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Clinicopathological role of kidney injury molecule-1 in immunoglobulin A nephropathy

        ( Yu Ho Lee ),( Yang-gyun Kim ),( Sang-ho Lee ),( Ju-young Moon ),( Kyung-hwan Jeong ),( Tae-won Lee ),( Chun-gyoo Ihm ) 대한신장학회 2014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33 No.3

        Background: Urinary kidney injury molecule-1 (KIM-1) is an early and sensitivebiomarker of acute kidney injury, but it is unclear if it is a biomarker of chronicglomerulonephritis. We evaluated whether urinary KIM-1 levels in patients withimmunoglobulin A (IgA) nephropathy can be a marker to reflect clinicopathologicalseverity and predict the prognosis. Methods: We measured urinary KIM-1 levels in 40 patients (15 males; mean age36.6712.9 years) with IgA nephropathy and 10 healthy people (5 males; mean age37.379.6 years) as controls. The correlation of urinary KIM-1 levels with patients’clinical parameters, histological grades, and follow-up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odified H. S. Lee grading system and tubulointerstitial change scores. Results: Urinary KIM-1 levels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IgA nephropathy thanhealthy controls (P¼0.001). Univariate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showedthat urinary KIM-1 levels had a direct correlation with H. S. Lee grade andtubulointerstitial inflammation (P¼0.004 and P¼0.011, respectively). Conclusion: In patients with IgA nephropathy, urinary KIM-1 has a significantcorrelation with histopathologic severity.

      • KCI등재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시술 환자의 천자부위 지혈을 위한 Angioseal^(�) 사용과 고식적 용수 압박법의 비교 : 전향적 연구

        김용훈,권현철,김필호,안석진,유철웅,최진호,이상철,김준수,김덕경,전은석,이상훈,홍경표,박정의,서정돈 대한내과학회 2004 대한내과학회지 Vol.66 No.5

        목적 :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은 최근 양적 및 질적으로 급격한 발전을 보였지만 시술 시 천자부위의 혈관 합병증은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다. 저자들은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을 환자에게 천자부위 지혈을 위한 혈관폐쇄기구인 안지오실의 안전성과 유용성을 고식적인 용수 압박법과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2년 4월부터 2003년 5월 사이에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에서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한 200명의 환자(안지오실 사용군: A군, 100명, 고식적 용수압박법 사용군 B군, 100명)를 대상으로 시술 후 주요 합병증 및 경한 합병증, 지혈 후 환자가 자리에 앉기까지의 시간, 보행개시 가능시간, 총 재원 기간과 시술 1주 후의 합병증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결론 : 두 군에서 연령, 성별, 기저질환,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소, 시술의 종류, 시술 중 사용한 헤파린의 양, clopidogrel의 양, ticlopidine의 양, 지혈 시 수축기와 확장기혈압, ACT (activated clotting time)는 차이가 없었다. A군이 B군에 비해 시술 후 자리에 앉기까지의 시간 (A군: 4.3±0.3시간, B군: 13.7±0.8시간, p=0.004) 및 보행개시까지의 시간(A군: 6.8±0.5시간, B군: 18.8±2.1시간, p=0.013)이 유의하게 짧았다. 시술 후 주요 합병증은 두군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경한 합병증의 전체발생은 A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A군: 28명, B군: 19명, p=0.003). 반상출혈의 경우는 A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지만(A군: 3명, B군: 12명, p=0.01), 혈종, 출혈의 발생은 두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총 재원기간에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p=0.239). 시술 1주 후 경과관찰에서 주요합병증은 역시 두 군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경한 합병증의 전체발생은 두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A군: 15명, B군: 13명 p=0.418), 반상출혈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지만 혈종의 발생은 A군에서 더 낮았다(A군: 2명, B군:6명, p=0.004). 두 군 모두에서 출혈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안지오실의 사용은 고식적 용수 압박법에 비해 환자의 침상 안정시간을 줄여 조기 활동개시가 가능하게 하였으며 국소합병증의 위험도를 일부 낮추어, 시술에 따른 환자의 불편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 Although the number and the quality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have been recently increased dramatically, the vascular complication at puncture site is still the major cause of patients' morbidity. We evaluated the safety and efficacy of newly of newly-developed collagen-based arterial closure device, Angioseal after transfemoral percuatenous coronary intervention. Methods :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prospective single center non-randomized comparative study. A total 200 patients undergoing transfemoral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were enrolled between April 2002 and May 2003.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gioseal group (group A, n=100) and manual compression group (group B, n=100). The baseline clinical and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The time to sit up, the time to ambulation, the duration of hospital stay, major and minor vascular puncture site complications were monitored. The patients were followed-up for 1 week after procedure by telephone. Results : The baseline clinical characteriwtics, clinical diagnosis, cardiocascular risk factors, typesof procedure, doses and numbers of anticoagulants were similar between two groups. The blood pressure and activated clotting time were also similar. The time to sit up (group A: 4.3±0.3 hours, group B: 13.7±0.8 hours, p=0.004) and the time to ambulation (group A: 6.8±0.5 hours, group B: 18.8±2.1 hours, p=0.013) were shorter in group A. No major vascular complications were noted. The incidence of hematoma and bleedin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he incidence of ecchymosis, however,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A (group A:12%, group B: 3%, p=0.001) The duration of gospital stay was similar between groups. During 7 days of follow-up period incidence of hematoma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A (p=0.004). Although the incidence of ecchymosi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 The angioseal may be associated with earlier ambulation and less patients' morbidity with low incidence of local complication rate compared to manual compression after transfemoral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 Medicinal Chemistry : EVALUATION OF CADMIUM-INDUCED NEPHROTOXICITY USING URINARY METABOLOMIC PROFILES IN SPRAGUE-DAWLEY MALE RATS

