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이종업계 간 디자인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사례연구

        박혜인,김승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5

        본 연구는 국내 이종업계 간 디자인 콜라보레이션 사례 분석을 통해 최근 증가하는 이종업계 간 콜라보레이션을 진행 시 고려할 점과 방향성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방법으로는 콜라보레이션을 주제로 한 선행논문과 문헌 연구를 통해 콜라보레이션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으며, 국내 이종업계 간 디자인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사례의 유형에 따라 밀레니얼 세대 공략, 브랜드 프리미엄 포지셔닝 이동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콜라보레이션 목적에 적합하면서 이슈가 될 만한 파트너를 선정해야 하고 결과물은 강조하고자 하는 브랜드의 디자인 요소가 담겨있으면서 기존 제품과의 분명한 차이점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이종업계 간 콜라보레이션 진행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consideration and direction of collaboration among different industrial field in Korea which has recently increased through the analysis of design collaboration case of cross-business in domestic. To do this, I did literature research followed with theoretical background of collaboration, and I analyzed case study of collaboration between different industries in domestic. In addition, I categorized as millennial targeting and brand premium positioning shifts. As a result, brand have to select a partner that is appropriate and would be an issue for purpose of collaboration and that the result should have a clear difference from existing product, including the design elements of the brand that they want to highlight. I expect this research will become a reference for collaboration between different industries.

      • KCI등재

        COVID-19–related clinical outcomes among Korean hemodialysis patients

        박혜인,이영기,고은실,유성봉,조아진,김도형,김진석,조장희,이정환,김동기,김성남,양철우 대한신장학회 202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41 No.5

        Background: Hemodialysis (HD) patients are more vulnerable to viral epidemics, experiencing higher mortality rates compared to individuals without chronic kidney disease (CKD).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sought to demonstrate clinical outcomes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confirmed Korean HD patients. Methods: From February 2020 to November 2021, the COVID-19 Task Force Team collected clinical data for HD patients with confirmed COVID-19 via a self-report survey of nephrologists. The composite outcome included in-hospital mortality, admission to the intensive care unit (ICU), and use of mechanical ventilation.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linical outcomes were analyzed among HD patients and compared to those of individuals without CKD using the COVID-19 database from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Results: A total of 380 HD patients from 206 facilities were diagnosed with COVID-19. Fever (49.5%) and cough (25.7%) were the two most common initial symptoms. The overall in-hospital fatality rate was 22.4% and even higher among ICU admission cases (64.7%). Non-survivors were older, more frequently developed shortness of breath, and were more likely to come from a nursing hospital. Compared to the age- and sex-matched non-CKD population, HD patients showed greater risk of in-hospital mortality (hazard ratio, 2.07; 95% confidence interval, 1.56–2.75; p < 0.001) and composite outcome (hazard ratio, 3.50; 95% confidence interval, 2.56–4.77; p < 0.001). Conclusion: HD patients have a greater risk of in-hospital mortality and morbidity from COVID-19.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COVID-19 HD patients when they are older or present with symptom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기혼 여성에서 만성적인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

        박혜인,이진희,한재현,민성호,Park, Hyein,Lee, Jinhee,Han, Jaehyun,Min, Seongho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0 정신신체의학 Vol.28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 기혼 여성에서 만성적인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 법 2014년부터 2018년까지의 한국복지패널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매년 조사된 설문을 이용하여 언어폭력 및 신체폭력이 우울증상 및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나이, 교육수준, 경제수준, 음주, 종교, 만성질환, 가족관계 만족도, 사회관계 만족도 등을 공변량으로 하였다. 결 과 5년 간의 언어폭력 노출지수는 우울을 1.180배, 자살사고를 1.276배 높였으며 이는 우울증상의 영향을 보정해도 유의하였다. 반면, 5년 간의 신체폭력 노출지수는 우울을 1.486배, 자살사고를 1.362배 높였으며 우울증상의 영향을 배제하였을 때는 자살사고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 론 이전에는 자살 사고가 없었던 여성에게 IPV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었을 때 우울증상의 유무와 상관없이 자살 사고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낸 것에 의의가 있다. 위와 같은 결과를 고려하면 IPV를 경험한 여성에 대한 정신과적 개입이 자살률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Objectives : This study looked at the effects of chronic IPV on suicide ideation among married women in the country. Methods :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five-year-old Korea Welfare Panel and analyzed using questions about verbal and physical violence,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that were investigated every year. Age, education, and economic levels, drinking, religion, chronic disease,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social relationship, were included as variables. Results : The five-year cumulative score of verbal viol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ressive symptom, and the relative risk was 1.180. The relative risk of five-year-old cumulative score of verbal violence in suicidal ideation was 1.276, and it was also significant even if they exclude the effects of depressive symptom. On the other hand, the five-year cumulative score of physical violence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suicide ideation if they excluded the effects of depressive symptom. Conclusions :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found that chronic verbal IPVs increase suicide ideation, even though they do not contain effects of depression. Such findings suggest that intervention in IPV in married women may help reduce the nation's suicide rate.

