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간세포암 선별검사의 유용성 : 조기 진단율 및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육청미,최문석,백승운,안병훈,이준혁,고광철,유병철,이종철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2

        Background/Aims: Screening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s a common practice in the endemic countries but its exact role has not been fully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screening can achieve early diagnosis and survival benefits. Methods: All HCC patients diagnosed at our hospital (September 1994~April 2000) were enrolle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surveilled group screened with alpha-fetoprotein (AFP) and ultrasound (US) for longer than 6 months before diagnosis and a non-surveilled group. We compared the tumor size, portal vein thrombosis, and stage at initial diagnosis and survival rate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A total of 247 patients were enrolled. 64 were in the surveilled group and 183 were in the non-surveilled group. The tumor size at initial diagnosis in the surveilled group was smaller than in the non-surveilled group (2.6±2.0 cm vs. 5.7±4.1 cm, p<0.05). The percentages of patients with stage I, II, III, and IV were 42.2%, 20.3%, 14.1%, 23.4% in the surveilled group and 8.7%, 19.7%, 36.6%, 35.0% in the non-surveilled group. A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in the surveilled group had earlier stage compared with the non-surveilled group (p<0.05). Portal vein thrombosis in the surveilled group was noticed as significantly less than in the non-surveilled group (9.4% vs. 26.8%, p<0.05). Among Child-Pugh A patients,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in the surveill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non-surveilled group (1 year; 91.4% vs. 70.7%, 2 year; 71.5% vs. 59.9%, p<0.05). Conclusions: Screening with AFP and US is a useful tool for early diagnosis of HCC, especially with improved survival in Child-Pugh A patients.(Korean J Hepatol 2003;9:116-123) 목적: 간세포암은 예후가 불량하여 정기적인 초음파 검사 및 혈청 αFP 등의 선별검사를 통한 조기 진단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별검사가 간세포암의 조기 발견율 및 생존율을 실제로 향상시키는가에 대하여는 확립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간세포암의 조기진단을 위해 시행되는 선별검사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4년 9월부터 2000년 4월까지 본원에서 간세포암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을 진단 전 6개월 이상 정기적인 초음파 및 혈청 AFP 검사로 선별검사를 받은 선별검사군과 그렇지 않은 비선별검사군으로 나누어 간세포암 진단시 종양의 크기, 간문맥혈전 유무, 병기 등 종양학적 특징과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247명(남:여=203:44, 연령 38-76세(중앙값 57))의 환자가 포함되었으며 선별검사군은 64명이었고 비선별검사군은 183명이었다. 간기능별로 Child-Pugh A군이 183명(74.1%), B군이 55명(22.3%), C군이 9명(3.6%)으로 선별검사군과 비선별검사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진단당시 종양의 크기는 3 cm 미만, 3∼5 cm, 5 cm 이상인 환자가 선별검사군에서 각각 76.3%, 15.3%, 8.5%였으며 비선별검사군에서 각각 36.4%, 22.5%, 41.0%로 선별검사군에서 3 cm 이하의 종양이 많았다(p<0.05). 간문맥 혈전은 선별검사군에서 9.4%로 비선별검사군에서의 26.8%보다 적게 관찰되었다(p<0.05). 종양의 병기는 TNM stage I, II, III, IV가 선별검사군에서 각각 42.2%, 20.3%, 14.1%, 23.4%였으며 비선별검사군에서 각각 8.7%, 19.7%, 36.6%, 35.0%로 선별검사군에서 초기 병기의 종양이 많았다(p<0.05). 생존율은 Child-Pugh A군에서 선별검사군이 비선별검사군에 비해 높았다(1년; 91.4% vs 70.7%, 2년; 71.5% vs 59.9%, p<0.05). 그러나 B, C군에서 양군간에 생존율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간세포암의 조기 진단을 위해 시행되는 초음파 검사와 혈청 AFP 등의 선별검사는 종양의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되며 특히 Child- Pugh A 환자에서는 생존율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생각된다.

