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 여성의 생애: 갈등적 성별화와 계층화

        김이선,박경숙 비판사회학회 2019 경제와 사회 Vol.- No.122

        Korean women’s aspirations and practices for gender equality have been increasingly prevalent. However, the foundation of life is growing fragmented according to economic stratification and family and labor remain gender unequally. In such contradictory situations, how are Korean women doing family and work life and how do they build their gender relations?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Korean women’s lives in the perspective of conflictual gender differentiation. For this purpose, 7 types of life course of Korean women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order of family and work life events: Work centered life, Work-family balance life, M-shape life, Latent M shape life, Work after marriage life, Family centered life, and NEET life. Using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ata, we found that work-family balance life is only 9% in 2016 where as M-shape and latent M-shape are almost 50%. It is alto noted that over the years 2009 and 2016, work centered life without marriage and career disconnected M type greatly increased compared to work and family balanced life. Women’s labor values are not properly assessed and both burden of labor and family roles characterize conflictual gender differentiation. Also increasing work centered life without marriage and the emergence of NEET life delaying work and family transition raise question whether Korean women’s lives change from conflictual gender differentiated life through de-family and de-labor life into de-gender differentiated life. It is also found that work and family balance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women’s human and social capital and segmented welfare policies. Korean women have been used diverse but stratified strategy to solve the problem of conflicting gender differentiation. While few women succeed in using their socio-economic sources, many others could not use sufficient resources to maintain their work and family balance. Also, class segmented work-family policy enforced the stratification of women’s life. 이 연구는 오늘날 한국 여성의 생애를 갈등적 성별화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한다. 비혼, 만혼, 저출산,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와 같은 현상은 여성들이 성 규범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성별화의 제도·규범·이데올로기는 여전히 공고하게 유지되면서 여성의 삶에 다양한 갈등을 야기한다. 갈등의 양상 은 취업, 혼인, 경력단절과 같은 생애 사건의 시간적 순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취업력과 혼인력에 기초해 여성의 생애를 유형화했다. 그 결과 일중심형, 일-가정양립형, M형, 잠재M형, 가족형성후입직형, 가족중심형, NEET형의 7가지 생애유형이 도 출되었다. 2009~2016년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사용해 각 유형을 분석한 결과, 가장 주 된 생애유형은 M형으로 나타났다. M형은 성별화된 일터와 가정을 오가며 갈등을 경험하는 생애다. M형은 비중이 가장 높을 뿐 아니라,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M형에 비해 일-가정양립형은 10%가 채 되지 않았고 매우 제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일-가정 양립형은 일과 가정에서 이중적 역할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자원을 동원하고 있다. 자원이 불충분한 여성들은 경력단절을 경험하게 되면서 여성들의 생애가 계층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통적인 가족중심형과 가족형성후입직형의 생애는 줄어들고 일중심형과 NEET형 생애는 늘어나고 있었다. 성별화 규범을 따르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는 현실 속에서 여성들은 계층적 한계에 부딪히거나 좌절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다민족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Ⅳ)

        김이선,정해숙,이정덕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0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0 No.3

