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性齋 許傳의 深衣 연구

        차서연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1 東洋學 Vol.- No.83

        This article examines Heojeon’s interpretation of the symbolic meaning of simui, the cloth for Confucian scholars. He analyzed Yegi and Uirye alongside with Gary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contents of the sections of “Simui” and “Okjo” in Yegi are complementary to the section of “Sangbok” in Uirye : the approach, from which he was confident that he found the essence of the ancient scriptures. According to his interpretation, simui could be worn on in a variety of situations no matter whether the wearer is a civil or military officer, man or woman, what social class he or she belongs to, and how fortunate or unfortunate the situation is. Its design also enfolds some symbolic meanings; for instance, bangryeong, a rectangular-shaped collar under the neck, signifies the carpenter’s square, the sleeves arched in a semicircle shape means a rule, stitches on the beck symbolizes straightness, and the alignment of the lower rim signifies the evenness of a scale. On the other hand, the size of the trousers, twelve poks, correspond to the twelve months of one year. Regarding the debate about the meanings and locations of gokgeop and sogimgubyeon in simui, Heojeon, based on the scriptures, concluded that gokgeop is bangryeong, a collar with a rectangular-shape under the neck area whereas im in “sogimgubyeon” means the patches located both on the shirt and trousers. (The patch attached at the end of bangryeong in the case of the shirt and the two poks at the end of the twelve poks of trousers.) Despite the negative recognition of the rectangular shape of the collar at the time, Heojeon claimed only that form corresponds with the ancient rite and the record in Garye. Simui Heojeon suggested was the cloth with perfection and no waste, expressing the veneration for abstemiousness following the ancient scriptures. He was confident that, by making and wearing simui correctly according to his suggestion, people in Joseon could not only express their respects for the ancient saints but also fulfill the lesson of previous kings by saving fabrics. 본 논문은 조선 유학자들이 존숭한 深衣에 대한 性齋 許傳의 해석을 고찰한 것이다. 허전은 禮記 「玉藻」 와 「深衣」, 儀禮 「喪服」의 기록이 서로 보완하고 있다는 전제 아래 家禮 와 함께 예기 와 의례 를 상세하게 고찰하고 분석하여 고경의 본지를 얻은 듯하다고 자부하였다. 심의는 文武와 貴賤, 吉凶, 男女의 구분 없이 다양한 상황에서 입을 수 있으며 그 형태는 상징성까지 담고있다. 턱 아래 네모난 方領은 곱자[矩]와 같은 방정함[方], 반원 형태의 둥근 소매는 그림쇠[規], 등솔은 먹줄[繩] 과 같은 곧음[直], 아랫단이 가지런함은 저울[權衡]과 같은 평평함[平]을 상징한다. 下裳의 12폭은 1년 12개월의큰 수에 응한하는 의미이다. 심의의 해석 가운데 특히 曲袷과 續衽鉤邊에 대한 논란이 많았다. 허전은 경문을 토대로 의미와 위치를 명확하게 고증하였다. 曲袷은 턱 아래가 네모난 方領이고, 衽은 上衣와 下裳에 모두 있어 상의의 衽은 섶으로상의의 길옆과 方領의 끝에 위치하고, 하상의 衽은 12폭 중 끝에 있는 2폭이 續衽鉤邊이라고 결론지었다. 당시 턱 아래가 네모난 형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도 불구하고 허전은 이 형태만이 고례와 가례 의 의미에부합한다고 판단하였다. 허전이 제시한 심의는 고례를 준수하고 검소함을 숭상하여 완벽하면서도 낭비가 없는 옷이다. 그는 조선에서 심의의 간편함을 알고 제대로 만들어 입는다면 성인을 따르고 예를 갖출 수 있으면서 직물까지 절약하는선왕의 의제가 회복될 것으로 확신하였다.