      • SCOPUSKCI등재

        간세포암 선별검사의 유용성 : 조기 진단율 및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육청미,최문석,백승운,안병훈,이준혁,고광철,유병철,이종철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2

        목적: 간세포암은 예후가 불량하여 정기적인 초음파 검사 및 혈청 aFP 등의 선별검사를 통한 조기 진단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별검사가 간세포암의 조기 발견율 및 생존율을 실제로 향상시키는가에 대하여는 확립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간세포암의 조기진단을 위해 시행되는 선별검사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4년 9월부터 2000년 4월까지 본원에서 간세포암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을 진단 전 6개월 이상 정기적인 초음파 및 혈청 AFP 검사로 선별검사를 받은 선별검사군과 그렇지 않은 비선별검사군으로 나누어 간세포암 진단시 종양의 크기, 간문맥혈전 유무, 병기 등 종양학적 특징과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247명(남:여=203:44, 연령 38-76세(중앙값 57))의 환자가 포함되었으며 선별검사군은 64명이었고 비선별검사군은 183명이었다. 간기능별로 Child-Pugh A군이 183명(74.1%), B군이 55명(22.3%), C군이 9명(3.6%)으로 선별검사군과 비선별검사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진단당시 종양의 크기는 3 cm 미만, 3∼5 cm, 5 cm 이상인 환자가 선별검사군에서 각각 76.3%, 15.3%, 8.5%였으며 비선별검사군에서 각각 36.4%, 22.5%, 41.0%로 선별검사군에서 3 cm이하의 종양이 많았다(p<0.05). 간문맥 혈전은 선별검사군에서 9.4%로 비선별검사군에서의 26.8%보다 적게 관찰되었다(p<0.05). 종양의 병기는 TNM stage Ⅰ,Ⅱ,Ⅲ,Ⅳ가 선별검사군에서 각각 42.2%, 20.3%, 14.1%, 23.4%였으며 비선별검사군에서 각각 8.7%, 19.7%, 36.6%,35.0%로 선별검사군에서 초기 병기의 종양이 많았다(p<0.05). 생존율은 Child-Pugh A군에서 선별검사군이 비선별검사군에 비해 높았다.(1년; 91.4% vs 70.7%, 2년; 71.5% vs 59.9%, p<0.05). 그러나 B,C군에서 양군간에 생존율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간세포암의 조기 진단을 위해 시행되는 초음파 검사와 혈청 AFP 등의 선별검사는 종양의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되며 특히 Child-Pugh A 환자에서는 생존율이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Screening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s a common practice in the endemic countries but its exact role has not been fully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screening can achieve early diagnosis and survival benefits. Methods: All HCC patients diagnosed at out hospital (September 1994∼April 2000) were enrolle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surveilled group screened with alpha-fetoprotein (AFP) and ultrasound (US) for longer than 6 months before diagnosis and a non-surveilled group. We compared the tumor size, portal vein thrombosis, and stage at initial diagnosis and survival rate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A total of 247 patients were enrolled. 64 were in the surveilled group and 183 were in the non-surveilled group. The tumor size at initial diagnosis in the surveilled group was smaller than in the non-surveilled group (2.6±2.0 cm vs. 5.7±4.1 cm, p<0.05). The percentages of patients with stage Ⅰ,Ⅱ,Ⅲ, and Ⅳ were 42.2%, 20.3%, 14.1%, 23.4% in the surveilled group and 8.7%, 19.7%, 36.6%, 35.0% in the non-surveilled group. A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in the surveilled group had earlier stage compared with the non-surveilled group (p<0.05). Portal vein thrombosis in the surveilled group was noticed as significantly less than in the non-surveilled group (9.4% vs. 26.8%, p<0.05). Among Child-Pugh A patients,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in the surveill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non-surveilled group (1 year; 91.4% vs. 70.7%, 2 year; 71.5% vs. 59.9%, p<0.05). Conclusions: Screening with AFP and US is a useful tool for early diagnosis of HCC, especially with improved survival in Child-Pugh A patients.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Silver-coated graphene electrode produced by electrolytic deposition for electrochemical behaviors

