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퍼지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한 미세 혈액형 진단시스템 개발

        강태연(Taeyun Kang),이승재(Seung-Jae Lee),김용구(Yonggoo Kim),이규형(Gyoo-Whung Lee),조동우(Dong-Woo Cho) 대한기계학회 200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8 No.5

        ABO typing is the first test done on blood when it is tested for transfusion. The automated machines in hospitals are typically supersized and the process is complicated. In this paper, we present intelligent micro-blood typing system including two parts: single-line micro blood typing device and fuzzy expert system for grading strength of agglutination. Blood and antibody serum are mixed in the micro mixer and agglutination occurs in the chamber. Then fuzzy expert system determines the degree of agglutination from images of agglutinated blood. The single-line micro blood typing device was fabricated by microstereolithography. The blood typing experiments were successfully done on this device and the fuzzy expert system shows grading decision reflecting the expert's expectations

      • KCI등재
      • 한국인의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과 HLA 연관성

        이은정,윤정숙,김명신,임지향,김용구,한경자,김학기,민우성,김춘추,김원일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0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5 No.2

        배경:주조직 적합항원 복합체(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 MHC)는 쥐에서 처음 이식 항원으로 발견된 이래 이식 면역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으며,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주요 유전자로서 감염, 종양, 자가면역 질환 등의 발생에 관여한다. 사람에서 자가 면역 질환과 HLA 연관성이 증명되어 있으나, 백혈병에서 HLA 연관성에 관한 연구는 드물며 대상군 수가 유의한 결론을 얻기에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 환자를 대상으로 HLA class I, II 항원 및 2-유전자좌 일배체형 빈도를 구하고, 이를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는 통계적 방법으로 ALL군과 연관된 HLA 항원 및 일배체형이 있는지 살펴보고, ALL군은 FAB 분류와 면역 표현형 분류에 따른 아군으로 분류하여 각 아군과 연관된 HLA 항원 및 일배체형을 관찰함으로써 ALL 군과 HLA의 연관성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1991년 1월부터 1998년 7월까지 성모병원에 내원하여 미세림프구독성검사를 이용한 혈청학적 방법으로 HLA Class I, II 항원 형별 검사를 실시한 222례의 ALL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FAB 분류 및 면역 표현형 아군에서 HLA 항원 빈도와 유전자 빈도를 구하고, 항원 빈도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Haldane‘s 법에 따라 상대 위험도를 구하고 chi-square method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ALL 각 질환군과 아군에서 square root 법을 이용하여 HLA A-B, C-B, B-DR 2-유전자좌 일배체형 빈도를 구하고, 이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chi-square 법으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결과:1) Cw8이 ALL군에서 RR 0.12로 매우 감소하여 강한 연관성 정도를 나타냈고, p-value 0.001 이하의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이는 Cw8이 ALL 발생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유전자이거나, 저항성을 나타내는 다른 유전자에 linkage되어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또는 Cw8이 leukemia virus 등 외부 항원에 대해 증가된 면역 반응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이거나,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다른 유전자에 linkage되어있을 가능성이나, Cw8이 면역 감시 기능에 주요 역할을 담당하는 항원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2) Cw3이 ALL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value 0.001 이하의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어, Cw3이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발생을 예측하는 표지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3) B-blank와 DR-blank 유전자 빈도가 ALL 군에서 증가하였으며, 특히 이 현상은 DR locus에서 현저하으며 이는 ALL 질환군에서 B와 DR 항원의 동형접합체의 증가 때문이거나, 대립유전자의 변형이나 소실로 인하여 검출되지 않은 항원이 증가한 때문으로 사료된다. 4) FAB 분류 및 면역 표현형, 임상적 아군과 연관된 HLA 