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플라즈마 표지소자의 제작

        이상윤,라병욱,박동수,황인헌,이덕동,신영남,박성배,이동욱,박용석,박형근,손상호,권태근,채경락,정경득 慶北大學校 自然科學大學 1986 自然科學論文集 Vol.4 No.-

        An Ac-type Plasma Display Panel (PDP) operating with Ne-Ar(0.1%) Penning mixture gas is fabicated. The characterics of the panel with electrodes covered with thin and thick dielectric layers are studied. The brightness of the Neon-orange light emitted by the panel measured as function of applied voltage and frequency. As an application, a graphic display system equipped with PDP showing still and moving pictures is made.

      • 서울의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 발생빈도(1998)

        김재홍,김준호,반재용,이정우,황성주,정준규,정성태,강진문,조흔정,홍창의,정혜신,이한승,김이선,이봉길,이종호,선영우,한기덕,윤성필,이성훈,안종성,박석범,문승현,조항래,김형섭,류지호,황재영,박준홍,손상욱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2001 한양의대 학술지 Vol.21 No.1

        In recent years, gonorrhea has been pandemic and remains one of the most common STDs in the world,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For the detection of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regimen and assessing the prevalence of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PPNG), we have been trying to study the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Venereal Disease Clinic of Choong-Ku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since 1980 by menas of the chromogenic cephalosporin method. In 1998, 93 strians of N. ge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60(64.5%) were PPNG. The prevalence of PPNG in Seoul, which had been decreased to 39% in 1996 after a peak of 74.3% in 1993, is increased to 64.5% in 1998.

      • KCI등재후보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홍수지도 제작용 지형자료의 효과적인 구축방법 연구

        이근상,고덕구,김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2004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7 No.1

        한국수자원공사에서는 홍수지도 제작을 위한 정밀 지형자료 구축을 위해 LiDAR 측량을 실시하고 있으며, 향후 전국에 대한 홍수지도 제작시 막대한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홍수지도 제작이 꼭 필요한 지역을 선정하기 위한 사전모의용 자료구축을 위해 NGIS 수치지형도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각 축척별 수치지형도의 표고오차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형도의 DEM 오차를 평가하기 위해 LiDAR 측량을 수행하여 구축한 DEM과 비교하였다. 특히 수치지형도로부터 구축한 TIN으로부터 DEM을 생성하기 위해 수행하는 보간법의 종류에 따라 발생하는 오차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1,000 수치지형도가 1:5,000 수치지형도에 비해 오차가 작게 나타났으며, linear 보간을 수행한 DEM이 quintic 보간을 수행한 DEM에 비해 작은 오차특성을 보였다. 특히 도시지역의 경우 완만한 경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상도에 따른 DEM 오차의 변화는 매우 작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carried out LiDAR survey to construct detailed terrain data for flood mapping and it is expected that much money is required in flood mapping of all over the country.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use NIS digital map to construct preliminary modelling data for selection of flood mapping area. And the analysis of DEM error with respect to scale of digital map is necessary for the sake of applying digital map as the input data of flood mapping. We compared DEM from digital map with DEM from LiDAR survey. Especially we analyzed DEM error characteristics that is occurred with respect to the interpolation method that is used to construct DEM from TIN of digital map. As a result of analysis, digital map(1:1,000) showed smaller error than digital map(1:5,000) and DEM applying linear interpolation showed smaller error than DEM applying quintic interpolation. Especially, variation of DEM error by cell resolution was evaluated as very slight because urban district was composed of gentle slope.

      • 여러가지 形式의 格子桁橋에 對한 應力의 自動解析

        李淙錫,金聲得 울산대학교 1983 연구논문집 Vol.14 No.1

        本論文의 目的은 格子桁橋의 設計에 있어서 Computer에 의한 새로운 방법이 紹介에 있다. 즉 지금까지도 格子桁橋에 쓰여지고 있는 Leonhardt, Homberg 方法은 適用 節次가 꽤 複雜하고 力學的으로 嚴密한 解를 産出시킬 수 도 있었다. 本論文의 結果로서는 任意의 格子桁橋에 對한 간단한 入力資料만으로 最大 Moment, Shear, Torsion, Deflection이 일어나는 格點들을 찾고 또 그 最大 Moment, Shear, Torsion, Deflection에 對한 影響線을 出力시키도록 하였고 또 각 部材에 對한 部材端力과 各 格點의 Deflection에 對한 影響線을 出力시키게 만들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 new method of designing the grid girdered bridge using computer program. Leonhardt and Homberg's methods, which are presently used on designing of grid girdered bridge have various limitations in application. Futhermore these methods need complicated design procedures without giving exact solu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eliminates all these inconveniences and enables us to obtain the nodal points and influence line data of maximum moment, torsion and deflection only by preparing simple program input data for design of grid girdered bridge. The program also prints out the influence lines data for all member end forces and all nodal point deflections.

