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國內 中小企業의 環境經營시스템 構築에 관한 硏究

        이근상,李根祥 한국자원공학회 2004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1 No.2

        In recent years, environmental issues have been become critical concerns of business even to the small and medium firms. Many domestic companies are rapidly accepting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EMS) that confirm ISO 14001 guidelines in order to remain competitive in the global market place. This paper aims to review and analyze major procedures during the pursuit and implementation of ISO 14001 in the small and medium firms. Upon resulting on questionaries surveyed 74 domestic small and medium companies already certified, this study identified and ranked key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companies, motivational factors corresponding to ISO 14000 certification, detailed decision factors during major steps of the certification process, and problems and hindrance factors in adopting ISO 14001 standards.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to other small and medium firms that are in the process of adopting the standard where they do not have clear pictures of critical factor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최근 환경 문제가 중소기업에게도 중요한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ISO 14001 인증을 통한 환경경영시스템의 보급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소기업들의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 추진 및 인증단계에서의 주요 과정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증을 취득한 74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대상 기업의 주요 현황, ISO 14001 인증의 동기 및 목적, 인증 과정 중의 주요 단계별 결정 요인들, 인증 과정에서 직면한 주요 문제들을 파악하고 순위를 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경영시스템의 도입을 원하는 여타 중소기업들이 ISO 14001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는데 필요한 핵심요인들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토지피복도 자료원에 따른 대청댐유역 수질특성 비교

        이근상,박진혁,최연웅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0 No.5

        This study compared the influence of water quality according to the data sources of spatial information. Firstly, land cover map was constructed through image classification of Daecheong-dam basin and the accuracy of image classification from satellite image showed high as 88.76% in comparison with the large-scaled land cover map in Ministry of Environment, to calculate Event Mean Concentration (EMC) by land cover that impact on the evalua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Also curve number and direct runoff were calculated by spatial overlay with soil map and land cover map from image classification. And Seokcheon and Daecheong- Dam basin showed high in the analysis of curve number and direct runoff. Samgacheon-Joint and Sokcheon-Downstream basin showed high in the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of BOD from direct runoff and EMC. And Samgacheon-Joint and Bonghwangcheon- Downstream basin showed high in the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of TN and TP.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from image classification were compared with those by the land cover map from Ministry of Environment to present the effectivity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from satellite image. And Daecheong-Dam Upstream basin showed high as 10.64%, 11.70% and 20.00% respectively in the error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of BOD, TN, and TP.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spatial information including with paddy and dry field is applied to the evalua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in order to simulate water quality of basin effectively.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 자료원에 따른 수질특성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먼저, 비점오염부하량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토지피복별 기대평균농도(EMC)를 효과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영상분류를 통해 대청댐유역의 토지피복도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환경부 대분류 자료와 비교한 결과 88.76%의 높은 정확도를 확보하였다. 또한 토양도와 영상분류에 의한 토지피복도를 공간 중첩하여 유출곡선지수와 직접유출을 계산하였으며, 분석 결과 석천과 대청댐 유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직접유출과 기대평균농도를 조합하여 계산한 BOD에 대한 비점오염부하량은 삼가천합류점과 소옥천하류 유역이 높게 나타났으며, TN과 TP에 대한 비점오염부하량에서는 삼가천합류점과 봉황천하류 유역이 높게 나타났다. 영상분류에 의한 비점오염부하량의 효용성 평가를 위해 환경부 토지피복도에 의한 비점오염부하량과 상호 비교한 결과, 대청댐상류 유역에서 BOD, TN, TP에 대한 오염부하량의 오차가 각각 10.64%, 11.70%, 20.00%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역내 수질특성을 효과적으로 모의하기 위해서는 논과 밭이 포함된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비점오염부하량 평가에 바람직하다고 본다.

      • KCI등재후보

        능동 소음 제어를 위한 적응 알고리즘들 비교

        이근상,박영철,Lee, Keun-Sang,Park, Young-Cheol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15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8 No.1