        이슬이,청미,이경엽,박수진 한국물리학회 2014 Current Applied Physics Vol.14 No.9

        This study evaluates the excellent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silver (Ag)-coated graphene electrode using an electrolytic deposition technique. Ag particles are introduced to the graphene surface as a function of the applied current. A half cell of the Ag-coated graphene electrode is fabricated to examine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such as the chargeedischarge behaviors, cyclic voltammetry, and specific capacitance. As a result,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the Ag-coated graphene electrode is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rude graphene electrode.

      • KCI등재후보

        교육 공공성 개념과 교육제도의 변화

        청미(Park, Cheong Mi )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7 敎育思想硏究 Vol.21 No.3

        This article is intended to make offer a logical foundation about the change of educational institution related in idea and conceptualization of educational publicness. With this in mind, this article is examined in several arguments as for educational publicness, from anti-neo-libertarian, conceptual categorization to the grade of educational policy. And in this theme, there is discovered a gap between the grade of categorization of concept and the argument as for the grade of educational policy. The gap is dued to the difference of conceptual categorization, determining categorization or reflective categorization as for the range of the educational publicness and the public educational system. This article is intend to fill a gap of this, based on issue of the historical instituionalism, Kant's language on the『Critique of Judgement』and the historical sociology of education. Therefore, we can confirm the educational publicness is value judgemental, social constructual, and be related in creation of altanative life. And we can suggest the vector of change in the public educational system will be transformed, depending on the reflective categorization as for educational publicness. 이 글은 교육제도의 변화와 변화의 내적 기제에 대한 관심으로, 교육 공공성 개념과 교육제도 변화의 관계를 드러내려고 하는 논문이다. 이 글에서 제도란 장기간에 걸친 인간행동의 정형화된 패턴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도에 관한 변화의 내적 기제를 살펴본다는 것은 제도의 변화를 인간행동의 선택과 관련하여 살펴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 글에서는 인간행동의 선택이 그가 지닌 개념-담론의 향상과 관계되는 개념과 깊은 상관이 있다고 가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제도 변화와 변화의 내적 기제에 대한 이와 같은 가정-교육 공공성 개념이 교육제도 변화의 내적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이론적 타당성을 찾아보고, 실제로 그것이 어떻게 가능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려는 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은, 이 글에서 교육제도 변화의 내적 기제로 삼게 된, 교육 공공성 개념과 관련한 최근 담론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최근 논의 가운데에서 교육 공공성 개념에 대한 간극을 발견하고, 담론의 향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간극을 규명함으로써 가능해질 것으로 보았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역사적 제도주의의 최근 이슈, 교육역사사회학의 논의, 칸트『판단력비판』의 개념어들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보았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실제로 최근 교육 동향에 대한 인식을 고려하여 교육 공공성에 대한 개념화를 시도해 보았다.