      • KCI등재

        통합교육의 실태와 통합학급 교사의 태도 : a Report Centering about the Busan Educational Board

        이순득,박재국,손상희 한국특수아동학회 200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3 No.-

        본 연구는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이루기 위해서는 통합학급에서 이루어지는 통합교육의 실태와 통합학급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가 중요하다는 것에 착안하여 부산광역시의 초중등학교에 근무하는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을 설문조사를 하였다. 검증된 연구들을 토대로 통합교육의 실태와 통합학급 교사의 태도를 측정하는 설문을 구성하여 배부한 결과 모두 278부가 회수되어 이 중 성실하게 응답한 250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부산 지역의 통합교육의 실태는 운영 체제 등의 물리적인 면에서는 통합교육의 형태를 갖추어가고 있지만 질적 향상을 위한 기능적, 사회적인 면에서의 노력은 부진하며,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이렇게 보면 부산 지역의 통합교육은 통합학급 교사에 크게 의존하고 있을 정도로 각종 지원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교사의 전문성마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바람직한 통합교육을 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통합학급 교사는 통합교육 전반에 대하여 초중등학교 교사 모두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또한 장애학생의 장애정도에 대해서는 경도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통합교육에 대하여는 중도장애학생의 경우보다 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몇몇 항목에서는 집단별로도 차이를 보며, 효과면에서는 초등학교 교사가, 노력면에서는 중학교 교사가 약간 높은 반응을 보인다. 셋째, 통합학급 교사의 태도는 현실적으로 통합교육 조건에 대하여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통합교과, 통합된 장애학생 수에 따라 약간의 반응을 보일 뿐 그 외 많은 조건들에 대해서는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이는 현실적으로 통합학급 교사들은 통합교육 자체에 대한 기대를 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렇게 보면 통합학급 교사가 통합교육에 대하여 그다지 긍정적이지 못한 이유는 교사 스스로가 자신감을 가지지 못한 탓도 있지만 그보다는 통합교육의 여건이 조성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통합교육의 여건 조성을 위한 지원이 전제된다면 통합학급 교사의 태도는 얼마든지 개설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not only the current situation of inclusion in the inclusive class but also the perceptions of the general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Busan. A questionaire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above-mentioned items. The subjects of the survey are 250 general teachers who work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Busan. The results of the questionaire are as follows: 1) it seems that inclusive classes of Busan take the form of inclusion in the operating system, and not in the functional and social systems. The same undesirable situations of inclusion appear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Busan. inclusion is mainly practised by the general teachers because people have no interest in providing it with various supports. 2) the perceptions of inclusion among general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hool are littl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middle school. This is far from many pre-studies. That is, general teachers' perceptions in the elementary school are more affirmative than those of general teachers' in the middle school. However, boarding speaking, general teachers take neutral attitudes toward it. It means that they don't know inclusion or they try to evade their responsibility for the retarded. 3) general teachers' perceptions of inclusion are concerned with an efforts for operating inclusion. General teachers' perceptions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y are affected by what kind of curriculum students take, but general teachers' perceptions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y are affected by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isability. In other words, general teachers' perceptions of inclusion are more affected by efforts for the operating inclusion(for example, curriculum and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isability) than by efforts for the functional and social inclusion.

