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의 자율성에 대한 교육철학적 접근

        김철 ( Cheol Kim ) 교육철학회 2009 교육철학연구 Vol.44 No.-

        현 정부는 "자율과 경쟁"의 기치아래 교육을 개혁함에 그 이념으로써 교육의 자율성, 교육의 수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 중 교육의 자율성에 관한 담론은 어제 오늘의 논쟁거리가 아닌 만큼 전혀 낯설거나 어렵지 않게 느껴진다. 더욱이 지방분권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교육의 자치적 운영이 화두로 떠올랐고, 교육적 상황 속에서 자율성의 보장만이 21세기의 다원화된 사회에 걸맞은 교육의 효율성을 창출해낼 수 있다고 믿고 있다. 교육 행정가들은 교육의 자율성의 의미를 "교육에 관한 일을 그 일을 맡은 사람들이 남에 의존하지 않고 또 남의 간섭과 지배를 받는 일이 없이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일의 맥락에서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의 자율성은 단지 교육에 관한 행정적 효율성을 위한 외부의 간섭을 배제한 자율적 행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교육적 상황의 전제로서 교육 자율성 의미가 파악되어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교육의 자율성의 의미를 되짚어보고 이를 바탕으로 오늘날 교육적 행위 속에 더욱 강조되고 있는 교육 자율성의 의미에 대한 한계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독일의 교육사상가인 Herman Nohl의 교육이론에 나타난 교육의 자율성에 관한 담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교육의 자율성은 교육학이 하나의 독자적인 학문영역임을 증명해주는 필수 불가결한 전제 조건으로서 아동이나 학습자의 권리가 외부의 사회적 영향력이나 성인의 힘으로부터 보호되어져야함을 의미한다. Currently, the educational policy has pursued both the autonomy and the excellency in educational reform. In particular, the term of "the autonomy in education" means that it is free from government control only for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e autonomy of education underscores the establishment of specialization of education and the training of human being with the free will. A discussion on the autonomy of education has always appeared in general educational phenomenon. Now, it is a question about whether the autonomy in education only means the excellency and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policy implic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d the limitations of philosophical approach of the educational idea, "the autonomy of education" in Lee`s government. Specifically, I seeked to examine `the autonomy of education` in the current educational reform through the Herman Nohl`s theory of education in order to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educational principles and situations. Nohl highlights that the autonomy of education is the core of education. Furthermore, the autonomy in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in the educational history itself, especially in the thoughts of education. He stressed the autonomy of education in terms of the rights of children and learners. In other words, the autonomy in education may be accomplished when it should be protected from institutional enforcement and social control. In conclusion, it may be noted that the autonomy of edu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fundamental rights of children as well as learners who is not subject to control from outside.

