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육에서의 치료교육과 관련서비스

        이필상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7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roles of therapeutic education and related service in speci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is instruction design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lso have special learning needs. Some of these students have difficulty learning in regular classrooms, but they need special education to function in school. Others generally do well in regular classrooms, but they need special education to help them master certain skills to reach their full potential in school. Related services are defined as "transportation, and such developmental, corrective, and other supportive services..as may be required to assist a handicapped child to benefit from special education. Among the services specifically included with the related services definition are speech pathology and audiology, psychological services, medical services,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recreation, and counseling. Therapeutic education is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is one area of the Korean national special school curriculum in special education. and therapeutic education is one in the related service which increases the efficiency of special education.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 특수교육에 있어서 특수교육진흥법과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정과 맞물려 ‘뜨거운 감자’로 지칭되어 논쟁의 한 가운데 위치한 치료교육에 대해서 그 용어적 의미나 개념 재정립 보다는 현재적 의미에서의 올바른 역할 탐색을 위해 중재로서의 특수교육, 특수교육과 관련서비스, 그리고 관련서비스와 치료교육에 대한 원론적 입장에서의 의미를 재조명해 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서의 치료교육의 발전적 역할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동화를 활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필상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4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language-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ils to vocabulary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 language-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les is applied to analyze an improvement of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the use of parts of speech in terms of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o achieve this, 3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who were in the special education center of K university in D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with parental consent. The experiment using a language-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les was held in total 20 sessions. In the intervention perio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5 fairy tales, 4 sessions per each fairy tale, including a reading every session. In the experiment a language-game program was conducted in 4 sessions by selecting 2 categories among 8 categories per session.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language-game program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o vocabulary improvement,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examinations were carried out by dividing a preliminary and a posthumous. The result was analyzed by presenting a raw score and an age equivalent.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 language-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l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receptive vocabular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Second, a language-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l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xpressive vocabular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In conclusion, a language- 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l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ement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nd the frequency of parts of speech utilization in terms of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동화를 활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정신지체 아동의 수용 및 표현 어휘력의 향상을 알아보고, 수용 및 표현어휘의 사용에 있어서 품사의 활용 향상에 대한 효과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D광역시의 K대학교 특수교육센터에 다니는 정신지체 아동 중 정신지체로 진단받고 부모의 동의를 얻은 아동 3명을 대상으로 동화를 활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을 20회기 동안 적용하였다. 중재 단계에서는 다섯 편의 동화를 각 동화 당 4차시로 나누어 매 회기마다 1회씩 읽어주고,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은 8가지 유형 중에서 매 회기마다 2가지 유형을 선정하여 4차시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동화를 활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수용어휘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정신지체 아동의 표현어휘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정신지체아동을 대상으로 적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이 수용 및 표현어휘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수용 및 표현어휘의 사용에 있어서 품사 활용 빈도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기업집단의 경영구조와 기업성과 및 기업가치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이필상,신유식,진서훈 대한경영학회 2005 大韓經營學會誌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d on the empirical test of factors of managerial structure. We analysed using LISREL(structural equation) metho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structure, performance and value of the top 30 Korean Chaebols. This study extends empirical work on governance theory to two ways. First, it examines a much broader set of governance theories, many of which have not previously been analyzed empirically. Second, it uses a factor-analytic method that mitigates the measurement errors encountered when working with proxy variables. Th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of managerial structure have effects on the value and performance of business groups. Second, after the 1997 financial crisis of, the statical significances of governance factors increase bu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s of business structure factors decrease. The results indicate that governance may be an important determinant of performance and value of business groups. 본 연구는 우리나라 30대 기업집단의 경영성과 및 기업가치를 결정하는 경영구조 요인을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을 설정하고, 상장기업들의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적 검증을 했다. 분석 결과, 사업구조 요인인 다각화, 사업간관련, 핵심사업집중, 다시장접촉과 지배구조 요인인 피라미드지배, 내부지분, 외국인 주요주주, 레버리지, 직접금융비중 등이 경영성과 및 기업가치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외부환경요인이 기업집단의 가치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보기 위해 IMF외환위기 전․후로 기간을 나누어 동일한 분석을 했다. 분석 결과, 외환위기 이후 다각화, 多市場 접촉 등 전통적인 사업구조 요인들은 통계적 유의성을 잃은 반면, 지배구조 요인들이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유지했다. 이는 기업집단의 경영성과 및 기업가치 결정에 있어서 외부환경 대응전략인 사업구조 요인의 역할에 비해 내부효율성을 통제하고 조정하는 지배구조 요인의 역할이 증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동안 이 분야 연구에서 다양한 이론과 변수간의 인과관계로 인해 방법론상 어려움이 많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LISREL모형을 이용하여 경영구조 요인과 경영성과 및 기업가치 간의 순차적 인과관계를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이며 완성도 높은 분석을 했다.