        ( Yu Kyung Lee ),( Eun Young Park ),( Shi Won Kim ),( Ji Yeon Son ),( Tae Hyung Kim ),( Won Gu Kang ),( Tae Chun Jeong ),( Kyu Bong Kim ),( Seung Jun Kwack ),( Jae Won Lee ),( Suh Mann Kim ),( Byung M 영남대학교 약품개발연구소 2015 영남대학교 약품개발연구소 연구업적집 Vol.25 No.-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rinary metabolomics profiles associated with cadmium (Cd)-induced nephrotoxicity and their potential mechanisms. Metabolomic profiles were measured by high-resolution 1H-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y in the urine of rats after oral exposure to CdCl2 (1, 5, or 25 mg/kg) for 6 wk. The spectral data were further analyzed by a multivariate analysis to identify specific urinary metabolites. Urinary excretion levels of protein biomarkers were also measured and CdCl2 accumulated dose-dependently in the kidney. High-dose (25 mg/kg) CdCl2 exposure significantly increased serum blood urea nitrogen (BUN), but serum creatinine (sCr) levels were unchanged. High-dose CdCl2 (25 mg/kg) exposure also significantly elevated protein-based urinary biomarkers including osteopontin,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kidney injury molecules-1 (Kim-1), and selenium-bingding protein 1 (SBP1) in rat urine. Under these conditions, six urinary metabolites (citarate, serine, 3-hydroxyisovalerate, 4-hydroxyphentllactate, dimethylamine, and betaine) were involved in mitochondrial energy metabolism. In addition, a few number of amino acids such as glycine, glutamate, tyrosine, proline, or phentlalanine and carbohydrate (glucose) were altered in urine afrer CdCl2 exposure. In particular, the metabolites involved in the glutathione biosynthesis pathway, including cysteine, serine, methionine, and glutamate, were marked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Thus, these metabolites are potential biomarkers for detection of Cd-induced nephrotoxicity. Our results further indicate that redox metabolomics pathways may be associated with Cd-mediated chronic kidney injury. These findings provide a biochemical pathway for better understanding of cellulat mechanism underlying Cd-induced renal injury in hunmans.

      • SCIEKCI등재

        Disruption of rsmA Gene of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LY34 and Effect on Pathogenicity

        Kim, Min Keun,Kang, Tae Ho,Kim, Sung Kyum,Jeong, Yu Seok,Yun, Han Dae,Kim, Hoon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 2012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55 No.6

