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현장실습과정에서 예비특수교사의 교수설계 경험과 성장에 대한 고찰

        서선진,박경옥,전병운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student teachers' experience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n instructional design during their teaching practicum. Total of 10 student teachers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on their 4-week teaching experiences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tudent teachers thought that instructions and lessons plans in school settings were not fulfilled as much as what they learned and emphasized in their preservice program. The instructional design practices of student teachers highly counted upon themselves rather than their mentor teachers. Student teachers perceived that they needed more feedback on their lesson plans and teaching practices. They learned that it was not sufficient enough to become a g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yet. However, they built a new understanding on instruction and a sense of accountability for thei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a better teaching practicum, student teachers suggest that it need to reach a consensus on good instruction and active preparation for and improvement in teaching practicum fo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programs.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teaching practicu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special education were provided. 이 연구는 학교현장실습에서 예비특수교사들이 경험한 교수설계 과정과 이에 대한 성찰적 반성을 통해 이들이 교사로서 어떠한 성장을 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현장실습을 갓 마친 10명의 예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내용 분석하였다. 면담 결과, 예비특수교사들은 첫째, 학교현장실습에서의 교수설계는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에 대한 이해의 과정이었다고 하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지도교사의 개별적 역량에 의존하여 교수설계 지도를 받았고, 지도교사의 지도 내용과 자신의 성찰을 바탕으로 교수설계를 터득해 나갔다. 그러나 지도교사와 예비교사 간 교수설계와 관련된 의사소통은 충분하지 않았다고 보고 하였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학교현장실습을 통해 반성과 배움의 과정을 거치면서 수업의 운영자로서의 역할, 수업에 대한 관점 형성, 및 학생 교육에 대한 책무성을 인식하는 등 교사로서 성장해가는 계기가 되었다고 밝혔다. 넷째, 예비교사들이 우수한 특수교사로 성장해 나가기 위해서는 학교현장실습을 하기 전 수업과 관련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고, 실습 체제 자체의 전반적인 정비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현장실습의 올바른 성격 규명과 지도 지침, 실습 지도교사의 역량 강화의 문제, 실습기관과 대학 간의 협력적 연계 등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일반 초 ․ 중 ․ 고 통합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평가 실태 분석

        서선진,박경옥 한국통합교육학회 2018 통합교육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일반 초․중․고에 완전 통합된 통합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평가가 어떻게 이 루어지를 알아보고 그들을 위한 교육평가 지원의 실태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통합교육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93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합 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자들의 상당수는 초·중·고 전 과정에서 비장애 또래들과 동일한 평가유형 에 참여하고 평가의 내용과 기준도 동일하게 적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수행평가의 방법 은 초등과정에서는 관찰에 의거한 평가가, 중등과정에서는 교사제작 평가지를 활용한 평가가 주를 이루었다. 교육평가의 결과 처리 역시 비장애 또래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이들 의 평가 참여 자체를 인정하지 않거나 인정점 처리 등의 방식도 활용되고 있었다. 특수교사는 이 학생들에게 거의 직접 교수를 제공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평가조정 등의 지원 제공 역 시도 이 학생들에게 해당사항 없다고 답한 경우가 과반을 넘었다. 이 학생들을 위한 교육평가 지 원 사항을 결정할 때 장애 유형이나 정도, 보호자의 의견 순으로 반영하고 있었고, 과정에 따라 중시하는 요소에 대한 응답 순위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응답자들은 통합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 자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평가 방안으로 일반학교의 평가 체제를 유지하면서 평가조정을 제공하는 형태가 적절하다고 보고하였다. 이상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 초․중․고 통합학급 배치 특수교 육대상자의 교육평가 실태의 의미와 유의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urvey study was to examine how educational evaluation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who were fully included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were executed by school levels. Nine hundreds and thirty eigh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the experiences of inclusive education were answered this online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fully inclusive classes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evaluations as the same as those of their nondisabled peers and were applied by the same evaluation criteria and scoring system.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many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the full inclusion placement rarely provided evaluation-related supports including test accommodations. Lastly, the IEP teams made evaluation decisions mainly considering a student’s disability types and degrees, his/her parental opinions and/or present performance levels.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educational evaluation practice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fully included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were provided.

