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ffect of Ionizing Radiation on Rat Tissue: Proteomic and Biochemical Analysis

        Park*, Eui‐,Chul,Yoon, Jong‐,Bok,Seong*, Jin‐,Sil,Choi, Kyoung‐,Soo,Kong, Eung‐,Sik,Kim, Yun‐,Jeong,Park, Young‐,Mee,Park, Eun‐,Mi Taylor Francis 2006 Preparative biochemistry & biotechnology Vol.36 No.1

        <P>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ed by ionizing radiation, has been implicated in its effect on living tissues. We confirmed the changes in the oxidative stress markers upon irradiation. We characterized the changes in the proteome profile in rat liver after administering irradiation, and the affected proteins were identified by MALDI-TOF-MS and ESI-MS/MS. The identified proteins represent diverse sets of proteins participating in the cellular metabolism.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proteomics analysis is a useful method for characterization of a global proteome change caused by ionizing radiation to unravel the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in the cellular responses to ionizing radiation.</P>

      • 경주지역 여고생의 초경과 체성장간의 관계

        김준섭,권오구,박진석,오종수,박정현,박제식,안세한,이용환,서정호,신태섭,최영배,김덕수,이관,박수경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2 東國醫學 Vol.9 No.1

        본 연구는 경주지역 1개 고등학교 3학년 여고생을 대상으로 초경 시작 전인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키, 몸무게, 가슴둘레 수치와 초경 연령을 파악하여 여성의 초경이 빠를수록 체성장 속도의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기초로 두 요인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경주시 1개 여자고등학교 3학년생 총 317명에 대해 ㅊ경 나이, 초경시 심리 상태, 초경이 시작되었을 때의 상담 여부와 상담하였던 사람, 부모 신장과 초경전후의 식사 규칙성, 다이어트 경험, 수면시간, 스트레스, 음주/흡연 여부, 질병력 등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고,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키, 몸무게, 가슴둘레에 대한 정보는 건강기록부에서 확보하였다. 상기 대상자 중 건강기록부가 분실된 39명, 초경나이에 대해 응답하지 않았던 29명 및 결석 등으로 조사를 하지 못하였던 42명을 제외한 조사 대상자는 206명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들의 초경연령 평균값(Mean±SD)은 13.0±1.11이었고,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초경 이후 신장 성장률은 감소하였으며, 초경연령이 빠른 군이 초등학교 때는 신장에 있어서 우위를 차지하나 고등학교에 오면서 신장은 비슷한 수준이 되었다. 초경후 1-2년 사이에 체중과 흉위의 증가율은 감소하였고, 초경연령이 빠른 군이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사이에 체중과 흉위에서 모두 우위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흔히 이차 성징의 시작 시점 혹은 사춘기의 시작 시점으로 보고있는 초경 연령이 청소년기의 성장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고, 특히 체중과 흉위의 성장 속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o understand the onset of menarche in relation to changes in physical growth that take place during female adolescence, especially the changes in height and weight velocity. The 207 senior in one women high school of Kyongju were investigated in April 3 to 8, 2001. We collected the information, relation in the age at menarche, height & weight of parents, regularity of eating, and obesity diet, duration of sleeping, sickness & stress near age at menarche, by self-recording. The status of height, weight & chest circumference between the 4th grade of primary school and the junior of high school was collected by individual Health Record. The results were followed; The average age at menarche was 12.95±1.11 years old and the most frequent age of menarche is 13 years. After menarche, the velocity of height, weight and chest circumference were decreased. The most rapid group of menarche hold dominant position in height during elementary school. As time passed, they dont hold dominant position in height. The most rapid group of menarche get an advantage in the weight and the girth of chest after elementary school. The height of subjects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height of their par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arting age at menestuation can be closely associated with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 SCOPUSKCI등재
      • Protein kinase A-induced phosphorylation at the Thr154 affects stability of DJ-1