        The rsmA gene was cloned from soft-rot bacterium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LY34 (Pcc LY34), and its role in pathogenicity was investigated by marker exchange mutagenesis. From a cosmid library of Pcc LY34 genomic DNA, a positive clone carrying the rsmA gene was selected, and the gene was clon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mplification. The gene is 186 bp in size and encodes a protein of 62 amino acids with a predicted molecular mass of 6,839 Da. The calculated pI of the RsmA is 8.16. The phylogenetic tree showed that the RsmA of Pcc LY34 appeared genetically identical to the CsrA of Pectobacterium atrosepticum SCRI1043 (100% identity) and similar to the CsrA of Yersinia pestis KIM10+(98.3%). The gene was disrupted by the $Km^r$ gene, and the cells became mutated (i.e., $RsmA^-$ mutant). The pathogenicity test revealed that the disease rating of the $RsmA^-$ mutant only differed slightly from that of the wild type on a slice of potato tuber and a Chinese cabbage stalk. These results suggest that RsmA is not an essential factor for the pathogenicity of Pcc LY34 and that the rsmA gene of Pcc LY34 is not completely derepressed in the $RsmA^-$ mutant for virulence-related genes, contrary to the results of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RsmA^-$ mutant, which proved hypervirulent for celery petiole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micro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host and/or strain of pathogen are important for the coordination of virulence gene expression.

      • KCI등재

        한국인과 미국인의 생애주기별 칼슘섭취 현황 비교

        유아름 ( Areum Yu ),양윤정 ( Yoon Jung Yang ),정사랑 ( Sa Rang Jeong ),김지혜 ( Ji Hye Kim1 ),김유진 ( You Jin Kim ),권오란 ( O Ran Kwon ),오세영 ( Se Young Oh ),김정현 ( Jung Hyun Kim ) 대한영양사협회 2013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19 No.1

        Calcium intake has been insufficient in all age groups in previous Korean national survey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alcium intake in Korean and American populations at different ages. We analyzed two national survey data: the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nd the 2007∼200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Statistically, survey procedures were applied using the weight, cluster, and strata variables. The mean calcium intake of Koreans at ages of 1∼2 y, 3∼5 y, 6∼11 y, 12∼18 y, 19∼64 y, and 65+y was lower than American populations at those ages. The sufficient proportions based on Korean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of 1∼2 y, 3∼5 y, 6∼11 y, 12∼18 y, 19∼64 y, and 65+y in Koreans were 45.5%, 33.1%, 24.3%, 16.6%, 32.7%, and 19.0%. While the sufficient rates based on American EAR of 1∼3 y, 4∼8 y, 9∼13 y, 14∼18 y, 19∼30 y, 31∼50 y, 51∼70 y, and 71+y in US population were 88.5%, 54.4%, 35.2%, 35.8%, 55.3%, 55.2%, 40.6%, and 24.5%. Overall, the major foods contributing to calcium intakes in Koreans were milk, baechukimchi, and anchovies, whereas, milk products, pasta, or bread were major contributions to calcium in American populations. The calcium supplement intakes in the American population were 5.5 mg (1∼2 y), 15.5 mg (3∼5 y), 13.9 mg (6∼11 y), 35.7 mg (12∼18 y), 150.3 mg (19∼64 y) and 334.4 mg (≥65 y).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adolescents and older adults are the most insufficient in dietary calcium intakes among Koreans. In order to accurately estimate calcium intakes in Korean populations, calcium supplements and calcium-fortified foods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성별 음란물 접촉실태와 성 갈등에 대한 연구

        차남현 ( Nam Hyun Cha ),왕명자 ( Wang Myoung Ja ),유경희 ( Kyung Hui Yu ),김정아 ( Jeong Ah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2