      • KCI등재

        조선시대 야복(野服)에 대한 고찰

        차서연,이은주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22 한국 복식 Vol.- No.48

        This study examined the clothing styles of the Yabok (野服), which had been worn by Zhu Xi in his later years, being presented to fabricate and wear in Joseon. Zhu Xi named the single-clothing style as the Yabok that has the characteristics of robes and consists of four elements, Sangeui (上衣), Hasang (下裳), Daedae (大帶), and Bangri (方履). It is able to verify its approximate shape from the ‘Haklimokro(鶴林玉露)’ of Na Dae-gyeong since he never explicitly mentioned about the style of Yabok. Scholars of Joseon exerted to fabricate and wear the Yabok following Zhu Xi. The style of Yabok complies with not only the institution of the Haklimokro but also the Simeui (深衣) and the funereal clothes presented by Song Si-yeol(宋時烈), and this can be verified through the portrait of Kwon Sang-ha(權尙夏). The Gwan (冠) that was worn together with the Yabok fell into either Chigwan (緇冠) or Jeongjagwan (程子冠). In addition, it is speculated that the Bangri was recorded as Chori (草履), or Heukhye(黑鞋) was typically worn. It is thought that the Yabok of Zhu Xi, which consisted of four elements, had acquired the status of the ‘clothes of Zhu Xi’ by fabricating and wearing based on the Simeui and the funereal clothes in Joseon. 본 논문은 주자(朱子, 1130~1200)가 만년에 착용한 야복(野服)의 의미와 조선에서 제작해 입은 야복의 의미, 형태와 구성을 고찰한 것이다. 야복은 본래 ‘야인(野人)의 옷’이라는 의미였으나, 주자는 만년에 예복 겸용의 일상복 일습을 ‘야복’이라 이름하였다. 상의(上衣)ㆍ하상(下裳)ㆍ대대(大帶)ㆍ방리(方履)의 4가지로 이루어진 야복을 편리함과 풍속의 교화라는 이유로 주자가 착용하였는데, 형태에 대해 직접적인 언급은 없었다. 조선의 학자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은 주자가 입었다는 상의ㆍ하상 야복에 근거하여 심의(深衣)와 상복(喪服) 제도를 기준으로 ‘야복’ 형태를 제안하였다. 야복의 상의는 심의 제도를 인용해 만들었으나 단추로여미도록 하여 차이를 두었다. 하상은 상복의 하상 제도를 따라 만들고, 야복의 하상 도련에는 상복의 하상에는 없는 검은색 가선을 추가하였다. 관모는 치관(緇冠)과 복건(幅巾)을 쓰고 대대는 백색 바탕의 신(紳) 부분에 검은색 가선을 둘렀으며 신발은 흑리(黑履)를 착용하였다. 조선에서는 주자를 따라 일상복과 의례복의 용도로 야복이라는 옷을 착용하였으나 주자가 착용한 야복의형태를 알 수 없었기에 심의와 상복을 참고하여 만든 것이다. 주자의 야복보다는 다양한 의례복 용도로 활용하여 빈객을 만날 때는 물론, 제사나 사당의 출입 또는 상중에 출입할 경우에 야복을 입기도 하였다. 빈객접대를 위한 의례복 용도에 더하여 다양한 경우의 의례복으로 용도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조선 야복의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아울러 야복의 유물이 없어 정확한 형태를 확인할 수는 없었으나 기록으로만 존재하던 조선의 야복을 권상하(權尙夏, 1641~1721) 초상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喪服商」에 나타난 髽의 형태에 대한 고찰