        Ko, Yeon Uk,Kim, Su-Jeong,Lee, Juhyung,Song, Min-Young,Park, Kang-Sik,Park, Jun Bae,Cho, Hyun-Soo,Oh, Young J. Elsevier 2019 Parkinsonism & related disorders Vol.66 No.-

        <P><B>Abstract</B></P> <P><B>Introduction</B></P> <P>Most cases of Parkinson's disease (PD) are sporadic, but genetic variations have been discovered in PD patients. PARK7/DJ-1 is a known cause of early-onset autosomal-recessive PD and is implicated in neuroprotection against oxidative stress. Although several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of DJ-1 have been proposed, phospho-modification of DJ-1 and its functional consequences have been less studied.</P> <P><B>Methods</B></P> <P>Putative phosphorylation sites of DJ-1 were determined by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analysis). Subsequently, phosphorylation site of DJ-1 was confirmed by <I>in vitro</I> kinase assay and cell-based pull-down assay. Impaired dimer formation of phospho-null mutant was measured using DSS crosslinking assay and immunoprecipitation assay. To evaluate physiological consequences of this event, protein stability of DJ-1 WT and DJ-1 phospho-null mutant were compared using cycloheximide chase assay and ubiquitination assay.</P> <P><B>Results</B></P> <P>Here, we showed that DJ-1 directly bound to the catalytic subunit of protein kinase A (PKAcα). We found that PKAcα is responsible for phosphorylation of DJ-1 at the T154 residue. Interestingly, dimerization of DJ-1 was not detected in a DJ-1 T154A mutant. Furthermore, stability of the DJ-1 T154A mutant was dramatically reduced compared with that of wild-type DJ-1. We found that DJ-1 T154A was prone to degradation by the ubiquitin proteasome system (UPS).</P> <P><B>Conclusion</B></P> <P>We identified a novel phosphorylation site of DJ-1. Furthermore, we determined protein kinase A that is responsible for this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Finally, we demonstrated physiological consequences of this event focusing on dimerization and protein stability of DJ-1.</P> <P><B>Highlights</B></P> <P> <UL> <LI> PKAcα phosphorylates PARK7/DJ1 at the Thr154 residue. </LI> <LI> Disruption of Thr154 phosphorylation is linked to a lower stability. </LI> </UL> </P>

      • KCI등재후보

        국립공원 관리를 위한 해양생태계 장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

        이채린(Chae-Lin Lee),유재원(Jae-Won Yoo),정병관(Byungkwan Jeoung),김창수(Chang-Soo Kim),안동식(Dong-Sik Ahn),김성태(Sungtae Kim),성은주(Eun-Ju Sung),김성현(Sung-Hyun Kim),정수영(Su-Yeoung Jeong),박영석(Young-Seuk Park)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2 No.2

        생태계 변화의 모니터링은 효율적 생태계 관리를 위한 기초 정보 수집을 위해 중요한 과정이다. 많은 생태 현상과 그 과정은 오랜 시간에 걸쳐 진행되므로 국립공원의 지속적인 보전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해 생태계 모니터링은 장기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장기 모니터링 프로그램 사례 분석을 통해 성공적인 장기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으로써, 최적화된 모니터링 설계, 표준화된 운용방안 마련, 인적 자원 및 DATA 관리 체계 수립, 안정적인 재정 마련 및 후속지원 등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10년 넘게 수행되고 있는 ‘HS호 유류유출 사고 해역 장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으로 적응형 모니터링 방식이 적용된 표준화된 프로토콜의 정립, QA/QC와 지속적인 자료 관리, 조사 항목의 연계성 강화 등의 구체적 방안을 제안한다. Monitoring ecosystem changes is an important process for collecting basic information for ecosystem management. Since many ecological phenomena and their processes take place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necessary to conduct long-term monitoring of ecosystems for the continuous conservation and efficient management of national parks. This study suggested an optimized monitoring design, standardized operation plan, human resource and data management system, stable financial preparation and follow-up support as methods for successful long-term monitoring through cas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long-term monitoring programs. Based on this, it proposes specific measures such as establishing a standardized protocol with adaptive monitoring methods, continuous data management with QA/QC, and strengthening the linkage of investigation items i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HS oil spill accident long-term monitoring program” that has been conducted for more than a decade.