        본 연구 대상 아동 952명중 ‘음란물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다`` 고 응답한 남아는 63. 2%,(288명) 이고 여아는 60.5% (300명)이지만,‘음란물에 접촉한 경험’이 있다 ``에는 남아 34.4% (l57명), 여아27.4% (l36명)가 응답하여, 대부분의 아동은 음란물에 대하여 들어본 경험은 있지만, 접촉한 경험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초등 아동을 연구한 Kim과 woo (2001), Kim (2002)과 Kang (2004)이 음란물 접촉자율을 각각 20.3%, 28.6%, 30%로 보고한 선행연구 결과보다 더 높은 퍼센트를 나타내었다. 처음 음란물을 접촉한 시기는 ``5학년 때’가 남가 아동 39.5%, 여아 44.1%로 가장 많았고, ``4학년 이전’도 남아 31.8% , 여아 30.9% 로서, 음란물을 첫 접촉한 시기가 4학년 이전 16.8%(Kim,2002) , 19.8% (Oh, 2003)라는 선행연구에 비하면, 본 연구 대상 아동의 ``4학년 이전’ 음란물 접촉 비율이 또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초등학교 아동들이 상업적인 성에 노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매스미디어의 광범위성, 대중성, 능동성, 동시성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앞으로 음란물 접촉을 및 저학년 접촉빈도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접촉한 음란물 유형에 대한 복수응답 결과,‘컴퓨터를 통해 음란물을 보았다``는 남아 82.8%(l30명), 여아 90.4% (l23명)로 가장 빈도가 높은 접촉유형이고’ 다른 음란 접촉 유형은 비슷한 빈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컴퓨터를 통한 음란물에 초등학교 아동이 쉽게 접촉하고 있음을 지적한 선행연구 (Yom, Yun, & Lee, 2002; Hong, 2003; Kang, 2004)의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개인용 컴퓨터와 인터넷 사용인구가 급증하고, 학교나 주택가 주변 PC방이 즐비 하면서 음란물들을 더욱 쉽게 볼 수 있게 된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에 대해, Kim과 woo (2001), Park(2001)는 연구에서 컴퓨터 음란물 차단프로그램의 설치가 각각 19.4%, 13.3%에 불과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사실 컴퓨터 매체를 이용한 인터넷 음란물은 대중성과 동시성 등의 특성이 있어 미성년자의 접근이 쉽고 광범위하게 노출이 될 수 있는 반면,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과 대책이 매우 부족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인터넷 음란물에 대해 정부에서는 청소년보호법 이 실효성을 거둘 수 있도록 규제 및 처벌을 더욱 엄격하게 하고, 음란물 차단 프로그램의 설치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음란물에 접촉하는 동기는``우연히`` 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남아 51.6%, 여아 53.7%) ‘스팸메일’을 통해서, 친구 및 형제’의 권유로,‘호기심``으로 직접 찾아봄순으되 남녀 등 모두 우연히 접하는 경우가 많았다.‘스팸메일’을 통해사는 남아보다 여아가 접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 청 (2005)에서 제시한 청소년 음란물 사이트 접속경로로 우연히 (남이 32.7%, 여아 35.5%), 친구나 선후배 소개로 (남아 31.5%, 여아 11.7%), 일부러 음란물 검색 (남아 20.9%, 여아 6.9%), 스팸메일 (남아 6.5%, 여아 14.8%)과 순서가 일부 일치함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아동이 무엇보다 우연히 음란물을 접하는 경우가 많은 결과는 포르노 사이트의 무차별적 음란물 배포에 대하여, 초등학교 아동들이 무방비 상태로 노출 되어 있으며, 현재 이를 차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설치의 미흡을 의미하는 것이다. 음란물과 접촉하는 빈도는 ‘거의 안보거나 특정 싸이클이 없다. (남아 73.7%, 여아 87. 2%)는 응답이 많았고)거의 매일 보는, 남아는 4.5%, 여아는 0.7%였다. 이는 통계청 (2005) 의 청소년음란사이트 이용경험 조사에서 ‘한번도 없음’(남아 24. 5%, 여아 70.6%), ‘일년에 l-2회, 접촉히는 남아가 l5.8%, 여아 8.5%,‘한달에 l- 2회’ 접촉하는 남아 26.8%, 여아 4.8%, ‘일주일에 l- 2회’ 접촉하는 남아 l5,9%, 여아 1.9% 라는 결과에서 제시하듯이, 대부분 이동은 음란물에 접촉하지 않고 있으나, 음란물 접촉은 남아가 여아보다 더 많았다. 음란물과 접촉하는 기간은·15분 미만이 남아 86.8%, 여아 96.2%로 가장 많았고, 15분 이상’은 남아 l3.2%, 여아 3.8%로 대부분의 아동은 음란물 접촉시간이 짧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소수이기는 하나 정기적으로 음란물에 접촉하는 아동에 대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음란물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아동일수록 학습에 많은 지장을 받고 있음은 물론, 성과 관련된 반응에 있어서 보다 쉽게 자극 받고 충동을 일으키며, 그 충동을 실제 행동으로 옮길 가능성이 크고 (oh, 2003), 중독성이 강하며, 성에 대해 비하하는 태도와 행위, 충동조절 능력 저하, 폭력적이 거나 모욕적인 성행위를 선호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정부와 학교당국, 부모님의 음란물에의 적극적이 고 효과적 인 대처 방안이 시급하다. 음란물과 접촉하는 장소는 자기 집이 (남아 68,8%, 여아 81.5%) 가장 않았고 친구집(남아 16.0%, 여아 7.6%), PC방 (남아 4,2%, 여아 5.9%), 학교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통계청 (2005)에서 보고한 6-l4세 어린이가 이용하는 인터넷 장소로 가정 90.5%, PC방 빛 게임방 25. 8%, 학교 18.2%라는 결과와 순위가 일치 하고 있다. 따라서 음란물 접촉이 가장 많다고 응답 한 가정에서 부모의 음란물을 방지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공개적으로 아이들과 PC를 공유하는 방을 마련하고 음란물 차단 시스템을 PC에 설치하며, 수시로 관심 있게 보는 사이트 및 정보를 확인,대화하고 컴퓨터 이용시간을 제한하여 아이들의 건전한 컴퓨티 이용문화를 형성하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음란물 접촉 이유는 ‘우연히’가 가장 많았고 (남아 35.7%, 여아 57.3%), 남아는 ‘호기심’때문에,‘스팸메일,을 열어보다가,‘친구``가 권해서,‘재미, 스트레스 해소와 성충동’ 때문이라고 답했고, 여아는 ‘스팸메일’ 윤 열어보다가,‘호기심’ 때문에,‘친구’가 권해서,‘재미,스트레스 해소’ 위해,‘성충동과 성적지식’을 얻기 위해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의도적인 접촉보다 비의도적인 접촉이 많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져 다행스럽긴 하나, 음란물은 처음 접했을 경우 충격적이지만, 호기심을 가지고 접하면서 무뎌지고 점차 더 자극적인 음란물을 경험하고자 하며 모방행동으로까지 발전되는 특성이 있다고 한다. 