      • KCI등재

        학습문제아동의 수업참여와 주의집중 증진 방안에 대한 고찰 : 통합학급의 국어 읽기수업을 중심으로

        서선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8 교과교육학연구 Vol.12 No.3

        수업시간에 학습문제를 가진 아동이 보이는 소극적인 활동참여와 잦은 과제이탈행동은 이들이 학업에 도움이 되는 기술을 습득하고 숙달하는 데 있어 큰 걸림돌이 되어 왔다. 그러므로 이 아동들의 수업 참여와 과제에 대한 주의집중을 높이는 것은 이들의 학업 수행과 성취를 향상시키고 나아가 학교생활에 보다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국어의 읽기 영역은 학습문제를 가진 아동의 상당수가 가장 많은 어려움을 보이는 교과의 한 분야로, 학습문제 아동이 읽기에 별로 흥미를 갖지 못하고 쉽게 수업 활동에 몰입하지 못하며 주의집중을 유지하기 어려워한다는 연구결과는 우리로 하여금 이들이 읽기수업에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주의집중을 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수전략에 관심을 돌려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최근 통합학급에 학습문제 아동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에서 이러한 관심은 더욱 더 중요하다. 본 고에서는 학습문제 아동이 포함된 읽기수업에서 매우 뛰어난 학생참여와 주의집중을 이끈 일반 및 특수교사의 수업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학습문제 아동이 읽기교과에서 보다 적극적인 학습자로 거듭나도록 도와줄 수 있는 7가지 교수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학습문제 아동의 읽기수업 참여와 주의집중을 촉진할 수 있는 교수 전략은 (1) 흥미롭고 실생활에 관련이 있는 이야기, 활동, 예시를 활용하고 (2) 아동에게 참신하고 다양한 과제와 활동을 쓰며 (3) 필요한 읽기 기술을 직접 교수하고 읽기에 필요한 학습전략을 가르치며 (4) 읽기 수업에서 학생이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5) 수업의 학습목표와 활동목표를 명확히 제시하고 (6) 학생의 읽기 수행에 대하여 칭찬, 보상과 함께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며 (7) 국어, 읽기 학습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있다. 이상의 교수전략을 실행하기 위하여 읽기를 가르치는 교사는 무엇보다도 아동이 가지는 학업적 어려움과 이에 수반하는 사회-정서적 고충 및 학습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수업참여와 주의집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전략을 통일성 있고 체계적으로 활용한 수업을 구성하고 모든 아동의 학습을 격려하고 지원하는 학급 내 학습 공동체를 구축하며 학부모와 학교 내 다른 영역의 전문가(예 특수교사 혹은 일반교사)와 협력적 관계를 수립해야 할 것이다.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often suffer from engaging in learning activities and tasks, which often result in poor academic performance and/or low academic achievement. Teachers of these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particularly, have difficulty in engaging them into class instruction. It is needed for teachers to know which instruction can be effective in facilitating the student engagement of their students including those with learning problems. Thus, this paper is designed to examine effective approaches for enhancing the student engagement of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in inclusive elementary classrooms, especially in reading. Relevant research findings show that follow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student engagement: (1) using relevant and interesting tasks and/or activities,(2) using novel tasks and activities, (3) applying direct instruction and strategy instruction, (4)supporting student autonomy, (5) identifying instructional goals and objectives, (6) using reinforcement with clear feedback, and (7) creating an instructional environment that is conducive to reading.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s should understand these students' difficulties and their learning characteristics, implement effective instruction using strategies listed above cohesively, build a learning community, and collaborate with the parents and other educators in order to facilitate the student engagement of all students.