      • KCI등재

        공부의 의미 탐색: 퇴계의 "공부론"에 나타나는 즐거움을 중심으로

        청미 ( Cheong Mi Park ) 교육철학회 2009 교육철학연구 Vol.44 No.-

        본 연구는 `공부`에 대한 개념사적 접근을 위한 의미 탐색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연구자는 `공부`의 의미에 접근해 감으로써 한국의 교육현상과 관련한 역사 문화적 요인을 거둬들일 수 있고, `공부`의 의미는 `즐거움`과 관련하여 획득될 수 있는 측면이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정 하에, `실천 이론`적 관점에서 퇴계의 `생활모습`을 통해 그의 `공부론`을 구성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론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 주제를 다루어 보았다. 첫 번째, 퇴계의 생활모습을 살펴보되, 도산을 `장소화`하면서 갖게 된 그의 `장소감`의 확인을 통해 살펴보았다. 즉 도산서당이라는 집짓기와 글공부하고 산책하는 생활패턴을 통해 드러난 장소감-흥의 확인으로, 도산이 친밀한 장소로 변해가는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여기서는 `도산잡영 병기`를 면밀히 분석하여, 퇴계에게 있어 공부의 의미가 즐거움과 연관되는 측면이 있다는 것을 도출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살펴본 퇴계의 생활모습을 통해, 퇴계의 `공부론`을 `즐거움`과 관련하여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태극`의 개념은 주요한 원리가 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살펴본 `즐거움`과 관련한 `공부`의 의미는, `태극`이 함의하고 있는 `스스로 그러함`이라는 `自然`의 `생명성`에서 찾을 수 있었다. 이제는 `이미 주어진` 시공간, 소이연과 소당연의 일치를 보여야 할 환경이 자연이 아니라 `자본주의 시스템`으로 변모해버린 담론의 구조 속에서, 옛 공부의 의미는 어떻게 자리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볼 때이다. This study was for an inquiry into `the meaning` on `Gong-bu[工夫: self-cultivation]`, which is carried out as a part of an approach of the conceptual history. This study has assumption that Gong-bu may be a factor of historical culture about the Korean education and the meaning of Gong-bu may be acquired in relation to `the happiness[樂]`. On this assumption, I intended to construct the theory of Toigye`s Gong-bu through the Toigye`s life from `the practical theory` of view. The main subject consists of the following two themes. First, I investigated Toigye`s life, through the confirmation on a sense of place which is, what he had Dosan space-forming. That is, I investigated the phase that Dosan change into the intimate place. It was possible through the confirmation of `Xing[興]`, a sense of place which has revealed by the building a house said Dosan-Seodang and his life-pattern. This was acquired by analysis about the introduction of Dosan Jabyeong. It was deduced the happiness of gong-bu here. Second, I intended to construct the theory of Toigye`s Gong-bu in relation to `the happiness` through the Toigye`s life. I confirmed the concept of Tae-geuk[太極: the great ultimate] is the main principle for that problem solving. With this I could understand `the meaning of gong-bu` in relation to `the happiness` can be searched into `the vitality` of Ja-Yeon[自然], involved in Tae-geuk, which can be said `what is so of itself`. Nowhere, the time and space have been given us already. Also, the circumstance which need to keep the harmony between so-dang-yeon[所當然: the principle of sollen] and so-yi-yeon[所以然: the principle of sein] transformed into capitalistic system in the market. Now is the time we have to think how the meaning of former gong-bu can be arranged in the structure of discourse today.

      • KCI등재

        융복합교육의 의미와 방향 탐색: 격물치지의 정신에 근거하여

        청미 ( Park Cheong Mi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2

        이 논문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제시된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융복합교육`의 의미와 방향을 격물치지의 정신에 근거하여 모색하는 것이다. 정부에서 제기하고 있는 `융복합교육을 겨냥한 의미의 교육`은 격물치지의 정신에 함의된 지의 중층구조를 통해 재정립될 수 있다. 재정립된 의미의 융복합교육은 인성교육과 교과교육의 간극을 해소할 수 있다. 요컨대 본래의 취지에 부합되는 융복합교육을 통해 지성획득과 지식생성을 모두 고려한 교육 본래의 의미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convergent education on the basis of spirit of gewuzhizhi[格物致知]. It is intended to educate `a creative-convergent type human resources with a right character`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his paper, the spirit of gewuzhizhi[格物致知] suggests a twofolded structure. This provides a basis for redefining `the meaning of education which is aimed at the convergent education`. The value of that can be found in following ; `the convergent education` can eliminate the gap between an intellectual education and a subject matter education. In short, It will be able to recover the original meaning of education that takes both acquisition of intelligence and creation of knowledge through convergent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intention.

