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구신실 ( Sin Sil Gu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경향과 교사의 변인별 인식, 교과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및 지원요구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효율적인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 지도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특수학교 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필요도와 적용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해 특수교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에 비해 적용하고 있는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의 차이를 교사 변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소속학교 주 장애에 따라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교사의 필요도와 적용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특수교사가 시각장애 특수학교의 특수교사보다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해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과교육에 대한 적용도는 특수교사의 소속학교 주 장애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담당학교 급과 특수교육 경력에 따른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필요도와 적용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의 문제점은 개별지도실시, 기본교육과정 적용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가장 많이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개선안이나 지원요구는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교재·교구, 보조기구 개발 및 지원, 정책적 지원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nd to recognize the by variables, curriculum issues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and support needs by examining the recognition of a special education teacher.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uggesting effective instruction strategies on subject education of student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and educational foundation for the map data is presented and implic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was investigated 101 teachers working at the special education schools in Busan City.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comes to significant differences teachers` perception on subject education of student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ed to learn to recognize the tendency to help awareness of the difference between apply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showed, compared to wha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effect was lower degree. Second, it comes to significant differences teachers` perception in each teacher variables(perception in each kind of disabilities in the teachers` school and subject education)on subject education of student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teachers` perception in others teacher variables on subject education of student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Third, to implement the subject education for student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it is suggested as follows; organizing the practical curriculum considered their characteristics, minimizing the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And there are curriculum education conducted tutoring, basic training in the application and the difficulty of the most recognized, and to address these challenges and support requirement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for severely handicapped children and redundancy curriculum development, textbook parish, aids the development and support, political support, and has provided feedback on.

      • KCI등재

        초등 특수학교 장애아동 학부모의 특수교육 만족도와 그의 관련 변인 탐색

        권주석 ( Ju Seak Kwo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초등 특수학교 장애아동 학부모가 지각한 특수교육 만족도와 그의 관련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것은 학부모와 장애아동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변인을 밝힘으로써 장애아동의 교육권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하여 특수학교 장애아동 학부모 29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특수학교 학부모의 특수교육 만족도는 지적장애와 시각장애 아동의 학부모가 높았으며, 국립 특수학교 학부모의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초등 특수학교 학부모의 특수교육 만족도는 교육활동과 관련 서비스 영역과 관련되며, 교육활동은 개별화 교육, 개인생활 기능 그리고 교과활동 순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관련 서비스는 서비스의 개방성, 유연성, 적절성의 차원 순으로 관련됨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특수학교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재구조화되어야 하는 지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satisfaction level of parents for special education of their children and the factors related with their satisfaction level. This study would clarify the factors which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s perceived as their children``s educational needs, which will be fundamental to find a way to secure the right of education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were 294 parents of children of disabilities, and th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these parents. The data were analysed by one way ANOVA, t-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follow. First, in elementary schools, the satisfaction level of parents with visually handicapped children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high, and they showed high level of satisfaction on schooling at national special schools. Second, the satisfaction level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ents were closely related to their children``s schooling and related services for special education, and they showed high relevance to the satisfaction level of schooling activities in order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ersonal activity function and curriculum activity. Also, in terms of related services, they showed high relevance in order of openness, flexibility, and appropriation of the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irection special school education should be reconstructed.

