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최근 미국 초등 역사교육 연구의 동향

        주웅영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3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9 No.2

        미국의 초등 역사교육이 획기적으로 변화되기 시작한 시기는 대략 지금부터 20여 년 전이다. 종전 미국의 초등 역사교육은 대개 교실수업을 중심으로 교사의 강의와 학생의 암기, 그리고 단원의 마지막에 부과되는 시험으로 교수-학습이 진행되는 상황이 보편적이었다. 이러한 양태의 교실 수업은 역사의 사회과 통합과 지역확대 교육과정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로서 교과서의 내용을 처음부터 끝까지 진도를 나아가는 '개관 강의' 중심의 수업 형태였다. 이 변화는 영국에서 시발되어졌다. 당시 영국에서 나온 새로운 연구성과들은 초등 역사교육의 연구에 대한 인식시각의 전환과 그를 토대로 한 연구동향의 변화를 촉발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이들 연구들은 그 이전부터 초등 역사교육의 성격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의 틀을 제공해 오면서 역사교육의 성격 규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소위 'Piaget-Peel-Hallam 모델'이 지닌 한계점을 극복하려는 노력의 결과에 따른 산물이었다. 당시 초등 역사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시각의 수립은 얼마 지나지 않아 미국 초등 역사교육의 연구 경향에 영향을 미쳐 미국에서 초등 역사교육의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될 수 있었다. 이들 미국의 연구성과들은 Paul Hanna에 의해 이론적 근거가 제공된 '지역확대 교육과정'이 지닌 단점을 극복하고 그 대안적인 접근을 제공하려는 경향이 강하였다. 결국 이들 연구는 교육과정의 개정을 촉구하는 계기였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정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는 토대로서 기능할 수 있었다. 원래 교육과정의 개정은 교과에 대한 인식시각을 토대로 개정되면서 교과 내용의 선정·조직문제로 귀결되는 것이 보편적인 현상이었다. 영국에서의 연구성과들은 National Curriculum의 성립, 미국에서의 연구성과들은 National Standards for History의 구안을 촉구하면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 결과 역사는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내에서 점차 중심적인 교과로서의 위상을 회복하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었다. American 2000은 그러한 점을 잘 보여주는 상징적인 예들 중의 하나로 이해해 볼 수 있다. 최근까지 초등 역사교육에 대한 이론연구들이 추천하는 교수·학습방법을 지지해 줄 만한 증거나 조사연구가 너무나 적다는 사실이 차후 미국 초등 역사교육이 해결해야할 문제로 남아 있다. 그러한 연구들은 현장교육을 토대로 민족지적 방법을 통하여 논증하는 실험연구의 형태로 수행될 경우에만 해명될 성질의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미국사 가르치기 프로그램에서 잘 드러나듯이 이들 초등 역사교육의 이론연구들이 현장교육의 교수·학습을 중심으로 수행되는 실험연구와 결합하여 현장교육에 적용될 수 있을 때 초등 역사교육의 이론연구들은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보되어 비로소 초등 역사교육으로서 완결의 의미를 지니면서 초등 역사 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초등 실과교과교육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 탐색

        정남용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3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9 No.2

        실제적 삶에 도움을 주는 지식만이 가치 있는 것이라는 스펜서의 주장과 같이 실과교과 교육은 창의성이 강조되는 지식기반사회인 현대에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미 연구되어 있는 실과교과의 학문 구조, 내용 등을 정리하고, 초등교육의 각 교과의 목표 및 내용의 비교를 통해 초등교과 사이에서의 실과교과의 차별성 즉 전문성을 알아보고, 이러한 실과교육의 전문성을 학교교육에서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았다. 초등교원양성교육에서의 실과교육의 실제적 강화, 실과교육과정의 개정 및 보완, 초등학교에의 실습 시설 및 설비 확충, 마지막으로 원격연수를 포함한 연수기회의 확대 등을 초등 실과교과 교육의 전문성 신장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구교대 실과교육과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에 관한 연구

        정남용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0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6 No.-