항원들이 검출되었으며, 특히 A11, B62, DR4는 T-cell 면역 표면형과 높은 연관성을 나타냈고, 이중 DR4는 CD3과 100%의 일치율을 보여 DR4가 T-cell ALL 발생을 예측하는 강력한 표지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결론: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은 HLA와 연관된 질환이며,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발생 및 백혈병 세포의 분화 단계를 예측하는데 본 연구가 유용한 기준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되었다. Backgrounds:The MHC(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has been widely studied in the field of transplantation immunology, since initially defined as transplantation antigen in mouse in 1936, and it's a major genetic complex which regulates immune responses, associated with development of infectious diseases, cancers, or autoimmune diseases. Although associations have been demonstrated between many autoimmune diseases and HLA antigens or haplotypes in human, the studies of human leukemia or other hemopoietic disease and HLA association are rare and have too small sample sizes to get a significant result. We tri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ALL with HLA in 222 patients by using appropriate statistical methods, and invesgate HLA associations in FAB and immunological subgroup in ALL. Meth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222 patients with ALL who admitted in St. Mary's hospital from January 1991 to July 1998 and was typed for HLA Class I, II antigens by using serological method of NIH standard microlymphocytotoxicity. We calculated the HLA antigen, gene and 2-locus haplotype frequencies in each ALL subgroup including FAB classification and immunophenotypical subgroup, and calculated relative risk by Haldane's method by comparing HLA antigen frequencies in ALL group with those in normal control population. The chi-square method or Fisher's exact test was used to assess the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ies in the antigen and haplogtype distributions in the control vs. ALL population. Results: 1)The frequencies of Cw8 were decreased in ALL with relative risk 0.12 and high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p-values less than 0.001 was found, suggesting strong Cw8 associations with ALL. This means Cw8 may be a gene which resists to development of ALL or may be linked to other recessive gene, or Cw8 may be a gene which encodes increased immune responses to exogenous antigens such as leukemia virus, or may be linked to other gene. Otherwise, Cw8 may be an antigen which has a key role in immune surveillance to development of ALL. 2) The frequencies of Cw3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and revealed p-values less than 0.001 in ALL, suggesting Cw3 could be a marker predicting development of ALL. 3) B and DR-blank gene frequencies were increased in ALL and this phenomenon was prominent in DR locus, showing 12.9% of DR-blank gene frequencies and 45.80 of relative risk in overall 630 patients who were typed for DR antigen. This suggests increased B and DR homozygosity or increased undetected antigens due to loss or modification of DR allele in ALL. 4) Several HLA antigens were detected associated with each ALL group and subgroup. Especially A11, B62, DR4 antigens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T-cell immunophenotypes, and DR4 had a 100% correlation with CD3, suggesting DR4 could be a strong marker predicting development of T-cell ALL. Conclusion: ALL is a disease associated with HLA and this study will be worth predicting development of ALL, and differentiation stages of leukemic cells in ALL.