      • KCI등재

        북한 장애아동 교육에 관한 북한이탈주민과 전문가의 경험과 인식

        안상권,홍정숙 한국특수아동학회 202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5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북한에서의 장애아동 교육에 관한 북한이탈주민과 전문가들의 경험과 인식 내용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북한 사회 장애아동 교육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북한에서 교사, 학생, 장애인 당사자 등의 삶을 살아온 북한이탈주민 10명과 북한에서 장애아동을 지원하는 해외활동가, 연구가, 정치인 등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연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면담 분석 결과, 2개의 주제(장애아동 교육의 현실, 북한 장애아동 교육 발전을 위한 과제)와, 4개의 하위 주제(특수학교에서의 장애아동 교육, 일반학교에서의 장애아동 교육, 제도적 개선 방안, 장애인식 개선 방안)가 도출되었다. 북한의 장애아동 교육은 시각장애, 청각장애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반학교에서의 장애아동 교육은 실제 그 운영이 매우 미비한 실정이었다. 그럼에도 일반학교에 다니는 지체장애, 지적장애(다운증후군 포함) 아동에 관한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 장애아동 교육 발전을 위한 과제는 ‘특수교육 기관 확대 및 특수교사 양성 체제 구축, 장애아동 교육권의 토대로 재활, 복지 지원 확대, 국가수준 특수교육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과 함께 장애인식 개선의 구체적인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북한 장애아동 교육 관련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experts regarding the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North Korea. Based on this, the study seek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North Korean society. Metho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ve experienced life as teachers, students, 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North Korea, as well as 6 experts including overseas activists, researchers, and politicians involved in suppor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North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The analysis of interviews resulted in two main themes (Reality of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Challenge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North Korea) and four sub-themes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regular schools, Institutional improvement strategies, Strategies for improving awareness about disabilities).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North Korea is primarily limited to special schools for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s, and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regular schools is inadequate. However, cases of children with physical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cluding Down syndrome) attending regular schools were identified. Challenge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North Korea include the expansion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for trai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Additionally, suggestions were made for improving awareness about disabilities and enhancing rehabilitation and welfare support, as well as developing national-level special education curricula and materials. Conclusion: The study concludes with implications for policy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related to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North Korea.

      • KCI등재

        조작활동과 수학동화를 활용한 뇌 기반 도형학습 프로그램이 경계선 지능아동, 학습장애 아동의 뇌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

        하정숙,김자경 한국특수아동학회 202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4 No.3

        Purpo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brain-based shape learning program that utilizes manipulative activities and mathematical assimilation on the shape performance, perceptual reasoning ability, and brain function index of borderline-intelligent children and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Method: For this purpose, eight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and five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were selected from the 2nd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 city and S county. We applied a pre-post design and verified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Results: First, the brain-based shape learning program that utilizes manipulative activities and mathematical assimil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ape achievement i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but not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Second, the brain-based shape learning program that utilizes manipulative activities and mathematical assimil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ual reasoning indicators of the perceptual reasoning ability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in weaving dirt curtains, and in finding common pictures. It was not significant for matrix reasoning. We found that the perceptual reasoning ability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brain-based shape learning program that utilizes manipulative activities and mathematical assimil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tivity index and brain function index i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were significant on the activity index but not on the Blaine index.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found that the brain-based shape learning program that utilizes manipulative activities and mathematical assimilation was more effective for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than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조작활동과 수학동화를 활용한 뇌 기반 도형학습 프로그램이 경계선 지능아동과 학습장애 아동의 도형학업성취도, 지각추론능력, 뇌 기능 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J시와 S군에 있는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경계선 지능아동 8명, 학습장애 아동 5명을 선별하였다. 그들에게 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하였고, 사전과 사후에 수집된 자료들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작활동과 수학동화를 활용한 뇌 기반 도형학습 프로그램이 경계선 지능아동의 도형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학습장애 아동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조작활동과 수학동화를 활용한 뇌 기반 도형학습 프로그램이 경계선 지능아동의 지각추론능력의 지각추론지표, 토막 짜기, 공통그림 찾기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행렬추리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학습장애 아동의 지각추론 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작활동과 수학동화를 활용한 뇌 기반 도형학습 프로그램이 경계선 지능아동의 뇌 기능 지수 중 활성지수와 브레인 지수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학습장애 아동은 활성지수에는 유의했지만 브레인 지수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작활동과 수학동화를 활용한 뇌 기반 도형 학습 프로그램이 학습장애 아동보다 경계선 지능 아동에게 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교직헌신도의 관계

