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반마을의 문중의례(門中儀禮)와 종족의식(宗族意識)

        이연숙 ( Yeon Suk Lee ) 한국사회사학회 2007 사회와 역사 Vol.0 No.75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는 예안이씨 종족마을로 국가로부터 민속마을로 지정받아 마을 경관이 잘 보존되어 있고 활발한 문중활동과 엄정한 조상숭배의례 주수 그리고 가계 계승의식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마을이다. 예전부터 외암리는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의 주역 중 하나인 외암(巍巖) 이간(李柬)이 마을로 알려졌고, 근래에는 ``추사 한글 편지``전으로 김정희가 첫 부인과 사별하고 22살에 재혼한 예안 이씨(이간의 현손녀)에게 보내는 애틋한 편지가 공개되어 추사(秋史)의 처가마을로도 이름을 얻게 되었다. 예안이씨 문중은 16세기 후반에 외암리에 입향하여 18세기 중후반에 종족마을을 이룬 온양지역의 대표적인 사족가문이다. 예안이씨 문중조직은 장로연합체제로 의례 중심으로 운영되어오다가 1998년부터 종회장-부회장-유사체제로 재구성하였다. 2005년부터는 출가한 여성에게 종회원의 자격을 주었고 문중재산 평가액의 사승과 개발사업에 의한 처분으로 돈이 생기면서 위선사업을 벌이고 있다. 문중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묘제는 1970년대부터 꾸준한 이촌(離村)으로 참례자 수와 제수(祭需)의 양은 줄어들었지만 제일(祭日)이나 절차는 전통방식을 그대로 고수하고 있다. 그리고 산직을 두지 않고 전통제수차림업체에 제수를 주문하는 소종(小宗)까지 생겼을 정도로 문중과 산직(山直)의 관계가 변하고 있다. 한편 예안이씨의 종족의식은 양반자손이라는 자긍심과 문중재산의 존재, 의례의 엄정한 준수로 인하여 아직까지 강하게 남아 있는 편이다. 종족의식은 가계계승의식과 이어져 20세기 후반에도 입후(立後) 관행이 이루어졌고 앞으로 종가의 존속을 위해 또 다른 형태의 양자 탄생을 예고하고 있다. 현재 외암리 예안이씨 문중은 60~70대의 노년층 위주로 문중이 운영되고 있고 젊은 종중원들은 문중보다 민속마을에 더 매력을 가지고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아마도 지금의 젊은 종중원들도 노년이 되면 문중으로 회귀하여 세대상전이 되면서, 문중조직ㆍ의례가 지속ㆍ변화를 겪으면서 문중이 존속하리라 믿는다. 또한 외암리는 민속마을 지정으로 예산의 지원과 함께 다체로운 문화행사가 열리고 있다. 예안이씨 문중과 민속마을 보존회에서는 짚풀문화제의 한 프로그램으로 2005년에는 제일(祭日)까지 옮겨 관선재 제향을 올렸고, 2006년에는 문정공 사당에서 불천위제사를 지냈다. 이를 통해 문중은 경제적 원조와 전 국민의 관객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이 점은 문중과 민속마을의 전략적 공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A family village of Lee from Yean (Yean Lee) located in Oeam Li Sangak Myon Asan City was designated as a folk village from South Korean government because the Korean traditional village view, traditional ways of family rituals, worship ceremony for the ancestors and ceremony for lineage succession have been well preserved. Oeam Li is known for a village where Oeam, Lee Gan lived, who initiated a theory called Inmulsungdongleeron, which is a study on whether the nature of men and animals are the same or different. Recently, It is known as Chusa, Kim Jeonghee`s second wife`s village. This was revealed in "Chusa Hangul Letter" where he expressed his love. Chusa got remarried to a woman from Lee when he became twenty two years old after he lost his first wife. Yean Lee family was settled down in Oeam Li in the late sixteenth century and in the middle and late eighteenth century they formed a family village as a representative noble family in Onyang area. Yean Lee family was operated as an elder-united system focusing on rituals but from 1998it was reorganized as chairman-vice chairman system. From 2005, they provided women who married the different family with full membership and they started to charity business because the family asset grew from the development business. The grave ritual for the ancestors, which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event for this family has still followed the Korean traditional procedure although the participants and the ritual items decreased because people have moved to the city since 1970. Instead of having a person who takes care fo their family graves, some of people order the ritual items to the traditional ritual company. Meanwhile, Yean Lee`s family rituals preserves a traditional way because they have strong pride in their noble family heritage, the family`s asset, and strict ritual rules. The family rituals is followed by lineage succession rituals and even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a custom to adapt a son who succeeds to the family was performed and in the future, it will happened. Currently, Yean Lee family in Oeam Li is operated by elderly people at the age of sixties and seventies and the younger generation are more involved in the folk village project. However, when the younger generation becomes older, they will return to the family business and will take care of family organization, and rituals for the family`s preservation. Oeam li hosts various cultural events by government support after it was designated as a folk village. Yean Lee family and the folk village preservation committee performed a ritual ceremony as a part of Jippul cultural festival in 2005 after they changed the ritual date. In 2006 Bulcheonwijesa ritual was performed in Moonjeongong shrine. Through these events, the family achieves economical support from Korean people who come to see them. This happens with the cooperation of the family and a folk village.

