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환교육의 시각에서 본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진로연계교육 운영 방안
정남용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3 현장중심 초등교육연구 Vol.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의 진로연계교육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 전환교육 그리고 진로연계교육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고찰하는 문헌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위한 전환교육으로 첫째, 기본학습능력, 둘째, 아동과 초등학교 교사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 셋째, 체험중심의 방법 적용, 넷째, 통합적인 주제를 중심으로 초등학교로의 입학에 적응에 필요한 내용 및 학교의 상황에 맞는 내용, 다섯째, 초등학교 입학 초인 3월에 시행, 여섯째, 부모를 위한 전환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이었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위한 전환교육으로는 첫째, 6학년 2학기에 실시, 둘째, 상급학교 생활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해소 및 긍정적 자기 인식을 목적으로 구성, 셋째,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교육과정 차이점 설명, 넷째,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의 학교생활 차이 설명, 다섯째, 전환기 학생의 인지, 정서, 신체적 특성에 대한 이해, 여섯째, 학부모 대상 전환교육, 일곱째, 6학년 2학기부터 중학교 입학 후까지 지속되는 전환교육 등이었다.
정남용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3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9 No.2
실제적 삶에 도움을 주는 지식만이 가치 있는 것이라는 스펜서의 주장과 같이 실과교과 교육은 창의성이 강조되는 지식기반사회인 현대에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미 연구되어 있는 실과교과의 학문 구조, 내용 등을 정리하고, 초등교육의 각 교과의 목표 및 내용의 비교를 통해 초등교과 사이에서의 실과교과의 차별성 즉 전문성을 알아보고, 이러한 실과교육의 전문성을 학교교육에서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았다. 초등교원양성교육에서의 실과교육의 실제적 강화, 실과교육과정의 개정 및 보완, 초등학교에의 실습 시설 및 설비 확충, 마지막으로 원격연수를 포함한 연수기회의 확대 등을 초등 실과교과 교육의 전문성 신장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정진현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4 현장중심 초등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지식재산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인식을 바탕으로, 초등 실과 지식재산교육의 학습자료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지식재산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 지식재산교육과 관련한 초등 실과 교육과정을 분석, PDIE의 수업자료 개발 모형절차에 맞추어 학습자료를 개발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현장테스트를 실시하고 수업 만족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식재산교육 학습자료는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지식재산에 관심을 가지고 지식재산교육 활동에 참여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개발되었다. 학생용 학습자료는 지식재산교육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므로, 전문가 집단에 의한 타당도 검사 결과를 반영하여 수정‧보완하여 개발하였다. 2. 지식재산교육 학습자료는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사를 통해 초등학교 지식재산교육에 적합하고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3. 지식재산교육 학습자료는 학습자 수업 만족도 검사를 통해 초등학교 지식재산교육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를 높이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학생들의 전체적인 만족도는 4.05 이상으로 현장테스트에 참여한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가 대체적으로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학생들은 지식재산교육 학습자료가 학습내용을 이해하고 지식재산교육 수업을 받는데 있어서, 학습에 대한 의욕을 불러일으켰으며 흥미로웠던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학생들로 하여금 초등학교 지식재산교육에 충분히 적합하여 긍정적 효과를 줄 뿐만 아니라 지식재산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를 높여줄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로 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주웅영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3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9 No.2
미국의 초등 역사교육이 획기적으로 변화되기 시작한 시기는 대략 지금부터 20여 년 전이다. 종전 미국의 초등 역사교육은 대개 교실수업을 중심으로 교사의 강의와 학생의 암기, 그리고 단원의 마지막에 부과되는 시험으로 교수-학습이 진행되는 상황이 보편적이었다. 이러한 양태의 교실 수업은 역사의 사회과 통합과 지역확대 교육과정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로서 교과서의 내용을 처음부터 끝까지 진도를 나아가는 '개관 강의' 중심의 수업 형태였다. 이 변화는 영국에서 시발되어졌다. 당시 영국에서 나온 새로운 연구성과들은 초등 역사교육의 연구에 대한 인식시각의 전환과 그를 토대로 한 연구동향의 변화를 촉발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이들 연구들은 그 이전부터 초등 역사교육의 성격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의 틀을 제공해 오면서 역사교육의 성격 규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소위 'Piaget-Peel-Hallam 모델'이 지닌 한계점을 극복하려는 노력의 결과에 따른 산물이었다. 