        이 연구에서는 초등교육에서 필수적인 아동의 문제해결능력의 증진에 대한 연구를 초등학교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는 초등 교사 교육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구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학생들의 학년별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하여, 대학 교육을 통해 문제해결능력이 증진되는지 알아보는데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 실과교육학과 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측정을 위해서 The Cornell Critical Thinking Test-level Z가 사용되었다. 대구교대 실과교육과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한 결과 평균은 15.51이었으며, F검증을 한 결과 대구교대 실과교육과 학생들의 학년별 문제해결능력의 평균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제해결능력의 7개 하위 영역별 수준 역시 학년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대구교대 실과교육과 학생들은 학년에 상관없이 문제해결능력에 대해 거의 동질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대학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이 신장되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전환교육의 시각에서 본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진로연계교육 운영 방안

        정남용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3 현장중심 초등교육연구 Vol.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의 진로연계교육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 전환교육 그리고 진로연계교육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고찰하는 문헌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위한 전환교육으로 첫째, 기본학습능력, 둘째, 아동과 초등학교 교사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 셋째, 체험중심의 방법 적용, 넷째, 통합적인 주제를 중심으로 초등학교로의 입학에 적응에 필요한 내용 및 학교의 상황에 맞는 내용, 다섯째, 초등학교 입학 초인 3월에 시행, 여섯째, 부모를 위한 전환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이었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위한 전환교육으로는 첫째, 6학년 2학기에 실시, 둘째, 상급학교 생활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해소 및 긍정적 자기 인식을 목적으로 구성, 셋째,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교육과정 차이점 설명, 넷째,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의 학교생활 차이 설명, 다섯째, 전환기 학생의 인지, 정서, 신체적 특성에 대한 이해, 여섯째, 학부모 대상 전환교육, 일곱째, 6학년 2학기부터 중학교 입학 후까지 지속되는 전환교육 등이었다.

      • 초등 실과 메이커 교육을 위한 학습자료 개발 연구

        정진현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0 현장중심 초등교육연구 Vol.2 No.-

        This research is purposed on developing the learning materials for elementary practical arts and maker education, based on proper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and maker education. This research implemented field test about developed maker education learning materials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to elementary students and analyzed the result of the satisfaction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learning materials were evaluated from expert group’s validity test as appropriate for elementary maker education and has positive effects. By expert evaluation result, about the learning materials, all categories in validity is fine This informs that developed learning materials are appropriate for elementary maker education and has positive effects on actual maker education. 2. The learning materials were evaluated very helpful for increasing motivation for study and interest in maker education, by learner’s satisfaction surve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ield test, shown average 4.50 higher in all satisfaction category. This informs that learning materials help increase satisfaction in learning and is appropriate for elementary students. Therefore, elementary practical arts maker education learning materials not only are appropriate and has positive effects for elementary maker education, but also evaluated meaningful for increasing maker interest and ability of understanding. 본 연구는 초등 실과와 메이커 교육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인식을 바탕으로, 이를 초등 실 과 메이커 교육을 위한 학습자료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 PDIE의 수업자료 개발 모형절차에 맞추어 초등 실과 메이커 교육 학습자료를 개발하여 초등 학생을 대상으로 현장테스트를 실시하고 만족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 음과 같다. 1. 초등 실과 메이커 교육 학습자료는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사를 통해, 초등학교 메이커 교육에 적합하고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문가들의 평가 결과에 따르면 메 이커 교육 학습자료에 대한 타당도에 있어서 모든 항목이 양호하게 나왔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개발된 초등 실과 메이커 교육 학습자료가 초등학교 메이커 교육에 부합하고, 실질적인 메이커 교육에 있어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2. 초등 실과 메이커 교육 학습자료는 학습자 만족도 검사를 통해 초등학교 메이커 교육에 대한 흥미와 학습의욕을 높여주는데 상당한 도움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학생들의 만족도 의 모든 항목이 평균 4.50 이상으로 현장테스트에 참여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초등 실과 메이커 교육 학습자료는 초등학생들이 해결하기에 알맞은 자료로 학생 들로 하여금 학습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주는데 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 실과 메이커 교육 학습자료는 학생들로 하여금 초등학교 메이커 교육에 충분히 적합하여 긍정적 효과를 줄 뿐만 아니라, 메이커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를 높여줄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로 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초등 예비교사의 시범창 능력 향상을 위한 LMS 활용 방안