      • KCI등재

        화서 이항로의 도덕국가론―탈근대적 국가상을 위한 비판적 검토―

        이승연(Lee Sung-Yeon) 동양사회사상학회 2004 사회사상과 문화 Vol.9 No.-

        본 논문은 제국주의로 전락할 수밖에 없었던, 또 설령 제국주의로 전락하지 않더라도 국가의 배타적 이익 추구를 전제로 하는 서구 근대 국민국가의 모순과 한계를 지적하고 그 대안적 국가상을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1792~1868)의 국가 사상에서 발견하고자 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항로는 서구 문화의 유입에 따른 충격과 내부적 모순이 극대화된 19세기, 주자학의 재확립을 통해 사회 질서의 재구축을 도모하였던 위정척사파의 중심 인물이다. ‘근대’가 사상사 연구의 한 기축을 이루면서 한때 봉건 질서의 옹호자로 배척받기도 했던 그의 사상은, 60년대부터 자주적 민족주의가 강조되면서, 이후 그의 제자들에 의해 주도된 의병항쟁과 더불어 자주적 민족주의의 선구로 재평가되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분명 전통적 질서의 옹호자였지만 당시의 부패한 조선을 옹호한 것은 아니었으며, 서구 세력에 대항하며 그들의 전통을 수호하고자 하였지만 우리가 말하는 민족주의자는 아니었다. 실제로 그들의 ‘국가’는 근대 국민국가 개념으로는 정의될 수 없는 그들만의 ‘국가’였던 것이다. 그에 대한 이처럼 상반된 평가는 그 평가의 기준이 ‘근대’와 ‘민족주의’라고하는, 일견 상이한 것 같으면서도 ‘근대’라고 하는 동일한 뿌리에서 파생된 오늘날의 우리의 잣대로 그들을 보고자 한 것에 기인할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근대 국민국가와는 정면으로 대치되는, 또 근대 국민국가의 틀안에서는 설명될 수 없는 이항로의 국가 사상을 통해 유가적 국가 사상의 의의를 재조명하는 한편, 그의 국가 사상을 기초로 탈근대적 국가상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유가적 국가 사상의 근간이 되는 『대학』과 『춘추』를 중심으로 이항로의 전체적인 국가 사상을 개괄적으로 소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19세기 조선이라고 하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서양에 대한 대항적 언설로 구성된 그의 국가 사상의 특징과 의의를 규명하고자 한다. The present paper attempts to point out the self-contradiction and the limitation of the modern Western republic that premises on the exclusionary pursuit of the national interests--if it could not but inevitably degenerate into the imperialism--and seeks to discover the alternative national image in the national ideology of HwaSuh Hang-Ro Lee(1792~1868). As it has been noted, Lee was the central figure among the “위정척사 WeeJungChuckSah” who attempted to re-structure the social order through re-establishment of the JuJaism in the mid 19th century when the shock and inner-conflicts from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culture had reached its peak. Lee had once been accused as a defender of the feudal order, and his ideas had been rejected, when the modernism was established as a main current of the philosophical ideas. Since the 1960s when the spirit of the national independence was emphasized, Lee’s ideas, along with the armed struggle for the independence led by his followers, have been re-evaluated as the pioneering ideas for the self-determinative nationalism. Although he clearly supported the traditional order, he did not defend the corrupt government of Chosun; he struggled to defend her heritage against the encroaching Western forces, but he was not the kind of nationalist as we know of. In reality, his ‘nation’ was an idea of his own that could not be defined by the modern, concept of the republic. The conflicting critiques of Lee are perhaps due to the fact that the modern measuring stick we use is based on both converging and contradicting ideas of the modernism and the nationalism. The present paper, therefore, seeks to illumine anew the Confucianistic national ideology through Lee’s national ideology, which stands opposite of the modern republic and can not be explain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modern republic. At the same time, based on Lee’s nationalism, the present paper seeks to explore a national image that transcends the modern national ideology.

      • KCI등재

        최근 제주도 도심과 배경지점에서의 CO2 농도 변화 및 복사강제력 영향 연구

        이수정 ( Soo-jeong Lee ),송상근 ( Sang-keun Song ),박연희 ( Yeon-hee Park ) 한국환경과학회 2016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5 No.7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CO2 concentrations and radiative forcing (RF) due to CO2 were examined at urban center (Yeon-dong) during 2010-2015 and background sites (Gosan) during 2010-2014 on Jeju Island. The RF at the two sites was estimated based on a simplified expression for calculating RF for the study period. Overall, annual mean CO2 concentrations at the Yeon-dong and Gosan sites have gradually increased, and the concentrations were higher at Yeon-dong (401-422 ppm) than at Gosan (398-404 ppm). The maximum CO2 concentrations at the two sites were observed in winter or spring, followed by fall and summer, with higher concentrations at Yeon-dong. The RF at Yeon-dong (annual mean of up to 0.70 W/m2 in 2015) was higher than that at Gosan (up to 0.46 W/m2 in 2014), possibly because of higher CO2 concentrations at Yeon-dong resulting from population growth and human activities (e.g., fossil fuel combustion). The highest monthly mean RFs at Yeon-dong (approximately 0.92 W/m2) and Gosan (0.52 W/m2) were observed in spring 2015 (Yeon-dong) and spring 2013 (Gosan), whereas the lowest RFs (0.17 and 0.31 W/m2, respectively) in fall 2011 (Yeon-dong) and summer in 2012 (Gosan).