      • KCI등재

        초등 일반교사가 인식하는 시간제 통합 배치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평가 실태 및 개선방안

        서선진,박경옥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학연구 Vol.5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spectives on evaluation pract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elementary schools. There were eight teachers who worked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ir inclusive classes participating in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clusive elementary schools failed to build effective evaluation system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were partially included. Second, very little support was provided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help them enact effective instruction and evalu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ir inclusive classes. Third,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heir special education teacher colleagues had a difficulty in sharing accountability for teaching and evaluating thei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chools. Fourth, there was a need for establishing an evaluation record syste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partial inclusion, developing evaluation guidelines for inclusive education, and strengthen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urriculum enhancement, and alternate assessments.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valuation practices in inclusion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provided.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시간제 통합 배치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묻고 이들이 제안하는 개선 방안을 탐구하는 데 있다. 통합학급 운영 경험이 있으면서 학교 평가에 전문성이 있는 일반교사 8명이 초점집단면담에 참여하였다. 면담 자료는 지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여, 총 5개의 대주제와 12개의 중범주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평가는 오랫동안 관심을 받지 못한 채 관례에 기초해 이루어지고 있고, 수업-평가 간 불일치로 이 학생을 위한 적합한 평가 체제가 구축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둘째, 일반교사에게 수업-평가를 연계하는 데 필요한 지원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셋째, 일반교사들은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평가에 대한 책무성을 특수교사와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넷째, 일반학교의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평가 개선 방안으로, 이 학생들을 위한 별도의 평가 기록 체제 수립, 평가 지침 개발, 관련 연수 제공, 정책적 지원, 공통교육과정과 기본교육과정 사이의 연계 강화 및 대안평가 방안 적용 등이 제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일반학교의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평가 실태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후 평가 개선의 방향성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 개선에 대한 유급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요구 조사

        서선진,김주혜 한국특수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학연구 Vol.50 No.1

        이 연구는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 시행 후 10여 년이 지난 시점에서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유급 보조인력(국비/지방비 지원 및 자활후견기관 지원)의 제도 개선 요구에 대해 살펴보는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국적으로 유급 특수교육 보조인력 2,15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특수교육보조인력 제도 개선에 대한 영역별 요구와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배경요인에 따른 세부 영역별요구 차이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자격기준에 있어서는 대개 고졸 또는 대졸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시도교육청이 주관하는 양성과정의 이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특수교육보조인력 선발에 대해서는 교육(지원)청이 주체가 되어 특수교육 보조인력을 선발·배치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또한, 급여 개선과 정기적인 연수기회 확대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평가를 통한 연수기회 확대와 보상체제 마련, 직무와 직접 연관된 교사 및 학교장 등에 의한 평가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의 개선 방향 및 함의에 대하여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opinions and needs for improving the current system for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Total of 2,017 paraprofessionals nationwide participated in a survey on the opinion and needs for various dimensions of the special education parprofessional system. The subjects were all those who received their salary from the national or regional expendi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considerably requested to improve the current system in working conditions, in-service and training programs, as well as the scope of their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qualification,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thought a paraprofessional pre-service program would be needed for those who graduated from a high school or higher. They demanded such programs to be enforced by local school district offices. Also the subjects wanted school district offices to be in charge of hiring and placing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The subjects demanded salary raise, learning opportunities to enhance their capacities on a regular basis. In the evaluation, they needed to ensure training programs and rewards based on its results, which would be conducted by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system were provided.

      • KCI등재

        시간제 통합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학교급별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