        구신실 ( Sin Sil Gu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교직헌신도의 관계를 조사하여, 향후 특수교사의전문성 확보와 질적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에 실천적 지식과 심리적 역량 강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시내 8개의 공·사립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중인 특수교사 178명을 대상으로 연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의 성별에 따른 교직선택 동기와 교직헌신도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직무헌신도와 학생헌신도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특수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교직헌신도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동적 선택 동기는 교직헌신도에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의 능동적 교직선택 동기는 교직헌신도와 하위변인인 학생헌신도, 수업헌신도, 직무헌신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수교사의 교직헌신도를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교직선택 동기 중 능동적 선택 동기 요인에 따라 교직헌신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수준의 차이가 나타났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할 것이며, 특수교육과 관련된 많은 정책과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주체인 특수교사의 심리적 특성인 교직 선택 동기가 교직헌신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변인임을 감안하여, 특수교사의 직전 교사교육과 현직 교사교육에 지원하고 반영해야 할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to arrange practical knowledge and psychological strengthening plan for special school teacher`s training regarding certain professionalism and qualitative improvement with a research of a relation between special school teachers` motivation for selecting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eachers` commitment. First, in a part of the special school teachers` motivation for teaching by gender, the passive motivation and economic motivation were higher for men than for women, and the active motivation was higher for women than for men. In a part of the commitment to teaching by gender, it was generally higher for women than for men. In a part of the special school teachers` motivation for selecting the teaching profession by ag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s well, in the occupational commitment and commitment for students, it appears that 20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30s and 40s. Moreover, in a part of the special school teachers` motivation for selecting the teaching profession by careers, the special teachers experienced within 5 years have ranked highest on active motivation, economic motivation, and whole motivations for selecting the teaching profession, but other special teachers experienced over 16 years have ranked highest on passive motivation. Furthermore, special teachers experienced within 6 to 10 have shown highest on the commitment for the students, and other special teachers experienced within 5 years have shown highest on the occupational commitment and whole commitment to teaching. However commitment for classes didn`t have meaningful differences by careers. Second, it appeared that the special teachers` motivation for teaching and their commitment to teaching had a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although the active motivation and commitment to teaching had a negative correlation. Finally, the special teachers` active motivation for teaching have influenced commitment to teaching with commitment for students and classes, and occup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the active motiva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for expecting the special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 KCI등재

        시각장애아동과 정안아동의 리듬 수행력과 작업 기억력에 대한 비교

        박혜영 ( Park Hye-you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9 No.3

        연구목적: 시각장애아동과 정안아동의 리듬 수행력과 작업 기억을 비교하고, 리듬 수행력과 작업기억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초등학교 4-6학년 총 68명(시각장애아동 31명, 정안아동 3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가탭핑검사를 통해 두 집단의 리듬 동조화 능력에 차이가 없음을 확인 한 후, 리듬 수행 과제와 작업 기억 과제를 시행하였다. 리듬 수행 과제는 총 20문항으로 1단계(10문항)에서는 리듬 산출의 정확도(accuracy)를 측정하고, 2단계(10문항)에서는 그룹핑(grouping) 능력을 확인하였다. 작업 기억 과제는 숫자폭 검사(DST)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숫자바로따라말하기(DSF)와 숫자거꾸로따라말하기(DSB)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리듬 수행 과제 총점은 시각장애아동이 유의하게 높았다. 정확도는 정안아동이 다소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그룹핑은 시각장애아동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작업 기억 과제인 DST에서는 DSF와 DSB 모두 시각장애아동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두 집단 모두 리듬수행력과 작업 기억 간의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특히 리듬 산출의 그룹핑과 DSB 항목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시각장애아동의 리듬 수행력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리듬 수행력과 작업 기억 간의 관련성을 면밀히 분석하였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Purpose: To compare rhythmic performances and working memor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two measurements of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VI) and those with normal vision (NV). Method: 68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tween the 4th and 6th grades (31 VI and 37 NV) participated in the study. After verifying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hythmic synchronization abilities between the two groups through a self-paced tapping evaluation, they were given assignments to measure their rhythmic performances and working memory of their tasks. The rhythmic performance task comprised of 20 questions, with the first 10 questions gauging the accuracy of rhythm reproduction, while the latter 10 questions measured their grouping ability. A digit span test was used to evaluate working memory, including DSF and DSB. Results: First, VI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hythm performance and grouping tests. NV were better in accuracy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VI also performed better in working memory, from the results of the digit span test in both DSF and DSB. Finally, both groups demonstr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rhythm performance and working memory. Conclusion: The study is meaningful in deeply understanding the rhythm performance capability of VI as well as in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hythm performance capabilities and the working memory of both groups.