      • 韓國産 夜行性 맵시벌科(벌目: 벌亞目)의 分類學的 硏究

        이종욱,정종철,김기범,김정한,배지득,남상호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2 自然科學 Vol.13 No.2

        영남대 생물학과에 소장되어 있는 표본과 2001년 4월~2002년 6월 사이에 채집한 표본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산 야행성 맵시벌의 분류학적 연구와 출현 현황 및 숙주 관계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류학적 연구 결과 Gauld(1970)가 영국산 야행성 맵시벌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기록한 Mesochorinae아과, Tryphonin-ae아과, Ctenoplematinae아과, Ophioninae아과의 4아과외에 Metopinae (Metopius속)를 추가하여 한국산 야행성 맵시벌류는 총 5아과 13속을 기록하였다. 또한 한국산 야행성 맵시벌의 출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야행성으로 잘 알려진 Mesochorinae아과의 Mesochorus속, Tryphoninae아과의 Netelia속과 Ophioninae아과가 전체 야행성 맵시벌 증 95%를 차지하였다. 속별 출현현황을 살펴보면 Netelia속이 393개체가 출현하여 가장 많은 수를 나타내었으며 Ophi-on속, Mesochorus속, Enicopilus속도 전체 출현 분류군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월별 현황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4월에서 11월 사이에 걸쳐 나타나는데, Op-hioninae아과는 5월과 7월에, Tryphoninae아과는 6월에 집중적인 출현 빈도를 보였다. 숙주의 분류군에 따른 야행성 맵시벌의 기생 양상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나비목을 대상 숙주로 하고 있으며 Mesochorinae아과와 Ctenopelmatinae아과는 벌목에도 많은 종이 기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Mesochorinae아과의 Cidaphus속은 위생 해충으로 분류되는 기생파리과(Tachinidae)에도 기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위생 해충을 구제할 수 있는 천적 분류군으로 연구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숙주의 식성에 따라 살펴보면 부식성의 먹이를 섭식하는 부식성(saprophagus) 숙주, 곤충의 유충을 섭식하는 식충성(entomophagus)인 숙주가 소수 출현하였고 기생생활(parasite)을 하는 숙주도 다수 출현하였으나 대부분의 야행성 맵시벌의 기생 대상 숙주는 주로 식물을 해하는 식식성 곤충(phytophagus)으로 나타났다. Nocturnal Ichneumonidae, which was called yellow-brown ichneumonoid, included several subfamilies adapted for nocturnal activity. Taxonomic study of nocturnal ichneumonoid has been investigated by Gauld(1975) but examination of Korean nocturnal ichneumonoid has not been provided until now. This present study: the taxonomic revision, Appearance state and Host-parasite relation analysis of nocturnal ichneumonoid, were examined using Korean peninsula specimens. As the result. approximately 13 genera referable to 5 subfamilies appeared regularly in light trap. Genus MetopiudSubfamily Illetopinae) were newly recorded in nocturnal ichneumonoid. Tryphoninae and Ophioninae, which were dominant in appearance taxa! occupied 96% of total numbers of individuals, and majority of them were taken from May to November. Nocturnal ichneumonoid are parasitoids of part of immature holometabolous insects(Coleoptera, Diptera, Hymenoptera, Lepidoptera). Lepidoptera is the most common hosts of nocturnal group except Mesochorinae and Ctenopelmatine. In large number of Mesochorinae are koinobiont hyperparasitoids of ectoparasitic or endoparasitic BraconiddHymenoptera), and, less frequently, of Tachinidae(Diptera1. Also, Ctenopelmatinae are koinobiont endoparasitoids of Symphyta and, rarely, Lepidoptera. Majority of nocturnal ichneumonoid hosts are phytophagous, feeding plant taxa, and many host of Mesochorinae taxa are parastoids, and a few host are saprophagus or entomophagus.

      • KCI등재후보

        항공레이저측량 자료를 이용한 시가지 건축밀도 평가에 관한 연구

        이근상,고덕구,조기성 한국지리정보학회 200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6 No.3

        본 연구에서는 최근 도시계획, 수자원 및 방재 분야에서 높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중인 항공레이저측량기법을 활용하여 시가지의 건축밀도를 평가하였다. 먼저, 레이저스캐너인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로 취득한 표고자료로부터 DEM(digital elevation model)과 DSM(digital surface model)을 구축하였으며, 건물의 높이를 계산하기 위해 DEM에는 ZONALMEAN 필터, DSM에는 ZONALMAJORITY 필터를 적용하였다. 필터링 과정으로부터 계산한 층수와 현지조사의 층수를 비교한 결과 표준오차 ±0.199층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건물 연면적 레이어와 구획레이어를 중첩하여 통계분석함으로서 도시 구획별 용적률을 제시할 수 있었다. 항공레이저측량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용적률과 현지조사로부터 계산한 용적률의 비교 결과, 용적률의 표준오차를 ±2.68%로 확보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항공레이저측량 자료는 향후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하는 의사결정자에게 매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architectural density of urban district using airborne laser scanning(ALS) that is a method used in urban planning, water resources and disaster prevention with high interest recently. First, digital elevation model(DEM) and digital surface model(DSM) was constructed from Light detection and ranging(LiDAR). For getting the height of building, ZONALMEAN filter was used in DEM and ZONALMAJORITY filter was used in DSM. This study compared the floor from filtering with the floor from survey and got standard error, which is ±0.199 floor. Also, through the overlay and statistical analysis of total-area layer and zone layer, we could present floor area ratio by zone.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floor area ratio between airborne laser scanning data and survey data, the standard error of flor area ratio shows ±2.68%. Therefore, we expect that airborne laser scanning data can be a very efficient source to decision makers who set up landuse plan in near future.

