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분포에 따른 군집구조 해석

        유광일,김진규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1989 環境科學論文集 Vol.10 No.-

        연안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구조를 규명하고자 1976년 7월부터 1982년 5월까지 매기 수월에 마산만을 중심으로한 6개 정점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의 크기 분포에 따른 현존량과 탄소량을 추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플랑크톤 군집 구조와 세포크기 분포에 따른 현존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중 출현한 총 115종류의 부유성 규조류 중에서 출현 빈도와 현존량의 조성비 등에 의하여 25종의 우점종을 선정하고, 이들을 세포의 크기에 따라 6개의 크기 등급으로 나눈 결과, 현존량은 전정점에서 등급 1(<20㎛)에 의해 절대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가장 우점적으로 나타나는 종은 Skeletonema costatum 이었다. 한편 탄소량은 등급 1, 3(40∼60㎛)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데, 이는 등급 3과 4에 속하는 Coscinodiscus radiatus와 Ditylum brightwellii의 세포당 탄소량이 많기 때문이다 정점별로는 정점 1과 2에서 높은 현존량과 탄소량을 나타내며, 정점 4에서는 비교적 낮고 안정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A study on the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to clarify the func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coastal zone. The data were collected bimonthly from the selected six stations in Masan Bay during period from July 1976 to May 1982. In the present study the size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erms of cell number and carbon content was analyzed. 25 dominant species were selected from a total of 115 taxa of planktonic diatoms. And they were divided into six size classes according to the lengh of apical axis of valve. The size class 1(<20㎛)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Skeletonema costatum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standing crops, and the class 1,3(40∼60㎛)and 4(60∼80㎛)did so in cell carbon contents. The class 3 and 4 consisted of the larger species such as Conscinodiscus radiatus and Ditylum brightwelli. At the station 1 and 2 the standing crops and carbon contents were relatively high, while low at the station 4.

      • 馬山灣의 環境學的 硏究 3. 雙鞭毛藻類 群集의 動態에 대하여

        劉光日,李埈佰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1985 環境科學論文集 Vol.6 No.-

        近來에 와서 馬山灣을 포함한 鎭海灣一帶는 赤潮의 多發海域으로 주목되고 있으며, 그 原因生物로써 雙鞭毛藻類의 重要性이 강조되기에 이르렀다. 본 硏究는 이 海域에서 赤潮를 誘發시키는 雙鞭毛藻類 群集의 動態를 파악하고 赤潮의 發生機構를 究明하고저 실시하였으며 1982年 1月부터 12月까지 馬山灣을 中心으로 한 4개 定點에서 每月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중 出現한 雙鞭毛藻類群集은 총 43種類로써 12屬 ,43種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크기는 20∼1,000㎛의 범위에 있다. 現存量의 季節的인 變化는 表層이 365∼671,859 cells/ℓ, 그리고 低層이 158∼23,547 cells/ℓ의 범위를 나타내어 表層과 低層이 심한 대조를 보였다. 특히 계절적 출현양상은 5月에 Gymnodinium splendens 그리고 6月에 Prorcentrum micans가 優占的으로 出現하여 이들 單一種에 의한 특징적인 大發生이 관찰되었다. The study on the population dynamics of dinoflagellates has been carried out to clarify the redtide mechanism in the coastal zone. Monthly sampling was made at 4 selected stations in Masan Bay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to december, 1982. A total of 43 taxa, representing 12 genera, 43 species were identified during the study. Standing crops of dinoflagellate population varied extensively by months/stations: ranging from 158 to 671,859 cell/ℓ. The spring bloom was mainly composed of Gymnodinium splendens, while Prorocentrum micans in summer season. The community stability was closely related with higher value of diversity index in the surveyed area.

      • 부분 고정연을 갖는 직4각형 평판의 자유진동 해석

        유광일,김순철,이수곤 대한건축학회 200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1 No.2

        In the building structures, horizontal floor slabs can be classified as thin rectangular plates. Due to the restraint effect afforded by the edge beams, the plates(or slabs) are neither simply supported nor fixed along the edges. In other words, plates are partially fixed along the edges. The free vibration analysis for the fundamental frequencies of the partially fixed plates is performed by the finite element method. The parameters considered in the analysis are aspect ratio, λ and fixity factors, fx and fy along the edges, respectively. The changes of the frequency are represented by the second order algebraic equation of the above mentioned parameters. The frequencies estimated by the proposed algebraic equation coincide fairly well with those obtain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The fundamental frequency of a slab can be determined through an on-site vibration test. Once the frequency is known, the fixity factors, fx and fy can estimated by using the proposed algebraic equation. The estimated fixity factors will help the structural engineers better assesment of the bearing capacity and serviceability of the slab.