        고선미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2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8 No.4

        초등 음악수업에서 가창실기학습의 핵심적 조건은 교사의 모델링에 대한 학생의 반복되는 모방이다. 따라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가창실기교육은 이상적인 모델링 능력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음악실기교육은 관례적으로 일대일 면대면 방식으로 이뤄지지만 교육대학의 가창실기교육은 대학의 특성으로 인해 30여 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그룹지도 형태로 운영되므로 교육목표의 달성에 여러 어려움이 상존한다. 그러나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대학의 LMS를 활용하여 비대면 방식 가창실기교육을 운용해오면서 LMS의 다양한 메뉴와 기능의 활용이 그룹지도 형태의 가창실기교육의 교육효과를 높일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이 인식됐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2학년도 1학기 동안 LMS를 활용한 비대면 방식과 대면 방식이 혼합된 가창실기교육을 받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결과 분석을 통해 그룹지도 형태의 대면방식 가창실기교육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LMS 활용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연구결과 LMS 상에 파일형태로 올려 진 강의 콘텐츠와 관련 학습 자료들, 학습자의 실기수행 과제물 등은 항시 접속 가능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 또한, 가창실기로 인해 갖게 되는 여러 심리적 부담감을 해소할 수 있었으며 교수자의 즉각적 피드백이 없는 연습과정에서는 교수자가 제공한 서술형 코멘트와 모바일 앱의 활용을 통해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가족체험을 위한 다문화 의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정미경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1 현장중심 초등교육연구 Vol.3 No.-

        본 연구는 초등학생 가족체험을 위한 다문화 의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함으로 써 가족단위 다문화 의생활교육 체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주말 지역사회 가족을 위해 실행된 것으로 연 구에서는 프로그램 ‘준비’, ‘개발’ 및 ‘운영’에 중점을 두었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6인으로 구성 된 다문화교육 전문가 집단의 총 4회에 걸친 협의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첫째, 개발된 프로그램은 베트남과 중국을 각각 오전과 오후에 2시간씩 2주간 용 으로 개발되었다. 프로그램의 시작은 접수, 대기 중 해당 나라 전래동화 애니메이션시청, 나라 별 문화 이해 교육, 바느질, 재봉틀 등을 활용한 상징물 만들기, 의상체험, 소감문 쓰기의 순으 로 구성되었다. 가족 단위로 작성된 소감문의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의 운영은 다문화교육 전문가 협의회 구성, 프로그램 운영 자료 개발 및 제작,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교육환경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가족체험을 위한 의생활교육 프로그램은 참여자의 베트남 및 중 국의 생활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의 준비, 운영과정을 통하여 대학원생, 초등예비교사, 이중언어 강사의 다문화교육 역량 강화에도 기여하는 기회를 제공하 였다는데 의의가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multicultural life education experience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developing and operating multicultural life education programs. This program was conducted for community families on weekends, and the study focused on program preparation, development, and operation.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was carried out through a total of four consultations with a group of six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developed programs were developed for two weeks in Vietnam and China for two hours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respectively. The program began in the order of reception, watching traditional fairy tales animation in the country, education on understanding culture by country, making symbols using sewing and sewing machines, costume experience, and writing impressions. The satisfaction of the speech written on a family basis was very high. Second, the operation of the program established an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 formation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t council, program operation data development and production, and program operation.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meaningful that the medical life education program for family experience not only helped participants understand the life culture of Vietnam and China, but also provided opportunities to strengthe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ies of graduate student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bilingual instructors.

