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릿(GRIT)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성찰학습의 매개 효과

        홍아정,원명희,박규미,이지훈,조윤성 한국상업교육학회 2017 상업교육연구 Vol.3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GRIT on affective commitment and a mediating effect of reflective learning in Korean public organization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were established among affective commitment, GRIT and reflective learning. The survey was conducted to 380 employees engaged in H public organization. A total of 362 responses were analyzed by SPSS 18.0, AMOS 23.0. The results showed that GRIT had a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Also, nonreflective learning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hile reflective learning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GRIT and affective commitment. Based on the results,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GRIT was confirmed. Seco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facilitate reflective learning to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ffective commitment. The study sugges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view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development and commercial education.

      • KCI등재

        임파워링 리더십, 잡 크래프팅, 조직몰입, 직무배태성 간 구조적 관계

        홍아정,조윤성 한국인력개발학회 2018 HRD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key variable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effective turnover management including empowering leadership, job craf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embeddedness. 232 employees of private organization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and answer the online questionnaire survey.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Leader`s empowering leadership had influence on employee’s job craft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job craft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mediating effect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job embeddedness. The result of the study implies that empowering leadership can be promising for satisfying and retaining employees accompanied by job craft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designing a support system that takes empowering leadership, job craft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to account in private organizations will improve their job embeddedness. 이 연구는 기업의 효율적인 종업원 유지 및 이직 관리를 위해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직무배태성의 유관 변인을 탐색하고 변인 간 영향관계를 실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 검토를 통해 종업원의 직무배태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고려되는 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 구성원의 잡 크래프팅, 조직몰입을 예측변인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 변인 간 관계를 고려하여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이후 변인 간 구조 관계를 실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는데, 연구대상은 국내 사기업 사무직 종사자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총 232부의 설문응답 자료를 수집, 통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은 부하직원의 잡 크래프팅, 조직몰입, 직무배태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잡 크래프팅과 조직몰입은 직무배태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배태성 영향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과 조직몰입은 유의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이 연구에서는 종업원의 직무배태성 관리를 위한 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방안과 종업원들의 조직몰입 및 잡 크래프팅 제고 전략을 제안하였다.

      • KCI우수등재

        입학사정관제 입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홍아정,이경미,문은진 한국교육학회 2014 敎育學硏究 Vol.52 No.3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제가 수행능력 중심의 능동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자를 선발하려는 취지에 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여러 선 행연구들에서 입학사정관제를 통해 선발된 학생들은 자기주도적 특성을 갖고 있고, 이러한 특성을 갖 은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성적이 높고, 대학생활에 보다 잘 적응하며, 적극적으로 진로계획을 세운다는 사실을 밝혀낸 바 있다. 이렇듯 자기주도성의 중요성과 개발 필요성의 인식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자기주도성 발현과정과 환경적 요인을 밝힌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입학사정관제 를 통해 입학한 A대학의 21명을 심층면담하여 이들의 자기주도성 발현과정과 환경적 요인을 파악하 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 입학사정관제를 통해 선발된 학생들의 학습원천은 직접체험 할 수 있 는 ‘체험활동 참여’와 ‘대인관계형성’ 두 가지로 나타났다. 체험활동은 개인적인 것 보다는 공동의 체 험활동에 참여하는 경우가 더 많았고, 공동 체험활동은 학과 내, 학과 외, 전국 단위 등 다양한 층위의 모임이 구성되었다. 대인관계형성에서는 깊은 관계보다 넓은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학습자가 수행하는 역할은 체험활동 참여 과정에서 8가지, 대인관계형성 과정에서 7가지로 총 15가지 가 도출되었다. 학습자 역할의 특징으로서 때로는 단독 과제를 수행하는 독립적 학습자이기도 하지만, 사람들과의 의사소통을 통해서 학습하는 ‘상호의존적’인 특성이 존재했다. 또한 정보습득과 같은 인지 적 학습과 동시에 공감적 이해를 통한 ‘상호주관성’을 습득하는 정서적 학습이 발생하였다. 기존의 자 기주도적 학습자의 특성이 ‘독립적인 문제해결자’로서 보는 관점에서 ‘서로 공생할 수 있는 공감자’로 확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Reconstructing Self Through Learning: Adults' Learning Experience in Higher Education