      • KCI등재

        혈액종양병동 입원환자에서 Vancomycin 내성 장구균의 직장내 감시 배양 연구

        김명신,이승옥,임지향,서광수,김용구,한경자,최정현,유진홍,최수미,신완식,이동건,김경미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3

        목적 : Vancomycin 내성장구균(VRE)은 병원감염의 중요한 원인균으로 VRE 보균상태의 환자들을 파악하여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감시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혈액종양병동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VRE의 직장내 감시배양을 실시하여 그 빈도 및 분포를 알아보고, 집락화된 균주와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VRE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혈액종양병동에 입원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14개월간 직장 감시배양을 시행하였다. 혈액한천배지에서 장구균이 의심되는 집락을 따서 vancomycin 6㎍/㎖이 포함된 Brain-heart infusion agar에 10^(6) CFU를 접종하여 vancomycin 내성선별검사를 하였다. 이 기간 동안 4병실에서 환경감시배양을 시행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Microscan을 이용하여 균종을 동정하였고 vancomycin에 대한 최소억제농도를 측정하였다. Multiplex PCR로 균종 확인 및 동시에 vancomycin 내성 유전형을 알아보았다. 결과 : 대상이 된 452명의 환자 중 230명(50.9%)이 직장내 VRE 보균자로 확인되었다. 균종의 분포는 E. faecium (72.4%), E. faecalis(24.1%) 순으로 vancomycin에 대한 MIC가 128㎍/㎖ 이상의 고도 내성이었으며, vanA형이 대부분이었다. 환경 감시배양에서는 2개 병실에서 VRE 4주가 분리되었다(E. faecium 3주, E. faecalis 1주). 감시기간동안 32명의 환자의 임상검체에서 33주의 VRE가 동정되었고 이 중 29명(90.6%)이 직장내 VRE 보균자였다. 결론: 가톨릭의대 성모병원 혈액종양병동의 VRE의 직장 내 집락화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임상검체에서 VRE가 분리된 환자의 경우 VRE 직장내 집락화율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보균상태의 VRE가 환자의 감염에 직접적인 연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지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Background: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have emerged as important pathogens among hospitalized patients. We evaluated the prevalence of rectal VRE colonization at hematology-on-cology uni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VRE colonization and infection. Materials & Methods: All VRE isolates were obtained from rectal swabs and clinical samples of the patients hospitalized over 14-month period at hematology-oncology unit in St. Mary's Hospital. The agar screening test was performed by using 6 ug/ml of vancomycin in brain heart infusion agar with 10^(6) CFU inoculum. During this period, the environmental surveillance culture was performed in 4 hospital rooms. Species identification of VRE was done by Microscan and MICs to vancomycin. Identification and genotyping of VRE pattern were confirmed by multiplex PCR. Results: Rectal colonization rate was 50.9% (230 among 452 patients). The most common isolate was E. faecium (72.4%) followed by E. faecalis (24.1%), and all had vanA genotype. Four VREs (three E. faecium and one E. faecalis) were isolated from 2 hospital rooms. During this period, 33 clinical VRE strains from 32 patients were isolated (infected or colonized). Twenty nine (90.6%) of these clinical isolates came from VRE carrier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a high rectal colonization rate of VRE in patients hospitalized at the hematology-oncology unit in St. Mary's Hospital. The colonization rate of VRE in the rectum was higher among the patients who had clinical infection by VRE. Therefore, the strategies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VRE infection should be deveoloped and monitored.

      • KCI등재
      • 한국인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 및 골수 이형성 증후군과 HLA 연관성

        윤정숙,김원일,한경자,김용구,임지향,민우성,김춘추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0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5 No.1

