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연령에 따른 진로발달 특성의 변화추이 분석

        황매향(黃梅香),김봉환(金鳳煥),최인재(崔忍在),허은영(許銀英)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4

        이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연령에 따른 진로발달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09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 청소년 지표 조사 IV-청소년 진로·직업 지표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 청소년들의 연령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진로관련 변인들을 탐색해 보았다. 한국 청소년 지표 조사 IV-청소년 진로·직업 지표 조사」에는 중학생, 일반계 고교생, 전문계 고교생 6509명이 연구대상으로 표집되었다. 진로발달 이론에 근거하여 진로발달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 변인들로 일에 대한 가치(내적 가치, 외적 가치), 성공에 대한 귀인(내적 귀인, 외적 귀인), 진로미결정 수준, 진로준비행동, 진로·직업 역량을 선정하고, 각 변인들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진로의사결정 준비성, 진로정보 탐색 행동, 합리적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이해만이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였고, 다른 변인들에서는 연령증가에 따른 일관된 변화를 확인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청소년의 진로발달의 특성을 논의하고, 진로 발달의 지표 개발에 대한 후속연구 및 진로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areer development of Korean Adolescents. The data from "2009 Korea Youth indicators survey Ⅳ-Youth Career, Job Index" collected by Korea Institute of Youth Policy were analyzed. The subjects were 6,509 boys and girls from middle schools, general high school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Occupational value(internal, external), attribution of career success(internal, external), career decision level(decidedness, assurance, readiness, independe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exploring, training), career competence(self understanding, work world information, understanding o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were analysed. Readiness of career decision making, career information exploring behavior, and understanding o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grades. It implies the career development of Korean adolescents might be similar to US in some areas. B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imply the social-cultural differences might influence on the uniqueness of career development of Korean adolescents.

      • KCI등재

        대학생의 일의 의미와 진로 결정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황매향,조효진,조윤진,방지원 한국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2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work, process of career seeking and career decision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 substantial career seeking and decision process as a task for entering adulthood. To identify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6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7 male and female students currently attend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Common contents were obtained from the interviews by classifying the primary categories and the sub-categories based on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meaning of work’, ‘experience while on career path development’, and ‘influences from family’ were determined as 3 primary categories and 22 sub-categories were also gained. Responses were mainly focused on peripheral aspects such as financial rewards and social acknowledgement in general. It is found that the students were largely affected by family in the process of career development and they determine their career identity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s, various experience, self-exploration and self-comprehension. On the basis of this stud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are presented for further studies in terms of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al approach for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기로의 진입을 위한 과제로 실질적인 진로 탐색과 결정을 이루어가는 한국 대학생들의 일의 의미와 진로 탐색 및 결정의 과정을 확인하는 것이다. 일의 의미 및 진로에 대한 탐색과 결정은 어떠한 경험과 환경 요소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고 있는지를 대학생의 주관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서울시내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남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6개 그룹, 총 27명에 대해 포커스 그룹(Focus group)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합의적 질적 연구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에 근거하여 주요 영역과 범주로 유목화 하는 방법을 통해 공통적인 내용을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 ‘일의 의미’, ‘진로 결정 과정에서의 경험’, 이라는 2개의 영역과 그에 따른 16개의 하위 범주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일’의 다양한 의미가 도출되었으나, 응답은 대체로 경제적 보상, 사회적 인정과 같은 외적인 차원에 집중되었다. 대학생들은 진로를 결정해 가는 과정에서 부모님으로부터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었고, 그 외 타인과의 상호작용, 다양한 경험, 자신에 대한 탐색과 이해를 통해 진로를 결정해 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진로 상담 및 교육적 접근에서 가지는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독서를 활용한 진로교육의 가능성 탐색

        황매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3 교육논총 Vol.33 No.2

        이 연구에서는 학교 진로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독서활동을 어떻게 적용하고 활용 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진로독서교육 활성화의 배경이 되는 진로교육 활성화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알아보고, 독서교육의 내용이 구체적으 로 어떻게 구성되어야 할 것인지를 현재 우리나라 학교에서 실시되는 진로교육의 목표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모든 학교급별 교육목표의 근간이 되는 자기이해, 일과 직업세계의 이해, 진로탐색, 진로디자인과 준비 등 네 가지 영역에서의 진로교육 목표를 성취하기 위 해 독서활동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교육 현장에서 실 시하고 있는 진로독서교육의 내용을 살펴보고, 앞으로 과제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학업정서 연구가 학업상담 실제에 주는 함의 탐색