      • KCI등재

        교육학의 포스트휴머니즘 수용과 포스트휴먼 감응교육 탐색

        정윤경 ( Chung¸ Yunkyou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4

        본 연구는 교육학의 포스트휴머니즘 수용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교육학이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을 수용하여 포스트휴먼 감응교육(posthuman affect education)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낯선 질문을 통해 포스트휴먼의 조건과 포스트휴머니즘의 대두를 살펴보고, Ⅲ장에서는 교육학의 포스트휴머니즘 수용의 필요성과 가능성, 그리고 포스트휴먼교육학적 시도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토대로 Ⅳ장에서는 포스트휴먼 감수성의 필요성과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의 의미,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으로의 변화를 탐색하고, 포스트휴먼 감응교육 실현을 위한 조건을 논의하였다.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포스트휴머니즘’과 ‘교육’이 만나 일어난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 Deleuze의 사유에 기초한 ‘감응’(affect)개념을 결합하여 구성한 개념이다. 요컨대,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포스트휴먼 조건이 야기한 차이와 다양성, 이질성과 상호교차성 등의 변화에 섬세하게 반응하며 교육을 새롭게 바라보고 아직 현실화되지 않은 잠재적 교육 가능성을 조망하기 위한 것이다.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첫째, 지속적 되기와 상호관계성 교육으로 고립된 실체로서 개인의 번영을 강조한 발달주의 교육 너머의 교육을 보여준다. 둘째, 사물(장치)의 능동적 역할을 고려함으로써 학습자와 교수-학습 활동의 의미를 확장한다. 셋째,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사물(기술)의 능동성을 고려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기술의 변화와 사물(장치)의 행위성이 가져올, 아직 현실화되지 않은 잠재적 결과에 대해서도 감응케 한다. 따라서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관계’에서 다시 비판적 성찰을 요청한다. 넷째,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비의도적 우연성 교육의 가능성을 인정함으로써, 보편적이고 표준화된 이론에 포착되지 않는, 교육의 복합성과 다양성에 감응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포스트휴먼 감응교육은 제한된 변수들의 인과관계로 명쾌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자신감 대신, 교육이 변용 과정에서 낯설고 이질적인 다양성을 만나 새로움을 창안해갈 것을 제안한다. 포스트휴먼 감응교육 실현을 위해서는 열린 휴머니즘과 규범의 지향, 상호관계성 안의 생명과 지속가능성 추구, 지속적 되기 과정에서 관계항에 대한 책임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cessity of the reception of posthumanism in education and to explore posthuman affect education. To this end, Chapter II examines posthuman conditions and the emergence of posthumanism by raising unfamiliar questions; Chapter III examines the necessity and the possibility of posthumanism in education and educational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ism. Based on this, Chapter Ⅳ discusses the necessity of posthuman sensitivity, the meaning of posthuman affect education, and the changes having made in education toward posthuman affect education. Furthermore, it discusses the conditions necessary to realize a posthuman affect education. ‘Posthuman affect education’ refers to education that responds to changes triggered by posthuman conditions. The concept of ‘affect’ based on Gilles Deleuze's thoughts is effective in explaining the connections with unfamiliar beings and variations in the continuing process of becoming. Posthuman affect education, first of all, reveals becoming and interrelated education, overcoming developmentalism that emphasizes the prosperity of an individual subject as an isolated entity. Second, by considering the active role of objects(devices), meanings of learners an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re to be extended. Third, while posthuman affect education takes into account the activeness of things(technology), it also allows us to affect to potential consequences that are yet to be realized. Therefore, posthuman affect education calls again for critical reflection on ‘interrelationships.’ Fourth, by acknowledging the possibility of unintentional accidental education, posthuman affect education presents possibilities to respond to the complexity of and diversity in education, which can hardly be captured by universal and standardized theories. Finally, posthuman affect education, instead of presenting the confidence that education can be explained in a causal relationship with limited variables, suggests that education be dedicated in creating something new in the process of becoming by encountering the unfamiliar and heterogeneous diversities.

      • KCI등재

        `국정 역사교과서 사태`에 관한 교육학적 탐색

        전일균 ( Cheon Il-kyoun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7 교육철학연구 Vol.39 No.3

        교육부가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를 행정 예고한 2015년 10월 이후, 국정 역사교과서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왜곡을 중심으로 많은 논란을 갖게 된다. 이러한 논란의 핵심은 역사적 사실에 대한 정치적 왜곡에 있었다. 따라서 역사학계와 정치권을 중심으로 많은 논쟁과 교육계의 혼란을 야기 시키게 된다. 그러나 국정 역사교과서에 대한 이러한 논란은 정권 교체와 함께 2017년 5월 31일 교육부의 정치적 결단에 의하여 공식 폐지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국정 역사교과서 사태의 본질은 단지 역사왜곡의 문제가 아니라 국정교과서를 축으로 하는 교과서 제도의 문제라는 시각에서 이것의 문제점을 교육학적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교사의 교육자유권이라는 측면에서 국정교과서 제도가 합당한가를 살펴보았으며, 이어서 학생 및 학부모의 교육선택권 등으로 대표되는 국민교육권의 측면에서 국정교과서로 대표되는 국가교육권의 문제에 대하여 탐색해 보았다. 이어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이라는 헌법적 가치에서 볼 때, 교과서 제작과 국가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현재 국정 역사교과서는 교육부의 폐지 명령으로 일단락 되었다. 그러나 본 건과 같은 사태는 교과서 제도에 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없다면, 언제고 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혼란을 막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정교과서 제도에 대한 교육학적 검토와 바람직한 교과서 제도의 미래를 추정해보고자 한다. Since October 2015, when the Ministry of Education made pre-announced the administration of `the government designated history textbooks`, the issue of the history textbooks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produced a lot of controversial opinions and those were focused on the problem of distortion of historical facts. The key to this controversy was the political distortion of historical facts. However, the problem can and should be viewed from a more foundational perspective, which is whether or not the state power should characterize the contents of textbooks. It is a question of whether the state power can unilaterally decide on the contents of education without the consent of students, their parents, and the teachers. Therefore, it causes many disputes and confusions of the educational system centered on the history academy and political circles. However, this controversy over the history textbooks of the state has been abandoned by the decis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on May 31st.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earch for the problems of the national textbook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The study argues that the essence of `the government designated history textbooks` is not just a matter of history distortion but the problem of the national textbook system itself. For this purpose, the author first examines whether the system of state textbooks is appropriate in terms of the right to education, and then explores the issue of national education rights represented by state textbooks in terms of the educational rights of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n,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stitutional value of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the author searche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book production and state power. Through the study, the author tries to search for the future of the desirable textbook system.