      • KCI등재

        수상지수선물(洙償指數先物) 수익률(收益率)과 현물(現物) 수익률(收益率)간의 일중(日中) 관계(關係)에 관한 연구(硏究)

        이필상,민준선,Lee, Pil-Sang,Min, Jun-Seon 한국재무관리학회 1997 재무관리연구 Vol.14 No.1

        본 논문은 시장개설 초기 4개월간의 주가지수 선물수익률과 기초자산인 현물(KOSPI 200) 수익률간의 선도-지연효과를 두 개의 모형을 이용하여 실증검증하였다. 첫 번째 모형은 설명 변수로 선물수익률의 시차변수를 사용하고 종속변수로 현물수익률을 사용했다. 두 번째 모형은 설명변수로 선물수익률의 시차변수를 사용하는 것은 첫 번째 모형과 같으나 종속변수로 ARMA모형에서 구한 현물수익률의 오차항(return innovations)을 사용하였다. 또, 여러 시장조건에서 현물수익률과 선물수익률사이의 선도-지연효과가 특정한 양상을 보이는가를 분석하였다. 좋은 정보와 나쁜 정보, 거래량이 많은 경우와 적은 경우, 변동성이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로 나누어서 선도-지연효과를 살펴보았다. 실증검증의 결과 KOSPI 200 현물수익률은 ARMA(2,3) 모형이 적합하며 선물이 현물을 10분 이내로 선도한다. 하지만 그 관계는 일방적인 것이 아니어서 15분후에는 현물이 선물을 선도하는 피드백(feed-back) 현상이 나타났다. 좋은 정보(good news)에서는 선물이 현물을 5분정도 선도하고 나쁜 정보(bad news)하에서는 선물 선도현상이 약해진다. 보통 정보(morderate news)하에서는 현물이 선물을 10분내로 선도한다. 거래량이 많은 경우와 변동성이 높은 경우에는 선물이 현물을 선도하는 것이 뚜렷하나 거래량이 적은 경우와 변동성이 낮은 경우에는 선물과 현물간에는 특정한 선도-지연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 장애학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소고

        이필상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0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 No.1

        The twenty-first century can be called the era of culture. Hence culture and art education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ever before. One of alternatives to the problems derive from cognitive subject-centered education in school is culture and arts education. Culture and arts have not been seriously considered in relation to edcation, even though they had been frequently provided as a form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many artistic and cultural veneus. In 2005, the National Assembly passed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Act, which suppor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arts organizations. And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much activity in field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spite that trend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al ne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not been proceeded active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necess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propose improvement direction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로, 학교교육의 문제점인 주지 교과 중심 교육의 대안 중 하나가 문화예술교육이다.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이 제정되고, 문화예술교육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들이 시도되고 있지만 장애학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연구는 아직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을 문화예술교육과 장애학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특수학교 교육과정 내에서의 문화예술교육 관련 내용과 국내의 장애학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사례를 문헌고찰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학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은 현재 특수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음악, 미술, 체육 등의 교과 내용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장애학생들의 정상화, 자립생활, 역량강화 및 사회통합 실현에 긍정적이고, 장애학생의 강점을 강조하고 비장애학생과의 통합의 가능성을 높여주는 유용한 교육활동으로서 그 필요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향후 장애학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