        황매향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7 초등상담연구 Vol.16 No.4

        이 연구는 학습과정에서 경험하는 정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제안된 학업정서의 개념이 학업상담에 주는 의의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여러 학문분야에서 논의되었던 학업관련 정서의 이론적 논의와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경험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업정서 연구가 학업상담 실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학업관련 정서의 이론적 논의로는 학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서 현상에 관한 관심의 출발점인 귀인이론, 학업정서의 개념을 제안하고 그 작용과정을 밝힌 통제-가치 이론, 동기이론에서 다루어지던 정서 요인을 결합한 성취목표-정서 모델을 선정해 그 내용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경험적 연구 가운데, Pekrun의 학업정서 개념에 입각해 수행된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업정서 경험에 관한 연구, 학업소진, 시험불안, 외상사건 경험으로서의 학업실패, 학업적 정서조절 구인에 관한 연구 등의 내용을 알아보았다. 끝으로 문제의 파악, 상담목표의 설정, 개입의 측면에서 학업정서 연구가 학업상담 실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관련한 후속연구의 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academic emotion for the practice of academic counseling which was proposed in the context of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emotion in the learning process.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etical discussions of academic achievement-related emotions across various disciplines and the empirical studies conducted in Korea. Then, implications for academic counseling practice were explored based on the contents. The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academic achievement-related emotion include the attribution theory which initiates the discussion of emotions in academic achievement, the control-value theory which suggests the concept of academic emotion, and the achievement goal-emotion model which combines emotional factors that are dealt in academic motivation. And then among empirical studies conducted in Korea, research on the academic emotional experiences of Korean students carried out based on Pekrun's academic emotion, academic burnout, test anxiety, academic failure as traumatic experience, a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were reviewed. Finally, implications for academic counseling in terms of problem identification, setting of counseling goals, and interven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직업적응이론의 한국 구직자에 대한 적용가능성 탐색

        황매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011 진로교육연구 Vol.24 No.3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implication of the theory of work adjustment for adult career counseling in Korea. For this purpose, one case undertaken at Employment Support Center in Korea was selected. Based on the case report, case conceptualization, goal-setting, interventions were newly constructed with the main concepts and counseling process suggested by the theory of work adjustment. As results, the theory of work adjustment was proven to be a promising frame for adult career counseling in Korea. But more interventions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of career transition should be incorporated.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직업적응이론을 직업상담 사례에 적용해봄으로써 직업적응이론이 우리나라 구직자를 이해하고 조력하는데 있어 어떤 점에서 유용하고 어떤 점에서 한계가 있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직업적응이론의 주요 개념과 상담과정을 정리하고, 그 내용을 적용하여 고용센터에서 실시된 재취업 성공 사례를 재해석해 보았다. 그 결과, 직업적응이론의 주요 개념과 절차는 사례개념화, 상담목표설정, 상담개입 등 전체 상담과정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었다. 반면, 실직과 재취업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구직자의 심리적·정서적 문제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직업적응이론의 상담과정에서는 이 부분을 다루고 있지 않아 보완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고등학생의 직업인식 발달연구

