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립공원 관리를 위한 해양생태계 장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

        이채린(Chae-Lin Lee),유재원(Jae-Won Yoo),정병관(Byungkwan Jeoung),김창수(Chang-Soo Kim),안동식(Dong-Sik Ahn),김성태(Sungtae Kim),성은주(Eun-Ju Sung),김성현(Sung-Hyun Kim),정수영(Su-Yeoung Jeong),박영석(Young-Seuk Park)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2 No.2

        생태계 변화의 모니터링은 효율적 생태계 관리를 위한 기초 정보 수집을 위해 중요한 과정이다. 많은 생태 현상과 그 과정은 오랜 시간에 걸쳐 진행되므로 국립공원의 지속적인 보전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해 생태계 모니터링은 장기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장기 모니터링 프로그램 사례 분석을 통해 성공적인 장기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으로써, 최적화된 모니터링 설계, 표준화된 운용방안 마련, 인적 자원 및 DATA 관리 체계 수립, 안정적인 재정 마련 및 후속지원 등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10년 넘게 수행되고 있는 ‘HS호 유류유출 사고 해역 장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으로 적응형 모니터링 방식이 적용된 표준화된 프로토콜의 정립, QA/QC와 지속적인 자료 관리, 조사 항목의 연계성 강화 등의 구체적 방안을 제안한다. Monitoring ecosystem changes is an important process for collecting basic information for ecosystem management. Since many ecological phenomena and their processes take place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necessary to conduct long-term monitoring of ecosystems for the continuous conservation and efficient management of national parks. This study suggested an optimized monitoring design, standardized operation plan, human resource and data management system, stable financial preparation and follow-up support as methods for successful long-term monitoring through cas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long-term monitoring programs. Based on this, it proposes specific measures such as establishing a standardized protocol with adaptive monitoring methods, continuous data management with QA/QC, and strengthening the linkage of investigation items i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HS oil spill accident long-term monitoring program” that has been conducted for more than a decade.

      • KCI등재

        법정보호종, 흰발농게(Austruca lactea) 서식 개체수 추정에 대한 검토와 대안

        유재원(Yoo, Jae-Won),김창수(Kim, Chang-Soo),박미라(Park, Mi-Ra),정수영(Jeong, Su-Young),이채린(Lee, Chae-Lin),김성태(Kim, Sungtae),안동식(Ahn, Dong-Sik),이창근(Lee, Chang-Gun),한동욱(Han, Donguk),백용해(Back, Yonghae),박영철(Park, Yo 한국습지학회 2021 한국습지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갯벌에서 조사대상으로 삼는 멸종위기야생생물이자 해양보호생물, 흰발농게(Austruca lactea)의전체 개체수 추정 방법을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무한모집단에 대한 전수조사는 불가능하며 이는 갯벌 내 제한된 서식처에서 개체수를 추정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 표본으로부터 추정되는 서식 밀도 역시 다양한 생물학적, 생태학적 요인들로 인해높은 변동성을 보인다. 서식처 경계와 면적은 측정 오차뿐만 아니라 생물의 주기성이나 리듬 활동(주야, 간만 주기 등)에따라서도 달라진다. 따라서 밀도와 서식처 면적으로 산출되는 전체 개체수는 일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 같은 추정은 인천 송도 갯벌에서 3년 간 관찰된 흰발농게(A. lactea)의 평균 밀도와 표준오차 범위 그리고 공간분포의 시공간적 변동성에 근거하면 타당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출현 확률인 50%를 기준으로, 서식처 보존 가치의 중요성을 반영하는 잠재적 서식처 면적을 전체 개체수 추정의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보편성을 갖춘 모형으로부터 예측되는 잠재적 서식처는 대상종의 주요 환경조건이 급격하게 변하지 않는다면 시간에 따라 일정한 모습을 유지할 것이다. 특정종을 대상으로 개발되는 모형은 추후 서식처 복원/조성 사업에서도 원하는 생물의 정착을 유도하는데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We reviewed the methods employed in Korean tidal flat surveys to measure the local abundance of the endangered wildlife and marine protected species, the fiddler crab, Austruca lactea. A complete census for infinite population is impossible even in a limited habitat within a tidal flat, and density estimates from samples strongly vary due to diverse biological and ecological factors. The habitat boundaries and areas shift with periodicities or rhythmic activities of organisms as well as measurement errors. Hence the local abundance calculated from density and habitat areas should be regarded as transient. This conjecture was valid based on the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the density averages, standard error range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he crab, A. lactea observed for 3 years (2015-2017) in Songdo tidal flat in Incheon. We proposed the potential habitat areas using the occurrence probability of 50% from logistic regression model, reflecting the importance of habitat conservation value as an alternative to local abundance. The spatial shape of potential habitat predicted from a generalized model would remain constant over time unless the species’ critical environmental conditions change rapidly. The species-specific model is expected to be used for the introduction of desired species in future habitat restoration/creation pro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