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교과서 어휘 특성 분석

        전병운,권회연,송재옥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6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9 No.3

        The purpose of conducting this study is to survey the vocabulary in Korean textbook from 1st to 4th grade according to revised basic curriculum 2011 for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has been analyzed according to the total number of different words, part of speech, grade of vocabulary, syllable of word and the domain of the meaning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the high priority vocabulary for the students with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number of directive vocabulary surveyed is 394 in Korean textbook for 1st and 2nd grade and 458 for 3rd and 4th grade. The numbers of subject contents vocabulary surveyed is 748 in Korean textbook for 1st and 2nd grade, and 1,012 in Korean textbook for 3rd and 4th grade. The total number of directive vocabulary and subject contents vocabulary is 1,739 different words in Korean textbook from 1st to 4th grade, and in analysis of the part of speech, noun accounts for 63.4%, then verb for 18.3%, and then adjective for 10.2%, adverbs 6.7% in order. In analysis on grade of vocabulary, vocabulary of elementary level accounts for 51.4%, intermediate level for 19.2% and advanced level for 3.9% in 1st-2nd grade, and vocabulary of elementary level accounts for 48.8%, intermediate level for 20.3% and advanced level for 5.4% in 3rd-4th grad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yllabic vocabulary of practical vocabulary, dissyllable words were observed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text books of both groups; 1st-2nd grade and 3rd-4th grade and next trisyllable words, quadrisyllable words, one syllable words in order. Last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ubject contents vocabulary provided in Korean textbook through the domain of the meaning, ‘concept’(19.7%) category included the biggest number of words among fourteen categories, and ‘a human being’ (18.7%) category secondly, ‘animals and plants’(7.4%) next, the eating habits’(7.4%), and ‘house life’(6.1%) in order. Based on these results and discussions, we suggest implications to choose vocabulary for Korean textbooks within basic curriculum and to develop data and for follow-up researches. 본 연구는 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초등 국어교과서에 제시된 어휘의 총수와 품사 형태, 어휘의 등급과 음절수 및 의미 영역을 분석하여, 발달장애 학생 교육에서 우선시되어야 할 어휘를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11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초등 교과서 1-2학년군 (가)·(나), 3-4학년군 (가)·(나) 4권을 대상으로 제시된 어휘를 지시문 어휘와 교과 내용 어휘로 구분하여 품사, 의미 영역, 어휘 난이도에 따른 등급과 음절수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시문 어휘의 경우, 1-2학년군은 394개, 3-4학년군 458개였으며, 교과 내용 어휘는 1-2학년군 748개, 3-4학년군 1,012개로 나타났다. 교과서에 제시된 지시문 어휘와 교과 내용 어휘의 수를 합한 어휘의 총수는 모두 1,739개였으며, 품사별로는 명사 63.4%, 동사 18.3%, 부사 10.2%, 형용사 6.7%의 순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어휘의 난이도를 알아보기 위한 등급별 어휘의 비율을 살펴본 결과, 1-2학년군 어휘에서는 초급이 51.4%로 가장 많았으며, 중급 19.2%, 고급 3.9%, 미분류 25.5%였다. 3-4학년군 어휘에서도 초급이 48.8%로 가장 많았고, 중급 20.3%, 고급 5.4%, 미분류 25.5%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음절수에 따른 분석을 살펴보면, 1-2학년군, 3-4학년군 모두 2음절어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3음절어, 4음절어, 1음절어 순으로 많았다. 마지막으로 교과 내용 어휘를 의미 영역별 분석을 통해 살펴 본 결과, 총 14개의 대 범주 중 가장 많은 어휘를 포함하는 것은 개념(19.7%)이었고, 다음으로 인간(18.7%), 사회생활(10.8%), 삶(10.5%), 교육(10.1%), 동식물 (7.4%), 식생활(7.4%), 주생활(6.1%)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본교육과정 국어교과서 어휘 선정과 자료 개발을 위한 제안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진단․평가 도구의 개발 및 웹기반 시스템 구축