      • KCI등재

        “무시케(Mousike) 교육”과 “이성의 계발”의 관계: 칸트의 “취미판단”을 중심으로

        홍윤경 ( Yun Kyung Ho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연구 Vol.35 No.1

        플라톤의 ‘무시케’ 교육의 목적은 아름다움을 식별하는 능력을 길러 줌으로써 인격의 함양을 이루는 것에 있다. 플라톤에 의하면 참된 예술가는 온갖 훌륭한 특질들의 이데아를 자신의 작품에 구현할 수 있으며, 감상자는 감각의 형식을 통하여 사물 안에 구현된 이데아에 접할 수 있다. 무시케 교육의 단계에서 감각의 형식을 통하여 접하는 이데아는 이성이 최대한 발달한 상태에서 획득할 수 있는 최상의 지식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무시케 교육은 이성의 계발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가? 칸트에 의하면, 사물의 아름다움을 평가하는 능력으로서의 취미판단은 대상의 존재 또는 소유라는 외적 조건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무사심’이라는 내적 조건에 의존하며, ‘상상력’과 ‘오성’의 조화를 의식함으로써 가능하다. 상상력과 오성의 조화는 ‘주관적 합목적성’ 또는 ‘목적없는 합목적성’이라는 초감각적 원리에 토대를 둔다. 이러한 초감각적 원리는 ‘전체라는 보편적 이념’을 품는 이성의 ‘반성적 판단력’에 의하여 가능한 것이다. 반성적 판단력은 지식의 체계를 추구하는 최상의 인식능력이라는 점에서, 플라톤적 의미의 이성과 다르지 않다. 아름다움을 식별할 때 작용하는 반성적 판단력은 무시케 교육을 받을 때부터 이미 이성의 계발을 가능하게 만든다. 감각의 형식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무시케 교육은, 최상의 지식을 추구하기 위한 교과교육은 아니지만, 이성의 계발을 목적으로 삼는다는 점에 관한 한, 교과교육과 다르지 않다. 이 의미의 무시케 교육은 도덕교육, 정서교육, 지식교육이 일정한 비율로 혼합된 교육이 아니라, 이 모든 교육이 융합된 것으로서, 이성의 계발을 위하여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Education in ``Mousike`` in Plato`s sense is designed to give an ability to discern the beauty in the objects. People educated in Mousike are able to discern good from bad in their life so that they could choose the former and pursue it. According to Plato, true artists embody the beauty itself, that is ``Idea of beauty``, in their products, while the appreciators can, ``in the form of sense`` discern the beauty in the objects. ``Judgment of taste``, in Kantian sense, which is the faculty of estimating a thing beautiful, does not depend on the existence of possession of objects. It does rely on the ``disinterestedness``, which is grounded on the consciousness of the harmony of ``imagination`` and ``understanding``. The harmony of these cognitive faculties is founded on the supersensible principle of ``subjective purposiveness`` or ``purposiveness without purpose``. The principle works through the ``Reflective Judgment`` which is considered as the ``Reason``. The Reflective judgment is interpreted as corresponding to Plato`s sense of Reason, since it demands that all knowledge obtained by the understanding should be in the last resort dependent on certain highest Principles. People educated in mousike are able to discern ``Idea of beauty`` in the objects, meaning that education in mousike is closely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reason.