        본 논문은 능동 소음 제어를 위한 적응 알고리즘들의 성능을 비교함으로써 효과적인 적응 알고리즘을 보인다. 일반적인 적응 알고리즘으로는 normalized least mean square (NLMS) 알고리즘이 있다. NLMS는 구조가 간단하고 수렴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관도가 높은 신호에 대해서는 수렴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수렴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affine projection (AP)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연산량의 문제로 AP 알고리즘의 사용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협대역 소음 제어를 위한 능동 소음 제어 시스템에서 NLMS와 AP 알고리즘을 연산량과 수렴 성능을 비교함으로써 효과적인 알고리즘을 도출하였다. 실험을 통해 NLMS와 AP 알고리즘의 소음 제어 성능이 차이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NLMS가 AP 알고리즘에 비해 소음 제어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confirm the effective adaptive algorithm for tha active noise contorl (ANC) though the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adaptive algorithms. Generally, the normalized least mean square (NLMS) algorithm has been widely used for an adaptive algorithm thanks to its simplicity and having a fast convergence speed. However, the convergence performance of the NLMS algorithms is often deteriorated by colored input signals.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affine pojection (AP) algorithm that updates the weight vector based on a number of recent input vectors can be used for allowing a higher convergence speed than the NLMS algorithm, but it is computationally complex. Thus, the proper algorithm were determined by the comparison between NLMS and AP algorithms regarding as the convergence performance and complexity. Simulation results confirmed that the noise reduction performance of NLMS algorithm was comparable to AP algorithm with low complexity. Therefore the NLMS algorithm is more effective for ANC system.

      • KCI등재

        비균일 토양층의 증발 현상에 관한 수치 시뮬레이션

        이근상 한국자원공학회 2002 한국자원공학회지 Vol.39 No.1

        지표면에서 증발이 일어날 때 비포화 영역 내에서의 물의 이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새로운 수치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모델은 기존의 실험법이나 수치 모델들이 균일한 공극으로 구성된 영역에서만 적용할 수 있었던 한계를 극복한 것이다. 최소한의 변수로 공극의 물리적 특성과 토양 입자의 화학적 성질 등을 모두 고려하여 수식화한 비선형 미분방정식을 기초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공극률, 공극 분포, 절대투수율, 계면장력, 접촉각, 상대투수율, 모세관 압력 등의 영향을 포함하고 있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비포화 영역 내 물의 이동에 관하여 시뮬레이션하였다. 본 모델을 이용하여 구한 수치 해를 분석함으로써 비균일층의 특성을 나타내는 여러가지 인자들이 비포화 영역 내에서 물의 이동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A new numerical model has been developed to predict water migration through an unsaturated zone undergoing an evaporation at the surface. It overcomes limited applicabilities of previous experimental and numerical models to uniform media. Based on the nonlinear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 including terms of physical properties of pore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particles, this model can predict the effects of pore size distribution, absolute permeability, interfacial tension, contact angle, relative permeability, and capillary pressure. The water migration in an unsaturated zone was extensively simulated with a finite-element method. Analysis on the numerical solutions results in quantifying the influences of formation properties on the migration process through an unsaturated zone.

      • KCI등재후보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홍수지도 제작용 지형자료의 효과적인 구축방법 연구

        이근상,고덕구,김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2004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7 No.1

        한국수자원공사에서는 홍수지도 제작을 위한 정밀 지형자료 구축을 위해 LiDAR 측량을 실시하고 있으며, 향후 전국에 대한 홍수지도 제작시 막대한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홍수지도 제작이 꼭 필요한 지역을 선정하기 위한 사전모의용 자료구축을 위해 NGIS 수치지형도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각 축척별 수치지형도의 표고오차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형도의 DEM 오차를 평가하기 위해 LiDAR 측량을 수행하여 구축한 DEM과 비교하였다. 특히 수치지형도로부터 구축한 TIN으로부터 DEM을 생성하기 위해 수행하는 보간법의 종류에 따라 발생하는 오차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1,000 수치지형도가 1:5,000 수치지형도에 비해 오차가 작게 나타났으며, linear 보간을 수행한 DEM이 quintic 보간을 수행한 DEM에 비해 작은 오차특성을 보였다. 특히 도시지역의 경우 완만한 경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상도에 따른 DEM 오차의 변화는 매우 작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carried out LiDAR survey to construct detailed terrain data for flood mapping and it is expected that much money is required in flood mapping of all over the country.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use NIS digital map to construct preliminary modelling data for selection of flood mapping area. And the analysis of DEM error with respect to scale of digital map is necessary for the sake of applying digital map as the input data of flood mapping. We compared DEM from digital map with DEM from LiDAR survey. Especially we analyzed DEM error characteristics that is occurred with respect to the interpolation method that is used to construct DEM from TIN of digital map. As a result of analysis, digital map(1:1,000) showed smaller error than digital map(1:5,000) and DEM applying linear interpolation showed smaller error than DEM applying quintic interpolation. Especially, variation of DEM error by cell resolution was evaluated as very slight because urban district was composed of gentle slope.

