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급성 췌장염의 진단에 있어서 Urinary Trypsinogen-2 Dipstick 검사의 유용성

        황성준 ( Seoung Joon Hwang ),정준표 ( Jun Pyo Chung ),김영균 ( Young Gyun Kim ),송대훈 ( Dae Hoon Song ),이재성 ( Jae Sung Lee ),백승석 ( Seung Seok Baek ),김도연 ( Do Yun Kim ),이덕용 ( Dok Yong Lee ),정연수 ( Yon Soo Jeong ) 대한소화기학회 2004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3 No.6

        Background/Aims: The clinical usefulness of urinary trypsinogen-2 dipstick test is still in controversy. We evaluated the usefulness of urinary trypsinogen-2 dipstick test in patients with acute pancreatitis. Methods: Urinary trypsinogen-2 dipstick test was prospectively performed in 50 patients with acute pancreatitis, 50 patients with non-pancreatic abdominal pain, and 50 healthy controls. Results: On admission, urinary trypsinogen-2 dipstick test was positive in 36 of 50 patients with acute pancreatitis (sensitivity, 72%) and in 4 of 50 patients with non-pancreatic abdominal pain (specificity, 92%). On the other hand, it was all negative in control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serum lipase were 78% and 94%, respectively. At 24 hours after admission, the positive rate of urinary trypsinogen-2 dipstick test rose from 72% to 94% (p=0.02). The results of urinary trypsinogen-2 dipstick test was positive in 14 of 15 patients with severe pancreatitis and 22 of 35 patients with mild pancreatitis according to the criteria by Atlanta International Symposium, 1992. Conclusions: Urinary trypsinogen-2 dipstick test is comparable to serum lipase in diagnosing acute pancreatitis. Delayed measurement and severe pancreatitis are more likely to yield positive results with urinary trypsinogen-2 dipstick test. Thus, we suggest that the cut-off value of urinary trypsinogen-2 dipstick test should be lowered to increase its sensitivity. (Korean J Gastro-enterol 2004;43:364-369)

      • SCOPUSKCI등재

        만성 B형간염 환아에 대한 Interferon-alpha 치료결과의 장기 추적관찰

        백승연,엄지현,정기섭,Baek, Seoung-Yon,Eom, Ji-Hyun,Chung, Ki-Sup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3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6 No.2