      • KCI등재후보

        교육기부에 대한 학부모와 학생의 인식 조사

        윤준채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6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기부에 대한 학부모와 학생의 인식 조사를 토대로 교육기부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기부 프로그램에 참가했던 경험이 있는 초중고등 학생 83명과 학부모 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교육기부에 대 한 인식 조사: 학부모용>과 <교육기부에 대한 인식 조사: 학생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을 토대로 도출된 교육기부의 미래적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중심의 교육기부에서 벗어나 공교육 전반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학생 의 학습 역량뿐만 아니라 교사의 교육 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교육 절감을 위한 교육기부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하며,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대학생 멘토를 활용한 방과후 프로그램의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교육기부 프로그램은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수립되어야 한다. 교육기부 프로그램이 학생의 실제적인 학 습과 연결되지 못하고 일회적인 경험으로 그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학생이 학교에서 배우는 실제적인 교육 내용과 밀접하게 연계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방과후 교육활동 운영의 효율화 방안 : 경북도내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김홍주,박대화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8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1 No.-

        최근 학부모들이 부담하고 있는 사교육비의 감축을 위한 방안으로 실시된 학교에서의 방과후 교육활동을 정상화시키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제도나 교육과정 등의 여건 개선은 물론 모든 국민들의 교육에 대한 그릇된 가치관과 의식의 올바른 확립 및 교사들의 특별한 봉사정신이 우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관점에서 경상북도내 전체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방과후 교육활동의 실시과목, 시설, 대상자, 시간운영, 재정관리, 기타 운영의 전반적인 현황과 교사와 학부모들이 생각하는 의견을 조사하여 앞으로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한 연구로서 그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개설과목 각 학교에서 현재 개설운영하고 있는 과목과 학부모들이 개설하기를 희망하는 과목, 지역특성이나, 전통에 관계되는 과목 및 그외 과목을 개설하지 못한 이유를 조사하여 지역별로 비교한 결과 현재 개설과목과 학부모들의 개설 희망과목 조사에서는 시지역과 읍,면지역 모두 최근 세계화의 추진에 관계되는 영어와 컴퓨터 과목이 1,2위를 차지하였으나 개설과목에서 20위이내이든 육상, 합창, 합주, 민속놀이, 경필, 씨름, 테니스과목은 시지역과 읍,면지역 모두 20위이내의 개설 희망과목에서 제외되었으며, 시지역은 수영, 태권도, 바둑, 검도, 연극, 읍,면지역은 태권도, 수영, 국어, 속셈 등의 과목을 신설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과목선정과목은 교내교사의 능력이나 각종 대외 경기출전 준비에 관계되는 과목위주로 선정하여 운영할 것이 아니라 아동의 희망이나 소질을 파악하여 개설해야 한다. 지역 특성이나 전통에 관계되는 과목으로는 농악, 민속놀이, 양궁, 사군자치기, 농요, 택권, 다예절 등을 소수의 학교에서 개설하고 있는 실정이며, 학부모들은 인성에 관계되는 과목개설을 요구하고 있다. 그외 다른 과목을 개설하지 못한 이유로는 시지역와 읍,면지역 모두 지도교사의 부족을 첫째로 들고 있고, 다음으로 시지역은 시설부족, 읍.면지역은 희망학생의 부족 때문에 강사료 부족을 들고 있으며 기타 의견으로는 외부학원의 반대, 지도시간의 부족, 각종 대외 경기출전과 관계가 없어서 등을 들고 있다. 2) 지도교사 방과후 교육활동의 지도담당교사, 교내교사들의 지도담당 희망여부, 학교당국의 지도교사에 대한 배려, 외부강사 채용의 문제점을 조사하여 지역별로 비교해 본 결과 지도담당교사는 시지역은 외부(학원)강사, 읍,면지역은 교내교사들이 주로 담당하고 있으나 교사들은 외부강사들을 채용하여 운영하기를 바라는 반면 학부모들은 교내교사들이 담당해 주기를 희망하고 있다. 따라서 교내교사들은 학습부진아 지도 등 교과학습지도에 전염하고 방과후 교육활동은 외부강사에 일임하자는 의견이 많으나 읍면지역에서는 강사 확보의 어려움이 많고 강사가 확보 되드라도 학생수가 적어 강사료 지불에 어려움이 있으며, 외부강사의 자격규정에도 문제가 있으므로 강사의 자격 규정과 강사 확보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한편 교내교사들은 조사대상자의 77.2%가 수업시간의 증가와 지도능력 부족 등의 이유로 지도담당을 희망하지 않고 있으며, 일선교사들에게 수업시간의 증가만 가져온 시책으로 환영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교사들의 인식 전환을 위한 계몽이 필요하며, 1997년도 현재 전국의 6학급이하 초등학교 사무직원 배치는 51.8%정도이므로 문교부에서는 사무직원이 없는 소규모학교에 사무직원이나 업무보조원을 배치하여 교사들의 사무경감을 배려해야 하며, 지도시간에 대한 적절한 보수를 받을 수 있도록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 3) 시설설비 방과후 교육활동 이용장소와 활용의 문제 및 시설확보 방안을 지역별로 조사해 본 결과 시지역은 저학년 교실이용, 읍·면지역은 유휴(특별)교실을 