        1. 2010 협동연구의 방향과 목적 ○다문화사회의 전개에 있어 문화적 다양성이 지니는 의미 -이주민의 증가는 사회, 경제, 문화, 정치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상당한 변화를 가져오는데, 여기에는 긍정적, 부정적 측면이 혼재되어 있음 사회, 경제적으로 적지 않은 갈등, 부작용 야기 가능성/ 사회 전반에 걸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새로운 발전의 가능성을 찾는 계기 가능성 공존 -다문화사회의 긍정적 전개 가능성을 높이고 이를 계기로 새로운 사회발전의 계기를 마련하며, 다문화사회에서 제기되는 부정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문화적 다양성은 중요한 의미를 지님 세계화 시대에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다양한 언어?문화 자원의 발굴, 언어?문화적 역량을 지닌 인적 자원의 형성, 사회 전반의 문화적 역량 제고 등의 측면에도 긍정적 계기로 작용할 수 있음 다문화사회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는 이주민의 빈곤화나 사회적 고립문제를 극복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음 ○다문화사회 전개에 있어 과도기적 단계에 접어들고 있는 한국사회에서는 생산적 다양성 전략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다문화사회의 전개에 있어 한국사회는 이주민을 둘러싼 갈등과 사회 문제가 점차 본격화되는 과도기적 단계로 접어들고 있음 -이주민의 증가가 사회적 차원에서 미치는 영향에 본격적 관심을 기울이고 가급적 부정적 측면은 최소화하고 긍정적 효과는 확대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임 -생산적 다양성(productive diversity) 전략 이주민의 존재를 계기로 사회적 관심사로 대두된 문화적 다양성이 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이주민의 증가가 가져올 수 있는 부정적 효과를 줄여가기 위한 접근 생산적 다양성은 자연스럽게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 이주민의 문화적 특수성이나 사회 전반적인 문화적 다양성이 긍정적, 생산적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반 여건이 마련될 때 비로소 실현될 수 있음 ○협동연구의 방향과 목적 -한국사회는 이주민 가운데에서도 한국인과 가족관계를 맺고 있는 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문화적 다양성, 다문화사회에 대한 관심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특수성 보임 사회적 관심과 정책적 지원이 집중되어 있는 결혼이민자와 그 자녀를 중심으로 문화적 다양성이 개인적 역량, 사회적 자원으로 발전되어 관련자 개인은 물론이고 사회 전반에 긍정적 방향으로 구현될 수 있는 가능성 파악 ⇒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의 접근 방안 모색 ⇒ 생산적 다양성을 구현하기 위한 실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생산적 다문화사회’의 기반을 확립 An increase of immigrants brings about substantive changes in the extensive areas such as population composition, social relationship, economy, culture, politics and etc. On one hand, it will cause social conflicts and economic problems. On the other hand, it will be a turning point for a new social development. Multicultural societies have common interests to improve positive aspects of multiculturalization and solve its negative aspects at the same time. Cultural diversity related to immigrants means a lot in dealing with the task. As diverse languages and cultural resources are more important in globalization process, enlarging cultural repertory is a positive motivation for the society. In addition, developing human resources with diverse languages and cultural skills are another positive aspect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which will help to solve immigrants' poverty and social isolation. The Korean society is increasingly likely to meet the conflicts and social problems related to immigrants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multicultural society. This is time for Korean society to make efforts to minimize negative effects of the multiculturalization. and to maximize its positive aspects. At this point, 'productive diversity' strategies are noteworthy which means practical efforts to improve cultural diversity and increase possibility for the multicultural society to turn into a positive way. KWDI has carried out the cooperative research project "Policy Paradigm for Transition to Multiethnic/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from 2007. In this year, the 4th-year research is proceeded with the purpose to establish the basis of policy measures to realize 'Productive Multicultural Society'. The Korean society has its special characteristics in respect of importance of so-called 'multicultural family' including marriage-based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in expanding social attention to cultural diversity and multicultural society. Cooperative research in this year tries to approach the possibility for marriage-based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to develop interlingual/intercultural competence based on their linguistic/cultural specificity and realize the competence in a positive and productive way in social arena, and to grasp main obstacles which they meet in doing so. The policy measures are also pursued to support marriage-based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to overcome the obstacles and develop interlingual/intercultural competence, and to enhance the positive aspects of cultural diversity at the social level as well as the individual level. The research outcome proves that marriage-based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have very limited possibility to develop interlingual/intercultural competence. Because they are imposed by various obstacles as follows: - Dominant belief in cultural homogeneity and negative values on cultural specificity of multicultural family - Limited opportunities to use minor languages and culture in family daily lives - Strong division of linguistic and cultural spheres between main society and ethnic groups, limited opportuniti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marriage-based immigrants and main society - Low practical values of interlingual/intercultural competence Most multicultural families have serious limitation in improving their linguistic/cultural specificity as positive assets. Especially, multicultural families with low socio-economic position and marginalized cultural status is almost impossible to achieve that. They are likely to see their own cultural specificity as negative and even try to remove them as much as possible.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ctual cases to overcome such obstacles and succeed in realizing their interlingual/ intercultural competence. At present, these movements are in the beginning steps and has not yet shown any foreseeable results. Nevertheless, these movements prove possibilities to look forward to positive improvemen