        목 적: 소아 만성 B형간염의 치료제로 interferonalpha(IFN)가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 약 30~40%에서 치료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소아를 대상으로 IFN 치료를 시행한 후 장기 추적관찰을 통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본 연구에서는 소아 만성 B형간염에서의 IFN 치료 효과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장기 추적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1982년 5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약 20년 동안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HBsAg, HBeAg 및 HBV-DNA가 6개월 이상 양성 소견을 보여 만성 B형간염으로 진단받은 환아 378 명 중 IFN 치료를 시행받은 11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녀 비는 2.3 : 1이었고, 진단 당시의 평균 연령은 $11.1{\pm}4.1$세이었다. IFN은 300만 unit를 주 3회 근육 주사하였으며, 주기적으로 외래에서 B형 간염 표지자와 간기능검사를 시행하였다. 치료받은 환아는 4~114개월($48.1{\pm}33.4$개월) 동안 추적 관찰하였으며, IFN 치료 후 재발한 경우는 lamivudine 또는 IFN 재치료를 시행하였다. 결 과: IFN 치료에 대한 반응은 HBeAg과 HBV-DNA의 음전 및 ALT값의 정상화로 정의하였으며 반응군은 82례(72.6%), 비반응군은 32례(28.3%)로 두 군 간에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IFN 치료 후 HBeAg은 총 113례 중 87례(77%)에서 음전 되었고, anti-HBe는 79례(70%)에서 양전, HBV-DNA는 84례(74.3%)에서 음전되었다. HBeAg, HBV-DNA 모두 음전 된 환아는 82례(72.6%), HBV-DNA 만 음전된 환아는 2례(1.8%)였으며, HBeAg만 음전된 환아는 5례(4.4%)였다. HBsAg은 6례(5.3%)에서 음전, anti-HBs는 11례(9.7%)에서 양전되었다. ALT 값은 91례(80.5)에서 정상화되었다. IFN 치료 후 HBeAg 및 anti-HBe, HBV-DNA, HBsAg 및 anti-HBs의 음전 및 양전이 일어나는 기간을 생명표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한 결과 HBeAg의 5년 음전율은 78%, 10년 음전율은 90%로 최고조를 보였으며, anti-HBe는 5년 양전율이 77%, 10년 양전율이 84%로 최고조를 보였다. 또한 치료 후 HBV-DNA의 5년 음전율은 80%였고, 10년 음전율은 88%로 최고조를 이루었다. 또한 HBsAg의 음전율과 anti-HBs 의 양전율은 5년 후 각각 6.7% 및 13%로 최고조를 이룬 후 계속 추적 관찰하는 동안 변화가 없었다. IFN 치료 후 HBeAg의 음전 및 anti-HBe의 양전은 각각 평균 $14.1{\pm}17.0$개월 및 $16.1{\pm}17.7$개월 걸렸고, HBV-DNA의 음전은 평균 $14.2{\pm}14.1$개월이 소요되었다. HBsAg은 단지 5%의 환아에서만 음전되었으며 평균 $14.2{\pm}12.1$개월이 걸렸다. 치료 후 혈청 ALT값이 정상화 되는 데는 평균 $11.1{\pm}14.4$개월이 걸렸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치료 전 혈청 ALT값, HBV-DNA값, 치료 전 환아의 연령이 B형 간염 표지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Cox model로 분석한 결과, 치료 전 ALT값이 높을수록 HBV-DNA가 통계학적으로 가장 의미 있게 음전되었다(p=0.027). HBeAg과 anti-HBe는 통계학적으로 의미는 없었으나 치료 전 혈청 ALT값이 높을수록 음전(p=0.18) 및 양전(p=0.079)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기타 치료 전 혈청 HBV-DNA값과 연령은 B형간염 표지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IFN 치료 후 총 82례의 반응군 중 11례(13.4%)에서 재발하였다. 이중 3례에서 lamivudine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2례에서 치료에 반응하였다. 3례에서는 IFN를 재치료하여 이 중 1례에서 치료 효과가 있었으며, 나머지 3례는 특별한 치료 없이 표지자들이 혈청변환(seroconversion)되었다. IFN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Purpose: We tried to evaluate the long term efficacy and positive predictive factors of interferon-alpha treatment in children with chronic hepatitis B.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113 children who received interferon therapy between May 1982 and July 2002 (20 years) for chronic hepatitis B in Department of Pediatr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Male to female ratio was 2.3 : 1 and the mean age at diagnosis was $11.1{\pm}4.1$ years old. Response to treatment was defined as normalization of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disappearance of HBeAg and HBV-DNA Eighty two children responded while 32 did not. Interferon-alpha was given intramuscularly for 6 months at a dosage of $3{\times}10^6$ unit, 3 times weekly. In relapsed cases, lamivudine or interferon retreatment was done. Results: Seroconversion rate was 77.0% in terms of HBeAg, 74.3% in terms of HBV-DNA, and 80.5% in terms of ALT normalization after treatment. Seroconversion rate of both HBeAg and HBV-DNA was 72.6%. Analyzed by life table method, the effect of the treatment had been maintained over 10 years after cessation of therapy. Pre-treatment ALT level was the only significant positive predictive factor of response. Eleven cases (13.4%) relapsed, and 2 out of 3 showed response when treated with lamivudine and 1 out of 3 with interferon retreatment. Conclusion: Interferon-alpha showed significant efficacy in the treatment of chronic hepatitis B in our study. Further studies about the effect of interferon therapy on complications of hepatitis such as hepatocarcinoma, cirrhosis are warranted.

      • KCI등재후보

        소아에서 상부 위장관내시경 검사 시 Midazolam 투여에 따른 생명활력징후의 변화 및 진정 효과

        백승연,고홍,정기섭,Baek, Seoung Yon,Koh, Hong,Chung, Ki Sup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6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9 No.2