      • KCI등재후보

        임상 간호사의 역할과 부담과 기본간호 술 수행 시의 무균술 이행의 관계

        이선옥 ( Sun Ok Lee ),박경연 ( Kyung Yeon Park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1

        본 연구는 2차 병원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역할과부담 정도와 기본간호술의 무균술 이행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여 병원감염 률 감소를 위한 임상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대상지들의 역할과부담은 9.85접으로 5점 만점에서 3.28점인 것으로 나타나 중정도 이상의 역할과부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같은 도구를 이 용하여 간호사들의 역할과부담을 측정한 Lee 등(2002)의 연구 결과인 3.41점보다 조금 낮았는데, 이는 본 연구는 2차 병원 간 호사만을 대상으로 한데 반해 Lee 등(2002)의 연구는 3차 병원이 포함되어 연구 대상 병원별 업무의 특성이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체 대상지들의 병원감염과 관련된 기본간호술 이행 시의 무균술 이행 정도는 유치도뇨관 삽입 시가 42.72점으로 5점 만점으로 4.27점9로 나타나 Lee와 Kim (2002)이 중환자실 간호사 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병원감염 예방에 대한 유치도뇨관 관리 의 수행도 3.61/5점이나 응급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한 Park, Shin, Lee와 Kim (2008)의 4.01점보다 높은 것이다. Lee와 Kim (2002)의 연구 및 Park 등(2008)의 연구는 유치도뇨관 삽입 이후의 관리가 조사내용의 주를 이루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도뇨관 삽입절차 중의 간호사들의 무균술 이행정도를 조사한 것임을 생각할 때 삽입 절차 중의 무균술 이행이 삽입 후 관리 에서의 무균술 이행보다 더 잘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수액주업용 정맥관 삽입 시의 무균술 이행정도는 40.11점으로 5점 만점에서 3.65점인 것으로 나타나, 임상간호사의 병원감염 관리 중 투약관리 영역이 4.4/5점(Kim & Chun, 2002)이었던 선행연구보다는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선행연구에서 기본간 호술 이행 중의 무균술 이행을 측정한 연구는 찾기 힘들었고 대 병원감염관련 무균술 연구는 유치 후의 관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단순 비교는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본 연구 결 과와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감염관리에 대한 선행 보고 는 임상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수행도 조사(Choi & Park, 2002; Kim & Chun, 2002), 감염관리 간호사들의 감염관리 업무,(Oh & Yi, 2005) 등 감염관리 전반에 대한 젓이 주를 이루어 간호술을 포함한 의료숨기 개별 행위절치마다의 무균적용에 대한 평가와 검토는 간과된 측면이 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이들 부분은 의료인의 양심에 따른 것으로 치부하고 있었으나 잘못 인지하고 있는 것은 없는지, 인지하고 있는 것을 정 확하게 이행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연구보고를 통해 더 구체적 인 감염불이행의 영역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자료의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병원감염률감소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젓이라고 본다. 대부분의 간호사들은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감염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시숨을 분명하게 알지 못하고 있다는 보고는(Hallett,2000) 이를 뒷받침하는 결과라고 본다. 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발생의 주요 원인의 하나가 도뇨관 삽입 절차 중의 무균술 불이행이며 도뇨관 삽입의 대부분이 간호 사에 의해 이루어지므로(Bissett,2005) 기본간호술 이행 중에 발생하는 오염발생에 대한추후반복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대상자들의 연령, 결혼상태, 교육정도, 밤 근무 유무, 근무장 소,직위별로는 역할과부담 및 무균술 이행수준 모두에서 유의 한 차이기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병원감염예방에 대한 수 행도에서 연령, 결흔상태,교육정도, 직위에서 유의한 차이기 없었다는 Lee와 Kim (2002)의 연구와는 같은 결과를 보인 젓 이지만 연령이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36세 이 상,10년 이상의 근무경력을 가진 간호사의 관리에 대한 중요 성을 피력하고 있는 Park 등(2008)의 연구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서 추후 반복연구를 통해 재규명해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의 역할과부담 및 무균술 이행수준 측정 도구가 낮은 Cronbach`s alpha 값을 보이고 있으므로 결과의 해석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역할과부단과 기본간호술 이행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유치도뇨관 삽입 시 무균술 이행수준과 수액주입용 정맥관 삽입 시의 무균술 이행수준 모두가 역할과부담과 유의한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응급실 간호사들의 감염관리 이행이 업무의 많고 적음과는 관계가 없었다는 Park 등(2008)의 결과와 같은 것이다. 그러나 표준화된 투약지침의 불이행은 간호사의 과 중한 업무량 등에서 초래될 수 있다는 Santell, Hicks, McMee-kin과 Cousins (2003)의 보고와 차이가 나는 것이다. 이는 Santell 등(2003)의 연구에서 표준화된 투약지침은 투약을 위 한 five right과 전반적 절차 모두에 중점을 두어 시간적 소요가 있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간호술의 전제 절차 중 감염관련 부분 만을 측정한 결과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역할과부담이 손씻기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던 Lee와 Kim (2002)의 연구 결과와도 차이가 나는 것인데 이는 손씻기가 본래의 간호 업무 수행의 전과 후에 시행되는, 추기되는 행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호시간이 추가되는 것인데 반해 유치도뇨관 삽입이나 수 액요법을 위한 정맥관 삽입에 따른 절차 중의 무균술 적용은 본래의 간호업무 그 자체 절차 중의 하나로 유치도뇨관 혹은 정맥 관을 삽입 시 무균술 적용을 위해 더 많은 시간을 요구하기보다 는 간호사가 의식을 집중하는 주의의무를 요구하는 측면이기 때 문이라 생각된다. 즉, 역할과부담에서 가지는 시간적 제약이나 업무부담감 등을 직접적으로 요구하지는 않는데서 기인된 결과가 아닌가 생각된다- 이로써 오히려 전제 절치 중 병원감염관리를 위한 간호술기 수행은 별도의 인력 보충없이 개개인의 노력으로 실천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각 변수별 상관관계에서는 유지도뇨관 삽입 시의 무균술이 행수준이 높을수콕 수액주입용 정맥관 삽입 시의 무균술 이행 수준이 높아유치도뇨관삽입시 무균술 이행수준과 정맥관 삽입 시의 무균술 이행수준 간의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두 가지 술기 모두 기본적인 무균개념에 바탕을 둔 것이기 때문에 나타난 자연스런 결과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무균이행 정도를 자가보고형 설물으로 조사한 것이라는 제한점이 있어 연구결과를 해석하는데 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병원감염 관련 선행연구와 달리 구체 적인 간호술기 과정 중의 멸균 이행정도를 조사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보며 이러한 병원감염원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병원감염 관리 전략개밥의 기초자료로 활용됨 수 있을 젓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was investiga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workload and aseptic technique perfor-mance by clinical nurses, and to decrease the incidence rate of nosocomial infection. Methods: Participants (N=283) were recruited in B city from April to June 2007.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Nursing workload was rated 9.85 out of a total score of 15. The level of aseptic technique performance as the basis for insertion of a Foley catheter was 42.72 out of a total score of 50, and as basis for insertion of intravenous catheter for fluid therapy was 40.11 out of a total score of 55. There was not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septic technique performance and nursing workloa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septic technique performance in insertion of Foley catheter and that of intra-venous catheter for fluid therapy (r=.279, p<.00l). Conclusions: Attention to asepsis by nurses is crucial in nosocomial infection-related clinical nursing skills.