        차서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6 No.-

        This paper aims to consider Dasan’s interpretation of Gwa (髽), hair accessory [首飾] that a women wears in funeral rites and express it in pictures. Dasan regards Gwa as element corresponding to men’s Sanggwan (喪冠). Like the man cannot help but use Sanggwan (喪冠), Women can not help but wear Gwa. So this paper considered ‘Yili’ (儀禮) and Family rituals (家禮) in detail for historical investigation and restoration of Gwa. Dasan clarified that the principle of deciding women’s mourning dress is following lightness compared to man. This is why compared to the men who does Gwalbal (括髮) only with the hair strap made with hemp, women wears Gwa (髽) with the hair strap made with hemp cloth and Binyeo (笄). Wife uses hemp cloth that is less rough than hemp and Binyeo that is not for men, in order to follow more rhetorical embellishment and lightness. Dasan respected and worshipped the rules of Family rituals and presented the type of Gwa through critical research on Yili and comment. The Chinese character jwa (髽) consisted of hair (髟) and sitting (坐), it meant small topknot (小髻), dwarf topknot (矬髻), or sitting topknot (坐髻). She made Gwa with hair strap made with hemp cloth [布總] and to fix it firmly, sticked a Binyeo in her hair. The historical vidence proved that in case of Jechoi (齊衰), the circumference of Gwa is 8 chon and the height of it 6 chon or so and in case of Chamchoi (斬衰), it should be made lower and smaller than Jechoi (齊衰). Dasan was the only person who revealed the system including the specific dimensions through strict historical investigation on Gwa, women’s hair accessory in funeral rit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hair accessory that the women wore in funeral rites according to the customs. It also implies that the women came to have status as principal agent in funeral rites. 본 논문은 부인이 喪禮에서 하는 首飾인 髽에 대한 茶山의 해석을 고찰하고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다산은 髽를 남자의 喪冠에 대응하는 요소로 간주한다. 남자가 喪冠을 쓰지 않을 수 없듯 부인이 髽를 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儀禮』와 『家禮』를 세밀하게 고찰하여 髽의 고증과 복원에 힘썼다. 다산은 남자와 견주어 가벼움을 따르는 것이 부인의 상복을 제정하는 원칙이라고 천명한다. 남자가 삼으로 만든 머리끈만으로 括髮을 하는 데 비해, 부인이 베로 만든 머리끈과 비녀를 사용하여 髽를 하는 것은 바로 그러한 원칙 때문이다. 삼보다 덜 거친 베와 남자에게 없는 비녀를 사용하는 이유가 바로 조금 더 문식하고 가벼움을 따르는 것이다. 다산은 『家禮』의 규정을 존숭하면서 고례인 『儀禮』와 주소에 대한 비판적 고증을 통해 髽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髽는 머리카락[髟]과 주저앉음[坐]으로 구성된 글자의 형태에서 알 수 있듯, 난쟁이[矬]거나 앉거나[坐], 또는 작은[小] 髻의 형태이다. 베로 만든 머리끈[布總]을 사용하여 髻를 만들고 이를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해 비녀[笄]를 꽂을 뿐이다. 齊衰의 髽라면 둘레 8촌이고 높이 6촌 남짓이며 斬衰는 齊衰보다 낮고 작게 만들면 된다고 고증하였다. 부인의 喪禮 首飾인 髽에 대한 엄밀한 고증을 통해 그 구체적 치수까지 포함한 제도를 밝힌 것은 다산이 유일하다. 표면적으로는 부인이 상례에 하는 수식을 법도에 맞도록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그 내면에는 상례에서 부인이 의식의 주체적인 수행자로서의 위상을 갖게 되었음을 함축하는 것이기도 하다.