        목 적: 상부위장관 내시경은 위장관계 질환을 검사하는 데 매우 유용한 검사이나, 소아에서는 검사에 따른 불안과 불편감으로 시행에 어려움이 많다. 최근에 midazolam 등의 진정제 투여로 이런 것들을 상당부분 개선하고 있다. 저자들은 midazolam 투여시 소아의 활력징후 변화를 측정하여 약제투여의 안전성과 진정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8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에 내원하여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받은 244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midazolam 투여군과 비투여군에서 검사 전과 검사 도중의 산소포화도, 심박동수, 의식상태의 변화 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조사 분석하였다. 결 과: midazolam 투여군과 비투여군 사이에 생명 활력 징후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내시경검사 시 투여된 midazolam의 용량과 의식상태 및 산소포화도 변화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산소포화도는 비투여 및 투여군 양 군에서 검사 전보다 검사 도중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1), 양 군 모두에서 산소포화도는 95% 이상으로 유지되어 임상적 의미는 없었다. 심박동수는 비투여 및 투여군 모두에서 검사 전보다 검사 도중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p<0.01), 양 군 간의 심박동수 증가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투여 용량의 증량에도 진정효과가 더 잘 유도되지 못했으며 대부분의 환아가(76.1%) alert한 의식상태를 유지하여 진정효과가 충분하지 못하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저용량 midazolam을 투여하였을 때 생명활력징후의 안전성은 확인하였으나, 충분한 진정효과 및 기억 상실 효과를 얻기에는 다소 미흡하였다. Purpose: Esophagogastroduodenoscopy (EGD) is a very useful procedure in diagnosing gastrointestinal diseases. However, there can be some difficulty in performing this procedure in children due to the associated discomfort. Recently, sedative agents such as midazolam have been introduced to alleviate this problem quite successfully. In our study, we attempted to confirm the safety and efficacy of midazolam use by monitoring the vital signs of children undergoing endoscopy. Methods: We analyzed data on 244 children who received EGD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at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between August 2003 and July 2005. We evaluated $O_2$ saturation, heart rate and change of mental status before and during the procedure and analyzed the results using the SPSS 12.0 package (Chi-square test, cross table method, etc.).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ital signs measured before and during EGD between midazolam treated and non treated children.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midazolam given and $O_2$ saturation or a change of mental status. Regarding the $O_2$ saturation, it was decreased during EGD in both groups with p<0.01 though no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the groups; the $O_2$ level was maintained above 95% in all patients. The heart rate was also increased during EGD in both groups with a p<0.01;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We confirmed the safety of low dose midazolam by evaluating the vital signs of children during endoscopies. However, the doses used were not sufficient for sedation or to obtain an amnestic effect.

      • KCI등재후보

        소아 담석증에 대한 임상적 연구

        은호선,백승연,정기섭,Eun, Ho Seon,Baek, Seoung Yon,Chung, Ki Sup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5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8 No.2