      • 췌장염에 의한 가성낭종내에 생긴 가성동맥류 : 1례 보고

        오연희,이채경,김승현,이성우,양창현,이정호,이영현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96 東國論集 Vol.15 No.-

        만성 췌장염의 합병증으로 생긴 가성동맥류는 드문질환으로, 반복적으로 다량의 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며,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사망율이 높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이다. 저자들은 38세 남자 환자에서 췌장염의 합병증으로 생긴 가성낭종내에서 발생한 가성동맥류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가성 동맥류의 색혈류도플러상 낭종내에 양방향 흐름의 와류를 볼 수 있었다. Pancreatic Pseudoaneurysm within Pseudocyst from Pancreatitis: 1 Case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and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DongGuk University Yeon Hee OH M.D., Chae Kyeong Lee M.D., Seoung Hyeon Kim M.D., Sung Woo Lee M.D., Chang Heon Yang M.D., Jung Ho Lee M.D., Young Hyun Lee M.D. Pseudoaneurysm from pancreatitis is uncommon, but it can cause recurrent and massive hemorrhage. Because of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the pseudoaneurysm is needed. We report a case of pseudoaneurysm within pseudocyst from pancreatitis. Color-flow Doppler sonography shows bidirectional flow and turbulent arterial flow, within anechoic mass.