        홍아정 한국성인교육학회 2009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adults' participation in higher education affected their lives, especially in constructing or reconstructing themselves. The study shared results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14 adults of ages beyond 25 who were attending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dults' learning experience in higher education enabled them to work on their identity in relationship to others; it gave them a sense of empowerment of themselves. The noticeable change the adult learners felt was an increased awareness; a better interaction with others, a growing self confidence and activeness. Moreover, the adult learners were able to free themselves from being passive. They gained autonomy in the learning process and in their future life direction. As they became able to give their own meaning to the learning process and found their own values in it, they developed into more autonomous learners who regarded their learning as a lifelo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adults' participation in higher education affected their lives, especially in constructing or reconstructing themselves. The study shared results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14 adults of ages beyond 25 who were attending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dults' learning experience in higher education enabled them to work on their identity in relationship to others; it gave them a sense of empowerment of themselves. The noticeable change the adult learners felt was an increased awareness; a better interaction with others, a growing self confidence and activeness. Moreover, the adult learners were able to free themselves from being passive. They gained autonomy in the learning process and in their future life direction. As they became able to give their own meaning to the learning process and found their own values in it, they developed into more autonomous learners who regarded their learning as a lifelong process.

      • KCI등재

        농촌진흥공무원 전문지도연구회 퍼실리테이터 교육과정 설계

        홍아정,백평구,조윤성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2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facilitato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of Korea Extension Specialist as CoP for rural extension workers' professional training and development. Three approaches, such as experts conference, member check, and SME reviews, were applied for this study. First, in experts conference, 34 roles of facilitator were suggested through nominal group technique, in consequence, four role models were derived from aforementioned roles. Second, reviews for role models suggested by experts conference were executed from 7 areas of Korea Extension Specialist's recipients via written statement. Researchers generalized the facilitator role model in rural development by synthesizing their reviews and adding roles of facilitator. Lastly, facilitator roles and competencies are validated by two SMEs who have specialty in respective area, one in facilitating, and the other in competency modeling. A total of 5 role categories and 14 competencies were derived as facilitators for Korea Extension Specialist. 5 roles are as follows: ① CoP activation facilitator ② CoP change agent ③ CoP performance supporter ④ HRD process manager ⑤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acilitator. Facilitato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is consist of 7 modules which reflects of the 14 competencies and has two types as kind of crops and extension. This study recommends the diversification o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profile and delivery methods in accordance with maturity level of Korea Extension Specialist as CoP for enlarging facilitato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진흥공무원 직무교육 활성화를 위해 농촌진흥청 실행공동체인 전문지도연구회의 퍼실리테이터 역량강화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협의회, 구성원 점검, 전문가 검토의 세 가지 접근 방식을 적용하였다. 먼저, 전문가협의회에서는 명목그룹기법을 통해 퍼실리테이터의 다양한 역할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네 가지의 역할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구성원 점검에서는 7대 분야별 전문지도연구회를 대상으로 전문가협의회에서 도출된 역할에 관한 서면의견서를 발송하여 역할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종합하고 추가적인 역할을 덧붙임으로써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을 일반화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각 역량 모델링과 퍼실리테이팅 관련 내용전문가 2인의 검증 과정을 통해 역할과 역량 모델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지도연구회 퍼실리테이터의 5대 역할과 14개의 역량을 정립하였다.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은 ① CoP 활성화 촉진자, ② CoP 변화관리자, ③ CoP 성과창출 지원자, ④ HRD 프로세스 지원자, ⑤ 교육과정 촉진자 등과 같다. 설계된 퍼실리테이터 역량강화 교육과정은 7개의 모듈에서 14개의 역량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과정의 경우에는 전문지도연구회의 7대 그룹별 구성을 감안해 작목 분야 중심과 농업지원 중심으로 구별하였다. 향후 퍼실리테이터 역량강화 교육의 확산을 위해서는 전문지도연구회에 대해 실행공동체로서의 성숙도 수준별로 퍼실리테이터 역량강화 교육과정의 구성 및 교육 운영 방식을 차별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직무몰입이 조직변화준비도에 미치는 영향과 리더십 유형의 조절효과 검증

