)과 불안(이하 상태불안)은 학업 수행 및 성취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상태호기심과 상태불안은 매 학습 상황마다 그 수준이 변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한두 시점이 아닌 학습의 전 과정에서 학생의 상태호기심과 상태불안 수준을 고려하여 적절히 대처하는 학습지도가 중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과학 문제를 풀고, 문제의 결과를 확인하며, 문제와 관련된 과학 개념을 학습하는 일련의 과학 학습 과정에서 자신의 예상과 결과의 일치 여부에 따른 학생들의 상태호기심 및 상태불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필 형식의 열 개념 문제를 해결하는 과학 학습 과정을 과학 문제 대면(Ⅰ), 결과 확인(Ⅱ), 과학 개념 학습(Ⅲ)의 세 상황(측정시점)으로, 학생들을 자신의 예상과 다른 결과에 직면한 집단(group of Violation of Expectation: VOE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group of non-Violation of Expectation: nVOE 집단)으로 구분하여 측정시점에 따라 두 집단 간 상태호기심 및 상태불안 수준의 차이를 반복측정분산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제 대면 상황에서 결과 확인 상황으로 바뀔 때, 상태호기심의 경우 nVOE 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VOE 집단은 증가하였다. 인지적 불평형과 같은 자극이 VOE 집단으로 하여금 지식격차를 느끼도록 하여 상태호기심이 증가한 것으로 생각된다. 상태불안의 경우 두 집단 모두 감소하였다. nVOE 집단의 경우, 문제의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자신의 답이 틀릴 것에 대한 걱정과 불확실성이 해소되었기 때문에 상태불안이 낮아진 것으로 생각된다. 자신의 예상과 일치하지 않는 결과에 직면한 VOE 집단의 경우 예상과 달리 상태불안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VOE 집단을 결과에 대한 이유를 바르게 추론한 집단(group of VOE-Right inference: VOE-R 집단)과 결과에 대한 이유를 바르게 추론하지 못한 집단(group of VOE-Fail in Right inference: VOE-FR 집단)으로 구분하여 추가로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문제의 결과를 확인할 때 VOE-R 집단의 상태불안은 감소하였으나, VOE-FR 집단의 상태불안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결과 확인 상황에서 과학 개념 학습 상황으로 바뀔 때, 상태호기심의 경우 두 집단 모두 감소하였다. 문제와 관련된 과학 개념을 학습함으로써 지식격차가 해소되고 상태호기심이 충족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판단된다. 상태불안의 경우, nVOE 집단은 결과 확인 상황과 과학 개념 학습 상황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VOE 집단은 과학 개념 학습 상황에서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교육학 분야에서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상태호기심 및 상태불안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였으며, 과학 학습에서 학생의 정서적 상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학령기 아동의 신체활동량에 따른 정서지능과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의존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지훈,구봉진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아동의 신체활동량에 따른 정서지능 및 자기통제와 스마트폰 의존행동과의 관계를 파악 함으로써 신체활동량의 중재효과를 알아보고 관련 변인간의 명확성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학령기 아동 484명이 며, 조사도구로는 정서지능, 자기통제, 스마트폰 의존행동 설문지와 신체활동량을 측정하기 위해 보행계수기를 사용하였 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용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자료처리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 면, 첫째, 신체활동량 구분에 따라 정서지능과 자기통제의 하위요인들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신체활동량이 많을 수록 정서지능과 자기통제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스마트폰 의존행동에서는 아동의 신체활동량에 따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신체활동량 하 집단의 정서지능과 자기통제의 하위요인들은 대부분 스마트폰 의존행동의 하위요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활동량 중 집단은 정서지능의 하위요인들은 스마트폰 의존행 동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통제 하위요인들은 부분적으로 스마트폰 의존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넷째, 신체활동량 상 집단의 정서지능과 자기통제의 하위요인들은 스마트폰 의존행동의 하위요인에 부분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the Physical Activity on Emotional Intelligence, Self-control and Smart Phone Dependent Behavior in Children. A total of 484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physical activity was measured by pedometer. Also, physical activity were divided into 3 groups(Low group, Middle group, High group). In order to verify psychological factors, Emotional Intelligence, Self-control and Smart Phone Dependent Behavior Inventory were used.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the analysis by using SPSS WIN 20.0 v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hildren with high levels of physical activity tend to have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control than those with low levels of physical activity, and have a negative effect on smartphone-dependent behavior. However, children with low levels of physical activit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dependent behavior on smart phones because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control are low.