      • 외음부와 자궁에 생긴 평활근종 1예

        박혜인,이해혁,김태희,김정식,남계현,이권해,고은석 순천향의학연구소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2

        The leiomyomas of the vulva are rare benign tumors the incidence is 0.024%~0.55% in women. There are no relationship between leiomyomas of the vulva and uterus. But there are some reports that leiomyomas of the vulva and uterus simultaneously. The leiomyomas of the vulva present without symptoms and excision with biopsy is treatment of choice. Tumors of the gynecological apparatus may present without symptoms, or they may mimic other common gynecological conditions. Because of this, any vulva mass must be considered cautiously. We reported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concerned literatures.

      • 교류전해에칭용 에틸렌글리콜의 알루미늄박판의 부식억제 효과

        박성민, 양정진, 김홍일, 김한주, 김성한, 신진식, 박수길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2008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Vol.27 No.1

        In this study, additions of aluminium foil eching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with sulfuric acid for capacitor. sulfuric acid and ethylene glycol is used as addition, characteristics of funtional group from addition were guessed by comparing of aluminium foil eching characteristics. When sulfuric acid was added in HCI etching solution, corrosion of aluminum metal was inhibited by the chemical adsorption of sulfate ion, when ethylen glycol was added in HCI etching solution, corrosion inhibited by the chemical adsorption of OH­^ion.

      • 성별판별을 위한 한국인 성인 방패연골의 판별분석

        박대균,안의태,고정식,박경호 순천향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3

        방패연골은 목뿔뼈 바로 아래 위치하며 후두부를 구성하는 연골 가운데 가장 큰 연골이다. 본 연구는 한국인 방패연골의 형태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이용하여 성별판별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20대이상 한국인에서 109(남자69, 여자 40)개의 방패연골을 대상으로 26가지 항목을 계측하여 통계학적으로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방패연골너비, 방패연골높이, 방패연골길이, 연골판높이 등은 남자의 계측치가 컸다 (p<0.01). 2. 연골판각, 방패연골아래뿔각, 위방패패임각 등은 여자의 게측치가컸다. (p<0.01). 3. 방패연골길이와 연골판높이 항목을 이용하여 남녀판별함수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한국인 방패연골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20대 이상 한국인의 경우 방패연골의 형태분석에 의해 성별을 판별할 수 있을 것이다.

      • 발달장애학생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평가 프로그램 개발 및 검사조정 효과에 관한 연구