      • KCI등재

        다산茶山 상복제도喪服制度에 대한 복식사적 고찰 ─ 『상례사전喪禮四箋』, 『상복상喪服商』을 중심으로

        차서연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1 다산학 Vol.- No.38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forms of mourning clothes that Tasan reinterpreted in the chapter titled “Sangboksang” in his Sangraesajeon. The mourning cloth for men Tasan suggested, called Byeonbok, was what he re-interpreted from the “Sabok” chapter in Jurye, which states “people wear Byeonbok during bad occasions,” and he wrote that Jobok and Jebok in contemporary Joseon are, in principle, same with Byeonbok in the past. This new principle means that the basic form of mourning cloth is following that of Byeonbok so that unnecessary is such an additional statement on which aspect of the mourning cloth can be the same with Byeonbok. There could be three implications of Tasan’s suggestion for mourning clothes, which he derived from his reference to the thirteen ancient books and Garye, not from the twofold annotations. First, he wanted to raise the status of mourning clothes. Jobok and Jebok he suggested as proper forms for mourning were what people had used to wear as ritual clothes for good occasions. By allowing the clothes for bad occasions to be the same with those for good occasions, he intended to raise the status of mourning clothes. He also argued this by mentioning certain elements of Simui hoping that the mourning clothes would stop being simply functional for mourning rituals but have equal status with other attires that Confucian scholars deemed important. Second, he emphasized the standardization of mourning clothes and their practicality. He suggested standard sizes of the clothes, which can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earer’s body. It was enable everybody to wear a standardized cloth no matter how large or small one’s body is so that everybody could participate in the funeral rites with proper clothes. The mourning clothes Tasan suggested were also practical since they were, for him, not only the finest clothes people could wear during the funeral but the everyday clothes they could wear in daily routines. Lastly, his suggestion was also to increase the performability of the funeral rites. His re-interpretation of ancient mourning clothes as those corresponding to the contemporary clothes in Joseon, such as Jobok, Jebok, and Simui, was to encourage people’s actual performances of the rituals not only by making the mourning clothes easy to produce but also by removing people’s repulsion to the rites. Tasan seems to have tried to reproduce the original mourning costumes which did not deviate from the spirit of old rites, but ref lected the situations of the contemporary Joseon society by critically investigating notes of Uirye , and Yegi, the books describing ancient rites, and by following the method of Garye which constituted ritual procedures by considering contemporary conditions. 본 연구는 『상례사전喪禮四箋』, 「상복상喪服商」을 중심으로 다산茶山 이 재해석한 상복喪服의 형태와 관점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다산이 제시한 남자 상복의 원칙은 『주례周禮』, 「사복司服」에 “무릇 흉사凶 事에는 변복弁服을 입는다.”라는 기록을 근거로 상복喪服이 변복弁服이고, 옛날 변복弁服이 조선의 조복朝服과 제복祭服이라는 것이다. 이 원칙의 의미는 말 그대로 상복의 기본적인 형태는 변복과 같다는 것이고, 상복 가운데 변복과 같은 요소에 대해 별도로 언급하는 것은 필요하지않다는 또 다른 원칙을 파생시킨다. 다산은 이 원칙 아래 십삼경十三經을 중심으로 『가례家禮』와 조선의시속까지 참작해서 상복의 형태를 논증하였는데, 그 특징과 함의含意는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 번째는 상복의 위상을 높이려고 하였다. 다산이 제시한 상복은 조선의 조복과 제복의 형태로, 길례吉禮에 조복과 제복을 착용하듯 흉례凶禮에 조복과 제복의 제도에 따른 상복을 입는다는것이다. 조복과 제복에 조응하는 것으로 보는 다산의 제안은 상복의 위상을 높이려는 의도이다. 심의深衣의 요소도 적극 활용하여 논증하였는데, 이는 상복을 단순히 슬픔을 표상하는 복식만이 아닌 유학자들에게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옷과 동등한 위상을 갖는 복식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바람이 담겨 있다. 두 번째로 상복 제도를 표준화하고 실용적인 부분을 강조하였다. 다산은 상복의 표준 치수를 제시하고 이를 기준으로 사람의 몸집에 따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실용적인 부분을 강조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상복이 최고의 예복禮服임과 동시에 상례 기간 동안 실제로 입고 생활하는 일상복이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상례의 수행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조복과 제복, 심의의 형태로 상복을 해석한이면에는 조선 사람들에게 익숙한 형태를 제시하려는 의도가 반영된것이다. 조선 사람들에게 익숙한 형태라면 제작에 어려움이 없을 뿐 아니라 상례에 대한 거부감도 줄일 수 있어 상례의 수행 가능성을 높이게된다. 다산은 고례古禮인 『의례儀禮』와 『예기禮記』의 주소注疏에 대한 비판적 고증을 통해 상복의 원형을 재현하고 『가례家禮』가 시의時宜를 반영하여 예제를 구성했던 방식을 계승・극복함으로써 古禮의 정신에 어긋나지 않으면서도 조선의 시의를 반영한 상복을 만들어 입을 수 있도록노력한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창작음악극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차서연,장영숙 열린부모교육학회 2019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작음악극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정서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의 두 곳의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44명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실험집단 22명의 유아에게 12주 동안 매주 2회 총 24회 창작음악극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 22명의 유아에게는 기존의 음악극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유아의 창의성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창의성의 하위변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에서 모두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유아의 정서지능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유아의 정서지능의 하위변인인 자기인식 및 표현 능력, 자기조절 능력, 타인인식 능력, 타인조절 능력에서 모두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작 음악극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정서지능의 발달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다산 정약용(丁若鏞)의 변복(變服)과 수복(受服) 제도