      • KCI등재

        한․일 다문화 가정 장애자녀의 양육 및 교육에 대한 일본인 어머니들의 인식 및 지원요구

        김기흥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3

        The research investigated the mothers’ perception and support needs regarding the raising and education of multicultural Korean/Japanese children, including basic information and materials for multicultural family education policies. In order to research face to face interviews with 10 mothers of multicultural Korean/Japanese handicapped children were performed. The difficulties with the research were finding out what the mothers perceptions were in general subjects regarding the care and education of handicapped children and finding what difficult problems or support needs there were regarding the care and education of the handicapped children. The following are various research results deduct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mothers’ perception and support needs regarding care and education of multicultural Korean/Japanese children:Firstly, in the cases of severely disabled children the trust of the professionalism of the special schools was the main reason they were chosen. General schools were chosen mainly because of the cultivation of the child socially or in cases of slightly disabled children, they had no special school in the vicinity. Secondly, the counseling partners during the children care and education curriculums took many forms, mainly consisted of married teachers, therapists, etc. Thirdly, the wife of the married couples generally took a very enthusiastic and leading attitude while the husband seemed passive and dependent stance regarding education. Fourthly, regarding the strong and weak points of special and general schools from the perspective of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children, first off, special schools lowering the feeling of social isolation was pointed out as a strong point, but the role models and social categorization were seen as negative points. On the other hand, handicapped children in general schools developed socially and provided learning through repetition. Also, non-handicapped children could learn and gain awareness about handicapped children. Fifthly, the Japanese mothers of multicultural Korean/Japanese handicapped children were confident of their children as Koreans and appeared to be very passive about the education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for various reasons. Sixthly, the parent-in-laws had very conflicting emotions about their grand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also were very rejectful and had negative perceptions about them. Additionally, mothers of Japanese handicapped children commented on difficulties at the time of care and education of their children, the loneliness regarding their support needs, negative attitudes, rural area education, the therapeutically weak environment, and the difficulties with the mothers’ jobs regarding childcare, and the strengthening of workplace education and problems with their non-handicapped siblings. 본 연구는 한․일 다문화 가정 장애아동의 양육과 교육에 있어서 일본인 어머니들의 인식 및 지원요구를 조사하여 다문화가정 교육정책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장애아동을 가진 한․일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 10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몇 가지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혹은 일반학교를 선택한 주요 이유로는 장애의 정도, 전문성 혹은 사회성이 주요 결정 요인이었으며, 둘째, 자녀의 양육 및 교육에서 기본적으로 부부간에 의논을 하지만 주로 교사, 치료사 등 외부의 조언에 의존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자녀의 양육이나 교육에서 아내는 매우 적극적이고 주도적이며, 남편은 소극적이고 의존적인 모습을 보였는데, 그것은 남편의 특수교육에 대한 무관심이나 무지가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아와 비장애아의 입장에서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의 장단점으로 우선 특수학교는 전문성과 소외감 감소 등이 장점으로, 역할모델이나 사회적 분리는 단점으로 지적되었다. 반면에 일반 학교는 장애아동의 입장에서는 모방 학습과 사회성 함양은 장점으로, 차별대우나 비전문성 등은 단점으로 인식하였다. 비장애아동의 입장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정보습득이나 인식개선 및 인성교육을 장점으로 보았다. 다섯째, 일본 장애아동 어머니는 자신의 자녀를 한국인으로 보며, 자녀들에 대한 일본어 교육(이중언어교육)은 여러 가지 이유로 매우 소극적이었다. 그리고 시어머니들은 장애 손자·녀에 대해서 대부분 부정적이고 거부적인 자세를 가진 것으로 알고 있었다. 아울러 일본의 장애아동 어머니들은 자녀의 양육이나 교육 시 지원 요구와 관련하여 고독함이나 사회적인 부정적 태도, 다문화 가정 장애아동을 위한 교육적 프로그램의 확대, 농촌 지역의 열악성, 어머니의 직업 활동과 자녀 양육의 병행에 어려움 등을 지적하며 개선과 지원을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사범계 대학생의 이미지 비교 연구