        박성우,김용욱,김종문,김은주,우정한,이대식,정주영 국립특수교육원 2005 연구보고서 Vol.- No.3

        장애 학생들이 졸업 후 지역사회에서 동등한 시민권을 가진 성인으로 살아가기 위해 또한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학령기부터 이와 관련된 지식과 기능의 조화로운 습득은 필연적이라 할 수 있으며, 특수교육의 실천 또한 이를 위해 그 동안 많은 노력들이 있어 왔었다. 그러나, 기능중심교육과정이 특수교육에 도입된 이래 장애학생들의 기능적인 측면에 비해 장애학생들의 학습능력에 대한 평가적 접근은 상대적으로 미약하였고, 이러한 경향성은 특히 지적 발달이 열약한 정신지체나 정서장애 및 학습장애 영역에서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물론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한다는 것은 기능적 접근에 비해 매우 힘든 과제이며, 이러한 평가 결과들이 발달장애학생들의 약점을 강조하게 될 위험 또한 배제할 수 없으며, 학업성취도에 대한 평가 결과가 곧 특수교육의 성과를 판단하는 결정적인 지표는 될 수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평가가 어렵다는 이유로 발달장애학생들이 교실에서 배운 학습에 대해 자신이 어느 정도의 성취를 이루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없다면, 이는 곧 학교 교육의 불균형적 발전뿐만 아니라 교육의 중요한 단계에서 최소한 보장받아야 할 그들의 공정한 평가 기회에 대한 권리를 박탈하고 있는 것이라고 봐야할 것이다. 이에 국립특수교육원에서는 발달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2004년의 경우 학업성취도에 대한 현장의 실태와 이에 대한 관련인들의 인식수준을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2005년도에 발달장애학생들의 효율적인 학업성취도 평가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기본 지침 하에 이 연구는 크게 발달장애학생들을 위한 평가 프로그램의 개발과 검사조정의 효과 및 검사조정에 대한 인식조사의세 영역을 중심으로 수행하였다. 먼저 평가프로그램의 개발은 교육현장에서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누가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평가 체제를 지원하는데 있으며, 교육과정중심의 사정에 의한 교사 중심의 간접 평가로 볼 수 있다. 두 번째의 주요 연구는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위한 검사조정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발달장애학생 개개인의 욕구와 능력에 따른 평가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전술한 평가 프로그램의 개발이 교사 중심의 간접평가로 본다면 검사조정을 통한 평가 접근은 학생 중심의 직접 평가로 볼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수행된 검사조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수준 조사는 발달장애학생에게 직접 검사조정을 통해 평가를 실시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검사조정의 집단 간 차이 외에도 현장의 적용 가능성을 보다 신빙성 있게 지지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4년에 실시된 검사조정의 효과에 대한 인식 조사가 발달장애학생들의 평가 적용에 앞선 교사들의 기대치로 본다면, 2005년에 실시된 검사조정에 대한 인식조사는 현장에서 직접 실시해 본 결과에 따른 실제적 인식 조하였다는데 그 차이를 둘 수 있다. 연구 규모는 유층표집에 기초하여 경기도 소재 10개 지역교육청의 241개 특수학급을 대상으로 초3 214명, 초4 259명, 초5 213명, 초6 186명 등 총 872명이 검사조정 실시 집단과 미실시 집단에 배치되었고, 인식조사의 경우 검사조정을 실시한 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발달장애학생 수학과 학업성취도 평가 프로그램 발달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누가적으로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해 한국선진학교에서 고안한 평가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수학과 하위영역별로 평가내용을 재구조화하였다. 현재 7차 수학과 기본교육과정에서 제시해 놓고 있는 목표들은 교사의 재량권을 최대한 부여할 수 있다는 강점도 있으나, 목표 제시 형태가 다소 추상적으로 기술되어 있고, 제시된 목표를 어떠한 과제 수행을 통해 평가할 것인지가 모호하기 때문에 그 활용성에 대해 적지 않은 의문이 제기되어 왔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수학과 기본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5개영역 다시 말해, 수, 연산, 도형, 측정, 표와 그래프에서 제시하고 있는 하위 영역별 및 수준별로 학교 현장에서 평가 가능한 내용들을 협력 교사들을 통해 우선적으로 선정한 뒤 이를 현장 교사의 검증 단계를 거쳐 수정 및 보완하여 하나의 하위 목표 당 5개씩의 구체적인 평가 내용을 제시하였다. 현재 제작된 프로그램의 경우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누가 관리가 가능하며, 수학과 외에도 기타 교과에도 적용이 용이하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평가 결과가 계량화되기 때문에 발달장애학생들의 현재 수행목표에 대한 기술이나 단기 목표의 설정 시 매우 유익한 정보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교육과정 중심의 평가에 근거하기 때문에 학습 진도에 따른 체계적인 학습 관리가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학업성취도 평가 프로그램의 활용을 통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더불어 보다 과학적인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해 현장에서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들이 활성화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2. 