        차서연 (재)한국연구원 2023 한국연구 Vol.- No.14

        본 논문은 상례(喪禮) 기간에 입는 상복(喪服) 가운데 소렴(小斂)에 상복을 입을 준비를하면서 머리 모양과 관건의 변화와 졸곡卒哭 이후 가벼운 상복으로 갈아입는 수복受服 에 대한 정약용丁若鏞의 해석을 고찰하고 정리한 것이다. 소렴에는 수질(首絰)과 요질(腰絰)을 두르고, 머리 모양과 관건(冠巾)에 변화를 준다. 머리모양에는 피발(被髮)과 괄발(括髮)이 있는데, 피발은 고례의 ‘모(髦)를 푼다’는 기록을 따라 양쪽으로 늘어뜨리며, 괄발은 관(冠)과 비녀를 제거하여 풀어 헤쳐진 머리카락을 수습하기 위하여 묶는 것이다. 관건에는 문(免)과 효건(孝巾)이 있는데, 문은 관과 같이 머리에 쓰는 물건이고, 효건은 괄발의 위에 착용하는 것으로 문을 대신하도록 제시하였다. 졸곡 이후 가벼운 상복으로 갈아입는 수복은 『가례』에는 기록이 없지만, 정약용은 고례를 따라 베의 승수에 차등을 두어 성복(成服)에 처음 부여받은 상관(喪冠)과 상복의 형태로 제작하여 입도록 하였다. 수질과 요질 및 효대(絞帶)는 삼[麻]에서 칡[葛]으로 소재를 바꾸고 굵기는 성복 때보다 1/5씩 줄인다. 부인들은 바꾸는 의절이 없으므로 처음 부여받은 상복을 입고 상을 마치면 벗는다. 정약용은 자신이 세운 원칙을 고수하여 상복 제도를 규명하였고 고례를 회복하고자 하였으며, 고례 회복이 어려울 경우에는 당송 및 조선의 시속을 반영하고, 상례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 상례 기간에 입는 상복을 상세하게 논증한 특징이 있다. Th is study aims to review and summarize interpretation of Jeong Yak-yong on the changes in hairstyle and the Gwan-geon(冠巾) in So-ryeom process(小斂) during the funeral rites, and on the Su-bok process (受服), changing to light mourning clothes, after the Jol-gok(卒哭). In the So-ryeom process, preparation to wear mourning clothes is conducted, while the hairstyle and the Gwan-geon(冠巾) are changed. Pi-bal(被髮) refers to loosening the hair and letting it hang down on both sides, and Gwal-bal(括髮) refers to tying the hair. Th e Mun(免) is an object worn on the head, and it is suggested to wear Hyo-geon(孝巾) instead of the Mun (免) on top of the Gwal-bal(括髮). After the Jol-gok(卒哭), the clothes are changed to light mourning clothes, which is made with diff erentiation in the multiplier of the strands of hemp cloth, and Su-jil(首絰), Yo-jil(腰絰) and Hyo-dae(絞帶) are found to diff er in its material and thickness. Th e wives get to fi nish the rites wearing the fi rstly given mourning clothes. Jeong Yak-yong investigated the mourning clothes system adhering to the principles he had established and attempted to restore the ancestral rites. When it was diffi cult to restore the funeral rite, he attempted to refl ect the customs of the times of Tang-Song dynasty and Joseon dynasty , and demonstrated the mourning clothes worn during the funeral rite in detail by making eff orts to facilitate the funeral rite smoothly.