      • KCI등재

        이어령 초기 문학 비평 연구

        이도연(Do-Yeon Lee)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0 No.-

        이어령은 1950년대 스스로 '背德兒'임을 자처하고 우상의 파괴를 주장하며 한국 문단에 등장하였다. 그는 '문제 제기의 명수'라는 한 평자의 지적처럼 시대의 징후를 예민하게 감지하여 문단의 이슈를 선점하고 현란한 언어로 당대 비평가와 독자들을 매혹시켰다. 이에 대해서는 언어의 사기술사에 불과하다는 혹독한 비판도 있지만 戰後 한국의 현실 속에서 참여 문학론을 중심으로 가장 뚜렷한 비평적 언어를 개진한 논자 중의 하나라는 데에는 이의가 없다. 한국 비평사에서 그의 참여 문학론의 진정성이 의심받게 된 것은 그가 4.19를 경험한 후에 스스로 참여문학론을 버리고 순수 문학으로의 복귀를 선언했기 때문이다. 이어령은 문단 데뷔와 동시에 전세대의 문학적 전통과 유산을 전면적으로 부정하고 스스로 새로운 전통의 창조자가 되어야 함을 천명하였다. 그에 의하면 자기 세대는 문화적 '화전민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세대, '신화 없는 민족'의 후손으로서 '주어 없는 비극'을 담당하고 있는 세대이다. 따라서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새로운 전통을 창조할 수 있는 자기논리를 갖추는 것이 관건이 될 것이다. 그 자기논리의 실체가 무엇이었는지는 이후에 상술하기로 하고, 먼저 그가 초기 문학 비평의 핵심어로 사용되고 있는 '저항의 문학' 혹은 '참여 문학'의 논리와 그 의미를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그의 문학론을 이루고 있는 몇 가지 전제들을 미리 확인해 둘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이어령의 참여 문학에서 순수 문학으로의 轉化에 대한 가치 평가를 목표로 하지 않는다. 본고는 그의 초기 문학 비평을 통해 드러나고 있는 참여 문학론의 논리를 변화와 단절이 아니라 지속과 연장의 관점에서 재구성함으로써 그의 문학론에 내재되어 있던 논리적 모순을 밝히고자 한다. O-Young Lee in the 1950's, claimed 'baedeokah'(背德) the destruction of idols in the literary world emerging in South Korea. Some refer to Lee as an expert in making suggestions to problems in today's world based on the people of this generation; being the first to foresee the contemporary issues surrounding the literary world, and captivating the awe of other critics and readers through his unique way of writing. On the other hand, some critics believe his writings to be more like a play upon words. However, after the (Korean) war, he was best known for his use of critical language; and focus of engaged literature. However, after the war, Lee announced his refute on engaged literature and change to pure literature. Lee denounced the traditional forms of thought thus creating a new outlook towards one's logic, and the discovery of that logic. Thence, taking at look back at his own early criticism, uprising a reformation and to find a contradiction of logic

      • KCI등재

        가평 전주이씨묘 출토복식 고찰

        최연우,박윤미,김윤경,김지희,박양희,이선우,차서연,편나영,황혜남,Choi, Yeon Woo,Park, Yoon Mee,Kim, Yoon Gyung,Kim, Ji Hee,Park, Yang Hee,Lee, Seon U,Cha, Seo Yeon,Pyeon, Na Young,Hwang, Hye Nam 한국의류학회 2017 한국의류학회지 Vol.41 No.5

        In 1995, the costumes were restored in an unknown woman's tomb at the Jeonju Lee's family cemetery in Gapyeong, Gyeonggi-Do, and there are currently nine items remaining. In this study, we first introduced these 9 relics to academia and analyz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stumes. We also estimated the time and person of burial compared with costumes unearthed from other burials. Jeogories (short jacket) are all four items. One of these items was unusual in shape, and the upper part of the seop (gusset) was wrinkled and shaped. This type of Jeogori appears only till the 1520s in other tombs. There are also two skirts, one of which is characterized by a superimposed pattern. The top and bottom / middle part of the skirt were rolled up, and the skirt, which was double-rolled up in this way, was first discovered. An analysis of the shape of Jeogori and skirt indicated that the person buried in the Jeonju Lee's family tomb was believed to have survived until the early 16th century. Based on these estimated periods,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genealogy of Jeonju Lee's family, it was concluded that the tomb was probably a woman named Lee Geum Myeong (李金命) born in the mid-15C and died between the late 15C and the early 16C.