검사조정의 빈도와 분할 정도 및 검사조정의 효과 발달장애학생들에게 적용된 검사조정의 빈도와 분할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초등부 3, 4학년의 경우 대독과 지시문 설명의 두 가지의 혼합형태에 대한 조정유형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반해, 초등부 5, 6학년들은 단일의 지시문 설명에 대한 조정 유형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발달장애학생들의 생활연력의 증가에 따른 학습경험의 양과도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론되며, 개인의 인지능력 또한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분할시험의 빈도는 전 학년에 걸쳐 ‘2회 분할 실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초 3의 경우 ‘3회 실시’가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반해, 초등부 4, 5, 6학년은 ‘1회 실시’가 2순위로 나타나 저학년일수록 분할시험의 빈도가 높고, 고학년으로 갈수록 분할 빈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검사조정 효과에 있어서도 전 학년 모두 수, 연산, 측정, 표와 그래프 영역에서 검사조정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검사조정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보다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높은 정반응을 나타내었으나, 도형 영역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는 초등부 3, 4, 6학년의 경우 집단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데 반해 초등부 5학년은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정반응이 높게 나타나 학년 간에 다소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뚜렷한 인과관계는 구명하지 못하였으나, 이 연구의 경우 연구목적이 학년차를 보는 것이 아니라 학년별 경향성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기 때문에 피험자의 선정 기준만 제시하였을 뿐 연구 결과에 형향을 미칠 수 있는 연령이나 지능 등의 외래변인들은 엄격하게 통제하지는 못하였다. 다시 말해 대상학생들의 선정 시 발달장애학생들의 다양한 개인내차와 개인 간 차를 충분히 고려하기에는 현실상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었고, 이러한 피험자 선정의 다양성으로 인해 평가 문항에 대한 검사조정 유형 또한 어떤 개인에 따라서는 부적절하였을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현재의결과는 집단 배치에 따른 피험자들의 개인차와 평가문항의 독특성에서 귀인된 것으로 추론되며, 차후 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재점검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 학년 모두 수학과 기본교육과정에 대해 검사조정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정반응을 나타내고 있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 시 개인 간 차와 개인내차를 고려한 검사조정적 평가방법이 매우 유용하고 현실적일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3. 검사조정 효과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 발달장애학생들에게 적용된 검사조정적 평가방법에 대한 인식에 있어 대부분의 현장교사들이 이번에 실시된 평가방법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즉, 직적 평가를 담당한 교사들의 경우 기존 평가시스템에 비해 이번에 실시된 검사조정적 평가방법을 통해 발달장애학생들이 수학과 기본교육과정에서 제시된 목표들을 어느 정도 달성하였는지를 확인하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진술하였고, 평가에 대한 흥미도와 평가 시간의 단축, 평가의 수월성과 적극성, 평가문향에 대한 이해도, 문제해결력과 평가의 실제성에 있어서도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외에도 검사조정적 평가 접근이 통합학급 내에 배치되어 있는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고, 차후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 시 다양한 검사조정을 통한 평가 방법들이 모색되고 실천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지금까지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취지와 활용방법, 검사조정 유형 및 분할빈도, 검사조정을 통한 평가의 효과 및 검사조정에 대한 현장교사들의 인식수준에 대해 살펴보았다.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평가적 의미는 단순히 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계량화한다든지, 어떤 서열 매김을 위한 차원을 넘어서 학교 교육의 책무성 강화와 더불어 개인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한 일환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가 장애학생들의 여러 가지 신체적 ㆍ정신적 어려움을 이유로 이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접근을 간과할 경우 이는 또 다른 분리를 의미하며, 지금까지 특수교육에서 강조하여왔던 통합교육의 접근이 형식적이었다는 것을 스스로 자인하는 결과로 밖에 볼 수 없다. 물론 지금까지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위한 어떤 체계적인 평가시스템이나 평가에 대한 심각한 고민조차 이루어지지 않았던 상황에도 불구하고 관찰이나 자작 검사지, 체크리스트, IEP 등을 통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하고 점검하기 위한 현장의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과연 이러한 평가 방법들이 학교 교육에서 어떠한 교육적 가치를 부여하는지 혹은 어떤 목적으로 활용되고 지원되어 왔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의 남을 수밖에 없다. 실제적으로 발달장애학생 개개인의 학업성취도를 보편적인 입장에서 접근한다는 것 자체가 모순일 수 있으나, 이들이 장차 지역사회에서 동등한 시민권을 가진 성인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기능과 지식 중 어느 하나도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접근은 평가 기회의 공평성과 더불어 이들이 장차 성인기 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데 필요한 그리고 개인의 능력에 적합한 최소한의 학업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전술된 내용들을 기초로 하여 향후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이 연구의 경우 연구 목적과 연구 설계의 특성상 집단배치에 따른 피험자의 동질성을 제대로 확보하였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물론 피험자 선정에 필요한 단서 조항을 제시하기는 하였으나, 이를 통해 집단간 피험자들의 동질성이 확보되었다고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이에 차후 연구에서는 피험자의 동질성 확보에 따른 보다 구체적인 연구 설계가 요구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의 경우 검사조정을 통해 초등부 발달장애학생들의 전반적인 학업성취도의 변화는 살펴보았으나, 중학부나 고등부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학생들에게 현재의 연구 결과를 그대로 반영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이에 차후 연구에서는 초등부 이상의 과정을 대상으로 검사조정을 통한 평가의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점검해나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이 연구의 경우 발달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검사조정의 평가효과를 보편적인 입장에서 구명하였으나, 현재의 결과들이 모든 발달장애학생들의 개인 간 차와 개인내차를 고려한 일반화된 결과로 보기에는 어렵다. 