        박재국,안성우,손상희 한국특수아동학회 200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특수교육과가 설치된 부산, 경남지역의 2개 대학에서 지체부자유아 교육 개론을 수강한 특수교육 전공 사범계 대학생 64명과 특수교육과가 설치되지 않고 특수교육 개론을 수강한 다른 2개 대학교의 비전공 사범계 대학생 86명을 대상으로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이미지 척도(SDTP)를 통해 전공유무에 따른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대학생들에게는 16주간의 강의가 있었으며, 실습은 포함되지 않았다. 또한 강의 내용의 중복을 최대한 배제하였으며, 모든 강의가 끝난 다음 동일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척도는 손상희, 박재국(2000)의 연구를 통해 개발된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일반아동의 이미지 척도(SDTP; Scale of Semantic Differential Toward the Physical handicapped for Children)를 사용하였으며, 이 척도는 문화적인 차이는 없으며, 연령에 대한 유의차가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척도화하였지만 대학생에게 적용하여도 무방하며, 양극적인 형용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사 대상자들의 지식이나 이해 수준과 무관하다고 판단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교육을 전공하는 사범계 대학생과 전공하지 않는 사범계 대학생의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이미지의 형성요인, 구조, 수준 차이 및 영향요인을 검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이미지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SDTP 척도는 연령이나 문화적인 배경과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척도이다. SDTP는 SD척도로서, 여러 쌍의 형용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령이나 문화적인 배경과는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하였다. 둘째, 사범계 대학생의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이미지는 대체로 중립적인 수준이며, 특수교육 전공 사범계 대학생은 비전공 사범계 대학생에 비해 보다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이는 전공 사범계 대학생이 비전공 사범계 대학생에 비해 자원봉사의 경험이 많고, 효과적인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지식 습득의 기회가 많기 때문이라는 할 수 있다. 셋째, 사범계 대학생의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접촉방법이며, 특수교육 전공 사범계 대학생에게는 이와 동시에 지식습득 방법에도 영향을 받는다. 즉, 수동적인 접촉방법을 택하는 것보다 능동적으로 지체부자유아를 만나는 경험을 많이 할수록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질 수 있다고 결론 지었으며, 연구 결론에 덧붙여 몇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사범계 대학에서는 특수교육과를 증설하거나 특수교육 및 장애아 이해를 위한 강좌를 필수 전공과목으로 개설 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과정 내에는 자원봉사의 경험을 제공하거나 질높은 지식 습득의 방법을 제공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SDTP 척도를 적용하여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이미지를 변화시키는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추수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SD(semantic differential)법으로 만들어진 이 척도는 적용에 대한 제한점이 거의 없으며, 문화적으로든 연령으로든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는 효과적인 척도임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셋째, 접촉방법, 접촉량, 지식 습득 방법에 대한 보다 세분화된 독립변인을 적용한 척도의 유용성과 이미지 변화요인을 밝히는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사회 심리학적인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여러 가지 독립변인에 대한 검증이 반드시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the measuring scales of university student's image toward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and to compare students' image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with images of students whose major is general education, to review influencing factors and to provide with a method to modify their images toward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4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and 86 students majoring in general education at university. In order to examine students' images toward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were used Son & Park(2000)'s Scale for Semantic Differential Toward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SDTP).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1. SDTP was the usefulscale to test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nd university students' image toward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2. It was found that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at university have more positive images toward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than students majoring in general education. 3. The university students' images toward physically handicapped children could be changed through the way of contact to handicapped children.