초·중 아동을 대 상으로 한 Hong(2003)의 연구에서 음란물 경험 후 실제로 ‘모방행동을 해 본적이 있다’ 에 11.l%가 응답한 것으로 볼 때 절대 간과해서논 안 될 문제이다. 음란물 접촉 후 반응은 부정적 반응에 대한 응답율이 높은 반면, 긍정적이거나 충동적 반응에 대한 응답율은 저조하였다. 부정적인 반응은 ‘부끄럽고 창피하다’가 (남아31.51%, 여아 32.05%)가장 많았고, 남아는 ‘죄책감’, ‘내가 이상한건가 하는 생각’, ‘혐오감’을, 여아는 ‘혐오감’, ‘내가 이상한건가 하는 생각’, ‘죄책감’ 순으로 반응하였다. 음란물 접촉 후 반응이 긍정적 반응보다는 부정적 반응에 대한 응답이 많은 것을 볼 때, 음란물 접촉아동은 음란물을 통해 성이 아름답고 신성한 것이 아닌 은밀하고 부끄러운 것으로 인식되 왜곡된 성의식을 가지게 되며, 혼란과 갈등을 겪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결과는 선행연구(Kang, 2004; Kim, 2004; oh, 2003; Kim, 2002)에서도 지적하고 있다. 성 갈등은 남녀 아동 모두 음란물에 접촉한 아동이 접촉하지 않은 아동보다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음란물 접촉후 아동간의 성 갈등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성별에 따른 성 갈등은 차이가 없었다. 음란물에 노출될수록 중독성이 강하여 성 정체성이 확립되어야 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에게 성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쉬우므로 음란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서구에서는 영상매체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 (screening)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Tv에 V-chiP을 설치해 부모나 성인의 감독 없이 영상매체에 근접하지 못하게 한다 (Cho & Kim, 2004). 우리나라는 아직 그러한 방지책이 실질적으로 이용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무조건 음란물을 못보게 막으려 시도하기 보다는 아동에게 음란물에 대한 비평능력을 심어주어 스스로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성교육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Gruer와 Grube(2000)의하면, 얼마나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지 아무런 비판없이 무분별하게 청소년이 음란물에 접하 면,음란물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었으나, 실제로 성교육을 통해 청소년이 올바른 성 지식 습득하였을 때 성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하였고,음란물의 영향을 더 적게 받고, 직접적인 성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woo, Kim과 Park (2001) 은 중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교육이 컴퓨터와 비디오 음란물 접촉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연구를 한 결과,성 교육 후 실험군은 성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음란물 접촉에 대한 의식점수가 높았고’ 컴퓨터를 통한 원조교제에 대한 의식점수가 높았으며, 음란물 접촉빈도가 적었다고 하면서 음란물에 대한 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가정과 학교에서 부모나 교사인 어른들의 입장에서 고려된 보수적이고 전 근대적인 성교육방법 과 내용만을 고수하여 무조건적으로 음란물 접촉을 막는 것보다는, 아동이 올바른 성의식을 확립하여 스스로 볼 수 있는 것과 보지 않아야 할 것을 구별할 수 있는 비판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는 성교육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아동들 스스로가 성행동의 주체로서 음란물 공해에서도 자신 있게 맞설 수 있는 성숙한 자아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어야 하며, 이와 더불어 무차별적인 대중매체로부터 아동들을 보호하는 시스템의 조기 구축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contact with pornographs of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and to confirm responses after that, and to compare the feeling of sexual conflict between the boys and girls. Methods: The subjects were 952 5th and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in four city areas(456 boys, 496 girls). Data collection was via questionnaires Results: Except several pupils(34.4% of boys, 27.4% of girls), most of subjects of the study had no contact with pornographs. The response after the contact with pornographs was feeling of shame the most, which was a negative reaction. The sexual conflict appeared more in pupils who had contact with pornographs than in those who had not boys(t=3.84, p<.000), girls(t3.96, p<.000),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conflict between boys and girls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Conclusion: We would like to suggest that a sound control system must be prepared and a development of programs related to sexual education and promotion of ability fighting against them that can release their impulse of sex.