        전병운,조광순,이준석,강미라 한국특수교육학회 2005 특수교육학연구 Vol.40 No.1

        Based o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and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comprehensive assessment tool and a web-based system to identify these children and to help professionals with assessment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A total of 2,050 infants and young children ages 0-71 months were sampled. The children were assessed using a test developed and standardized through a series of preliminary studies.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the standardization and then presents the results of a computerized, web-based system developed based on the standardized assessment. The results of test-retest reliability, split-half reliability, and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demonstrate strong stabil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explorations of within-scale relationship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evidence of content validity as well as construct validity of the assessment.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communication measure of the assessment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ELSI scores. The adaptive measur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daptive measure of Social Maturity Scale. It was found that the cognitive measur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K-ABC scores. However, most subcategories of the cognitive measure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K-ABC subcategory of achievemen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gnitive measure and the K-WPPSI were relatively low, demonstrating no statical significance in some subcategories of cogn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evelopmental assessment instrument developed in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n Korea where there are limited numbers of comprehensive developmental assessment instruments to identify young children who need special education services. This instrument will be the first standardized norm-referenced developmental assessment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research suggests that a criterion-referenced or curriculum-based assessment with sub-developmental and functional skills based on the measurement need to be developed in future study to link the assessment, intervention, and evaluation. The web-based assessment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is designed to connect assessors to the assessment system via the internet. The system will help less skilled professionals administer tests and interpret scores to identify children who need special services. The system will be the basis for a future expert system which will link the assessment, intervention, and evaluation. The expert system will guid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to develop goals and intervention procedures for children. The system would provide information that is useful in identifying what and how to teach. 이 연구는 우리나라 0~71개월 영․유아들의 발달에 대한 전국 수준의 규준 제공 및 발달지체 또는 발달장애 아동의 판별과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의 지원을 목적으로 개발한 진단․평가 도구의 표준화 연구와 1차 웹기반 시스템 구축 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문헌과 진단․평가도구의 분석, 1차 및 2차 예비검사를 통해 개발된 도구를 사용하여 전국적으로 2,050명의 영․유아를 표집하여 표준화 검사를 실시하였다. 표준화 검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발달진단․평가 도구는 우리나라 영․유아들의 발달을 측정하고 발달지체 또는 발달장애 아동을 판별하는데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진단․평가 도구의 1차 웹기반 시스템은 전문가들이 유아특수교육 대상 유아를 판별하는데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도구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후속연구에서 개발되어야 할 중재프로그램과 전문가시스템에 관해 제안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웹기반 진단·평가 연계 중재프로그램 전문가 시스템 효과 검증

        전병운,김영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07 특수교육학연구 Vol.42 No.1