        서선진,최종근 한국특수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학연구 Vol.5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valuation practices of academic performance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who were partially included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at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 There were 1,034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worked in inclusive schools nationwide answered an online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ally included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in general, participated in the same evaluation practices as their peers without disabilities in terms of evaluation types, criteria, and result report. At the elementary level, there was flexibility in implementing evaluation practices depending on subjects or teachers whereas fairness in evaluation practices was highly emphasized at the secondary level.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pports for performance assessments were mainly to provide accommodations in environments and materials. Third, most schools had the assessment regul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the school building level, however test modifications regulations were listed for limited subjects. Fourth, the IEP team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elementary level relatively made more evaluation-related decisions than those at secondary level. Lastly, the IEP teams considered a student’s types and degree of disability, parents’ opinions and his/her present performance level when their decision for evaluation practices.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valuation practice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partially included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wer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제 통합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평가 참여의 방식과 내용, 평가조정 관련 의사결정 등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를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반학교에 재직 중이고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초ㆍ중등 특수교사 1,03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시간제 통합교육을 받는 특수교육대상학생들에게 적용되는 평가 유형과 방법은 학교급별로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초등 과정에서는 공통교육과정의 내용을 수정하여 가르치고 평가하는 등 담당교사에 따라 학생들이 참여하는 평가유형이 달라지는 반면에, 중등 과정에서는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평가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수행평가에 참여하는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을 위한 특수교사의 지원은 평가 환경 및 평가 자료의 수정이 주를 이루었다. 셋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평가 관련 규정 면에서, 중등 과정은 신체장애를 가진 학생에 대한 평가조정 지침 위주로, 초등 과정은 신체장애 및 인지적 장애를 가진 학생을 위한 평가조정 지침을 포함하는경우가 다수였다. 넷째, 중등 과정은 초등과정에 비해 평가 관련 의사결정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평가 참여 및 평가조정에 대한 사항이 IEP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가 절반을 넘었다. 다섯째, 개별화교육지원팀에서 평가와 관련된 의사결정을 할 때 학생의 장애 유형과 장애 정도, 보호자의 의견, 학생의 현재 기능 수준을 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학교급별 실태 조사 결과의 의미를 해석하고, 향후 시간제 통합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학업성취도 평가의 개선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사의 장애학생 대상 소프트웨어교육 경험 탐구

        서선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3 특수교육 Vol.22 No.2

        연구목적: 이 연구는 초・중・고 과정의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SW)교육을 시행하는 특수교사의 경험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초・중・고 과정 특수학교(급) 학생을 대상으로 1년 반 이상 SW교육을 제공하는 특수교사 6명을 심층 면담하였다. 지속적 비교 분석법을 통해 주제를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학생을 위한 SW교육은 수업 개선을 목적으로 한 교사 개인의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SW교육은 학생의 수업 참여를 촉진하고 컴퓨팅 사고력을 확장하며 학생의 교육적 경험을 확장하는 데 유용하나 SW교육에 대한 공감대 및 인프라 부족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특수교육 SW교육 발전을 위해 체험 기회의 확산,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 관련 정책 및 교사 역량 강화 노력이 확대되어야 한다. 결론: 특수교육 SW교육에 관한 관심과 지원 확대를 위한 종합적 노력이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with software(SW) education for their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Six teachers were purposefully recruited and interviewed about their experiences of teaching SW and AI to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constant comparison methods. Results: SW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started with individual teachers’ interest in improving instruction. SW education helped students promote their engagement in lessons, develop their computational thinking, and expand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However, teachers were concerned about other teachers’ and parents’ indifference and poor infrastructure for SW education. Conclusion: A comprehensive support plan is needed to foster SW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uch as exposing special education students and teachers to more SW activities, developing SW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aterials, and making more educational efforts to improve these students’ quality of life.