      •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준한 초등 실과 식생활교육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김유정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0 현장중심 초등교육연구 Vol.2 No.-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learning modules related to food & nutrition education at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in order to analyze the elements of career education that can be found in the food & nutrition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which the relevant content from the NCS was analyzed by key concept of the food & nutrition area in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hrough research into literature and content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CS has 70 learning modules in five of the smallest category related to food & nutrition education of practical arts in elementary school: local community hygiene management, cooking Korean food, dining space creation, food quality management and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Second, the area of “family life and safety” in the curriculum of practical arts of elementary school, revised in 2015, is relevant to the food & nutrition education of NCS learning modules. However, the content about a balanced diet and the importance of refreshments and how to choose them is found to be irrelevant to the elements of food & nutrition education of NCS learning modules. Third, NCS learning modules related to how to make refreshments, which is among the key concepts of “life culture” in the area of food & nutrition of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included personal hygiene, measuring and cooking instruments, how to heat and cook food, and table manners; as for NCS learning modules related to five senses education, there were characteristics of various food ingredients and sensory tests. Fourth, NCS learning modules related to how to choose safe and hygienic food, which is among the key concepts of “safety” in the area of food & nutrition of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contained food labeling, hygienic storage and choice of food, food poisoning, and cross-contamination, and NCS learning modules related to how to cook one-bowl food with rice consist of basic knowledge and functions about how to cook food in a safe and hygienic way. 본 연구에서는 초등 실과 식생활 영역에서의 직업소양교육 내용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국 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식생활교육 관련 학습모듈을 파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 실과 식생활영역의 핵심개념별로 NCS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 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에는 지역사회위생관리, 한식조리, 식공간연출, 식품품질관리, 농산식품유통의 5개 세분류에 총 70개 초등 실과 식생활교육 관련 학습모듈이 있었다. 둘째, 2015개정 실과교육과 정에서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이 NCS 학습모듈의 식생활교육 내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 중 균형 잡힌 식사와 간식의 중요성 및 선택 방법에 대한 내용은 NCS 학습모듈의 식생활교육 내용 요소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 실과 식생활 영역 ‘생활문 화’ 핵심개념 중 간식 만들기와 관련된 NCS 학습모듈은 개인위생, 계량기구 및 조리기구, 가 열조리법, 식사예절이었으며, 오감교육과 관련된 NCS 학습모듈은 다양한 식재료의 특성, 관능 검사이었다. 넷째, 초등 실과 식생활 영역 ‘안전’ 핵심개념 중 안전하고 위생적인 식품 선택과 관련된 NCS 학습모듈은 식품표시, 위생적인 식품 보관 및 선택, 식중독, 교차오염이었으며, 밥 을 이용한 한그릇 음식 만들기와 관련된 NCS 학습모듈은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음식 만드는 과정에 대한 기초 지식 및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알코올에 의해 유발된 진정 및 수행 장애에 대한 카페인의 반전 효과

