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부연구비 지원 변동이 기초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승민(Seungmin Yeon),김슬기(Seulki Kim),김재수(Jae-Soo Kim),이병희(Byeong-Hee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연구분야에서 정부연구비의 변동과 연구성과간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개인연구사업 중 대학에서 수행된 IT 분야의 기초연구과제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여러 과제 특성 변수를 활용하여,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통제하였다. 회귀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정부 연구비 증감은 모든 연구성과(가중논문 수, 특허 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연구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과제는 연구비가 증액된 과제로, 연구비가 유지된 과제에 비해 최대 8배 정도의 큰 영향력을 보였다. 연구비가 감액된 과제는 연구비가 유지된 과제에 비해 최대 4배 정도의 큰 영향력을 갖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학술적 측면, 실무적 측면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fluctuations of a government subsidy and research outputs on the basic research field. An analysi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basic research projects specifically o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filed at university and Individual Research Programs of Korean ministry. Using various project characteristic variables, relationship between dependent variables and independent variables was controlled. To summarize results of a regression analysis, from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fluctuations of a government subsidy and basic research outputs (weighted papers and patents), the result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The maximum effect of increased research funding projects on research outputs was 8 times greater than an effect of maintained funding projects. Moreover, the maximum effect of decreased research funding projects on research outputs was 4 times greater than an effect of maintained funding projects. Base on this result, we suggested implications from academic and practical aspects.

      • 법인세율 인하에 따른 조세회피 행태에 관한 실증연구

        연승민(Seoung-Min Yon),최원욱(Won-Wook Choi)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08 연세경영연구 Vol.45 No.2

        기업이 이익을 조정하는 행태에는 회계이익을 조정하는 경우와 과세소득을 조정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그 중 과세소득 조정을 측정한 연구이며, 측정변수로도 과세소득 조정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변수를 사용하였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과세소득의 조정을 연구하면서도 측정변수로는 회계이익조정 변수를 사용한 한계점을 개선한 것으로 자평한다. 우리나라의 법인세율은 1990년 이후 네 차례 인하되었다. 본 연구는 가장 최근에 인하된 2004-2005년을 대상기간으로, 인하 전인 2004년(최고세율 27%)의 과세소득의 일부가 경영진의 재량에 의하여 2005년(최고세율 25%)의 과세소득으로 이전되었는지 여부를 실증 분석하였다. 2005년의 법인세율 인하는 2004년에 이미 사전 공지가 되어있었으며, 기업들은 세율 인하 직전 연도로부터 세율 인하 직후연도로 과세소득을 이연시킴으로써 기업의 법인세 부담액을 최소화 하고자 하는 유인을 가지게 된다. 선행연구들에서도 이러한 기업의 조세회피 현상을 검증하였으나 일관된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선행연구들은 이에 대한 이유로 우리나라의 세율 인하 폭인 2%가 경영진의 재량행위를 유도할 만큼 충분히 크지 않음을 언급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른 이유로서 선행연구들에서 사용된 측정치인 재량적 발생액이 조세회피를 측정하기에 문제점이 있음을 지적하고, 개선된 측정치에 의하면 경영진의 조세회피 행위가 유의적으로 존재하였음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사업보고서의 법인세 관련 주석사항을 분석하여 수작업으로 입수되었다. 이 자료에 근거하여 세 가지 변수로 조세회피를 측정하였다. 대분류로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 총액을 사용하였고, 중분류로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 중 재량적 요소만을 사용하였으며, 소분류로 기업의 조세회피가 가장 현저하게 나타나는 조세특례제한법 상 준비금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기업은 법인세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세율인하 직전 연도에 회계이익 대비 과세소득을 감소시켰고, 과세소득의 감소분 중에서는 재량적인 항목들이 주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재량적인 항목들 중에서도 회계이익에 대한 희생이 전혀 없는 순수한 과세소득의 감소분인 준비금이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세율인하에 대응한 기업들의 과세소득 조정행태에 초점을 맞추어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못하였던 조세회피 관련 변수를 직접적인 측정치로 이용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Corporations manage book income for financial reporting purpose and manage taxable income for tax saving purpose. We analyze taxable income management with variable related to tax avoidance independent of book income management. We argue it is an improvement from prior studies that have worked on the same topic but with book income management variable like discretionary accruals.<br/> ?;?;Korean corporate income tax rates have been reduced four times since 1990. We analyze the most recent reduction of 2% in 2005. We test whether significant parts of taxable income in 2004, when maximum statutory tax rate was 27%, have been discretionarily shifted to 2005, when maximum statutory tax rate was 25%. Since the rate cut by 2% had been publicized in advance as of 2004, management had enough time and means of taxable income shift from 2004 to 2005.<br/> ?;?;Prior studies have tested such a tax avoidance behavior but could not produce consistent findings. They argue that weak results are due to a less significant change in tax rate, 2%. We argue that another reason might be the problem of tax avoidance measure adopted in prior studies. Most prior studies used discretionary accruals from Jones model to measure the income shift to avoid tax. We find significant tax avoidance behaviors by management when we use improved measure with variables related to only taxable income independent of book income.<br/> ?;?;We collect the tax return data from the tax footnote of financial statement. Three variables are used to measure tax avoidance: Book-tax income difference, discretionary components of book-tax income differences, and an advanced reduction for tax purpose. Empirical findings show that firms have reduced taxable income relative to book income in 2004, reduction in taxable income of 2004 has been more significant for the discretionary components of book-tax income difference, and that firms have actively managed advanced tax deduction items since they are one of the few means for tax avoidance without affecting book income. Our study focuses on the firms'; tax avoidance behavior in the period of tax rate decline and contributes to extant literature as we use more direct and improved measures of tax avoidance<br/>