다시 말해 발달장애학생들의 경우 개개인의 능력과 선호가 다르기 때문에 이 연구의 결과는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 시 기초 정보로서는 유용하나ㅡ 어떤 학생들의 경우 현재의 연구에서 실시된 검사조정 방법외의 다른 대안적 평가 방법들이 요구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차후 연구에서는 장애영역별 하위 특성에 따른 평가 방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탐색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평가의 목적에 대한 재정립과 제고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평가에 대한 대부분의 인식이 개인을 서열화 하는데 적용되어 왔음을 부인할 수 없으며, 이러한 평가 형식은 발달장애학생들에게는 전혀 무익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발달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평가적 접근은 개인내차에 초점을 두고 학생의 능력과 욕구에 근거한 학습기회를 제공해 주는데 그 목적을 두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발달장애학생들의 평가 기회의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장애 개인의 능력에 적합한 검사 조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에 어떠한 검사조정의 제공이 장애 개개인에게 적합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더불어 현장에서의 역동적인 실천 또한 협력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develop mathematic achievement progra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find out the test accommodation effects of this progra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72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472 students and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400 students. 120 teachers who taught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the perception survey on test accommodation effects.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of all, after discussing teachers about the contents of the mathematical curriculum, five fundamental fields in the mathematical curriculum - number, operation, diagram, measurement, graph- were selected, verified by the teachers, and then modified. After that five evaluation contents were suggested per each lower objective. By using this program teachers could manage and evaluate mathematical achievem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teadily and accumulatively. In addition, this program could enable teachers to develop IEP and describe students' achievements. Second, test accommodations that teachers used the most were to explain imperative sentences and read questions in third and fourth grade students. In case of fifth and sixth grades, explanation of imperative sentences were use the most. Third, most teachers in experimental groups were positive to test accommodation methods. This results suggested to develop various ways to evaluate mathematical achievem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tinuously. This study also suggested to guarantee learning right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well as reinforce teachers' accountability in the public education. At the same time, teachers should consider inter and intra-individual difference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inally the steady endeavors to assess their performance and develop many kinds of useful way test accommodation are needed.

      • 토류가시설 구조물의 굴착단계에 따른 변형예측 및 현장계측

        박춘식,장정욱,김수성 국립7개대학공동논문집간행위원회 2003 공업기술연구 Vol.3 No.-

        This study compared theoretical, empirical and filed monitoring results in deformation of the earth retaining wall occurring in each excavation step. The following show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1) The theoretically predicted horizontal displacement was greater than the measured value in general. (2) Empirical equations showed diverse results but the result of Pecks equation appeared to be the most similar to the measured value. (3) Application of measured values appropriately to the field requires feedback analyses, which repeatedly adjust soil parameters that were set in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