        유남재,김정란,조정혜,왕성근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4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0 No.1

        연구목적 : 저자들은 알코올의 진정 작용과 수행 붕괴 효과에 대한 카페인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건강한 19세에서 25세 사이의 대학생 지원자 14명을 대상으로 Epsworth Slippiness Scale(ESS), Stand-ford Sleepiness Scale(SSS), Visual Analogue Sclae(VAS), Vienna test, Multiple Sleep Latency Test(MSLT) and Breath Ethanol Concentration(BrEC)을 측정하였다. 결 과 : 알코올(1.0g/㎏)은 투여 후 5시간까지 입면잠복기를 단축시키며, 카페인(300mg)은 이러한 단축을 현저히 개선시키는 반전 효과가 있었다. 알코올(1.0g/㎏)은 투여 후 3~5시간 동안 주간 졸음과 피로감을 유발하며, 카페인(150~300mg)은 졸음과 피로감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경계력은 알코올(0.5~1.0g/㎏) 투여 1시간 후 유의하게 저하되었고 카페인(150~300mg) 투여 3시간 후부터 개선되었으며, 집중력은 알코올(1.0g/㎏) 투여 후 변화가 없었으나 카페인 투여 3시간 후부터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단기 기억은 알코올과 카페인 투여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기준일, 알코올 투여일, 알코올 및 카페인 투여일에서 각 변량(SSS, MSLT, 졸음, 피로감, 기분, 집중력, 경계력, 단기 기억력)간에는 일관성 있는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정상인에서 알코올은 입면잠복기를 단축시키고 주간 졸음과 피로감을 유발하며, 카페인은 알코올에 의해 유발된 입면잠복기의 단축을 연장시키고 주간 졸음과 피로감 및 경계력과 주의 집중력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결 론 : 카페인은 알코올의 진정 및 수행 붕괴 효과를 반전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 The authors performed this study to identify the effects of caffeine on the alcohoi's sedative and performance disruptive effects. Methods : Epsworth Sleeppiness Scale(ESS), Stanford Sleepiness Scale(SSS), Visual Analogue Scale WAS), Vienna test, Multiple Sleep Latency Test(MSLT) and Breath Ethanol Concentration(BrEc) were checked for the 74 young and healthy college student volunteers aging from 19 to 25 years. Results : Alcohol(1.0g/kg) freduced sleep latency until 5 hours after administration and caffeine(300mg) reversed this effect significantly. Alcohol(1.0g/kg) induced daytime sieepiness and fatigue 3-5 hours after administration and caffeine(l50-300mg) improved sleepiness and fatigue. Vigilanc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1 hour after alcohol administration(0.5-1.0g/kg) and improved 3 hours after caffeine administration(l50-300mg) and attention was not changed after alcohol administration(1.0g/kg) but improved significantly 3 hours after caffeine administration and short-term memory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after alcohol and caffeine administration. On the baseline, the day of alcohol administration only, and alcohol and caffeine administration day, between each vanable(SSS, MSLT, sleepiness, fatigue, mood, vigilance. concentration, and short-term memory) did not show significant consistent correlation. Conclusion : Alcohol decreases sleep latency and induces daytime sleepiness and fatigue, and caffeine prolonges sleep latency and improves daytime sleepiness, fatigue, vigilance and attention in normal subjects. These results showed caffeine reverses alcohol's sedative and performance-disruptive effects.

      • 신이식 환자에서 자발적으로 발생한 저구연산뇨증 연관성 요관 결석로

        나정구,공성민,이동규,김성민,장윤정,김성록,이유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15 EMJ (Ewha medical journal) Vol.38 No.3

        Urolithiasis is an uncommon complication in renal transplantation. We report a case of hypocitraturia-related ureteral steinstrasse which was spontaneously formed in a renal transplant recipient. The patient who underwent renal transplantation was admitted with acute pyelonephritis. Hydronephrosis in the transplanted kidney and multiple stones (steinstrasse) in the distal ureter were incidentally found on computed tomography scanning. After a failed attempt of ureteroscopic removal of stones, the patient underwent open ureterolithotomy and ureteroureterostomy. On stone analysis, carbonate apatite was confirmed. Urinary citric acid levels were decreased to 127.6 mg/day. Potassium citrate was administered to prevent stone recurrence by increasing urinary citrate excretion. No recurrence of stones was shown six months later. Urolithiasis in renal transplant recipients requires a high index of suspicion. Hypocitraturia can increase the risk for urolithiasis. Rapid recognition by careful surveillance, prompt removal of stones, and precautionary efforts to prevent recurrence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