      • KCI등재

        翁方綱이 추사금석학 형성에 미친 영향

        이승연(Lee, Seung Yeon) 한국서예학회 2016 서예학연구 Vol.29 No.-

        한국금석학의 역사에서 가장 주목해야할 일은 19세기에 있었던 한·중 금석탁본의 교류와 연구이다. 이 시기는 청조를 방문했던 많은 문인들과 역관들에 의해 금석학자들의 적극적인 학문적 교류가 확대되었고, 이를 계기로 금석문을 연구대상으로 삼 고자 하는 학풍이 생겨나기 시작한 시점으로, 그 중심에 覃溪 翁方綱(1733~1818)과 秋史 金正喜(1786~1856)가 있었다. 특히 이 두 학자간의 직접적인 만남과 교류는 韓中의 금석탁본을 서로 교환하고 분석하면서 자연스럽게 추사금석학을 탄생하 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조선의 18세기 후반과 경화지역은 청대의 학문과 예술에 대해 관심이 증폭된 시기로, 추사는 1809년 10월 24세에 司馬試에 합격하여 生員이 되면서 아버지 김노경이 冬至副使로 연경에 갈때 子弟軍官의 자격으로 함께 중국에 가게 되어 40일간 머무르며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공부를 하게 되었다. 이 짧은 기간동안 옹방강을 비롯한 曹江(?~?) ․ 徐松(1781-1848) · 阮元(1764~1849) ․ 朱鶴年(1760-1834) ․ 李鼎元(1749-?) ․ 李林松(?-?) 등과 만나면서 시서화는 물론 청조고증학을 받아 들이는 창구를 만들어 놓았고, 귀국후에도 이들과의 지속적인 교류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학문에 대한 열망으로 추사금석학을 체계화시켰다. 특히 옹방강은 당시 최고의 학자로 조선의 젊은 청년과의 만남이 쉽지 않았으나 추사의 스승인 朴齊家(1750~1805)의 소개편지로 귀한 만남의 시간을 가질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인연으로 옹방강의 서재인 石墨書樓에서 중국의 귀중한 탁본진본과 서화진적을 볼 수 있었던 행운의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은 추사로 하여금 금석학과 고증학에 전념하는 큰 계기가 되었으며, 귀국 후에도 종종 서신을 나누면서 금석문을 분석하는 방법과 고증하는 과정, 제발, 쌍구의 체제를 지도 받았다. 당시 조선은 금석학 분야의 심도 있는 연구보다는 금석문을 서법연마의 자료로 활용하거나, 탁본을 통해 완상의 대상으로 삼았던 게 전부였으나 추사가 금석학의 체계를 세운 이후부터 금석문을 학문의 대상으로 삼아 체계적인 연구를 하면서 고 증과 분석을 하는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어 여러 학자들에 의해 많은 성과가 있었다. 따라서 탁본첩의 제작이나 금석문 목록집의 편찬에서 더 나아가 금석문의 내용에 관해 釋文을 하고, 그 역사적인 유래와 의미, 서체를 연구하기 시작하면서 독립된 학문으로서의 체계를 갖추게 된 것이다. 따라서 목록집의 경우에도 단순히 비석의 위치나 명칭을 기록하는데서 더 나아가 건립 시기를 추정하고 간략한 해제를 첨가하는 데까지 나아가게 되었으며, 題跋文, 서예작품, 쌍구작품 등의 형태로도 분석결과를 남기게 되어 한국서예사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The most noticable thing in history of Korean epigraphy is study and exchange of Korean and Chinese epigraphy in 19th century. In this time, social intercourse with epigrapher was enlarged by many literator and interpreter who visited the Ching dynasty and academic tradition trying to study epigraphy started to appear with this as a momentum. And there were Dam-gye Eong-bang-gang (覃溪翁方綱, 1733~1818) and Chu-sa Kim-Jeong-hee (秋史金正喜, 1786~1856) in the center of that. The interchange between these two scholars led to the birth of Chu-sa s epigraphy by intercourse between Korean and Chinese epigraphic rubbing and calligraphic effect. Kyung-hwa region of the late 18th century had a lots of interest in study and art of Ching dynasty. Chu-sa passed Sa-ma-si in October 24, 1809 and became saeng-won. He went to China for 40 days as child officer and studied systematically when his father, Kim No Kyung went to Yanjing as Dong-ji-bu-sa. In this short period, Chu-sa met Eong-bang-gang ․ Jo-gang (曹江, ?~?) ․ Seo-song(徐松, 1781-1848) · Wan-won (阮元, 1764~1849) ․ Ju-hak-yeon (朱鶴年, 1760-1834) ․ Lee-jeong-won (李鼎元, 1749-?) ․ Lee-im-song (李林松, ?-?) and made a window for accepting the study of ancient documents of Ching dynasty as well as poem, writing and painting. After coming back, he maintained continuous intercourse with them and systematized the epigraphy of Chu-sa with an enthusiasm to the new study. Especially, it was not easy to meet young man in Joseon as Eong-bang-gang was the greatest scholar in Ching dynasty but he met Chu-sa thanks to the introduction letter of Park-je-ga (朴齊家, 1750~1805) who was a teacher of Chu-sa. Also, he could luckily have a chance to see Chinese precious original copy of rubbing and real relics. It was a great opportunity for Chu-sa to concentrate on epigraphy and the study of the ancient, so they often sent letters to each other to learn the method of analyzing epigraph and studying historical evidence and system of Jebal and Ssang-gu. At that time, scholars of Joseon could only just use epigraph as a material of polishing writing style rather than intensive study on epigraph and regard an epigraph as appreciating object by rubbing. But, after Chu-sa systemize an epigraph, studying and analyzing epigraph systematically paid off by many scholars. So, they systemized epigraph as independent study as doing Jebal about epigraph and studying its historical origin, meaning and font making a headway from making rubbing book and lists of epigraph. Therefore, in case of lists of epigraph, they not only just write location or name of stone but estimate the contruction period and adding brief explanation so it had a great effect on developing Korean calligraphy history leaving the work of Jebal, calligraphic work and Ssang-gu work.

      • KCI등재

        박목월의 시 <나그네>의 예술가곡화 연구

        이지연 ( Lee Ji-yeon ),김용범 ( Kim Yong-bum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6 No.-