      • KCI등재

        초복잡성 사회의 대학 이념과 교육과정

        정철민 ( Chul Min Jung ),유재봉 ( Jae Bong Yo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1 교육철학연구 Vol.33 No.1

        대학의 위기는 늘 존재해 왔으나, 현대 대학이 직면한 위기는 초복잡성 사회를 배경으로 한다는 점에서 이전의 위기와 다르다. 초복잡성 사회의 대학 이념은 이전과 다른 성격의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이것은 대학 교육과정에 있어서도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대학 교육과정과 관련된 논의는 자유교육 이념을 바탕으로 한 지식 중심 교육과정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실제 삶의 맥락에 있어서 무기력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효율성과 자유 경쟁 등을 강조하는 시장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한 시장 중심 교육과정이 제기된다. 그러나 시장 중심 교육과정은 교육을 수단화시킨다는 점에서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불확싱성과 다양한 논쟁의 가능성에 열려 있는 초복잡성 사회에 적합한 교육과정은 지식 또는 시장 원리 어느 하나로 환원될 수 없다. 이 논문에서는 지식 중심 교육과정과 시장 중심 교육과정의 한계를 넘어 초복잡성 사회 맥락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탐구하고, 그 대안 중 하나로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의미와 가능성을 검토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 university curriculum which is suitable for a supercomplex society. To this end, we critically examine the limits of a knowledge-oriented curriculum and a market-led curriculum which are dominant in a current university curriculum, explore characteristics of a university curriculum in a supercomplex era, and consider a competence-based curriculum as a candidate for a supercomplex society. A knowledge-oriented curriculum as a dominant idea of a university curriculum is based on a liberal education idea. It is purpose of a liberating human mind through the pursuit of knowledge for its own sake. But it is inclined to overlook needs of actual life. In contrast, a market-led curriculum addresses that education should solve real-life problems through the pursuit of economical efficiency. However, it tends to disregard the intrinsic value to education. A knowledge-oriented curriculum and a market-led curriculum have a common limit in that they are not appropriate for a supercomplex society. A supercomplex society has four features: uncertainty, unpredictability, contestability, and challengeability. A curriculum for a supercomplex society should include a self. It entails that changing from knowledge to knowing and from technique to method. A curriculum for a supercomplex society should be flexible and open. A competence-based curriculum might relevant to a curriculum for a supercomplex society. Competence shares with features of supercomplex in terms of epistemology and empiricism. The idea of a university should be specified by establishing a university curriculum. They are complementary. In conclusion, Korean university should not only discuss an idea of a university, also prepare a university curriculum for a supercomplex society.