      • KCI등재

        오개념이 포함된 불일치 상황에 대면한 학생들의 인지갈등 정도와 과학 개념변화의 관계

        강지훈,유병길 한국물리학회 2018 새물리 Vol.68 No.10

        본 연구는 오개념이 포함된 불일치 상황에 대면한 학생들의 인지갈등 정도와 과학 개념변화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기의 무게와 용해의 개념을 묻는 문항을 직접 개발하였으며, 올바른 과학 개념을 가진 학생들에게 오개념이 포함된 불일치 상황을 제시하기 위해 논리제시문을 직접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오개념이 포함된 불일치 상황에 대면한 학생들의 인지갈등은 불일치 상황에 대면하지 않은 학생들의 인지갈등보다 더 높았다. 불일치 상황에 대한 인식, 흥미, 불안, 인지적 재평가의 인지갈등의 네 가지 하위 요소 모두 불일치 상황에 대면한 학생들의 인지갈등이 불일치 상황에 대면하지 않은 학생들의 인지갈등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학생들의 응답 유형별 인지갈등 정도는 불일치 상황에 대면하여 개념변화가 일어났던 '정답 개념 $\rightarrow$ 제시문 개념' 유형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정답 개념 $\rightarrow$ 정답 개념, '제시문 개념 $\rightarrow$ 제시문 개념' 유형의 순으로 나타났지만 불일치 상황에 대면하여 개념변화가 일어난 집단과 일어나지 않은 집단 간의 인지갈등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conflict leve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acing an anomalous situation, including misconception and conceptual change in science. Cognitive conflict in conceptual change plays a key role in science education. That the cognitive conflict levels vary given the same situation is worth of note. Two hundred thirty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ents were presented with logical arguments including misconceptions; then, the cognitive conflict levels and conceptual change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ith a correct conception created more cognitive conflict when faced with an anomalous situation including a conception contrary to their correct conception than the students not facing an anomalous situation did. Second, the cognitive conflict was the highest in the group of students that changed their conception, but the difference between 'C $\rightarrow$ M' type and 'C $\rightarrow$ C' typ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글라이드스코프(GlidescopeⓇ)를 사용한 기관내삽관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강지훈,최혁중,강보승,강형구,조영석,임태호,박세훈 대한응급의학회 2012 大韓應急醫學會誌 Vol.23 No.5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success of endotracheal intubation (ETI) in emergency department (ED) patients, and to investigate usefulness of expected difficult direct laryngoscopy for expectation of a bad GlidescopeⓇ view. Methods: ETI data using GlidescopeⓇ were collected at two EDs over a period of 64 months. We accessed intubator’s training level, expected difficulty with laryngoscopy,method, and glottis exposure grade. Based on these variables,we analyzed the intubation success rates. And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glottis exposure grade using GlidescopeⓇ and factors for expectation of difficult direct laryngoscopy. Results: A total of 613 ETIs attempts using GlidecopeⓇwere recorded. The overall success rate was 83.4%.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expected difficult laryngoscopy,intubator’s training level, and glottic exposure grade were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s for successful ETI using GlidescopeⓇ. The Cormack-Lehane grade I via GlidescopeⓇwas observed in 89.1% of total ETI attempts. In subgroup analysis, bad glottis exposure status showed a significantly low success rate irrespective of intubator’s training level. Among the predicting factors for difficult laryngoscopy, morbid obesity, limited neck extension, and limited mouth opening showed an association with the degree of glottic exposure via GlidescopeⓇ. Conclusion: The glottic exposure grad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related to successful ETI using GlidescopeⓇ. Morbid obesity, limited neck extension, and limited mouth opening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bad glottis exposure under GlidescopeⓇ, Therefore, we need to identify these findings. Even if in good glottis view, junior physicians showed a lower rate of ETI success using Glidescope, therefore, measurements to improve the ability of junior physicians should be implem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