        배경:주조직 적합항원 복합체(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 MHC)는 쥐에서 처음 이식 항원으로 발견된 이래 이식 면역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으며,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주요 유전자로서 감염, 종양, 자가면역 질환 등의 발생에 관여한다. 사람에서 자가 면역 질환과 HLA 연관성이 증명되어 있으나, 백혈병에서 HLA 연관성에 관한 연구는 드물며 대상군 수가 유의한 결론을 얻기에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과 골수 이형성 증후군(MDS) 환자를 대상으로 HLA class I, II 항원 및 2-유전자좌 일배체형 빈도를 구하고, 이를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는 통계적 방법으로 AML 및 MDS군과 연관된 HLA 항원 및 일배체형이 있는지 살펴보고, AML군은 FAB 분류와 면역 표현형 분류에 따른 아군으로 분류하여 각 아군과 연관된 HLA 항원 및 일배체형을 관찰함으로써 AML 및 MDS군과 HLA의 연관성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1991년 1월부터 1998년 7월까지 성모병원에 내원하여 NIH standard microlymphocytotoxicity를 이용한 혈청학적 방법으로 HLA class I, II 항원 형별 검사를 실시한 415례의 AML과 62례의 MDS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각 질환군과 FAB, 면역 표현형 아군에서 HLA 항원 빈도와 유전자 빈도를 구하고, 항원 빈도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Haldane’s method에 따라 상대 위험도(RR)를 구한 뒤 chi-square 법으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AML, MDS 각 질환군과 아군에서 square root법을 이용하여 HLA A-B, C-B, B-DR 2-유전자좌 일배체형 빈도를 구하고, 이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chi-square 법으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1) Cw8이 AML, MDS 질환군에서 RR이 0.10, 0.22로 매우 감소하여 이들 질환과 강한 연관성 정도를 나타냈다(p<0.001). 2) Blank 유전자 빈도의 증가가 AML, MDS 질환군의 각 HLA locus에서 관찰되었으며, 특히 이 분석 결과는 DR locus에서 현저하여, AML과 MDS군에서 DR-blank 빈도는 11.6%, 7.0%로 매우 증가하였다. 3)AML군과 A2-B61, Cw8-B61, B62-DR11 일배체형 연관성과, MDS군과 Cw3-B51, B62-DR14, B35-DR9 일배체형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4)FAB 분류별 아군에서 AML-M3와 A33 항원 연관성과 AML-M1과 A2-B51 일배체형 연관성이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었다(p<0.001). 5) AML 면역 표현형 아군에서 HLA-A29, B56 항원과 panmyeloid 면역 표현형인 CD33, CD15와의 연관성이 관찰되었고, A2-B48, Cw7-B44 일배체형과 myeloid 면역 표현형인 CD34, CD33, CD11c와의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결론:AML과 MDS는 HLA와 연관성 있는 질환이며, AML과 MDS군의 발생 및 AML군에서 백혈병 세포의 분화 단계를 예측하기 위해 본 연구 자료가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The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has been widely studied in the field of transplantation immunology, since initially defined as transplantation antigen in mouse in 1936. Although associations have been demonstrated between many autoimmune diseases and HLA in human, the studies of HLA association with human leukemia are rare, and have too small sample size to get a significant result. We tried to invesgate the association of AML and MDS with HLA, and the association of FAB, immunological subgroup with HLA in AML group by using appropriate statistical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HLA role in the development of AML and MDS, and find any HLA antigens or haplotypes which can predict the development of AML or MDS. Meth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415 patients with AML and 62 patients with MDS who admitted in St. Mary's hospital between 1991. 1. and 1998. 7., and were typed for HLA class I, II antigens by using serological method of NIH standard microlymphocytotoxicity. We calculated the HLA antigen, gene and 2-locus haplotype frequencies in AML and MDS group and FAB, immunological subgroup, calculated relative risk by Haldane's method by comparing HLA antigen frequencies in disease group with those in normal control population. The Chi-Square method or Fisher's exact test was used to assess the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ies in the antigen and haplogtype distributions in the control vs disease population. Results: 1)The frequencies of Cw8 were severely decreased in AML and MDS population with relative risk of 0.10, 0.22, and revealed high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p-values less than 0.001, suggesting strong Cw8 association with AML and MDS. This means Cw8 may be a gene which resists to the development of AML and MDS, or may be linked to other recessive gene, Cw8 may be a gene which encodes increased immune responses to exogenous antigens such as leukemia virus, or may be linked to other immune response gene, otherwise, Cw8 may be an antigen which has a key role in immune surveillance to the development of AML or MDS. 2) Blank gene frequencies were increased in AML and MDS group, and this phenomenon was prominent in DR locus, showing 11.6% and 7.0% of DR-blank gene frequencies in AML and MDS. This suggests increased HLA homozygosity or increased undetected antigens due to loss or modification of HLA alleles in AML and MDS. 3) The associations of A2-B61, Cw8-B61, B62-DR11 haplotypes with AML, and A30-B14, Cw3-B51, B62-DR14, B35-DR9 haplotypes with MDS were observed. 4) According to FAB classification in AML, highly significant HLA-A33 antigen association with AML-M3 and A2-B51 haplotype association with AML-M1 were observed. 5) According to immunological classification in AML, HLA-A29, B56 each antigen association with CD33, CD15, panmyeloid immunophenotypes and A2-B48, Cw7-B44 each haplotype association with CD34, CD33, CD11c, myeloid immunophenotypes were observed. Conclusion:AML and MDS is a disease associated with HLA, and this study will be valuable in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AML and MDS, differentiation stages of leukemic cells in AM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