      • KCI등재

        오우크쇼트의 자유교육론에서 "자유"의 의미

        방진하 ( Jin A Bhang )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8 No.-

        이 연구는 오우크쇼트의 자유교육론에서 `자유`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의 이상이나 목적이 인간의 자유에 있다는 생각은 교육의 역사만큼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지만, 자유교육론은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을 정당화하는 논의로 간주될 뿐, 교육이 가정하고 있는 자유의 의미에 관해서는 본격적인 논의가 없었다. 오우크쇼트 후기 저술의 `대화` 개념은 교육에서 자유의 의미를 교육내용의 선험적 가치에 의존하여 얻어지는 추상적 결과가 아닌, 교육활동이라는 `실제`에 구현되어 있는 조건적 특성으로 해석할 단서를 제공해 준다. 전통적 자유교육론자들이 인간 본질에 대한 규정이나 실재론을 바탕으로 하여 인간의 자유와 지식의 추구를 연결했다면, 오우크쇼트는 `자기이해`라는 지식의 본질을 통하여 인간의 자유와 지식의 추구를 연결한다. 그가 말하는 `자기이해`로서의 지식이란, 서로 다른 목소리들이 만나는 `대화`를 통하여 자신이 명확하게 `사실`로 알고 있는 것을 `가능성`으로 환원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얻어진다. 근래의 자유교육론자들이 공적 개념 체계 아래에서 구조화된 경험을 갖는 것으로서 마음의 발달을 설명했다면, 오우크쇼트는 실제적 필요나 과학적 권위라는 목적으로부터 해방된 인간이 관조의 어법으로 `이미지-만들기`를 향유하는 것에서 학습의 의미를 찾는다. 교육은 인간으로 하여금 자신이 `사실`이라고 여기는 것에 대하여 계속해서 질문하는 자유, 아무런 부담 없이 `이미지-만들기`를 향유하는 자유를 누리게 해 주는 `놀이의 장`이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freedom in Oakeshott`s theory of liberal education. Freedom is usually regarded as an `ideal` or `purpose` of education. But nowadays there are few people who ask what a freedom means as a principle of education.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freedom in Oakeshott`s theory of liberal education is regarded not as results of educational management, but as conditions of educational `Practice`. This interpretation depends on the concept of `conversation` in his later works. By Oakeshott, education is an initiation into the skill and partnership of conversation. The classical type of justification of liberal education consists of a number of mutually-related philosophical doctrines concerning the nature of knowledge, the mind, the reality,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m. But the freedom of education in view of conversation is related with knowledge as `self-understanding`. In conversation, one who seeks knowledge as `self-understanding` always invites another voices` responses. In conversation, the `facts` appear only to be resolved into the possibilities from which they were made. The modern type of argument for liberal education finds its ground on the nature of knowledge itself. To acquire knowledge is to become aware of experience as structured, organized and made meaningful by means of symbolic systems that have publically shared among human beings. But Oakeshott`s freedom of education comes from the idiom of contemplation which belongs to `voice of poetry`. Poetic imagination is not a preliminary to doing something, it is an end in itself. In poetic conversation, students have opportunities to make their own images of human inheritances. Education is a place for `play` which provides the freedom of examining one`s own voice and of enjoying images of human inheritance and of making images of one`s own.

      • KCI등재

        랑시에르의 교육학 비판

        강성훈 ( Seong Hun Ka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연구 Vol.35 No.1

        랑시에르는 대혁명기 지식인이자 교육자였던 조제프 자코토에 대한 연구에서 “우리는 우리가 모르는 것을 가르칠 수 있다”는 자코토의 테제를 급진적인 정치적 테제로 읽는다. 즉, 그 테제는 교육을 정치의 조건으로 상정하여 교육이 완료될 때까지 정치를 미루는 근대의 ‘진보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의 성격을 갖는 것이다. 랑시에르는 ‘교육을 통한 사회변혁’이라는 현대 교육학의 테제야말로 그와 같은 진보 이데올로기의 전형으로 규정한다. 본 연구는 랑시에르(그리고 자코토)의 테제를 마르크스의 테제, “교육자 역시 교육받아야 한다”는 테제와 관련 지으면서 그 의미를 명확하게 하려는 시도에서 출발한다. 마르크스의 테제 역시 최초의 교육자의 출현을 의문에 부침으로써 교육을 통한 사회변혁이라는 계몽주의의 테제를 해체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양자의 테제들은 특수한 조건 속에서 이데올로기로 전화할 수 있는 ‘교육학’ 자체의 성격에 대한 비판이기도 한데, 따라서 이는 ‘비판적 교육학’이 아니라 ‘교육학 비판’으로 오늘날의 교육학을 성찰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Ranci?re, in study of Joseph Jacotot who was a scholar and a teacher in age of French Revolution, reads Jacotot`s thesis - “We can teach what we ourselves were ignorant of” - as a radical political thesis. The thesis is a critique of ``Progress Ideology(Progressivism)`` that delays the politics(le politique) by regarding education a precondition of the politics. He defines the very thesis of the modern pedagogy - ``social change by education`` - as a archetype of such an ideology. This study starts with revealing the meaning of Ranci?re(and Jacotot)`s thesis by thinking it in the relation of Marx`s thesis that “the educator must himself be educated”. Marx`s thesis deconstructs also the project of progress through bringing the appearance of the first educator into question. As a result, these of Ranci?re and Marx are critiques of character of pedagogy itself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the ideology under some condition. So they may be mirrors of pedagogy of today as not ``critical pedagogy`` but ``critique of pedagogy``.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를 위한 교육철학 수업 사례연구