        목 적: 소아에서 담석증은 성인에 비해 드문 질환이며, 여아에서 호발하고, 전형적인 증상은 드물 어서 나이가 어릴수록 무증상일 가능성이 높다. 원인으로 구상적혈구증, 복부 수술, 항생제(ceftriaxone), 감염 등에 의하여 유발되기도 하며, 유전 요인,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소아의 담석증에 대한 연구 보고는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연세의대 소아과에 내원하여 담석증으로 진단 받은 환아들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9년 1월 1일부터 2005년 5월 31일까지 본 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담석증으로 진단 받은 15세 이하의 환아 총 18예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대상 환아는 복부 초음파 검사 또는 복부 CT 검사에서 담석증으로 확진된 경우만으로 하였고, 이러한 영상검사를 시행하지 않았거나 담낭잔사를 보인 환아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 과: 대상 환아는 남아 12예, 여아 6예로 남녀 비는 2:1이었고, 연령별 분포는 최소 4개월부터 최대 13년 3개월 된 환아까지 다양하였다. 전체 평균은 $6{\pm}4.3$세였고, 남아는 $6.1{\pm}3.9$세, 여아는 $5.8{\pm}5.6$세로 큰 차이는 없었다. 담석증에 의한 증상은 18예 중 3예(16.7%)에서 고열, 복통, 구토 등이 있었고, 나머지 15예(83.3%)에서는 증상이 없었다. 이러한 증상은 남녀간에 차이가 없었고, 연령이 많을수록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총 18예 중 15예(83.3%)에서 유발 요인이 있었는데, 항생제(ceftriaxone) 투여가 6예(33.3%), 감염이 4예(22.2%), 구상적혈구증이 3예(16.7%), Down 증후군과 복부 수술이 1예(5.6%)에서 각각 있었다. 담석의 크기는 17예 중 15예(88.2%)가 5 mm 이하의 담석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5~10 mm가 2예(11.8%)였고, 10mm 이상은 없었다. 담석의 수는 단발(single)과 다발(multiple)이 각각 14예(77.8%), 4예(22.2%)로 단발성 담석이 많았다. 말초혈액도말 검사상 백혈구증다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고칼슘 혈증을 보인 환아는 없었으나, 2예에서 철결핍성 빈혈이 있었다. 혈청 AST 및 ALT는 7예(58.3%)에서 증가되었는데, 이 중 전염성 단핵구증에 감염된 환아는 2예로 이 중 1예는 혈청 빌리루빈치가 약간 상승되어 있었고, 마이코플라즈마에 감염된 1예는 급성 췌장염이 합병되어 혈청 amylase 및 lipase가 상승되어 있었으며, 1예는 캔디다 감염이 동반되어 있었다. 치료는 18예 중 17예(94.4%)에서 보존적 치료를 하였으며 주기적으로 복부 초음파를 시행하면서 추적 관찰하였다. 수술은 Meckel 게실이 동반되었던 1예에서 담낭 적출술을 시행하였다. 추적 관찰하였던 환아 17예 중 13예에서 복부 초음파상 담석이 소실되었고, 3예는 추적 관찰 중이며, 나머지 1예는 추적 관찰에서 탈락되었다. 탈락된 1예를 제외한 17예 모든 환아에서 재발이나 합병증은 없었다. 결 론: 본 연구 결과 소아 담석증은 남아에서 호발하고, 어릴수록 무증상이 많다. 유발요인이 있는 환아가 많았고, 크기가 작은 단일석이 대부분이었다. 치료는 대부분 보존적 치료를 하였다. 최근 영상진단의학이 발달함에 따라 소아에서도 담석증의 발견율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소아 담석증에 대한 연구보고는 드물다. 따라서 소아 담석증 환아에서 성인과 다른 특성과 또한 유발 요인 등을 비롯한 외국 환아와의 임상적 차이점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Gall bladder (GB) stones in children are rarely observed, and so reports of them have been quite limited in Korea. Therefore, we tried to assess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children with GB stone diagnosed at Severance Hospital. Methods: A clinical study was performed on 18 patients below 15 years of age diagnosed with GB stone by abdominal ultrasonography or CT scan at Severance hospital from January 1999 to May 2005. Results: Concerning patients' profile, their sex ratio of male to female in total 18 cases was 2 : 1 with the mean age of $6{\pm}4.3years$. 15 patients (83.3%) were asymptomatic. Inducing factors were found in 14 children (77.8%) including ceftriaxone therapy in 6 cases (33.3%), infection in 4 cases (22.2%), spherocytosis in 3 cases (16.7%), Down syndrome and abdominal operation in 1 case (5.6%) respectively. Single stone was found in 13 cases (76.5%) and multiple in 4 cases (23.5%). 15 cases (88.2%) had the stones less than 5 mm in size, and 2 cases (11.8%) between 5 and 10 mm. 17 patients received conservative treatment, and one patient had cholecystectomy due to Meckel diverticulum. Conclusion: In this report, Pediatric GB stones are predominant in male children, without typical symptoms, having inducing factors, single and small. Recently the diagnosis of them has been increased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imaging study. But the reports for them were still rare in Korea. Therefore the study for them is more necessary to find it's clinic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3세 여아에서 진단된 특발성 문맥 고혈압 1예

        손기영,백승연,정기섭,Son, Ki-Young,Baek, Seoung-Yon,Chung, Ki-Sup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7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0 No.2

        A previously healthy 3-year-old girl was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in Severance Hospital with sudden symptoms of melena. The vital signs were stable, and splenomegaly was found in a physical examination. The patient had moderate thrombocytopenia. There was no evidence of autoimmune disease. A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and esophagogram showed a varix on the lower esophagus. Coarse liver parenchymal echoes and increased periportal echogenicity were seen on a Doppler sonogram. The velocity of the portal vein mildly increased. Magnetic-resonance-cholangiopancreatogram (MRCP) demonstrated normal portal structures. A sono-guided liver biopsy was performed, but the pathological findings were unremarkable.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agnosed the patient with idiopathic portal hypertension. The patient was discharged and was treated with oral beta blocker. We report a case of idiopathic portal hypertension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저자들은 혈변을 호소하였던 3세된 여아에서 소아에서 비교적 드문 식도 정맥류와 비종대가 합병된 특발성 문맥 고혈압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더불어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후보