        황매향,김지현,유정이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3 청소년상담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areer development of Korean adolescents by examining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spiration, the orientation to occupational sex role, and the orientation to prestige of occupations. Korean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expected to have a cognitive occupational map that is congruent with the Korean Job Map based on the 2001 Korean labor market. The responses of 374 Korean students indicated sex difference in the career aspiration. Girls had higher aspirations in Social and Artistic occupations. The two-dimensional occupational map (Sex type by Prestige level) suggested (a)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similar images of sex type of occupations with the Korean Job Map and (b) they were still confused in the prestige level of occupations. The uniqueness of Korean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and cultural validity of Gottfredson's career development theor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의 직업에 대한 포부 그리고 인식의 형성, 발달과정을 이해하려는 것이다. Gottfredson (1981)에 따르면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직업의 이미지가 있으며 그것은 비교적 인생의 초기단계에 형성된 다. 이는 두 개의 축 (dimension), 즉 직업의 ‘성별 유형’과 ‘사회적 지위’로 구성되는 직업인지지도에 의해 확인 된다. Lapan과 Jingeleski (1992)는 미국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위의 이론을 검증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 는 한국의 중, 고등학생들의 직업 인식의 발달을 직업인지지도의 양상과 변화를 실제 한국 직업세계를 반영하는 직업지도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각 직업영역에 대한 포부수준은 연령이 증가되면서 여학생들은 보다 여성적인 직업에서 높은 포부수 준을 보여주었다.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남․여학생이 모두 직업의 성별 유형과 사회적 지위에 대해 공통된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다만 Holland의 직업 유형에 따른 직업인지지도를 통해 알아 본 중․고등학생들의 직업 에 대한 인식은 성별, 연령별 차이를 보였다. Holland의 직업 유형에 따른 직업의 성유형에 대해서는 성별, 연 령집단별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직업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학생들의 직업인식 내용은 성별, 연령별로 차이를 보였고 실제 직업세계와도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국내 학업상담의 현 주소와 향후 과제

        황매향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6

        Academic counseling to help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studying contributes greatly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clients than any other counseling practic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cademic counseling in Korea and to derive future tasks of academic counseling based on the observation of current status. For this, counseling services provided by institutions such as Counseling & Welfare Center for Youth, Wee Class, Learning Clinic Center, and Un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were reviewed with the literature. Each institution showed slightly different goals according to the vision of its establishment. And it was confirmed that academic counseling is positioned as a service that make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achieving the different goals. Currently, academic counseling is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students, but there are many challenges to be solved in the future. The task of clarifying the concept of academic counseling from similar services and securing professionalism, the task to take the role of academic counseling as the main service that leads learners to success rather than an auxiliary service to support other services, the task for academic counseling experts to advance into a lifelong education system and the task to undertake systematic surveys of academic counseling services to open a bottom-up path that reflects clients' demands and feedback were derived. 공부를 해 나가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돕는 학업상담은 상담의 어느 영역보다 내담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수행되고 있는 학업상담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 학업상담이 해결해 나갈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위클래스, 학습종합클리닉센터, 대학의 교수학습지원센터 등의 기관에서 제공되는 상담서비스를 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각 기관들은 설립 취지에 따라 지향하는 목표에서 조금씩 다른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학업상담은 이렇게 서로 다른 목표를 이뤄나가는데 중요한 기여를 하는 서비스로서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학업상담이 학생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상당히 기여하고 있지만, 앞으로 해결할 과제들도 많았다. 학업상담과 학업상담 유사 서비스를 구분하고 전문성을 확보하는 과제, 학업상담이 학습을 지원하는 보조적 장치가 아니라 학습자를 성공으로 이끄는 주된 서비스가 될 수 있도록 발전시켜 나가야 할 과제, 학업상담 전문가들이 평생교육체제로 진출해야 할 과제, 사용자들의 요구와 피드백을 반영하는 Bottom-up의 통로를 열기 위해 체계적인 실태 조사를 실시할 과제 등이 도출되었다.

      • KCI등재

        빈곤 영재의 진로 및 생애 발달: 단일사례 종단적 질적 연구

        황매향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4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8 No.1