        양은주 ( Eun Joo Ya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연구 Vol.34 No.2

        본 논문은 교육대학교에서 실제로 수행된 교육철학 자키수업 사례의 질적 자료에 대한 분석·성찰을 통하여 초등예비교사를 위한 교육철학 수업의 꼬다 바람직한 목표와 실천적 과제를 탐구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먼저 대학교육의 질 개선에 대한 관심에서 바람직한 수업 특성을 탐구한 최근 연구 성과를 개괄하고 교수방범 중심의 일반화된 이해에서 디 나아가 각 학문공동체내에서 내용 천문성에 기초한 구체적인 질적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직필수과정 ``교육의 역사적 철학적 이해`` 강좌 중 연구자가 담당한 7주간의 교육철학 수 업에 한정하여 전체 수업을 촬영하고 전사한 질적 자료를 기반으로 한 연구 결과를 다음 두 장에 걸쳐 계시한다 우선 연구자가 또한 교수자로서 자신에게 익숙한 수업 과정을 낯설게 다시 읽은 서술적 분석 견과로서, 연구대상 교육철학 수업이 어떤 목표에 따라 구성되고 어떤 구체적인 활동을 통해 수행되는가를 밝힌다 이이서 수업과정 에 대한 서술적 분석을 비판적 건설적으로 재성찰한 바로서, 교육철학 수업의 목표와 실천 방법이라는 두 측면으로 나누어 초등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사교육과정으로서 교육철학 수업에 내재된 근윈적인 난점과 좋은 수업 경험을 위한 도전적 과제로서 질문, 설명과 이해 철학과 실천, 교육적 관계의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 of a reflective inquiry based on the qualitative self-analysis of classroom practices in a philosophy of education course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inquiry is to explore a new possibility of conceiving desirable or better aims and methods of teaching philosophy of education in initial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thereby to develop practical wisdom through critical and constructive self-understanding of classroom interactions as a teacher-researcher. For this purpose, I begin with reflecting upon the current research findings concerning the desirable qualities of teaching in college education, and show that while they provide us with generalized methodological suggestions, they need some further inquiry focused on the concrete problems and practicable ideas with actual contents reflecting the nature of each academic discipline Then, I move to the major discussion based upon the descriptive and reflective self-analysis of my philosophy of education course lasting 7 weeks. The recurring problematic issues and concerns to require critical and constructive reflections are distinguished and classified under the following five sub-themes proposing the objectives of the course, composing and raising questions, explaining and facilitating clear understanding bridging the gap between philosophical thinking and educational realities and creating educative relationship with students.