        본 논문은 박목월의 시 <나그네>의 예술가곡화에 대한 연구이다. 예술가곡이란 18세기 독일어권에서 완성된 음악 양식으로, 시인의 시와 작곡가의 작곡 그리고 성악가에 의한 가창으로 표현되는 예술로 문학과 음악이라는 두 가지의 예술 장르가 합일된 문화융합의 산물이다. 이러한 예술가곡이 우리나라에 도입정착 된 후 1920년에 우리나라 최초의 가곡 홍난파의 <봉선화>가 작곡되지만 한국예술가곡의 효시 작품에 대한 논란이 존재하였고 독일 예술가곡의 개념과 정의 및 조건에 입각한 필요충분조건을 모두 갖춘 한국최초의 예술가곡으로는 정지용 작시, 채동선 작곡의 <고향>(1932)으로 비정하고 있다. 특히 1920년대는 음악이나 시문학이 아직은 확고하게 예술장르로 자리 잡지 못한 시기였음으로 시인과 작곡가가 협업을 통해 창작해야하는 예술가곡의 시기로서는 상호 불완전했었다 할 수 있었고 한국문학은 1930년대에 이르러 시인들이 자신들의 창작 행위에 대한 뚜렷한 자의식을 갖게 된다. 그 중 본고가 주목하는 것은 한국 시문학사의 독보적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 시인 박목월과 그의 시를 가사로 한 예술가곡들이다. 박목읠의 초기시가 가지고 있는 서정성과 율성 즉 음악성은 작곡가들에게 주목받아 김연준을 비롯하여, 김성태, 김순애, 이수인, 윤이상 등에 의해 많은 예술가곡이 탄생하였는데 예술가곡 작품들을 일별하는 과정에서 유독 <나그네>를 대상으로 작곡된 작품이 많았음을 발견하고 음악적, 문화융합론적, 언어기호학적 관점에서 그 이유를 분석 및 규명해보았다. 시의 정형리듬을 형성하려는 계산에서 이루어진(artificial const-ruction)박목월의 <나그네>는 예술가곡의 작곡에서 조성, 박자, 악절과 결합하기에 최적의 조건이었고 두드러진 유음의 사용은 성악의 발성을 용이하게 하는 요소로 작용된다. 따라서 시인의 시와 작곡가의 작곡뿐 아니라 예술가곡의 필요충분조건의 하나인 노래 불려 져야 한다는 가창의 조건으로 볼 때 나그네가 가지는 예술가곡의 적합성은 예술가곡성립의 필요충분조건과 자질을 모두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 시인의 특정한 작품에 14명의 작곡가가 곡을 붙였다는 것은 우리 예술가곡사 상 특이한 사례에 속하며 이는 박목월 <나그네>의 문학적 가치를 넘어선 문화융합의 새로운 가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apability of Mok-wol Park`s poetry, "Naguenae", as an art song. The art song, originally developed in Germany in the eighteenth-century, is a genre of art that unites poetry and music; the composers put a melody on poems so that singers could sing the songs. As an outcome of cultural convergence, the two independent forms of art, literature and music, came to converge into a completely single genre, heralding a birth of a new musical style. Korean poetry began to mature in the 1930s and Mok-wol Park, the most representative poet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shows lyrical and rhythmical features on his early poems. This musicality was valuable to be used as text for art songs by many contemporary composers such as Yeon-jun Kim, Sung-tae Kim, Sun-ae Kim, Soo-in Lee, and I-sang Yoon. In the process of categorizing their art songs, we discovered that there are numerous songs using particularly "Naguenae" as a text. This study mainly explores and analyzes reasons from musical and glossematic perspectives, as well as from viewpoint of the theory of cultural convergence. Mok-wol`s "Naguenae" written based on a calculation of its regular rhythmic patterns has the optimum condition as a text for the musical setting in which a tonal center, rhythm, and phrasing can be combined without any disturbances. Moreover, his use of liquid sound aids a singer`s vocalization. Therefore, in view of the fact that a song is to be sung, which is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an art song, together with a text and musical setting, "Naguenae" qualifies all conditions. The fact that one particular poem written by one poet was used as a text for an art song by fourteen different composers is unusual case in Korean history of art songs. In addition, Mok-wal Park`s "Naguenae" is not only literary valuable, but means a new step of cultural convergence.

      • KCI등재후보

        왕희지서 집자비(集字碑) <대당삼장성교서(大唐三藏聖敎序)>의 서예사적 가치

        이승연 ( Lee Seoung-yeo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20 韓國思想과 文化 Vol.102 No.-