      • 마산만의 환경학적 연구 4. 1986∼1987년간의 해양환경 특성

        유광일,이준백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1990 環境科學論文集 Vol.11 No.-

        마산만의 해양환경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1986년 4월에서 1987년 3월까지 6개 정점에서 매월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중 물리적 요인으로 수온, 투명도 등을 화학적 요인으로는 염분, 수소이온 농도, 용존산소, 영양염류(인산염-인, 아질산염-질소, 질산염-질소, 암모니아염-질소, 규산염-규산) 등을 측정하였으며, 생물적 요인으로 chlorophyll a, c, phaeopigment, carotenoid를 조사하였다. 한편 이들 환경요인과 생물군집의 상호관계를 해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하였다.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ied the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its correlation between phytolplankton community and enviromental parameters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86 to march 1987 at 6 selected stations in Masan Bay. As environmental parameter water temperature, transparency, salinity, pH, dissolved oxygen, nutrients(PO₄-P, NO₂-N, NO₃-N, NH₄-N, SiO₃-Si) and plant pigments(chlorophyll a, c, phaeopigments and carotenoids), respectively. The parameters varied by seasons and stations. And then, factor analysis was adopted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phytoplankton community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 적조의 원인생물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 Genus Prorocentrum

        劉光日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1982 環境科學論文集 Vol.3 No.-

        적조의 원인생물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를 위하여 1980년 5월부터 11월까지 격월로 적조의 다발해역인 진해만 일대의 6개 정점에서 시료를 채집하였다. 그 결과로 적조의 원인생물인 식물성 플랑크톤 20 종류가 출현하였다. 이들 중 최우점종인 Prorocentrum micans 을 포함하는 Prorcentrum속에 대한 분류학적인 기재와 아울러 분포를 논의하였다.이 속의 3종 중 Prorocentrum minimum과 P.triestinum 은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For the systematic study on the causative organisms of red tide the samples were collected bimonthly from 6 stations in the Jinhae Bay during the period from May to November, 1980. A total of 20 taxa of dinoflagellate were collected during the course of study. Three species belonging to Genus Prorocentrum which is most representative genus of the area, P. micans, P. minimum and P. triestinum, were identified in the Jinhae Bay. Among these P. minimum and P.triestinum are new record for Korean waters.

      • 沿岸域에 있어서의 赤潮生物 君集의 動態에 관한 硏究

        劉光日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1984 環境科學論文集 Vol.5 No.-

        우리나라 沿岸域의 富榮養化에 따라 多發現象을 나타내고 있는 赤潮의 發生機構를 구명하기 위한 基礎硏究의 일환으로 赤潮生物群集의 動態에 관한 硏究를 실시하였다. 硏究對象海域은 鎭海灣一帶를 택하였으며 1981年 8月부터 1982年 7月까지 每月 선정된 6개 정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全 調査期間을 통하여 總 29 種類(11屬, 28種및 1未同定種)의 赤潮原因生物이 出現하였으며 年間을 통하여 이들 群集의 大發生은 5月에서 10月사이에 반복되고 있으며 單一種에 의한 특징적인 發生의 類型을 보인다. 한편 現存量의 變動은 大發生의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기에는 현저하게 감소되는 경향을 보인다. 또 群集의 安定度는 海域에 따라 다르나 多樣性指數는 大發生의 양상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 群集變動의 유효한 指標로 지목된다. As a part of redtide research a study on the population dynamics of redtide organisms in the coastal water has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1981 to July, 1982 in the Jinhae Bay. Samples were collected monthly from 6 selected stations for biological analysis in surveyed area. As a results twenty nine taxa of redtide organisms were taken in this study. Standing crops varied extensively by months and stations, but it showed major blooming peaks from May to October. Community stability by means of diversity index indicates the eutrophication in coastal water and blooming seasons.