당시 초등 역사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시각의 수립은 얼마 지나지 않아 미국 초등 역사교육의 연구 경향에 영향을 미쳐 미국에서 초등 역사교육의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될 수 있었다. 이들 미국의 연구성과들은 Paul Hanna에 의해 이론적 근거가 제공된 '지역확대 교육과정'이 지닌 단점을 극복하고 그 대안적인 접근을 제공하려는 경향이 강하였다. 결국 이들 연구는 교육과정의 개정을 촉구하는 계기였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정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는 토대로서 기능할 수 있었다. 원래 교육과정의 개정은 교과에 대한 인식시각을 토대로 개정되면서 교과 내용의 선정·조직문제로 귀결되는 것이 보편적인 현상이었다. 영국에서의 연구성과들은 National Curriculum의 성립, 미국에서의 연구성과들은 National Standards for History의 구안을 촉구하면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 결과 역사는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내에서 점차 중심적인 교과로서의 위상을 회복하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었다. American 2000은 그러한 점을 잘 보여주는 상징적인 예들 중의 하나로 이해해 볼 수 있다. 최근까지 초등 역사교육에 대한 이론연구들이 추천하는 교수·학습방법을 지지해 줄 만한 증거나 조사연구가 너무나 적다는 사실이 차후 미국 초등 역사교육이 해결해야할 문제로 남아 있다. 그러한 연구들은 현장교육을 토대로 민족지적 방법을 통하여 논증하는 실험연구의 형태로 수행될 경우에만 해명될 성질의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미국사 가르치기 프로그램에서 잘 드러나듯이 이들 초등 역사교육의 이론연구들이 현장교육의 교수·학습을 중심으로 수행되는 실험연구와 결합하여 현장교육에 적용될 수 있을 때 초등 역사교육의 이론연구들은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보되어 비로소 초등 역사교육으로서 완결의 의미를 지니면서 초등 역사 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정진현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0 현장중심 초등교육연구 Vol.2 No.-
This research is purposed on developing the learning materials for elementary practical arts and maker education, based on proper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and maker education. This research implemented field test about developed maker education learning materials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to elementary students and analyzed the result of the satisfaction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learning materials were evaluated from expert group’s validity test as appropriate for elementary maker education and has positive effects. By expert evaluation result, about the learning materials, all categories in validity is fine This informs that developed learning materials are appropriate for elementary maker education and has positive effects on actual maker education. 2. The learning materials were evaluated very helpful for increasing motivation for study and interest in maker education, by learner’s satisfaction surve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ield test, shown average 4.50 higher in all satisfaction category. This informs that learning materials help increase satisfaction in learning and is appropriate for elementary students. Therefore, elementary practical arts maker education learning materials not only are appropriate and has positive effects for elementary maker education, but also evaluated meaningful for increasing maker interest and ability of understanding. 본 연구는 초등 실과와 메이커 교육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인식을 바탕으로, 이를 초등 실 과 메이커 교육을 위한 학습자료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 PDIE의 수업자료 개발 모형절차에 맞추어 초등 실과 메이커 교육 학습자료를 개발하여 초등 학생을 대상으로 현장테스트를 실시하고 만족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 음과 같다. 1. 초등 실과 메이커 교육 학습자료는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사를 통해, 초등학교 메이커 교육에 적합하고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문가들의 평가 결과에 따르면 메 이커 교육 학습자료에 대한 타당도에 있어서 모든 항목이 양호하게 나왔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개발된 초등 실과 메이커 교육 학습자료가 초등학교 메이커 교육에 부합하고, 실질적인 메이커 교육에 있어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2. 초등 실과 메이커 교육 학습자료는 학습자 만족도 검사를 통해 초등학교 메이커 교육에 대한 흥미와 학습의욕을 높여주는데 상당한 도움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학생들의 만족도 의 모든 항목이 평균 4.50 이상으로 현장테스트에 참여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초등 실과 메이커 교육 학습자료는 초등학생들이 해결하기에 알맞은 자료로 학생 들로 하여금 학습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주는데 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 실과 메이커 교육 학습자료는 학생들로 하여금 초등학교 메이커 교육에 충분히 적합하여 긍정적 효과를 줄 뿐만 아니라, 메이커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를 높여줄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로 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정남용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0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6 No.-