        서예사에서 집자비의 형식이 탄생한 것은 당대의 《대당삼장성교서》가 처음이다. 이는 당태종 이세민(599-649)의 역작으로, 동진시대의 서예가인 왕희지(303-361)를 서성(書聖)으로 추앙하면서 흠모하여 서풍을 유행시켰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당시 당태종은 왕희지 서체의 애호가로, 재위기간동안 왕희지가 사용했던 문방사보와 묵적을 집중적으로 수집하였고, 특히 욍희지의 묵적 중 수작으로 꼽히는 <난정서(蘭亭敍)>를 손에 넣은 후에는 당시 최고의 명필가였던 구양순·우세남·저수량에게 임서하게 하였다. 그리고 이 임서본을 다시 조모·한도정·풍승소·제갈정 등에게 모사하게 하여 여러 임모본을 남기게 함과 동시에 서예진흥정책을 수립하여 서예발전에 큰 공헌을 이루었다, 그러나 현재 남아있는 왕희지의 여러 묵적들은 대부분 이러한 임모 과정을 거치거나 번각한 자료들이 대부분인데, 유일하게 진적(眞跡)으로 평가되고 있는 자료로는 왕희지 행서 집자비인 《대당삼장성교서》이므로 그 가치는 매우 높다고 하겠다. 이 묵적은 통칭 《집자성교서(集字聖敎序)》또는 《집왕성교서(集王聖敎序)》로도 불리우고 있는데, 여기서 ‘집자’란 왕희지의 모든 행서 진적중에서 개개의 글자를 모아서 만들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성교서’는 태종문황제제(太宗文皇帝製)의 성교서를 뜻함이나 여기에는 당시 황태자였던 고종의 「술삼장성기(述三藏聖記)」, 삼장법사의 신역에 의한 「반야바라밀다(般若波羅蜜多)」등 세 가지 문장을 함께 모아 각(刻)한 것을 말한다. 이 집자비는 당태종이 648년(정관 22년) 현장법사가 여러 불경을 번역한 후 서문을 청하자 서(序)를 지었고, 후에 그의 아들인 고종 이치(李治,628-683)가 기(記)를 지었는데, 이를 홍복사(弘福寺) 사문(沙門)이였던 회인(懷仁)이 칙허(勅許)를 얻어 궁중에 소장된 왕희지 서적(書蹟)에서 행서자료를 일일이 찾아 대조하면서 비문의 집자에 착수한지 24년이 지난 고종 때인 672년(함향 咸享3년)에 세워지게 되었다. 따라서 이 비는 왕희지의 행서를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묵적으로 모두 1904자로 되어 있으며, 집자하는 방법은 당시 궁궐에 소장하고 있던 왕희지 진적 중에서 동형(同型)의 행서(行書)를 모아 혹은 편방(偏旁)을 맞추고, 혹은 해체(解體)한 점과 획을 조합하였으며, 문자의 대소와 부족한 문자를 동일하게 축소 및 확대하거나 하였으며, 없는 글자는 편과 방을 모아서 만들었다. 이와 같은 집자형식은 당 이전에는 없었던 방식으로, 집자비의 효시가 되었으며, 중국과 한국에서도 유명한 명필들의 필적을 자본(字本)으로 한 집자비가 유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통일신라시대에는 3기의 왕희지집자비가 세워짐과 동시에 왕희지서풍의 유행을 가져오게 되었으며, 고려와 조선에 이르러서는 임서본 출판으로 확산되었고, 현재에도 행서 연마의 중요한 법첩이 되고 있다. 《DaedangsamjangSeonggyoseo(大唐三藏聖敎序)》of the Tang Dynasty was the first time that the form of the Jipjabi was made in calligraphic history. This is a masterpiece by emperor Taizong of Tang, Lee Se-min (599~649) , and it was the result of his admiration for Wang Hui-ji (303~361), a calligrapher of the Dongjin period, as a saint, and thus popularized his calligraphy style. At that time, emperor Taizong of Tang, who was a lover of Wang Hui-ji's calligraphy style, concentrated on collecting four treasures of the study and mukjeok used by Wang Hui-ji during his reign, and after obtaining < Nanjeongseo(蘭亭敍) >, which is considered one of the best works of Wang Hui-ji's mukjeok, he ordered Gu Yang-sun, Woo Se-nam, and Jeo Su-ryang, who were the best calligraphers of the time, to copy this. In addition, this copied < Nanjeongseo > was copied again by Jo Mo, Han Do-jeong, Pung Seung-so, Jegal-Jeong, etc. to leave several copies, and at the same time, the calligraphy promotion policy was established to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calligraphy. However, most of the remaining mukjeok of Wang Hui-ji have undergone these copying process or reproduced, and the only material that is regarded as real artwork is 《DaedangsamjangSeonggyoseo》which is a Jipjabi of Wang Hui-ji's semicursive calligraphy style, so its value is very high. This mukjeok is commonly called 《Jipja Seonggyoseo(集字聖敎序)》or 《JipwangSeonggyoseo(集王聖敎序)》where "Jipja" is named because it is a collection of individual characters from all the semicursive calligraphy style artworks of Wang Hui-ji, and "Seonggyoseo" refers to the Seonggyoseo of Taejongmun-Hwangjeje(太宗文皇帝製), but here refers to three sentences together "Sulsamjangsungi(述三藏聖記)" of King Gojong, who was the crown prince at the time, and "Prajnaparamita hridaya Sutra(般若波羅蜜多)" which was newly translated by Samzang Monk and etc. In 648 (the 22nd year of Jeonggwan), when monk ‘Hyun-jang’ asked for the preface after translating several Buddhist scriptures, emperor Taizong of Tang built preface, and his son, King Gojong, Lee-chi(628~683) later built gi(記). In 672 years(the 3rd year of Hamhyung) in King Gojong’s reign, Jipjabi was built after a Buddhist monk ‘Hoe-In’ in Hongboksa Temple started collecting letters of epigraph comparing every records of Wang Hui-ji in court after he got permission. This monument is a representative mukjeok of 1904 characters that shows Wang Hui-ji's semicursive calligraphy style. It was made collecting same type of semicursive calligraphy style in Wang Hui-ji’s real artwork, matching pyeonbang, combining disassembled dots and strokes, reducing or enlarging letters, and creating missing characters collecting pyeon and bang. This style of collecting letters has not existed before the Tang Dynasty, and it has become the first in Jipjabi, and Jipjabi with writings of famous calligraphersbecame popular in China and Korea. Thi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ree Wang Hui-ji Jipjabi in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Wang Hui-ji’s calligraphy style became popular at the same time, and the publication of the copied book was widespread in Goryeo and Joseon, and it became an important copybook printed from the works of old masters of calligraphy for practicing semicursive calligraphy sty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