        Alport 증후군의 예후와 관련된 위험요인 분석

        변지윤,백승연,이영목,김지홍,이재승,김병길,홍순원,정현주,김순일,김유선,박기일,Byun Ji-Yoon,Baek Seoung-Yon,Lee Young-Mock,Kim Ji-Hong,Lee Jae Seung,Kim Pyung-Kil,Hong Soon-Won,Jeong Hyeon-Joo,Kim Soon-Il,Kim Yu-Seun,Park Ki-Il 대한소아신장학회 2001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5 No.2

        목 적 ; Alport 증후군은 1927년 Alport에 의해 처음 보고된 유전성 신질환으로 전신적으로 기저막에 영향을 미쳐 계속적으로 진행하는 신질환과 감각신경성 난청, 눈의 이상, 전자현미경상 특징적 소견,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 가족력 동반을 특징으로 한다. 저자들은 Alport 증후군 환아의 임상적 특징을 중심으로 관찰하여 이 질환의 예후에 관련된 위험요인을 알아보고자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0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20년동안 소아과에서 시행한 신장조직검사에서 Alport 증후군으로 진단 후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환아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처음 내원 당시와 현재의 신장기능을 비교하여 현재까지 정상의 신장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군(Group I)과 만성신부전으로 진행한 군(Group II)으로 나누어 Group I과 Group II간의 여러 가지 임상양상을 비교하였으며 통계학적 방법으로는 비모수검정법을 이용하였다. 결 과 : 24명의 환아 중 남녀의 비는 3:1이였고 신증상 발현시의 연령은 평균 $5.2{\pm}3.6세$였으며 내원 당시 나이는 평균 $7.8{\pm}4.4세$였다. 처음 내원 당시의 주증상은 육안적 혈뇨가 15예($62\%$)로 가장 많았고, 진단 당시의 환아들의 임상양상으로는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17예($70\%$), 육안적 혈뇨는 18예($75\%$), 단백뇨가 있었던 경우가 14예($58\%$), 부종은 14예($58\%$), 고혈압은 6예($25\%$)에서 관찰되었다. 전체 24명의 환아 중 만성신부전으로 진행된 경우는 11예($46\%$)였고, 이 중 말기신부전으로 진행되어 신장이식 후 관찰 중인 경우가 7예($29\%$) 있었다. 청각이상소견을 보인 경우는 12예($50\%$)였으며, 안과적 정밀검사상 이상소견을 보인 경우는 5예($21\%$)였다. 신증상 발현이후 계속해서 신장기능이 유지되고 있는 집단을 Group I(n=13), 만성신부전으로 진행한 집단을 Group II(n=11)라고 할 때, 이 두 집단 사이의 진단당시의 임상양상의 차이를 보면 고혈압, 단백뇨 및 부종의 빈도가 Group 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으며, 임상병리검사 소견에서는 혈중 총단백량, 알부민, creatinine 청소율이 Group 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고, BUN, creatinine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결 론 : Alport 증후군 환아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예후와 관련된 위험요인으로는 진단시의 고혈압, 부종, 단백뇨 유무 여부와 혈중 총단백량, 알부민, BUN, creatinine, 사구체 여과율이 중요하며, 이런 가능한 위험요인의 분석과 관찰이 Alport 증후군 환아의 치료와 예후 인지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Purpose : Alport syndrome is a hereditary nephrotic disease characterized by progressive nephrotic symptom, sensorineural hearing loss, ophthalmic abnormality, typical microscopic findings, and familial occurrence.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the risk factors related with its prognosis by taking a close observation on clinical symptoms of children with Alport syndrome reviewing retrospectively. Materials & methods : We chose children diagnosed as Alport syndrome in renal biopsy during 20 years(from 1980, Jan. until 1999, Dec.) who could receive follow up studies in tile department of pediatric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comparing renal function at the time of diagnosis and at current status. We compared several clinical aspects in them, and applied nonparametric test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 The sex ratio(male:female) of 24 children was 3:1. The most common clinical symptom presented at their first visit was gross hematuria. Among those 24 children, 11 cases($46\%$) of progressing into chronic renal failure(Group II) were observed. Hypertension, proteinuria and edema were seen much frequently in group II. The level of serum protein, albumin, and creatinine clearance were decreased while BUN, creatinine were relatively increased. All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Clin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s related to prognosis in Alport syndrome were the presence of hypertension, edema, and proteinuria at the time of diagnosis. Also, the level of serum protein, albumin, BUN, creatinine, and glomerular filtration rate were proved to be important factors in predicting prognosis. We believe that studies on these possible risk factors would be of great help in treating and predicting prognosis of children suffering with Alport syndrome.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1;5 : 164-7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