      • KCI등재

        조선의 국가 전례서(典禮書)에 규정된 상복(喪服) 제도와 변천

        차서연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3 泰東古典硏究 Vol.51 No.-

        This study examines the evolution and form of the mourning clothes system for men and women, as articulated in the “Gugjoolyeui (國朝五禮儀)” etc, the book on the national rituals of Joseon. The Joseon royal family, in contrast to China, pursued a three-year mourning period and established a mourning attire system akin to that of ordinary households. While Chinese national ritual texts vaguely address mourning rites due to the perception of codifying such rites as disloyalty, the Joseon royal family established a mourning attire system grounded in “Galye” (家禮; Family Rituals). The design and diagrams of men's mourning clothes largely adhere to “Galye.” However, in instances where the primary and supplementary annotations of “Galye” diverge, the practice tends to follow the supplementary annotations. The diagrams also draw from “Galyedo” (家禮圖; Illustrations of Family Rituals), but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Joseon are discernible. Women's mourning attire was later enhanced with its forms and diagrams, again using “Galye” as the benchmark. Subsequent national ritual texts were augmented with contents from Chinese ritual books such as “Lyegijibseol” (禮記集說; Collected Explanations of the Book of Rites) and “Galyeuijeol” (家禮儀節; Ritual Sections of Family Rituals), as well as Kim Jangsaeng's “Galyejiblam” (家禮輯覽; Collected Views on Family Rituals), “Sanglyebiyo” (喪禮備要; Essentials of Mourning Rites), and “Uilyemunhae” (疑禮問解; Questions and Answers on Doubtful Rituals). Therefore, mourning attire, being identical in system and form for both the royal family and ordinary households, was used as the only ceremonial dress that transcended class distinctions in Joseon. 본 논문은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등 조선의 국가 전례서를 중심으로 남자와 부인의 상복(喪服) 제도의 연원과 형태 변화를 고찰한 것이다. 조선 왕실은 중국과 다르게 삼년상을 지향하여, 사가와 같은 상복 제도를 확립하였다. 중국의 국가 전례서는 상례를 명문화하는 것을 불충(不忠)으로 여겨 상복에 대한 규정도 명확하지 않지만, 조선 왕실은 『가례(家禮)』에 근거한 상복 제도를 수립한다. 남자 상복의 형태와 도설은 대체로 『가례』를 따르지만, 본주(本註)와 부주(附註)가 다를 경우 부주를 따르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는 부주가 근거한 『의례(儀禮)』와 『예기(禮記)』 등의 고례(古禮)로 『가례』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것이다. 도설도 대체로 「가례도(家禮圖)」에 근거하지만, 조선만의 특징이 나타나기도 한다. 부인의 상복은 『국조오례의』에 목록만 나열하다가 『국조속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에서 형태와 도설이 추가되는데, 이때도 『가례』가 기준이다. 『가례』가 시속을 반영하여 부인 상복을 제정한 방식을 따라 조선의 국가 전례서도 부인의 상복을 제정하였다.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 등 후기의 국가 전례서는 『예기집설(禮記集說)』과 『가례의절(家禮儀節)』 등의 중국 예서와 김장생(金長生)의 『가레집람(家禮輯覽)』, 『상례비요(喪禮備要)』, 『의례문해(疑禮問解)』 등의 내용이 추가되면서 보완된다. 조선의 국가 전례서에 기록된 상복 제도는 『가례』의 규정을 토대로 조선의 상황을 고려하면서 왕실과 사가가 서로 보완적으로 진전되어 신분의 차이가 없는 유일한 의례복으로 사용되었다.

      • 초,중등 영화교육 시행 10년을 바라보며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의 서막 -1950년대 엘리아 카잔 영화를 중심으로-

        차서연 ( Seo Yeon Cha ) 한국영화교육학회 2012 영화교육연구 Vol.14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ilm acting style, based on Elia Kazan`s movies in the 1950s. ``American acting method`` in the 1950s was emerged as an icon of the day with actors became famous. Its use began in the 1920s, but it was not until the 1950s that first coming to the attention among public. This technique has continued into American acting method that plays key role in film acting up to now. In this study, there will be analysis from Elia Kazan`s movies on the variety of American acting method, which is the foundation of film acting. The body of the study on aspects of American acting method, applied to film by categorizing several examples; acting that concentrates on reality of daily life, spontaneity that diminishes the exaggerated acting, expression of internal truth in the given circumstances, and manifestation of character`s emotion from affective memory. The film and acting reflects the trend of the times alike. As time goes , the acting-theory have altered and it w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origin of American acting method, which plays key role in Korean film, and promote the development plan for it.

      • KCI등재

        조선시대 의궤 반차도를 통한 왕실의례복식 콘텐츠 제작

        차서연 ( Seoyeon Cha ) 한국의류학회 2019 한국의류학회지 Vol.43 No.4

        Uigwe Banchado are paintings of court events and royal ceremonies of the Joseon dynasty. The paintings record national events and ceremonial rituals performed by the Joseon royal family, such as marriages, celebrations, enthronements, processions to royal tombs, and archery ceremonies. This record provides a combination of information about the event's appearance, including preparation, procedure, people involved, reproductions worn by the participants, and the items used at that time. Through the realistic depictions painted in the Uigwe Banchado, in particular, one can grasp the scene of events at the time and reproduce the diverse attire worn by participants in the event. Based on 31 representative Uigwe Banchado, 550 knowledge nodes were written. These include 31 royal protocols, 41 attires, 136 clothes, 8 storage facilities, 120 objects, 55 people, 33 places and 83 concepts. The meaningful relationships between each node can be explored via a network graph. Digital illustrations of the 41 attires were created to aid in the understanding of Joseon dynasty royal ceremonial ritual attire.

