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풍환자의 피부 표면 지질 조성

        윤준혁,김도원,전재복,정상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5 慶北醫大誌 Vol.36 No.1

        목적 : 전풍(Tinea versicolor)은 특히 여름철에 흔한 피부에 표재성 진균 감염증으로 Malassezia furfur에 의해 발생한다^3,5,18). 본 증은 피지선의 활동이 왕성해지는 사춘기 이후 호지성(好脂性) 진균에 의해 지루부위에 호발하기 때문에 피부 표면 지질의 조성이 정상인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그 변화는 대체로 없거나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6,16) 최근에는 이에 대한 자세한 보고가 없다. 저자들은 여름철에 호발연령군 전풍환자의 호발부위에서 피부 표면 지질을 채취, 분석하여 그 조성 성분을 동일 조건의 정상인과 비교해봄으로써 본 중과 피부 표면 지질조성의 관계를 규명해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3년 6월과 7월에 경북대학교병원 피부과와 칠곡 가톨릭피부과의원을 방문한 전풍환자 중 청년 20명과 정상인 청년 20명에서 Downing 등의 ring/cup 법을 이용하여 피부 표면지질을 채취한 다음 thin layer chromatography(TLC)와 Photodensitometer로 그 조성 성분을 분석하고 정상인과 비교하였다. 결과 : 1) 전풍환자의 피부 표면 지질 조성은 squalene이 21.3±2.3%로 가장 많았으며, cholesterol esters 24.3±2.6%, triglycerides 12.9±4.0%. free fatty aceds 11.7±3.1%, cholesterol 13.0±2.2%, sphingolipids 9.6±2.2%, cholesterol sulfate 1.6±0.8%이었다. 2) 정상인의 피부 표면 지질 조성은 squalene 21.4±4.1%, cholesterol esters 25.2±3.0%, triglycerides 11.3±3.7%, free fatty acids 14.9±3.7% , cholesterol 11.6±1.8%, sphingolipids 8.4±3.9%, cholesterol sulfate 1.7±1.0%이었다. 3) 전풍환자가 정상인에 비해 free fatty acids는 유의하게 낮게(P<0.01), cholesterol은 유의하게 높게(P<0.05) 나타났으며, 나머지 지질성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전풍 환자의 피부 표면 지질 조성은 정상인과 큰 차이는 없으나 free fatty acids와 cholesterol은 차이를 보이므로 앞으로 지방산의 성분 분석을 포함한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skin surface lipids in the pathogenesis of tinea versicolor, the compositions of skin surface lipids were analyz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TLC). Skin surface lipids were extracted from the back of patients with tinea versicolor and normal controls by the ring method using organic solvents(Acetone:Ether=1:1, v/v), TLC was. performed and lipids composition were quantitated by photodensitometer. In the compositions of skin surface lipids in patients with tinea versicolor, free fatty acids were lower(P<0.01) and cholesterol was higher(P<0.05) than those of normal controls respectively. However, other compositions of skin surface lipids including squalene, cholesterol esters, triglyce-rides, sphingolipids and cholestero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group. Low free fatty acids in this study may reflects the proliferation of yeast forms of Pityrosporum orbiculare therefore, further investigations will be needed.

      • KCI등재
      • KCI등재

        정상 혈압 성인에서 비만도와 좌심실 질량과의 관계

        양선우,오미경,박웅섭,유동식,최은진,신윤정,이두영,정상,김종성 대한가정의학회 2007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8 No.4

        Relationship of Left Ventricular Mass to Obesity in Normotensive AdultsSun Woo Yang, M.D., Dong Sig Yoo, M.D., Eun Jin Choi, M.D., Yun Jung Shin, M.D., Doo Young Lee, M.D., Sang Sig Cheong, M.D.*, Jung Song Kim, M.D.**, Wong Seb Park M.D.***, Mi Kyeong Oh, M.D.† 연구배경: 좌심실 비대는 심혈관계 질환에 의한 이환률과 사망률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좌심실 비대의 위험요인으로 비만이 고혈압과 연관되어 좌심실 비대를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는 있었지만, 우리나라에서 비만 자체가 좌심실 질량을 증가시킨다는 연구는 미비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 혈압을 가진 사람에 있어서 비만도가 좌심실 비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6년 11월부터 2001년 9월까지 일개 병원 종합 건강검진센터에서 심초음파를 시행했던 사람 중 병력 상 고혈압이 있는 사람, 갑상선 질환, 당뇨병, 각종 심장병으로 치료 받거나, 이러한 질병이 새로 발견된 사람을 배제하고 정상 혈압(수축기 혈압<140 mmHg와 이완기 혈압<90 mmHg)을 가진 240명(남자 139명, 여자 10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좌심실 질량은 심초음파로 Deverreux 공식을 통해 얻어냈으며, 좌심실 질량을 신장의 2.7 제곱한 값으로 나누어 좌심실 지수(left ventricular index)를 구하였고, 총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중성 지방, 공복 혈당, 음주력, 흡연력, 운동 정도 등을 함께 살펴보았다. 결과: 전체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4.9±9.0세였고, 평균 체질량지수(BMI)는 24.2±2.5 kg/m2, 평균 좌심실 질량은 194.7±53.7 g, 평균 좌심실질량지수는 44.3±10.2 g/m2.7이었으며, 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좌심실질량지수는 증가하였다(P<0.001). 연령을 보정한 후 좌심실질량지수는 남자의 경우는 체질량 지수만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여자의 경우는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허리/엉덩이 둘레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비만도에 따른 좌심실비대 유병률은 정상 체중군에서 15.9%, 과체중군에서 33.3%, 비만군에서 39.4%였다. 결론: 당뇨병이 없는 정상 혈압을 가진 성인에 있어서 비만도와 좌심실 질량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는데, 특히 여자에서 두드러졌다. 비만 자체만으로도 독립적으로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인 좌심실 비대가 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同時タクシス連体節の時間性について : 韓国語との対照を中心に