        Effect of Web-Based Expert System in Assessment, Programming, Evaluation for Children Developmental Disability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을 위해 개발한 웹기반 진단·평가 연계 중재프로그램 전문가 시스템이 사용자 측면에서 접근의 용이성,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연결체계의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구현되었는지를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현장에서 활용가치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충청, 대전 지역 소재 유아 및 초등 특수교육기관 교사 39명을 대상으로 웹기반 전문가 시스템에 관한 효과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컨텐츠 영역은 5점 만점에 평균 3.52, 기술적 영역은 3.79, 활용적 영역은 3.54로 나타났으며, 전체 평균은 3.68로 본 웹기반 전문가 시스템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서 검토된 교사들의 의견을 토대로 시스템을 수정·보완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수준과 요구를 반영한 최상의 시스템을 구현하였다.<주제어> 발달장애아동, 진단·평가 연계 중재프로그램, 웹기반 전문가 시스템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 영?유아를 위한 활동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전병운,홍은숙,김영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5 유아특수교육연구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ctivity-based intervention programs for infants an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is a comprehensive curriculum-based program, which is characterized by linking assesment,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intervention programs, and evaluation. In order to develop these comprehensive programs, several steps were taken. First of all, long-term goals and short-term objectives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on which the intervention programs were based. Second, preliminary activity-based intervention programs that were directly related to the goals and objectives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Third, these intervention programs were examined by contents validity and field-based tests by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field. Finally, the final programs were completed. The final programs are as follows. First, 375 long-term goals and 981 short-term objective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5 developmental domains and 14 sub-domains, including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Motor, Adaptive, and Communication. Second, the total number of 443 intervention programs were developed; 72 for 0 year, 73 for 1 year, 70 for 2 years, 81 for 3 years, 67 for 4 years, 80 for 5 year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rograms is to assist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rofessionals in planning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for infants an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environments. It is expected that this program can be a great resource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in the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영유아의 교육을 위해 활동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는 교육과정 중심의 프로그램으로서 진단, 교육목표 개발 및 평가와 연계되는 특징을 지닌다. 이를 위하여 우선 활동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되는 장단기목표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작업을 하였으며, 여기서 개발된 단기목표들을 중심으로 활동프로그램의 시안을 개발하였다. 그 후 내용타당화와 현장타당화 검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활동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0세~5세 영유아교육을 위하여 인지, 사회정서, 운동, 적응, 의사소통의 5개 영역과 14개 하위영역에서 총 375개의 장기목표와 981개의 단기목표를 개발하였다. 둘째, 활동프로그램은 0세 72개, 1세 73개, 2세 70개, 3세 81개, 4세 67개, 5세 80개로 총 443개를 개발하였다. 이 활동프로그램은 궁극적으로 통합 환경에 있는 발달장애 영유아들의 개별화교육계획을 위해 개발되었기 때문에, 향후 현장에 있는 유아특수교사 및 교육 전문가들이 발달장애 영유아들을 위한 교수계획을 세우고 이를 시행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확장된 환경중심 언어중재(EMT)가 발달장애 유아의 발화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병운,연진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5 유아특수교육연구 Vol.5 No.1

        The Effects of Enhanced Milieu Teaching on the Social Communi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확장된 환경중심 언어중재(Enhanced Milieu Teaching: EMT) 가 발달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발달장애 유아 3명이다. 실험은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하여, 중재와 유지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확장된 환경중심 언어중재전략은 아동의 자발발화, 평균발화길이(MLU), 새로운 어휘 습득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EMT는 기존의 환경중심언어중재를 보완한 방법으로 과거의 단순한 요구하기 등 특정 목표 언어만이 아니라 평균발화길이, 어휘 및 구문 확장, 등 좀 더 포괄적인 발화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 KCI등재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진단·평가 연계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웹기반 전문가 시스템 구축

        전병운,김영희,홍은숙 한국특수교육학회 2006 특수교육학연구 Vol.41 No.3

        Development of Linked Program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sessment, Curriculum, and Web-Based Expert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진단·평가 연계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웹기반 전문가 시스템으로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미 타당도를 검증받은 바 있는 KEDAS(공주 영유아 발달진단 검사도구)를 토대로 하여 활동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되는 장단기목표를 개발·타당화하였고 이후 활동프로그램을 개발· 타당화 한 후, 웹상에서 전문가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0세~5세 아동의 인지, 사회정서, 운동, 적응, 의사소통 5개 영역과 14개 하위영역에서 총 375개의 장기목표와 981개의 단기목표를 개발하였다. 둘째, 활동프로그램은 0세 72개, 1세 73개, 2세 70개, 3세 81개, 4세 67개, 5세 80개로 총 443개를 개발하였다. 셋째, 웹상에서 발달장애 아동의 검사를 통하여 현행수준을 파악해내고 교육목표와 중재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연계되는 전문가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을 교사, 부모, 기타 전문가들이 웹상에서 쉽게 사용함으로써 발달장애 영·유아의 개별화교육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제어> 발달장애 아동, 중재프로그램, 웹기반 전문가 시스템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각론에 대한 연구 분석