      • KCI등재

        동태적 연령구조 모형에 기초한 지역 유형화와 지역의 인구·경제·교육·복지 환경의 상호관계에 대한 고찰

        김이선,김재인,김반석,박경숙 한국인구학회 2019 한국인구학 Vol.42 No.2

        With low birth rate and ageing population, regions both urban and rural are confronting their own population issues with efforts to revitalize the environment in various ways. Since such regional crisis is often a result of demographic fluctuation, urgent need for a precise understanding of region’s age structure is required to handle the matter. Age structure is formed by cumulative birth, death and migration data from past to present, and is a crucial part of region’s population composition. Hence, this study estimates regional age structure based on Dynamic Age Structure Model which estimates the age structure with crude birth rate, death rate by age group and age specific increase rate. Then the study categorizes regions of Korea into six different types by their age structure: metropolitan types with high and low rates of reproduction and population influx(type1 and type2), urban-rural combined type with large population influx(type3), aged urban-rural type(type4), aged rural type with population influx(type5), and finally, aged rural type(type6).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s how each region type’s age distribution is related to the region’s economy, education, and welfar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each region type shows distinguishing traits in its economy, education and welfare environment and especially in the number of related facilities and institutions such as industrial complex, universities, and nursery schools. The result of this study reports that there is a need to design appropriate social environment for each regio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on’s dynamics of age structure and its economy, education and welfare environment. 지역의 인구 감소와 저출산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지역을 살리기 위한 노력이 다각도로 전개되고 있다. 지역의 위기는 복합적 생활환경의 위험을 압축한 인구 불균형으로 심화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연령구조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연령구조는 과거인구의 출산, 사망, 이동의 인구동태가 누적되어 형성된 인구 구조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출생률, 연령별 사망률, 연령별 증가율로 연령구조를 추정하는 동태적 인구구조 모델에 기초하여 전국 시군구 지역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서 연령구조와 지역의 생활환경이 어떻게 연결되는가를 분석하였다. 각 지역은 6개의 지역유형으로 분류됐는데, 1유형은 재생산과 인구유입이 활발한 대도시, 2유형은 재생산과 인구유입이 저조한 대도시, 3유형은 대규모 인구유입 도농복합지역, 4유형은 고령 도시와 농촌 지역 혼합형, 5유형은 인구 활성화 조짐이 관찰되는 고령농촌지역, 6유형은 인구 크기가 작을 뿐 아니라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고령 농촌지역의 특성을가지고 있다. 각 유형의 연령구조는 지역의 생활환경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지역 주민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첫째, 경제 환경을 분석한 결과 대기업들이 입지한 1유형이나 대규모산업단지가 조성된 3유형 지역에서 젊은 인구가 활발하게 증가하고 있었다. 고령 인구가 많은농촌 지역에는 영세규모의 사업체가 많았다. 둘째, 교육 환경을 분석한 결과 인구 천 명당 교육시설 수는 4, 5, 6유형이 더 많았지만 사설 학원이나 대학은 1, 2유형이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은 인구 유출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농촌형 지역의 교육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복지 환경을 분석한 결과 고령 인구가 많은 5, 6 유형에 복지 시설이 많이 보급되어 있으며 젊은 인구가 많은 1유형에는 보육 시설이 많이 보급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지역 사람들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생활환경을지원하는 정책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경기도의 지역 특성과 지역사회 경험이 거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이선,손명아 지역사회학회 2018 지역사회학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individual community experience and characteristics of local society both which affect life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ce. This study is based on theoretical premise that quality of life is determined by individual factors,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and interaction factors of the both. Hierarchical multi-level analysis is applied for vindicating the relations of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environment including demographic structure. As a result, it is verified that the life satisfaction is affected not only by socio-economic status of individual, but also by societal quality of local district such as socio-economic safety, social cohesiveness, social inclusion, social competence and demographic structure. Among these societal factors, it is identified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s trust and satisfaction on social safety system. Sense of local community membership and social empowerment also have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lso, this study exposits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local society and individual factors. For example, experience of economic crisis has weaker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more cohesive society. Regarding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recommends that local government should consider the features of local society and demographic structure when establishes policies for improving life quality of residents and societal soundness.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의 지역 특성과 지역사회 경험이 거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삶의 질이 개인적 요인과 개인이 속한 지역의 환경적 요인 사이의 상호작용 결과로 구성된다는 이론적 관점에 입각하여 이들을 다층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성별, 연령, 소득, 직업, 건강과 같은 개인 수준의 변인을 바탕으로, 사회의 질 요인(사회경제적 안전성, 사회 응집성, 사회 포용성, 사회 역능성)과 지역별 인구 특성이 거주민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사회 안전 시스템에 대한 신뢰와 공공기관, 의료시설, 복지 근린시설 등에 대한 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거주민의 지역사회 소속감이나 사회참여 의지를 보여주는 사회의 역능성 또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효과가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이 밝혀졌다. 사회의 응집성이 높은 지역에서는 개인의 경제적 위험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감소하고, 사회자본은 지역사회의 안전성이 뒷받침될 때 더 큰 효과를 가진다. 또한 고연령 지역에서 이웃과의 교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다른 지역에 비해 큰 반면 투표의 영향력은 작아진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정부는 각 지역의 특성 및 인구구조를 고려하여 사회의 질과 거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적 정책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 다문화가족의 성 불평등 실태와 가족갈등 양상