      • KCI등재

        거울자아이론을 바탕으로 살펴본 패션 인플루언서의 포스팅 활동

        박혜인,허유선,전재훈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2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2 No.2

        이미지 공유 기반의 인스타그램에서 패션 인플루언서는 ‘좋아요’와 댓글 기능을 통해 자신들의 이미지 에 대한 타인들의 반응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패션 인플루언서들의 포스팅 활동을 거울자아 이론에 기초하여 분석해 봄으로써 타인들의 평가로 인한 그들의 행위 변화 혹은 심리적 경험을 밝히고자 하였다. 문헌 고찰을 토대로, 15명의 패션 인플루언서들을 선정하여, 그들의 포스팅 활동을 포스팅 이전 및 포스팅 이후로 나누어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인플루언서는 포스팅 이전에 는 팔로워들의 평가를 미리 예측하여 그들의 긍정적 반응의 유도를 위한 외모 및 체형 관리, 패션 제품의 구매, 패션 스타일링 등의 포스팅을 준비하고 있었다. 둘째, 패션 인플루언서는 팔로워들의 반응이 긍정적 일 경우, 해당 패션 스타일을 구축 및 확장하였으며, 반응이 부정적일 경우, 그것들을 기피하거나 새로운 스타일로 바꾸었다. 셋째, 패션 인플루언서는 팔로워들의 긍정적 반응에 대해 자신감과 자존감의 향상은 물론 유명세에서 오는 만족감을 느끼고 있었다. 반면, 팔로워들의 부정적 반응에 대해서는, 거부감 및 괴리 감을 느끼며, 계속되는 스트레스로 인해 탈진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를 통해 볼 때, 인스타그램은 패션 인 플루언서들이 타인들의 시선으로 자신을 바라보는 공간이며, 그들이 자신들의 개성 및 주관적 기준으로 패 션 스타일을 제공하리라는 일반적 통념과는 달리, 타인들의 반응 및 그 수치적 평가가 그들의 자아 및 자 아 표현 방법을 변화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패션 인플루언서들의 포스팅 활동을 거울자아 이론을 토대로 살펴봄으로써 패션 연구의 학문적 지평을 확장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In Instagram, which is based on image sharing, fashion influencers can notice the immediate reaction of others to their image through ‘Like’ and comment functions.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behavioral changes or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fashion influencers that are caused by the evaluation of others by analyzing their fashion posting based on the looking-glass self theor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we selected 15 fashion influencers, and analyzed their posting: before posting and after post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efore posting fashion influencers imagined the evaluation of their followers in advance, managing their appearance and body shape, were preparing to post such as purchasing fashion products, styling to induce positive responses. Second, fashion influencers built or expanded a fashion style when their followers' reaction was positive, and avoided the existing style or challenged a new style when the reaction was negative. Third, when followers got positive reaction, fashion influencers’ confidence and self-esteem improved, and they felt satisfied as they gained fame. On the other hand, when followers got negative reaction, they felt rejected and separated and suffered exhaustion. Thus, it was found that Instagram is a space where fashion influencers see themselves through the eyes of others. In addition, contrary to the common belief that fashion influencers provide fashion styles based on their individuality and subjective standards, they can change themselves and their self-expression methods according to others' reactions and numerical evalu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ed the academic landscape of fashion research by reviewing fashion influencers’ posting based on the looking-glass self theory.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업무소진과 사회지능의 탐색 연구

        박혜인,이경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6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업무소진과 사회지능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J시, D시에 소재한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188명을 대상으로 2015년 8월 3일에서 9월 1일 까지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사회지능, 소진, 이직의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검증, 일원변량분석, Pearson 상관관계, 위계적 조절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이직의도는 학력, 연령, 간호직 추천, 근무연수, 직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회정보는 직위에 따라, 사회기술은 여가활동, 교대근무형태, 병원 교육 참여도, 간호직 추천의사 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소진은 사회정보와 부적상관관계가 있고, 이직의도, 사회기술, 사회적 인식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 이직의도에 소진은 높은 영향력을 보였고, 업무소진과 이직의도간의 사회지능은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습지능인 사회지능이 간호사의 업무소진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탐색하는데 연구 의의를 두며 사회지능 향상을 위한 디지털 융합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을 제언한다.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ocial intelligence and burnout on the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as a descriptiv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ugust 3 and September 1, 2015. A total of 188 nurses working at university medical centers and general hospitals located at J city and D city were participa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turnover inten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 age, job preference of nurse, work period and position. Burnout showed significant effect in social intelligence and turnover intention. Social intlligence did not have control effect between turnover intention and job burnout. This findings suggested that to prevent the nurse's turnover intention, the education for social information, social skill and social awareness has to be programmed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intellig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