      • KCI등재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 대한 특수교사의 관심도 및 실행수준 분석: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송은숙,최진혁 한국특수아동학회 2019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1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ecial school teachers’ stages of concern(SoC) and level of use(LoU) on the 2015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nd how those SoC & LoU differ by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Method: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41 special teachers from 9 special schools that were implementing the 2015 Basic Curriculum using CBAM's SoC questionnaire and LoU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ercentile(%lie) scores, SoC profil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Results: First, the special school teachers’ SoC profile in the 2015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was similar to the nonuser profile. As well,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al school teachers’ concerns according to the level of school, training experiences, operational experiences, teaching career etc. Second, most of special school teachers’ LoU for 2015 Basic Curriculum showed three levels of mechanical us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al school teachers’ LoU in the 2015 Basic Curriculum according to the level of school, age and level of education. Thir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level of use according to the concern of special school teachers, the LoU of teachers in the stages of concern were higher than the teachers in the stage of unconcerned.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way to enhance the teachers’ SoC and LoU in the 2015 Basic Curriculum in special schools.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관심도와 실행수준, 관심도에 따른 실행수준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기본 교육과정의 창의적인 실행을 위한 현장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현재 2015 기본 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는 9개 특수학교 141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CBAM의 관심도(SoC)와 실행수준(LoU) 질문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백분위점수(%lie), 최고점 분석, 관심도 프로파일, 기술통계(M, SD), t-test, one-way ANOVA, Scheffé 사후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관심도는 비실행자 유형과 유사하게 나타났고, 학교급,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연수경험, 교육과정 업무경험, 교육경력, 연령에 따라 관심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실행수준은 3단계인 기계적 실행수준으로 나타났고 교육내용 영역을 우선적으로 실행하고 있는 반면, 교육평가 영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실행수준을 보여주었다. 특수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실행수준을 살펴본 결과, 학교급, 연령, 최종학력에 따라 기본 교육과정의 실행수준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특수교사의 관심도에 따른 실행수준은 무관심 단계의 특수교사들보다 관심 단계의 특수교사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와 실행수준을 분석한 선행연구와 비교․분석하고 특수학교 차원에서 2015 기본 교육과정에 대한 특수교사의 관심도와 실행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학급 일반교사의장애아동 부모참여에 대한 인식

        이미숙 ( Mi Suk Lee ),양소현 ( So Hyun Ya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1

        초등학교에서의 부모참여는 다른 학교급에서의 부모참여 보다도 훨씬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특히 통합학급에서 장애아동의 부모참여는 장애아동의 교육과 발달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학급 일반교사의 장애아동 부모참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12개 초등학교의 통합학급 교사 113명을 대상으로 장애아동 부모참여에 대한 전반적 인식, 필요·효과성에 대한 인식, 운영실제에 대한 인식, 지원요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들은 장애아동 부모의 참여에 대한 필요 및 효과성에 대해서는 강한 인식 수준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장애아동 부모의 참여를 위한 지원요구도 높게 나타났으나, 이러한 결과에 비해 실제 장애아동의 부모참여를 운영하는데 있어서는 낮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통합학급 교사들은 장애아동의 부모참여가 개선되기 위해서는 부모참여에 대한 연수가 제공되어야 하며, 장애아동 부모 스스로도 참여를 위한 의지가 향상되어야 하고, 통합학급·특수교사·학교 관리자와의 협력을 통해 부모참여가 향상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regarding parent involve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tudy included 113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from 12 elementary schools, and they study looked over perception regarding general perceptions, effectiveness, practice, and supports of parent involvement. In results of the study, th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showed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about effectiveness and supports of parent involvement, but the level of practice of parent involvement was low. As well, th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requested to provide teachers training about parent involvement, to enhance willpower of the parents about parent involvement, and to improve the cooperation among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