        전병운,이지선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7 No.3

        The itemized discussion on the basic curriculum has been constantly at the center of debate regarding its appropriateness, especially due to its direct influence on school education. After a series of debates, the current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was revised and confirmed. As such, this study conducts an analysis on the itemized discussion of the basic education curriculum to investigate the future direction and issues in the itemized study of the basic curriculum in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will also present items that will have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revising the items of the basic curriculum in special education. A total of 30 studies from 2008 to 2011 on the topic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items of the basic curriculum in special education were collected f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study subjects, specific subjects were mostly focused on while there were several subjects that did not undergo continued study. Second, in terms of study methodology, there were few studies that had applied the analysis criteria of preceding studies and various methodologies had not been used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study purposes. Third, in terms of appropriateness, items that need improvement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included an increase in achievement reference levels and specific measures for class participation of students who had dropped out or who experience overlapping disabilities. In terms of association, association by class or by school were lacking for goals and content. Therefore, ongoing studies on the items of the basic curriculum are needed in various subjects and a wider variety of methodology and more objective analysis criteria would have to be used. Lastly, a support system from an upper level educational organization for a more systematic research before and after revisions is necessary. 본 연구는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기본교육과정) 각론에 대한 연구 분석을 통해 향후 기본 교육과정 각론 연구에서 지향해 나아갈 방향 및 과제를 탐색하고 기본 교육과정 각론 개정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을 함께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2008년 특수학교 교육과정부터 2011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기본 교육과정 각론에 대한 연구 총 30편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 연구에 있어 특정 교과에 편중되어 있고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는 교과들도 있었다. 둘째, 연구 방법이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선행연구에 제시된 분석 기준을 적용한 연구들이 적었다. 셋째, 적정성에 있어서는 개정 전·후에 개선되어야 할 내용으로 성취기준이 높다는 것,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수업 참여 방안의 구체적인 제시 등이 있었다. 넷째, 연계성에서는 목표와 내용체계의 연계성은 높아졌으나 학교 급별 연계성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기본 교육과정 각론 연구는 다양한 교과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다양한 연구 방법과 좀 더 객관적인 분석 기준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또한, 개정 전·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위한 상위 교육기관의 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

      • KCI등재

        유아 발달 선별도구(DIAL-3)의 표준화를 위한 타당화 연구

        전병운,조광순,이기현,이은상,임재택 한국유아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미국에서 발달지체 및 장애의 가능성이 있는 3~6세 유아의 선별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DIAL의 국내 표준화에 앞서 도구의 적합성 여부가 분석되었다. 총 422명 유아의 표집자료를 토대로 1차로 개발된 한국판 DIAL 문항에서 나타내 보인 각 연령집단 유아의 발달 경향과 도구의 구인타당도 및 신뢰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각 척도의 연령별 문항 통과율을 토대로 볼 때, 표집 수를 늘리고 문제가 되는 과제의 난이도를 수정하여 규준을 설정한다면 한국판 DIAL는 비교적 타당도가 높은 선별도구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간 상관도와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알아본 구인타당도 및 검사 재검사 신뢰도, 측정의 표준오차를 통해서 알아본 신뢰도, 내적 일치 신뢰도 또한 만족한 만한 것으로 나타났다.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early identification of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special needs, this research undertook a preliminary psychometric analysis of the developmental screening instrument, the Developmental Indicators for the Assessment of Learning-3(DIAL-3), for standardization in Korea. Four hundred twenty two Korean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36 and 77 months served as the sample population for this study.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describes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test items used and the content validity results. The second part presents and analyzes the results of administering the modified DIAL-3 to the sample popul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An exploration of within-scale relationship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evidence of both cont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The results of test-retest reliability and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demonstrate strong stability. The foremost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concurrent validity with other screening tests was not investigated. Generalizing the results to a broader population is limited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The researchers conclude tha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IAL-3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modification of specific item tas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