      • KCI등재

        다문화교육의 의미에 대한 교육철학적 고찰

        심승환 ( Seung Hwan Shim ) 교육철학회 2009 교육철학연구 Vol.45 No.-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교육의 의미를 교육철학적 시각에서 탐색하는 것이다. 한국 사회가 급격히 다문화화 됨에 따라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이에 대한 대처가 요구되며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이 문제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요구된다. 이러한 대응은 다문화교육의 본질 및 특징들을 올바로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바로 이러한 필요성에서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 개념의 핵심구성요소인 문화, 다문화주의, 교육의 의미를 밝히고 이들 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한다. 다양한 시각에서 문화의 의미를 조명하고 이를 종합한 후 다문화주의의 개념 및 그 이념적 배경을 고찰한다. 플라톤, 듀이, 코메니우스 등의 사상에 근거하여 교육의 의미를 규명하고 이를 문화와 관련하여 고찰한다. 문화와 교육의 관계에서 독특성, 연관성, 상호교류라는 공통된 준거를 발견하고 이를 다문화교육의 의미를 구성하는 핵심준거로 설정한다. 또한 문화, 다문화, 교육을 고찰하며 모든 문화는 사실상 다문화이며 모든 교육은 사실상 다문화교육임을 밝혀낸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다문화교육이 데리다의 아포리아(aporia) 개념과 같이 차이와 연결, 전통과 혁신, 자아와 타자 간의 모순적 관계임을 논하며 이러한 다문화교육의 의미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할 교육현장의 구체적인 목적들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philosophically the mean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Korea changes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various problems occur. In education, we need to respond properly the multicultural changes. A good respond begins from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r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t the necessity, this study analyze meanings and relationships of culture, multiculturalism, education as the core sub-concep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Meanings of culture are presented through various perspectives and synthesized, and then the concept and idealogical backgrounds of multiculturalism are discussed. Meanings of education are explained through educational thoughts of Plato, Dewey and Comenius, and this study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culture. The core criteria of multicultural education such as particularity, relatedness, and interaction are foun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culture. Furthermore, this study, through examining culture, education and multiculturalism, finds that all cultures are multicultures and that all educations are multicultural educations.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Derrida`s concept, aporia in relation to the conflicting nature of multicultural education between difference and connection, tradition and innovation, and the self and the other. Additionally, it presents practical purposes for schools in order to support concretely the mean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multicultural education, schools should be organized into various members and curriculum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Teachers should understand the originality and particularity of each student. They should guide students to realize themselves and to interact with teachers and other students through understanding differences. Students would rather explore various viewpoints than receive teachings of textbooks and teachers. All multicultural educational practices are realized through a complete knowledge of the dialogical relation between difference and connection as the nature of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문화교육의 성립조건: 문화해석학

        이상오 ( Lee Sang-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2

        문화교육은 문화(文化)를 매개로 하는 교육이다. 그러나 기존의 문화를 있는 그대로 전수시키는 것만을 문화교육이라고 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전승된 문화가 우리의 삶에 부정적이고 불편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즉 문화는 “가치의 현실화”가 이루어질 때 비로소 문화가 될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는 문화교육을 “문화비판” 또는 “문화비판교육”에 상당량 의존해 왔다. 이럴 경우 문화교육은 문화비판(교육)과 동일시될 소지가 있다. 이제 온전한 문화교육의 이론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문화비판에 되어 연구되어 온 문화교육을 새로운 각도에서 문화(본질)의 해석을 통한 문화이해에 근거한 문화교육의 이론을 정립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물론 오늘날의 문화위기 앞에서 요구되는 문화비판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화비판이 곧 문화교육과 동일시 될 수는 없다. 특히 문화(재)가 교육재 내지 도야재(Bildungsgutter)가 되기 위해서는 문화는 “해석”(解釋)될 필요가 있다. 문화의 가치와 의미가 해석될 때 비로소 (온전한) 문화교육은 가능해진다. 해석학의 목표는 “이해”(Verstehen, 理解)이다. 이렇게 본다면, 문화해석학의 목표는 “문화이해”가 된다. 그런데 문화교육의 최종 목표는 “인격교육”이다. 왜냐하면 결국 문화의미와 문화가치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은 개인이며, 개인은 문화를 통해서 종국적으로는 “자기교육” 즉 “도야”(Bildung)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화교육(학)의 학문적 성립조건은 문화해석(학)이라고 할 수 있다. Cultural education takes cultural elements as a medium for education. It is not, however, simply to accept the existing culture. For a particular culture may not be as good as it is supposed to be for our lives. Culture in this paper is understood as something when values are realized through it. In this regard, this paper takes issue with the current research/practice trends that critiques of culture are taken as the central issue in cultural studies in education. In this case, cultural education may be regarded as a branch of critical pedagogy with culture. This paper examines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cultural education. It aims to establish the theory of 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culture. It introduces a new perspective on cultural education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e current trend of cultural studies in education. The critiques of culture, by all means, have the important role in education in the era of the cultural crisis today. Nonetheless, such criticisms do not fully embrace the meaning of cultural education as a whole. In line with the tradition of hermeneutics in its emphasis on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act of interpretation of culture. It suggests that cultural education is only possible when the value and meaning of culture are interpreted in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goal of hermeneutics of culture can be understood as "cultural understanding". Finally, this paper puts forward the idea of cultural education as "personality education". “self-education” or “bildung” (in German) with culture is only possible when one understands and accepts cultural meaning and values. It suggests, therefore, that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cultural education is based on cultural interpretation, or the hermeneutics of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