이 연구에서는 초등교육에서 필수적인 아동의 문제해결능력의 증진에 대한 연구를 초등학교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는 초등 교사 교육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구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학생들의 학년별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하여, 대학 교육을 통해 문제해결능력이 증진되는지 알아보는데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 실과교육학과 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측정을 위해서 The Cornell Critical Thinking Test-level Z가 사용되었다. 대구교대 실과교육과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한 결과 평균은 15.51이었으며, F검증을 한 결과 대구교대 실과교육과 학생들의 학년별 문제해결능력의 평균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제해결능력의 7개 하위 영역별 수준 역시 학년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대구교대 실과교육과 학생들은 학년에 상관없이 문제해결능력에 대해 거의 동질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대학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이 신장되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존 듀이 관점에서 포스트코로나시대 음악교육의 가치와 역할: 『민주주의와 교육』과 『경험으로서의 예술』을 중심으로
김기수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3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9 No.3
포스트코로나시대의 시대적 변혁과 사회적 양상은 학교 음악교육의 변화와 새로운 양상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그 중심에는 유기체 인간의 생명과 일상 삶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생각이 자리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포스트코로나시대의 음악교육은 생명과 삶을 기초로 하는 음악교육의 가치와 역할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존 듀이는 미국을 대표하는 프래그머티즘 철학자로서 20세기 초 미국의 변혁뿐 아니라 세계의 격동을 몸소 겪으며, 당대에 주어진 문제 해결과 다가올 미래를 위한 건설적인 철학적 혜안을 제시하였다. 그 가운데 포스트코로나시대의 바람직한 음악교육을 위해, 특히 고려할 수 있는 그의 저서가 교육적 혜안을 담고 있는 『민주주의와 교육』과 예술적 혜안을 담고 있는『경험으로서의 예술』이다. 전자에서는 삶의 필연성으로서 교육과 사회적 기능으로서의 교육이 강조되고, 후자에서는 삶과 연속성의 예술과 인간의 기여로서의 예술이 강조된다. 이러한 듀이의 관점에서 포스트코로나시대 음악교육의 가치와 역할은, ‘인간 생명의 유지와 삶의 필연성의 장으로서 음악교육’, ‘자연 질성의 경험과 질적 사유의 장으로서 음악교육’, ‘자연 생태교육의 장으로서 음악교육’, ‘일상 삶과의 연속의 장으로서 음악교육’, ‘직관과 상상 함양의 장으로서 음악교육’, ‘문명과 정신의 연속화의 장으로서 음악교육’ 등으로 제안될 수 있다. 이러한 제안으로 포스트코로나시대 음악교육의 가치와 역할은 인간 유기체의 생명력 확충과 행복한 삶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그 위상을 더욱 견고히 할 것이다. Social transformation and all aspects of life in a time of the post COVID-19 pandemic era have led to changes of several aspects in music education. At the center of it is an idea that awakens the importance of organic human life and daily life. Therefore, in a time of the post COVID-19 pandemic era we need to propose that the music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our daily life. John Dewey, a leading pragmatist philosopher in the United States, witnessed not only American innovation but also profound changes of the world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presented constructive philosophical solutions for solving the problems in the present and the future. Among them, his books, Democracy and Education and Art as Experience have an educational and artistic insights, which can be considered essential works especially for desirable music education in a time of the post COVID-19 pandemic era. In the former work, he emphasized the role of education both as an indispensable to individual and society and as a social function and in the latter book, he emphasized recovering the continuity of esthetic experience with normal processes of living and finds in art qualities that contribute to the relationships of the human being. From Dewey's philosophical point of view, the value and role of music education in a time of the post COVID-19 pandemic era can be proposed as "music education as a venue for maintaining human life and inevitability of life." With this proposal, the value and role of music education in a time of the post COVID-19 pandemic era will further strengthen its status in expanding the vitality of human organisms and constructing a happy life.