        이 연구는 도시 빈곤 속에 살고 있는 한국의 남고생 영재 세미(가명)의 발달에 관한 질적 연구이다. 세미와의 인터뷰는 3년 동안 60분씩 6차례 진행되었으며 종단적 질적 연구의 일환으로 분석되었다. 세미는 열악한 환경에 압도되어 앞으로 나아갈 수 없게 된 사례이다. 세미는 연구참가자 중 유일한 영재(17세 한국 웩슬러 성인 지능 척도-IV 영재 범위)로 IQ가 가장 높았다. 연구참가자 중 가장 뛰어난 지적 능력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에 대한 자신감이 없었고 고등학교를 졸업했을 때 아무 것도 성취하지 못했다. 대학 입시를 준비하기 위해 1년을 더 보냈으나 실패하고 연구팀과 연락이 두절되었다. 질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6가지 주제(방치된 어린 시절, 친밀하지만 걱정스러운 아버지, 주거 불안정, 도움이 되는 교사, 좌절된 천문학자의 꿈, 빈곤 탈출 동기 부족)가 도출되었다. 이 가운데 세미의 열악한 환경의 대표적인 예는 주거 불안이며, 인생의 롤모델이 될 만한 어른을 만나지 못했다는 점에서도 세미의 단점이 드러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진로교육과 진로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제안이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is a qualitative study of Semi (alias), a gifted Korean male high school student living in urban poverty. Interviews with Semi 6 times for three years, 60 minutes per interview, were analyzed as a part of a longitudinal qualitative study. Semi had been overwhelmed by the harsh environment and unable to move forward. Semi was the only gifted among participants with the highest IQ (in the gifted range with Korea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Ⅳ at age 17). Although he had the highest intellectual ability among the participants, he did not have confidence in himself. And he did not achieve anything at all when he graduated high school. He spent another year to prepare the college entrance exam, but he failed and left the research for good. The qualitative data were analyed into six themes (neglected childhood, intimate, but worried father, housing instability, helpful teacher, frustrated dream of astronomer, lack of motivation to escape poverty). Among them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emi's poor environment is housing instability and Semi's disadvantage is also revealed in that he did not meet an adult who could be a role model for life.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in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업우수 학생들의 잠재수월성 회복 경험

        황매향,선혜연,정애경,김동진,김영빈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敎育問題硏究 Vol.0 No.3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oping experiences and identify factors affecting academic recovery of academically talented adolescents who had failed academically before. To do this, in-depth data on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coping experiences of the academic underachievement through school ages were collected by individual interviews and analyzed based on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eleven students from a high ranked university.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academic failure but overcame were purposefully selected based on the fluctuations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s through school ages. Retrospective data of their experiences of academic success and failure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Hill, Thomson, & Williams, 1997) and five researchers were participated in the analysis process. Positive influences of these students were as follow as; a) Turning points to make up their minds for recovery; b) Learning strategies and efforts, c) Motivational regulations, d) Social supports and role models. However, parents' excessive concerns and inappropriate models were not helpfu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tudents who had overcome academic underachievement had a common experiences. Most students attributed their academic failure to the lack of efforts and in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Clifford's theory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Kleinke's result of successful persons' characters. The participants regulated their academic motivation by themselves such as goal setting, positive expectation, and academic interest. They also had social supports from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such as emotional supports, learning feedbacks, economic supports, and role models. These results imply that we should consider students' attribution styles, learning strategies and efforts and social supports for helping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cope their academic difficulties.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성적하락을 극복한 학업우수학생들의 학업실패 극복 과정을 탐구하여 잠재수월성 회복에 도움이 된 경험과 그렇지 않은 경험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상위권 대학의 재학생 중 초·중·고교 시절 성적 하락을 경험한 학생 11명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심층면접 자료를 5명의 연구자들이 합의적 질적 연구(CQ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로 첫째, 성적하락 극복에 도움이 된 경험은 성적하락 극복의 계기 경험, 효과적인 공부방법의 발견과 실천, 학습동기 조절(긍정적 기대와 목표설정 등), 외적 자원이었다. 외적 자원으로는 부모, 교사, 친구 등의 정서적 지원이 가장 많이 응답되었고 피드백을 포함한 학습적 지원, 물적 지원, 역할모델 설정 등이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교사의 꾸중과 부모의 과도한 기대, 부적절한 역할모델은 별 도움이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적 향상 이후 학생 자신은 당당하고 자신감이 생겼으나 주변사람들은 별 반응이 없거나 덤덤한 경우가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성적하락을 극복한 학업우수학생들은 공통적으로 경쟁적 동기와 자존감을 가지고 있었고, 이러한 개인의 내적 특성이 주변의 자극 및 자원에 의해 학습행동 증진으로 이어진 결과 성적 하락을 극복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잠재수월성 회복에 도움이 되는 학생 자신의 심리적, 실천적 노력을 발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