      • KCI등재

        상관(喪冠)의 형태에 대한 고찰 -정약용(丁若鏞)의 ≷상례사전(喪禮四箋)≸ 「상복상(喪服商)」을 중심으로-

        차서연(CHA Seoyeon)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9 泰東古典硏究 Vol.43 No.-

        본 논문은 상복(喪服)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 가운데 머리에 쓰는 상관(喪冠)에 초점을 맞추어 정약용(丁若鏞)이 제시하는 형태를 고찰한 것이다. ≷의례(儀禮)≸ 「상복(喪服)」은 상복의 형태를 규정하는 경학적 근거로 후대까지 존숭되어 왔다. 조선의 상복 제도는 주자(朱子)가 「상복」과 송 대의 시속을 적절하게 반영하여 저술한 ≷가례(家禮)≸를 중심으로 시행되었다. 정약용은 ≷가례≸를 존숭하면서도 고례인 ≷의례≸에 대한 세밀한 고증으로 창의적인 상관의 형태를 제시하였다. 관(冠)은 머리에 쓰는 것으로 머리를 중요시하는 상징성을 갖는다. 상관(喪冠)도 ‘관’의 한종류로서, 머리 정수리를 덮는 부분인 관과 머리둘레를 두르는 부분인 무(武)로 구성된다. 정현(鄭玄)의 주석 이래로 한 가닥의 끈으로 무를 만들면서 상관이 관으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관의 안에 다시 건(巾)을 써서 형태를 지탱하거나 머리를 수습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게 되었다. 정약용은 고례에서 상복이 변복(弁服)이었으므로 상관은 변(弁)의 제도에 근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상복」에서 상관에 관해 분명하게 기록하지 않은 이유가 상복이 변복을 원용한 것이므로 관과 무의 소재와 크기는 모두 변과 같기 때문이라고 해석하였다. 경에 기록이 없는 부분은 조선의 조복(朝服)과 제복(祭服)이 고례의 변복에 해당하므로 양관(梁冠)을 기준으로 상관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정약용의 제안은 고례에 대한 정밀한 고증을 통해 상관이 변복의 변과 동일한 규격과 소재임을 규명함으로써 ‘한 가닥의 끈으로 만든 무’로 해석한 정현의 오류와 그로부터 파생되는 곤란함을 바로잡고자 하였다. 나아가 당시 조선 사람에게 익숙하고 제작하기 편리한 양관의 형태로 상관을 만들어 사용하도록 하여 의례의 수행 가능성을 높이려고 한 것으로 평가할 수있다. This paper examines Jeong Yakyong’s view by focusing on the Sanggwan among various Sangbok(喪服). ‘Yili’(儀禮) Sangbok has been respected to later generations as a rationale for defining the form of mourning. The mourning system of Joseon was centered on the Family rituals(家禮) that the Song dynasty respected Zhu Xi(朱子) wrote which appropriately reflected the traditions of Sangbok and Song dynasty. While Jeong Yakyong respected the ‘Family rituals’, he made creative arguments about the form of the Sanggwan with detailed testimony to the Gorea(古禮) s ritual. Gwan(冠) is a hat that is worn on the head and it symbolizes the importance of the head. Sanggwan is also a kind of ‘Gwan’, which consists of the head covering Gwan(冠) and Mu(武) that is put around the head. Since the Chinese philosopher Zheng Xuan(鄭玄) s remarks, Sanggwan has been unable to function as a Gwan, making Mu from a strand of string.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there was a situation in which Gun(巾) was worn in Sanggwan again to support the form or to fix the head. Jeong Yakyong insisted that Sanggwan was based on Byun(弁) s system because Sangbok was Byunbok(弁服). It was interpreted that the reason why Sanggwan is not written clearly in Sangbok is because Sangbok made a use of Byunbok, so the material and size of Gwan and Mu are the same as Byun.The part where there is no record in Jing(經) is suggested that Jobok and Jaebok of Joseon Dynasty are the ByunbBok of the ritual, so Sanggwan should be made based on Yanggwan. Jeong Yakyong s proposal revealed that Sanggwan is the same standard and material as Byun of Byunbok through precise investigation of the ritual thereby tried to correct Zheng Xuan s error and the difficulties that resulted from Mu made of one strand of string . In addition, it can be evaluated that they attempted to increase the performance possibility of the ritual by making Sanggwan in the form of Yanggwan, which is familiar to the Joseon people and convenient to ma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