      • 광주지역 황사기간중의 대기 건성침적량의 특성에 관한 연구

        류일광,이치영,강영식,노기환,김관천,유경석,강동구 광주보건대학 2002 論文集 Vol.27 No.-

        The deposition amounts of Ferric that are naturally originated elements from earth crust. The rate was 14,993㎎/㎡ day at the rang yellow sand season, which was 20 times higher than at the ordinary times. Artifical earth crust element Cr were lower than the amount yellow sand an increase. Naturally originated elements origination, movment channel and mutual be close the correlations of elements each other and were lower than in artificially originated elements. Deposition amount of chang were higher before yellow sand, lower before yellow sand of origination, time were inverse proportion.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liquefactive metals high, compare heavy matal and numerous of deposition amount. A1so gain liquefactive matal were rescattering numerous on account of little mass deduction.

      • KCI등재

        16S rDNA 클론 library 제작 및 핵산염기서열 결정을 통한 교정용 미니임플랜트 주위 열구의 세균 동정

        임성훈,김광원,유소영,국중기,장영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6 No.4

        교정치료 시 고정원으로 사용되는 교정용 미니임플랜트는 가동성 점막인 치조점막 부위에 식립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미니임플랜트 주위 연조직의 증식을 동반한 염증이 빈번히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치조점막에 식립하여 연조직 증식이 발생된 미니임플랜트 주위의 세균총과 동일 환자의 인접한 건강한 치은 열구의 세균총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악 구치부의 치조점막에 식립하여 연조직 증식이 발생한 미니임플랜트 및 이에 연결된 결찰선 주위 열구의 세균막과 미니임플랜트에 인접한, 치은 염증이 없는 제2대구치의 치은열구의 세균막을 멸균된 paper point로 채취한 후, 16S rDNA 클론 library 제작 및 핵산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하여 세균을 동정하여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미니임플랜트 주위 열구로부터 304개의 16S rDNA 클론을 얻었으며, 치은열구로부터 238개의 16S rDNA 클론을 얻었다. 클론의 9.2%에 해당하는 24종의 세균들은 미니임플랜트 주위 열구에서만 검출되었고, 이들은 Haemophilus aphrophilus, Sphingomonas species, Capnocytophaga species, Prevotella melaninogenica, Lachnospiraceae species, Porphyromonas species, Neisseria flava 등이었다. 전체 클론의 80.4%에 해당하는 29종의 세균들은 미니임플랜트 주위 열구 및 건강한 치은 열구 모두에서 검출되었다. 이들 중 특히 미니임플랜트 주위에서 더 많은 클론이 분리된 세균들은 Prevotella species, Atopobium rimae, Veillonella species, Streptococcus intermedius/constellatus, Streptococcus salivarius 등이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치조점막에 식립한 미니임플랜트 주위에서 검출된 세균들이 염증을 일으키거나 악화시킬 수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치조점막에 식립한 미니임플랜트 주위의 연조직 염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bacterial flora at the peri-implant sulcus of the orthodontic mini-implant placed in the alveolar mucosa with the bacterial flora at the adjacent healthy gingival sulcus. Methods: Two plaque samples from 7 patients were collected by inserting paper points into the sulcus between the mini-implant and ligature wire connected to the mini-implant head and inflamed alveolar mucosa, and from the gingival sulcus of a healthy tooth adjacent to the mini-implant. Results: Using 16S rDNA clone library, the 24 kinds of bacteria including Haemophilus aphrophilus, Sphingomonas species, Capnocytophaga species, Prevotella melaninogenica, Lachnospiraceae species, Porphyromonas species, Neisseria flava were identified only from the sulcus around the mini-implant. These bacteria constituted only 9.2% of total clones, and the bacteria identified from both the sulcus around mini-implants and the gingival sulcus constituted 80.4% of total clones. Of these bacteria, clones of Prevotella species, Atopobium rimae, Veillonella species, Streptococcus intermedius/constellatus, Streptococcus salivarius were more frequently isolated from the peri-implant sulcu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 broad epidemiological study is needed to find causative bacteria which induce inflammation from the peri-implant sulcus.