많이 이용하고 있으나 저학년 교실은 책상의 크기, 지도과목에 필요한 교재교구 등의 부적합과 담임교사들의 비협조로 문제가 많으므로 어학실과 컴퓨터실 등의 각종 특별실의 신축이 요구되며 현재로는 저학년 교실과 지도담당자 교실 및 지역사회 유관교실을 적절히 활용해야 한다. 4) 대상자 방과후 교육활동을 시작하는 학년과 대상자 선발방법 및 대상자 유인책에 대한 현황과 교사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지역별로 비교해본 결과 시지역에서는 1학년, 읍·면지역에서는 3학년부터 시작하는 학교가 많았으나 현재의 여건으로는 3학년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따라서 시지역의 대규모학교 에서는 학부모의 요구에 따라 저학년이 오전 수업 후 계속해서 방과후 교육활동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읍·면지역의 소규모학교에서는 시설과 다른 여건이 구비되는데로 점차 저학년으로 확대해야 한다. 대상자 선발방법은 지원하는 순서에 따라 선발하고 있어 별 무리가 없으나 방과후 교육활동의 효과를 생각하여 선발 프로그램을 만들어 선발해야하며, 읍·면지역의 소규모학교에선는 지원하는 학생수가 적어 운영에 애로가 많으므로 재능아 발굴대회, 교내 작품 전시회, 홍보자료배부, 학부모 교육 등 대상자 모집을 위한 적극적인 유인책이 요구된다. 5) 시간운영 방과후 교육활동의 주당 실시회수와 실시시간을 지역별로 비교한 결과 주당 실시회수는 시지역보다 읍·면지역에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지역과 읍·면지역 모두 주당 3회실시가 적당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시간운영에 대한 일선 교사들의 의견은 초등학교는 중등학교보다 1인당 수업시수도 많은 편인데 방과후 교육활동의 실시로 교사들의 수업시수만 늘린 경우가 되어 정규교육과정 운영의 소홀을 초래할 수 있으며 지금가지의 상설특활과 중복하여 교육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학부모들은 저학년들이 오전수업을 마친 후 3-4시까지 기다리지 않고 오후 시간을 계속 운영하여 시간운영의 다양화로 여러과목에 참여할 수 있기룰 희망하고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교사들에게도 중등학교 보충수업이나 대학의 경우와 같이 기본 수업시수를 정하여 수업시간 초과수당 지급이 요구된다. 실시시간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여러가지 여건 관계상 1시간 정도를 주장하고 있으며 실제로는 읍·면지역 소규모학교의 경우 상설특활운영으로 대체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계속성이 없고 일시적인 집중적 지도에 거쳐 학교에서의 방과후 교육이 외부 학원에서의 지도보다 흥미를 잃고 있는 경우가 많아 참여율이 낮으므로 지도방법에 힘써야 한다. 6) 재정관리 방과후 교육활동을 담당하고 교사에 대한 강사료 문제와 학부모가 내는 수강료 및 수강료의 회계관리에 대한 현황과 의견을 지역별로 조사해 본 결과 현재 근무시간내에 실시하는 방과후 교육활동 지도에 대한 강사료는 동요직원간의 형평상 문제 때문에 강사료를 받지 못하고 있어 형식적인 운영이 되고 있으므로 학부모들은 어떤 방법으로든지 지도에 대한 수당지불을 요구하고 있다. 교사들은 학교 당국에 대한 배려 요구사항으로는 수당지불을 우선으로 지적하고 있으며, 금액은 외부강사보다 조금 적게 요구하는 경향이 었고, 강사료 충당방법은 시지역에서는 학생수강료, 읍·면지역에서는 교육청의 보조금을 우선으로 들고 있으므로 읍·면지역의 소규모학교일수록 희망학생 인원수가 적어 학부모의 부담이 외부학원보다 오히려 많게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강사료를 지불할 경우 전액 국가 보조금으로 충당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회계관리는 시지역과 읍·면지역 모두 교사들은 학부모 대표, 학부모들은 방과후 교육활동 사무담당교사가 맡아 주기를 희망하고 있어 사무직원이나 업무보조원 배치가 요구된다. 7) 전반적인 운영 방과후 교육활동의 지도방향, 일선교사들의 운영에 대한 찬반의견, 교육에의 도움 여부, 운영에의 애로점 등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의견을 조사하여 지역별로 비교한 결과 운영의 지도 방향은 시지역과 읍·면지역 모두 기능 위주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재능발견을 위한 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며 학부모들은 부진아 지도등의 교과학습 보충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들은 정규교과 학습지도의 보충교육에 전염하고 기능지도를 위한 방과후 교육활동은 외부강사를 채용하여 지도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일선 교사들은 지도시간의 부족으로 방과후 교육활동 운영 자체를 반대하는 교사가 45.0%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방과후 교육활동은 교사들의 의견을 무시한 실적 위주의 정책이며 자율이 아닌 강제적 운영으로 학교에선는 형식적 운영과 허위보고 등 교육의 본질을 파괴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읍·면지역이나 소규모학교에서는 교육청 단위나 어느 학교 주관의 통합운영이 필요하며 학교규모나 지역특성을 고려한 운영이 요구된다. 방과후 교육활동이 학교교육에의 도움사항을 보면 시지역 71.8%, 읍·면지역 67.1%가 재능발견과 소질계발을 들고 있다. 따라서 방과후 교육활동 시행의 첫째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과외비 감소에 대한 만족도는 도움사항이나 방과후 교육활동에 보내는 이유에서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 교육활동에 만족하지 못한 이유로는 일반학원보다 시설·자료의 부족은 물론 학생들의 수준차이와 교사들의 흥미있는 수업진행능력 부족 등을 들고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방과후 교육활동 운영의 충실을 위한 시설 설비의 확충과 교사들의 수업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뉴질랜드 교육제도의 현황과 개혁동향