성용구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9 초등교육연구논총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이주민들에 대한 지원과 일반인들의 의식전환을 통하여 한국사회의 통합적 발전을 위하여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내용은 한국 다문화 교육의 특정과 실태 파악,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 외국 다문화 교육의 시사점 그리고 개선방안의 모색이다. 다문화 교육 문제의 해결책으로 다문화 교육의 방향과 정체성의 확립, 교육내용의 혁신,교육방법과 프로그램의 개발, 교사의 전문적 자질 향상, 다문화 교육 정책의 개선 등을 제안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inding some problems and inquiring alternatives to solve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integrated development in korean society.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characteristics & problems of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of other countries and alternatives to solve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Some alternatives to solve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are as folloows : First, Establishing of the ways & ident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Reforming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Developing the methods & progra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th, Improving the teachers' professional abilities and polic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정보영재의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교육용 로봇과 학습프로그램의 개발
유인환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9 초등교육연구논총 Vol.25 No.2
지식정보사회에서는 창의성을 갖춘 고급 인력의 양성이 강조된다. 따라서 영재교육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정보영재교육 또한 주목을 받고 있다. 정보영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관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교육과정은 다양해도 프로그래밍 교육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은 매우 부족하고 전통적인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로봇 활용에 대한 가능성과 한계를 고찰해보고, 기존 프로그래밍 교육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정보영재 교육에 적합한 모형 로봇과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한 모형 로봇과 학습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정보영재의 프로그래밍 교육에 적용하고 문제점을 찾아서 수정, 보완하였다.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로봇의 도입은 학습자들에게 흥미로운 인지 갈등 상황을 제공하고 성찰적 사고 촬동을 마치 놀이 과정처럼 여기도록 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특히 프로그래밍 업문 과정에서 효과적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로봇의 활용은 많은 장점을 가지기도 하지만, 로봇 자체를 다루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학습자의 인지적 부담이 증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통해 로봇을 적절히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단계별로 활용할 수 있는 아주 단순한 구조부터 복잡한 구조의 모형 로봇을 제안하였고,각각의 로봇은 최소한의 부품으로 최대한 단순한 구조로 조립과 분해가 쉽게 설계되었으며,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어 로봇 프로그래밍 학습에 다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 로봇과 학습 프로그램은 정보영재를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 방법의 개선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최흥섭,백중열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3 현장중심 초등교육연구 Vol.5 No.2
최근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스트레스는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스트레스 해소에 가장 적합한 교과목으로 예체능 교과를 추천한다. 이에 본 연구는 두 교과의 융합 콘텐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예비교사들에게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 체육 교수·학습론’과 ‘초등 미술 교육론’ 강좌를 수강하는 D교육대학교 2학년(30명)과 4학년(30명)을 대상으로 예체능 융합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초등학교 1-2학년군의 즐거운 생활 교과 내용 중 체육과 미술 교과의 융합적인 단원 및 차시를 분석하였고, 다음으로 체육 교과에서 미술 교과와의 융합적인 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하나로 수업모형’을 활용한 교육과정과 스피드 스택을 활용한 색 상징 및 미술 심리 융합 콘텐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적용 결과, 예비교사들은 체육과 미술 교과의 융합교육 측면에서 다양한 경험을 통해 융합교육의 장단점 및 이에 대한 개발 역량을 함양하게 되었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예체능 융합교육의 핵심 요인으로 열린 마음, 교과목에 편협된 시각의 확장, 상상력, 창의성, 감수성 육성 등이 필요하며, 초등교육 현장의 예체능 융합프로그램 개발에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