      • 당뇨병과 동반된 화농성 간농양의 임상상 및 예후인자

        오은숙,강무일,이원영,오기원,임동준,이소영,이정민,고승현,김성래,안유배,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 대한당뇨병학회 2000 임상당뇨병 Vol.1 No.1

        연구배경: 감염질환은 혈관질환과 함께 당뇨병의 중요한 사망원인의 하나이며, 혈당조절이 불량할수록 감염 빈도가 증가됨은 잘 알려져 있다. 간농양의 발생이 있어서도 당뇨병은 중요한 기저질환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Escherichi coli라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당뇨병을 가진 간농양 환자에서 Klesiella pneumoniae의 검출이 증가되고 있다. 또 최근 연구에 의하면 K.pneumonie가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K. pneumoniae에 의한 간농양은 K.pneumoniae 이외의 균주에 의한 간농양보다 당뇨병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간농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환자의 빈도를 알아보고, 그 원인균 및 특징을 비당뇨병 환자들의 경우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방사선학적 검사 혹은 수술에 의해 간농양이 확인되거나, 경피적 천자나 수술을 통한 배농액 배양, 혹은 혈액 검사에서 원인균이 증명된 1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임상고찰을 실시하였다. 결과: 화농성 농양을 가진 167명의 환자(남:94명, 여:73명)중 당뇨병을 가진 환자는 54명 (남:30명, 여:24명)으로 32.3%를 차지하였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당뇨군에서 62.1 ± 13.4세, 비당뇨군에서는 55.1 ±15.5세로 당뇨군에서 높았으며(p=0.0021), 남녀간의 평균나이 비교 시 두 군 모두 여성의 나이가 의미있게 높았다. 비당뇨군에 비하여 당뇨군의 경우 저알부민혈증의 빈도와 aspartate transaminase가 증가되어있었다. 원인균주는 K. pneumoniae (당뇨군54%, 비당뇨군 39.1%), E. coli(당뇨군 17.5%, 비당뇨군 18.8%),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viridans, Enterococcus 순이었으며 두 군간의 의미는 차이는 없었으나 K. pneumoniae의 경우 다른 균종에 비해 단독감염의 빈도가 높았다(82.8%). 사망률은 당뇨군에서 16.7%, 비당뇨군에서 7.1%로 당뇨군에서 의미있게 높았으며(p=0.019), 당뇨군에서의 사망환자는 모두 패혈증이 동반되어 있었다. 당뇨환자의 사망군은 생존군에 비해 당뇨병 이환기간이 길고 혼합감염의 빈도가 높았다(p=0.046). 검사실 소견에서는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가 관찰되어 있었다. 결론: E. coli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라는 기존 보고와는 달리 당뇨군과 비당뇨군 모두 K. pneumoniae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었다. 또한 당뇨 유병기간이 길고 당뇨조절이 불량한 환자에서 혼합감염이며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등과 같은 위험인자가 존재할 경우 사망률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들 군에서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Liver abscesse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underlying disease, particularly diabete mellitus. The number of the liver abscesses caused by Klebslella pneumoniae in diabetic patient has been increased in Korea nowaday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prognostic factors of pyogenic liver abscesses, especially in diabetic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K. pneunomiae as a pathogen in liver abscess in Korea. Methods: Medical records of 167 patients treated for pyogenic liver abscess from January, 1992 through June, 199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 detail. Major Pathogenic organism, clinical manifestations, prognostic factors, the importance of diabetes mellilus as an underlying disease and its effect on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167 cases of pyogenic liver abscess, underlying diabetes mellitus was present in 32.3%.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2.7 13.4 years in diabetic liver abscess group and 55.1 15.5 years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group. Most liver abscesses were cryptogenic in origin or secondary to the billary tree diseases. The clinical presentations among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diabetes, patients with diabetes ha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s of hypoalbuminemia and elevated aspartate transaminase level. The most common organism of the pyogenic abscess was K. pneumoniae in both groups. Percutaneous drainage of the abscess with appropriate antibiotics was the most commonly used therapeutic modality in liver abscess. The mortality rate of diabetic liver abscess is 16.1 % and 7.1%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Complications, especially septicemla,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diabetes than in patients without diabetes (64.8% vs 28.3%, septicemia : 31.5% vs 9.7%). The factors influencing mortality in the diabetic liver abscess were disease duration, mixed infection, presence of septicemia, elevated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Conclusions: In contrast to prior report that the E. coli was the most common pathogen in liver abscess, we found that K.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cultured in liver abscess. Diabetic patients have more complications and higher mortality than patients without diabetes. Early detection and proper treat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outcome for diabetic patient with liver abs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