        김이선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9 ISSUE PAPER Vol.2019 No.-

        ■ 외국 출신 아내와 한국 출신 남편으로 구성된 다문화가족에서는 성별 역할 분리 등 보수적인 성별 질서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가사, 돌봄 노동 등 가족생활의 부담은 여성에게 집중된 반면 여성의 권한은 크게 제한되어 있는 등 성 불평등 문제가 심각한 수준임. ■ 외국출신 아내의 취업, 사회활동 증가로 가사·돌봄 노동 분담 요구는 높아지나, 다문화가족의 현실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어 여성이민자의 이중 부담은 가중되고 부부갈등도 심화되고 있음. ■ 다문화가족 정책에서는 다문화가족의 성 불평등 문제를 핵심적인 과제로 설정하고 본격적인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임.

      • SCOPUSKCI등재

        인체 진피 미세혈관 내피세포 표면에서 v - cadherin의 발현에 관한 연구

        김이선,최현주,이민걸,이광훈 ( Yi Sun Kim,Hyun Joo Choi,Min Geol Lee,Kwang Hoon Lee ) 대한피부과학회 1997 大韓皮膚科學會誌 Vol.35 No.5

        Background: Cadherins are a supergene family of structurally related transmembrane glycoprotein. V-cadherin was a subclass of cadherin which expressed on endothelial cell as an endothelial cell cell adhesion molecule. The role of V-cadherin is still unclear in inflarnmation and immunologic responses. Objective : Our purpose was to demonstrate the expression and the regulation of V-cadherin expression on human dermal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HDMEC) by biological response modifier(BRM). Methods : The cell surface expression of V-cadherin on HDMEC that was unstimulated or pretreated with IL-1, TNF, IFN-, and PMA was evaluated by immunofluorescence flow cytometry and th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ults : 1. V-cadherin was constitutively expressed on unstimulated HDMEC. 2. Maximal expression of V-cadherin was observed at 16 hrs after stimulation with IL-1, at 6 hrs after stimulation with TNF and at 24 hrs after stimulation with IFN- on HDMEC. 3. V-cadherin expression on HDMEC was increased after stimulation with IL-1 or PMA. Conclusion : V-cadherin was constitutively expressed on HDMEC, and V-cadherin expression can be regulated by BRM. These results suggest V-cadherin may contribute to inflammation. (Korean J Dermatol 1997;35(5): 924-93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