      • KCI등재

        퇴계교육철학과 미래교육 : “교육”에서 “공부”로

        청미 ( Cheong Mi Park ) 한국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 Vol.5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hilosophize what is the force on the cognition and practice which Toegye support to our future education and pedagogy. When our future and education as the modern conception is exhausted, this study is developed with the belief that we are able to philosophize about our future education by changing our view of time. And on this study, it is realized that the view of modern education is applied by the principle of manufacture, the modern pedagogy has no human mind and our education, pedagogy have to solve our postcolonial task. It is considered that a study on Toegye is the kitchen garden better than others, which is for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as a postcolonial pedagogy and the accumulation of autogenous power in our pedagogy on this stduy. The Toegye not be taken into the modernity, provide us turning point which is able to recognize our ra야cal view of education. There is what be followed determinable something through Toegye. On the confucian tradition, the education is what the gong-bu as non-artificial doing generates artificial attributes. We can understand the education is not action as artificial doing of educator in the present. And we can consider a principle of education by the relation of gong-bu and education in Toegye. That is, the education is what realized by mind of emulation, which is generated by a chance of deep emotions for a aesthetic existence. It is required educational attributes generated by gong-bu like these in our education and pedagogy.

      • KCI등재

        아름다운 사람, 그 "됨" 과 "되어감" : 한국 문화의 범주에서 이루어진 미적 인간론

        청미 ( Cheong Mi Park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5 교육철학연구 Vol.37 No.2

        ‘교육’은 사람다움의 실현, 즉 ‘사람됨’을 도모하는 일이고, ‘교육철학 연구’는 ‘사람다움’이 무엇인지를 탐구하고그 ‘됨’을 이해하며, 그 ‘되어감’의 원리를 탐구하고 ‘되어감’을 효과적으로 진작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는것을 주요한 과제로 삼는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사람다움을 실현하고 있는 인격으로서 ‘아름다운 사람’을 상정하였고, ‘아름다운 사람’의 의미를 밝히기 위해 2장에서 ‘아름다운 사람’이라는 한국어를 분석하고 교육학적 의미를 논하였다. 3장에서는 아름다운 사람의 전형을 한국문화의 ‘선비’의 모습에서 찾아 유가의‘군자, 대인, 대장부’ 등을 통해 그 ‘됨’의 특질을 논하였다. 4장에서는 아름다운 사람의 ‘됨’이 어떻게 실현되는지그 과정에 관심을 두고 천착해 들어간 조선의 두 선비를 중심으로, 아름다운 사람의 ‘되어감’의 특질에 대해 논하였다. 결론에서는 아름다운 사람에 대한 논의와 담론이 교육의 효과를 불러들인다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아름다운 사람에 대한 교육학적 논의의 글을 맺는다. ‘Education’ is the one to promote the ``realization of human being[saramdaum, 사람다움]``, namely ‘saramdoem[사람됨]’. So in education, we would like to explore the meaning of ‘human’ and understand one``s ‘being’. And we would like to clarify the principle of ‘getting to becoming[doeogam, 되어감]’, so we would like find how to stimulate ‘getting to becom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at it aims to discuss the ``aesthetic human[areumdaun saram, 아름다운 사람]`` as the aesthetics approach for educative human being through these topics in research on philosophy of education. To solve this topics, it was assumed the ``aesthetic person`` who realizes saramdaum in this study. And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aesthetic person``, it was discussed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analysis of the Korean ``aesthetic person`` in chapter 2. Second, It was found the epitome of ``aesthetic person`` in the ‘seonbi[선비]’ of Korean culture in chapter 3. And it was discussed the qualities of the ‘being`` through the meaning of ‘seonbi’ such as ‘gunja[君子], daein[大人], daejangbu [大丈夫]’. Third, It was discussed the nature of the ``getting to becoming`` of ``aesthetic person`` around the two seonbi in Joseon[朝鮮] who were digging into those concerned with the process of the realization ``being`` of ``aesthetic person``. Conclusion emphasizes that discussions on ``aesthetic human`` comes up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