        정종진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9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4 No.-

        미국과 일본을 비롯한 일부 외국의 교육에 대해서는 한국의 교육계에 비교적 많이 소개가 되었지만, 뉴질랜드 교육은 아직까지 매우 생소하게 남아있다. 그런 이유로 이 글에서는 필자가 최근 1년간 객원교수로 다녀 온 바가 있는 뉴질랜드의 교육제도에 초점을 맞추어 최근의 현황과 미래(21세기)를 위한 개혁 동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뉴질랜드의 교육제도는 6-2-5-3제의 단선형을 취하고 있고, 초등학교에서부터 고등학교까지 의무교육이며, 학교에서는 통합적이고 다양성과 융통성이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대학은 각기 나름대로의 특성을 갖고 있으며, 모든 학교와 대학은 정부로부터 재정지원을 받고 있다. 그리고 미래를 위한 뉴질랜드 교육의 비전은 장벽없는 교육제도, 즉 융통적이고, 유아기에 강한 기초를 두고, 이러한 기초가 의무 학교교육 기간을 통해 계속 견고히 되고, 모든 공부의 과정이 국가자격증명서와 연결이 되는 이음매없는 교육제도를 구축하기 위한 개혁을 단행하고 있다. 이러한 뉴질랜드의 교육제도의 실상과 통합 등과 같은 우리 한국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해답의 실마리를 풀어가는 데에 하나의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