      • KCI등재

        CCS 연계 이산화탄소에 의한 오일회수증진법의 잠재력과 전망

        이근상,김현태,김진웅,손한암 한국자원공학회 2012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9 No.5

        This paper provides a summary of the current status, potential opportunities, and limit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enhanced oil recovery by carbon dioxide (CO2 EOR) using CO2 captured from industrial sources. Though CO2 EOR operations have traditionally focused on maximizing oil recovery, CO2 EOR can result in effective storage. Up to 97% of the initially purchased CO2 for EOR operations can be stored at the end of injection. Anthropogenic sources are accounting for steadily increasing share of CO2 supply, currently providing 12 million metric tons per year for EOR. Since significant expansion of oil production utilizing CO2 EOR will require volumes of CO2 that cannot be met by natural sources alone, industrial sources of CO2 will need to play a critical role. Since storing CO2 in association with EOR can substantially offset the extra costs associated with CCS, it can encourage its application in the absence of other incentives for CCS deployment. 본 연구에서는 산업 배출원에서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오일 회수증진법의 현황, 잠재력, 한계성에 대해 요약하였다. 전통적으로 CO2 EOR은 오일회수에 초점이 맞추어 졌지만, 최근에는 CO2의 효율적인 지중저장 수단이 되고 있다. CO2 EOR에 사용되는 CO2의 97%는 주입 종료 후 지중에 저장된다. 현재 인위기원 CO2의 공급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여 연간 1,200만 톤에 이르고 있다. CO2 EOR이 탄소 포집 및 저장에 미치는 가장 큰 영향은 오일을 추가 생산함에 따라 CCS 적용에 따른 비용을 상쇄시킬 수 있는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점이다. CO2 EOR을 적용하는 생산현장이 증가함에 따라 필요한 CO2 공급이 부족하여 산업 배출원에 의한 CO2 공급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EOR과 연계된 CO2 지중 저장은 CCS와 관련된 비용을 근본적으로 상쇄할 수 있기 때문에 CCS에 별도의 인센티브가 주어지지 않더라도 촉진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LiDAR 자료와 연계한 MD-FDA 기반의홍수피해액 평가(I) - MD-FDA 적용을 위한 LiDAR 자료 기반의 기초자료 생성 -

        이근상 한국지적학회 2014 한국지적학회지 Vol.30 No.2

        This study presented method to create basis data necessary in Multi Dimensional Flood DamageAssessment (MD-FDA) linked with LiDAR data. First, this study could calculate total building floorarea that was necessary to evaluate the flood damage assessment of building through building DEMdata applying local maxima filtering from LiDAR DSM data. Also, number of households per unit areacould be extracted with the number of households from statistical yearbook and total building floorarea from LiDAR. And Amount of maximum potential damage in farm land and crops was evaluatedusing the assessment standards of burying or loss and the production cost of representative cropsbased on cadastre map. Also, Amount of maximum potential damage in the facility and crop ofgreenhouse could be analyzed considering the facility standards and representative crops ofgreenhouse based on greenhouse layer digitized by aerial photo. Finally, this study classified industrialcategories from building layer and could evaluate amount of maximum potential damage in tangibleand inventory assets of industry using employees from statistical yearbook and LiDAR data. 본 연구에서는 LiDAR 자료와 연계하여 다차원홍수피해액산정기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생성하기위한 기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LiDAR DSM 자료로부터 국지적 최대값 필터링을 적용하여 DEM 자료를 생성함으로서 건물의 홍수피해액 산정에 필요한 건물 연면적을 계산할 수 있었다. 또한 LiDAR로부터 계산한 연면적과 통계연보의 세대수를 이용하여 단위면적당 세대수 정보도 추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지적도를 기반으로 매몰 및 유실에 대한 산정기준과 대표작물의 생산비 단가를 이용하여 농경지 및농작물의 최대 가능피해액을 평가하였다. 또한 항공사진으로부터 독취한 비닐하우스 레이어를 기반으로, 시설물 기준과 대표작물을 고려하여 비닐하우스의 시설 및 농작물에 대한 최대 가능피해액도 함께분석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건물 레이어로부터 산업체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통계연보의 근로자수와LiDAR 자료를 활용하여 산업체 유형 및 재고자산에 대한 최대 가능피해액을 평가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