      • KCI등재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 탐색

        서선진,강훈식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to improve the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PES) of scientifically-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36 students in grades 5∼6 at a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es in Seoul were selected and conducted pre-test and post-test for ‘Test for Indicators of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TIPES).’ After the weekly science classes of the institutions were over,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with some students to explore the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for improving their PE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reveals that the science classes for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have been shown to improve PES of scientifically-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to improve their PES included eight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that appeared in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previous study such as ‘practice-centered exploratory activities,’ ‘student-led class,’ ‘positive and professional feedback,’ ‘construction of knowledge through exploration,’ ‘class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and aptitude,’ ‘use of materials related to real life,’ ‘smooth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n group activities,’ and ‘appropriate difficulty in learning content.’ There were also six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that newly emerged from science-gifted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through the strategies for improving scientific creativity,’ ‘inquiry experience as a little scientist,’ ‘advanced or accelerated learning experience,’ ‘learning experience with excellent students,’ ‘experience helping other students,’ and ‘experience with high or low achie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tudent’s PES are suggested.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의 한 초등 과학 영재교육원에서 과학영재교육을 받는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36명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긍정경험 지표에 관한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토요일에 진행되는 과학영재수 업이 끝난 후에 일부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긍정경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개별적인 심층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해당 초등 과학영재교육원의 과학영재수업은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긍정경험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긍정경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으로는 선행연구의 일반 학생에게서 나타난 ‘체험 중심의 탐구 활동’, ‘학생 주도적 수업’, ‘긍정적이고 전문적인 피드백’, ‘탐구를 통한 지식 구성’, ‘학생의 흥미와 적성을 반영한 수업’, ‘실생활과 관련된 소재 활용’, ‘모둠활동에서의 원활한 협업과 소통’, ‘학습 내용의 적절한 난이도’의 8가지 교수-학습 경험과 과학 영재 학생에게서 새롭게 나타난 ‘과학적 창의성 향상 전략을 통한 학습 경험’, ‘꼬마 과학자로서의 탐구 경험’, ‘심화 또는 속진 학습 경험’, ‘우수한 학생과의 학습 경험’, ‘다른 학생을 도와준 경험’, ‘높거나 낮은 성취 경험’의 6가지 교수-학습 경험을 추출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향상 방안에 대한 실제적인 시사점에 대해 논하였다.

      • KCI등재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과제와 개선 방향

        서선진,박경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developing lesson pla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ven skill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for their expertise in teaching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low self-efficacy in writing lesson plans and often developed annual and weekly lesson schedules, rather than daily lesson plans which were written for special occasions. Skilled teachers noted that lesson plans used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failed to mirror the uniqueness of special education in addressing student diversity. There was a lack of coherence in lesson plans to curricula and other related papers such as IEPs. However, skilled teachers admitted that establishing lesson plans was a single core task of instruction and helped themselves promote their expertise in teaching. Based on the results, considerations to improving lesson plan development in special education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숙련된 특수교사 7인과의 초점집단 면담을 통해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그들의 경험과 앞으로의 개선 방향에 대한 의견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수 교사들이 그간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작성하면서 가진 경험과 인식은 2개의 대주제, 6개의 중 주제로 집약되었다. 숙련된 특수교사들은 일상적인 수업과 보여주기를 목적으로 하는 수업 간의 괴리가 존재하며 교수ㆍ학습과정안의 분절성 문제를 지적하였다. 또한 교수ㆍ학습과정 안의 형식이나 내용이 특수교육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교사들이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에 대하여 낮은 효능감을 보이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교사들이 이러한 난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특수교육 교수설계 관련 연구와 논의를 늘리고 교사들의 교수설계 관련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강력한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에서의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개선방향과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습장애 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어휘 교수와 교사의 역할

        서선진 한국학습장애학회 2006 학습장애연구 Vol.3 No.1

        읽기에 어려움을 보이는 많은 학습장애 아동들은 제한된 어휘력 때문에 읽기과제를 수행하는데 있어 곤란을 겪는다. 우리는 어휘력을 바탕으로 글을 구성하는 개별 단어를 재인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며 더 나아가 글의 전체 의미를 파악하기 때문에, 어휘력의 향상은 학습장애 아동의 읽기 수행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학습장애 아동의 어휘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교수 방법의 활용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 효과적인 어휘 교수법에 대한 이해와 교사가 어떻게 어휘 교수를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읽기에 있어 어휘의 중요성과 더불어 실증적으로 그 효과가 입증된 다양한 어휘 교수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열악한 어휘력을 보이는 학습장애 아동을 가르치는 특수교사가 어떻게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어휘 교수를 디자인하고 시행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여기서는 교사가 아동이 어휘를 학습하는데 유리한 교수 환경을 제공하고 효과적인 어휘 교수방법을 기존의 읽기 교수 내에 접목시킬 수 있을지에 대해 초점을 맞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