      • 악성흑색종과 양성멜라닌세포성모반에서 bcl-2 단백발현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이성열,이종석,김현조,정현,조현듯,김의한 순천향의학연구소 2001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7 No.2

        Background: The bcl-2 protein, contrast to p53, has been shown to be suppress the apoptosis, and overexpression of the bcl-2 protein has been reported in several malignant tumors. Although how the bcl-2 protein takes part in tumorigenesis has not been proved, the bcl-2 positive tumors appeared to have good prognosis in some malignant tumors. The expression pattern of the bcl-2 in melanocytic nevi and malignant melanoma have not been well known. The authors analyzed immunohistochemically expression of the bcl-2 protein to investigate the role of the bcl-2 protein in developing malignant melanoma. Method: 10 malignant melanoma and 10 benign melanocytic nevi were immunostained with anti-bcl-2 monoclonal antibody. Results: In malignant melanoma, 1 case was 2+ positive, 9 cases were 3+ positive. In benign melanocytic nevi, 2 cases were 2+ positive, 8 cases were 3+ positive. Conclusion: Bcl-2 protein is expressed by benign melanocytic nevi and malignant melanoma. There is no difference of bcl-2 protein expression in melanocytic nevi and malignant melanoma.

      • 韓國産藥用動物考

        李德象 慶熙大學校 1958 論文集 Vol.1 No.-

        韓國産動物로서 身體의 一部 或을 全體를 藥으로 쓰는 것을 추려보면 대강 六門 十七綱四○目 一七七種(亞種包含)에 達한다. 이것은 主로 文獻에서 뽑은 것이오, 이밖에 民間藥으로 使用하는 것이 많이 있을 것이다.

      • 위선암에서 Metallothionein과 p53의 표출

        이상희,김의한,오미혜,조현득,양승하 순천향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3

        Gastric adenocarcinoma is the most common malignate tumor in Korea. Many oncogenes have been found in malignant tumor cells. Among these oncogenes, MT has high affinity for metals such as copper and zinc, The fuction of MT is metabolism and detoxification of copper and zinc, The 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 of MT and prognosis of patients in various cancers are reported but is controversial. p53 is a regulator of cellular proliferation, and the over expression of p53 relates to malignant transformation and prognosis.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MT and p53 according to histopathologic fearure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se antigens and prognosis in gastric adenocarcinoma, we have performed immune staining, using mouse anti-MT and mouse anti-p5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xpression rates of MT and p53 in gastric adenocacinoma were 67.6% and 56.3%, respectively. 2) MT in gastric adenocarcinoma showed statisfically significant higher expression rate under 59 years than above 60 years(P=0.043). p53 showed higher expression rates under 59 yerars,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P-0.078). 3) MT showed statisfically significant higher positive rates in cases showing invasion within the gastiric wall than cases showing invasion surrounding tissue(P=0.051),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rogression, differentiation, lymph node metastasis or not. 4) p53 showed especially higher expression rates in advanced carcinoma than in early carcinoma(P=0.065),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ifferentiation, invasing depth, lymph metastasis or not. 5) Gastric adenocarcinomas expressing MT(+) p53(-) are early carcinoma 14 cases(73.7%), advanced carcinoma 5cases(26.3%). There is statisf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carcinomas showing MT(+) p53(+), MT(-) p53(-), MT(-) p53(+)(P=0.003). According to differrentiation, progression, lymph node metastasis or no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6) Correlation between MT and p53 in gastric adenocarcinoma were not seen. Above result indicated that MT in gastric adenocarcinoma may be related to progression of cancer. Also significant defference in early carcinoma showing MT(+) p53(-) may be indicates relation to progn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