        홍아정,조윤성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2

        Organizational change is a critical factor to determine success or failure of organization. To be proactive to rapid environmental change, organization is required to change. Despite diverse efforts to change in organizations, success rate is less than 25%. Failure to organizational change leads negative outcomes such as sunk cost, decreas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creasing turnover rate, wasting resource, and diffusion of cynism. The reason of high failure rate is derived from the lack of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which employees have. If the extent of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is low, organization can encounter employees' tremendous resistance. On the contrast, if employee readiness for organizational change is high, employees are likely to have positive behavior and attitudes towards new adjustments. Given that context,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related to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By testing the relationship, researchers tried to clarify generative mechanism of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Based on the findings, researchers expected to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change agents to influence employee readiness for organizational change and contribute to an improved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al change research. To achieve the goal, researchers selected work engagement as an antecedent variable and examine the effect of the work engagement on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wo types of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The participants include 306 employees of private organiz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ork engagem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Seco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Third,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did not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engagement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rategies to manage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조직변화는 조직 생존과 실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조직 현상이다. 환경변화에 대하여 조직이 변화 압력에적응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직변화 노력은 조직의 핵심 의사결정 영역에 속하는 행위로 간주된다. 그러나 조직변화 성공을 위한 많은 노력과 자원이 투입됨에도 불구하고 조직변화 성공률은 20-25%에 불과하며, 대부분 실패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조직변화의 실패는 매몰비용 발생, 조직효과성 하락, 이직률증가, 자원낭비, 냉소주의 확산 등 다양하고 심각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다. 조직변화 실패의 주요 원인 중하나는 구성원들의 조직변화준비도 결핍에서 찾을 수 있다. 조직변화준비도 수준이 낮은 경우 조직 변화 과정에있어 강력한 변화저항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조직변화 실패로 이어진다. 반대로 조직변화수준이 높은 경우효과적인 조직변화 성취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조직변화의 성공적인 도입과 실행에관한 핵심요인으로 최근 논의되고 있는 조직변화준비도의 유관 변인을 탐색하고 변인 간 영향관계를 실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조직 상황에서 조직변화준비도 발현 맥락을 명확히 파악함으로써 성공적 조직변화 도입과실천에 관한 전략적 실천방안을 도출하고 논의를 활성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 검토를 근거로 조직변화준비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고려되는요인으로서 조직 구성원의 직무몰입을 예측변인으로 선정하고, 직무몰입과 조직변화준비도 간 영향관계를검증하였다. 추가적으로 직무몰입과 조직변화준비도 영향 관계에서 리더십 맥락에 따른 조직변화준비도 발현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을 조절변인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국내 사기업에 재직 중인 조직 구성원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총 306부의 설문 응답 자료를수집,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구성원의 직무몰입은 조직변화준비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몰입과 조직변화준비도 영향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은 강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몰입과 조직변화준비도 영향 관계에서 거래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는존재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조직 구성원의 조직변화준비도 개발 및 관리를 위한 직무몰입촉진 방안과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 개발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미래 조직과 노동력 관리를 위한 인적자원 패널 데이터 타당화 연구

        홍아정,송해덕,조윤성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20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적자원 요소에 대한 신규패널 조사 포함 타당성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인적자원 패널조사 구축 방안을 탐색하여 미래조직과 노동력에 대한 과학적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적자원관리 및 개발 관련 전문가 9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여, 인적자원을 주제로 한 신규패널 조사 설계 시 조사항목에 포함될 필요가 있는 항목을 탐색하고 타당성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Borich 요구도 평가모형과 The Locus for Focus 모형 기법을 적용하여, 앞서 도출된 조사항목 중 최우선적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는 조사항목을 탐색적으로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전문가 델파이 조사결과 일반조사항목 63개, 신규조사항목 55개가 높은 타당성을 보임으로써 신규 패널조사에 포함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진행된 최우선순위 조사항목 분석결과 경영일반 2개, HRM/HRD 제도 4개, 근로자심리요인 9개, 수행 및 성과 1개 등 총 16개의 조사항목이 미래조직 및 노동력 관리를 위한 중요한 인적자원관리, 개발 요소로 도출되어, 향후 신규패널 조사 설계에 있어 최우선적으로 고려가 요청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일차적으로는 신규 인적자원 패널조사 설계 및 실제 수행에 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공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미래조직에 대한 체계적 관리와 효과적 노동관리를 위해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인적자원 관련 요소를 탐색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implications for effec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labor management by exploring the items to be included in the new panel survey in relation to human resource factors and testing the validity of the aforementioned item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9 experts in the human resource field to identify new survey items and to test their validity. In addition, a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applied for the previously derived items, and the survey items that needed to be considered first were subsequently derived.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 it was found that 63 basic survey items and 55 new survey items were included in the new panel survey. Next, as a result of deriving the highest priority survey items for the new survey items, a total of 16 survey items need to be considered as the top priority, including 2 general management, 4 HRM/HRD (Human Resource Management/Human Resource Development) systems, 9 worker psychological factors, and one connected to performan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new human resource panel surveys were presented.