        정상철(Jung, Sang-Cheol)(鄭相哲) 일본어문학회 2019 일본어문학 Vol.87 No.-

        本論文は韓国語と日本語の同時的な時間関係を表わす連体節のテンス·アスペクトを対象としたものである。時間的限定性、タクシス、動詞タイプなどの観点から考察し、その主な内容としては、大きく次の二点にまとめられる。 第1点目は、連体節のテンス·アスペクトの意味を実現する文法的な条件とその順序である。つまり、1)時間的限定性の有無、2)タクシス(継起関係か同時関係か)、3)主節テンス(未来/現在/過去)、4)連体節の述語タイプ(内的限界動詞かどうか)である。この順序は非常に厳格であり、相互交替は不可能である。 第2点目は韓国語の「던(ten)」の使用条件と意味についてである。まず、基本的に同時的なタクシスで連体節の述語が文法的に限界づけられていない(unbounded)場合は義務的であり、限界づけられると任意的になる。また、継起性やアスペクトを表わす場合はなじみにくい。次は「던」の文法的な意味としては、時間名詞のようにはたらき連体節を絶対テンス化し、話し手の目撃性を表わすものと考えられる。 In this article, we deal with tense and aspect of ad-nominal clauses which express simultaneity taxis in Korean and Japanese. Our analysis is based on the notions of temporal localization, taxis, and verb types, and its core results are twofold as follows. Firstly, our primary finding is concerned with grammatical conditions and their order which are relevant to the realization of temporal and aspectual meanings of ad-nominal clauses. That is, (i) the presence/absence of temporal localization, (ii) taxis (temporally sequential relation, simultaneity), (iii) tense of a matrix clause (future, present, past), and (iv) the types of predicate in an ad-nominal clause (telic, atelic). This order is strict and cannot be overridden. Secondly, another central outcome of our study pertains to the conditions on the use of 던 (ten) and its grammatical meaning. The use of this grammatical item is obligatory when the predicate of an ad-nominal clause is grammatically unbounded due to simultaneity taxis; otherwise, it is optional. Moreover, the use of the grammatical item is not natural when simultaneity or aspect is expressed. As for the grammatical meaning of 던 (ten), it behaves like a temporal noun, as a result of which the ad-nominal clause has absolute tense, and the speaker’s evidentiality is express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원효(元曉) 화쟁사상(和諍思想)과 그 현대적 의의

        정상봉(鄭相峯)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통일인문학 Vol.53 No.-

        예로부터 지금까지 개인과 개인·집단과 집단·국가와 국가 사이에 옳고 그름을 가리는 논쟁은 끊임이 없다. 본고에서는 원효(617~686년)의 화쟁사상을 살펴봄으로써 그가 어떻게 당시 불교이론 간에 상호 충돌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소하였는지 이해할 수가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삼론종과 유식종 즉 중관학파와 유식학파는 유무(有無)와 진속(眞俗) 문제 에 대하여 각기 서로 다르게 말하였지만 원효는 『대승기신론소』와『금강삼매경론』에서 염정(染淨)·유무(有無)·진속(眞俗)이 원래 둘은 혼융되지만 하나인 것도 아니며 종국에는 일시(一心)의 근원으로 돌아간다고 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그는 눈뜬이의 관점에서 『십문화쟁론』을 지어 교리상의 열 가지 문제를 상론하였다. 원효의 일심화쟁사상은 "전체[總]는 개별[別]에 즉 [卽]하고, 개별은 전체에 즉한다."는 상호 연계성과 "전체 속의 개별, 개별 속의 전체"라는 상호 포섭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철학사상은 삼국의 통일에 그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였다. 오늘날 남북한이 비록 모두 한반도의 통일을 주장하지만 쌍방의 입장과 사상이념은 크게 다르다. 마치 눈먼 이들이 각기 코끼리를 얘기할 때 코끼리에 대하여 말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온전하게 실상을 말하는 것은 아닌 것과 같다. 여기서 만약 우리가 원효의 일심화쟁사상에 주목한다면 전체와 개별의 연계성과 포섭성에 근거하여 일편의 편견을 대던지고 서로 포용의 노력을 기울일 수가 있을 것이다. 이것이 원효화쟁사상의 현대적 의의 소재처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