      • KCI등재

        연구개발직 종사자의 목표지향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학습접근방식의 매개효과 -

        홍아정,박규미,강민주 한국기업교육학회 2017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9 No.3

        Innovative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are a critical factor for surviving in a global market place. Companies are eager to find ways to enhance innovative behavior of their employe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goal orientations, learning approaches, and innovative behavior. Therefore,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300 people engaged in R&D. A total of 23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arning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Second, deep learning approach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novative behavior. Third, deep learning approach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s and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vides new evidence on the mediating role of learning approaches between goal orientations and innovative behavior. Furthermore, deep learning approach at the workplace could help promote R&D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s.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은 기업의 중요한 생존전략으로써 혁신행동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한 조직 내 일터학습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혁신행동의 선행요인으로 예측되는 목표지향성과 학습접근방식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개발직에 종사하는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35부의 설문지를 회수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2.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개발직 종사자의 학습지향성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과목표지향성은 혁신행동과는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학습접근방식 중 유일하게 심층접근방식만이 혁신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심층접근방식은 학습지향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를, 성과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효과임이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조직구성원의 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 간에 학습접근방식의 매개효과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연구개발 분야에서 일하는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심층접근방식을 활용할 수 있는 업무 환경이 필요하다는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평생교육 프로그램 공급 지형 분석: 2011-2015 평생교육통계조사를 중심으로

        홍아정,이지훈,박규미 한국교육학회 2016 敎育學硏究 Vol.54 No.3

        This longitudinal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8 typ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6 type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by focusing on the structure of 17 regions of lifelong educa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provision patterns at the national level. The five years of lifelong education data accumulation was 534,005 which has been annually conducted by EDSS (EduData Service System) in 2011-2015. The research has identified the amount of lifelong education provision per population and regional provision patterns by using Cross Tabulation Analysis betwee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visualized the provision patterns with shaded maps and pie chart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institutions have expanded quantitatively over the past five years. Second, art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s and vocation and workforce education programs are the most dominant sectors. Also, schooling certificate and complementary education, humanities generation education, citizen participatory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decreased over the years. Distance education institutions have the highest percentage among institutions. Third, there are particular lifelong education provision patterns depending on the regions. Based on the result, the study provides the provision maps that can contribute on showing the five year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provision patterns depending on the regions and the implication for regional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 국내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공급패턴을 파악하고자 17개 시도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공급 현황과 특성을 중심으로 각 시도별 교육기관과 프로그램 주제 변인 간의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교육유관기관 등의 교육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EDSS(EduData Service System)의 평생교육통계자료에서 추출한 총 534,005개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데이터와 통계청에서 행정자치부의 ‘행정구역별 총 인구수’ 데이터를 함께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2011-2015 시도별 평생교육 프로그램 및 기관 교차분석, 인구 대비 분석을 통해 총 공급량, 시도별 공급량과 공통적인 특징들을 확인하였고 이를 공급 지형도로 시각화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최근 5년간 국내 평생교육 프로그램과 제공 기관은 비약적인 양적 성장을 이뤄왔다. 둘째, 전체적으로 문화예술, 직업능력향상 프로그램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학력보완, 시민참여, 성인기초/문자해득 프로그램은 지속적인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관으로는 원격교육기관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초중등학교를 제외한 나머지 기관들은 비슷한 비율을 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대비 평생교육 프로그램 공급량을 분석했을 때, 서울과 비서울 지역간의 공급량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서울과 비서울 간의 지역불균형 논의에 대한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성찰학습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릿의 매개효과

        홍아정,황은희,조윤성,김용주,최미옥 한국직업교육학회 2017 職業 敎育 硏究 Vol.3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gnitive and psychological precedence 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cla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First, the effects of reflective learning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examin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between reflective lear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verified. The research analyzed 307 university students in the 3rd and 4th year.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shown that the reflective learn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all variables of gri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non-reflective learning have an insignificance relationship with all the main variables. In addition, reflective learning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grit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flective lear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more original variables are further identified and extended to impro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significant that they are provided with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 and job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in the university education field. In addi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is important for university students to improve their ability to critically reflect on themselves, their surroundings and circumstances in order to keep them engaged and to maintain their interests. Moreove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provide fundamental and extensible method of practic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이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인지적, 심리적 선행요인을 확인하고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대학생의 성찰학습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한 후 성찰학습과 진로준비행동 사이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중 진로와 취업준비에 비교적 관심이 많고 실제적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3, 4학년 3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찰학습(성찰, 비판적 성찰)은 그릿(흥미일관성, 노력지속성)과 진로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도구구비활동, 목표달성활동)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정적 관계를 가지며, 무성찰학습(습관적 행동, 이해)은 주요 변인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는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추가적으로 성찰학습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고, 그릿은 성찰학습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향상을 위하여 보다 원천적인 변인을 추가적으로 규명하고 확장하였으며, 대학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진로 및 취업준비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 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대학생 스스로가 주변 환경과 상황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관심 과제에 대한 흥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위해 고등교육기관은 학생의 진로결정 및 취업과 관련한 보다 근본적이고 확장적인 실천 방법과 교육환경 제공이 중요함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