      • KCI등재

        Pluronic Nanoparticles do not Modulate Immune Responses Mounted by Macrophages

        김현경,조상현,연승민,김경훈,정진웅,박태원,변영주,이은희,박영인,정용우 한국고분자학회 2013 Macromolecular Research Vol.21 No.12

        Nano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target delivery of medicine because the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selective emission or controlled release. Although accumulated data suggest the efficacy of these materials for the target delivery, it still remains to be determined whether they modulate immune responses to pathogens or foreign materials.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Pluronic nanoparticles (NPs), a type of nanomaterial, alter immune responses mediated by macrophages. When RAW 264.7 cells (RAW cells) were treated with Pluronic NPs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popolysaccharides (LPS), they produced normal levels of nitric oxide (NO). Furthermore,the treatment with Pluronic nanomaterials did not induce cytotoxicity with or without LPS. Further, LPS-stimulated RAW cells expressed comparable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 genes, such as interleukin (IL)-1β,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with or without treatment by Pluronic NPs. These data suggest that Pluronic NPs do not modulate immune responses mediated by macrophages.

      • KCI등재

        연구수행 주체에 따른 국가R&D 기술이전 성과 영향요인 분석

        김미선(Mi-Sun Kim),연승민(Seung-Min Yeon),김재수(Jae-Soo Kim),이병희(Byeong-Hee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1

        국가R&D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연구결과의 활용 차원에서 주요한 이슈로 기술이전과 기술사업화가 다뤄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R&D과제를 통하여 기술이전이 실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술이전이 되기까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수행 주체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기술이전이 행해지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술이전 성과를 분석한 결과, 기술료 수익에 있어서 연구비가 각각의 연구주체인 대학과 정부연구기관, 산업체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연구기관은 수도권과 대전지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업체의 경우 협동유무와 응용연구단계, 연구에 대한 시간에 대한 투자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술이전 건수의 경우에는 대학은 연구비, 개발 단계의 연구에, 정부는 연구기간과 연구비, 개발단계의 연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산업체는 기술이전 건수에 응용연구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효율적인 기술이전 성과 창출을 위하여 각각의 연구주체에 따른 차별화된 정책이 실행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연구 주체들의 성과 분석을 통하여 주체들에 대한 구체적인 포지셔닝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과제의 목적과 미션을 차별화하여 기술이전이 효율적으로 행해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As national R&D is increased in scale, technology transfer has garnered more attention in terms of utilizing R&D outcomes. In this study, we analyzed influencing factors to technology transfer, as a way of utilizing R&D results, using data on national R&D. The analyses was performed with 3 subjects: university,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and industry. When royalty i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to measure the performance outcomes of technology transfers, the analysis showed that R&D funds have positive influence on all three subjects. In terms of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the influence was significant whether the location is the capital area or Daejeon city. With regards to industry, factors such as whether the project is a cooperative research, applied research, and the research to technology transfer period were found to have remarkable influen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number of cases of technology transfer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the analysis indicated that R&D funds have significant impact on university, while for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include both R&D funds and the research to technology transfer period, and for industry have positive influence on applied research.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make differentiated policies considering the R&D organiza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echnology transfer performance.

      • KCI등재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Influencing Technology Transfer in Government Funded Research Institutes

        Seulki Kim(김슬기),Seungmin Yeon(연승민),Inje Kang(강인제),Byeong-Hee Lee(이병희)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8

        공공연구기관들 중 과학기술개발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정출연)은 많은 연구비와 지식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술이전 성과 활용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2009∼2013년 사이에 수행된 1,163개의 연구과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을 실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에 있는 국가 R&D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량적 통계분석을 통해 가설들을 검증하였을 뿐만 아니라 논문들과 정성적 비교를 하였다. 분석 결과 특허출원 유,무에 따라 기술이전료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개발단계, 연구자 수 그리고 연구개발비의 다른 범주에 따라 기술이전료에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분석에 사용된 변수들 중 특허출원, 연구자 수, 연구개발비의 규모가 기술이전료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에 제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과제특성을 고려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Among various types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PRI),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GRIs) are having a difficult time in enhancing the efficiency of technology transfer. This study specifically analyzed 1,163 projects conducted by GRIs from 2009∼2013 to ascertain the determinants that affect technology transfer process. Along with conducting qualitative analysis on relevant researches, we examined the hypotheses by relying on quantitative analysis, using national R&D data from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NT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ound that whether or not the project generated applied patent, the royalty varied. Also, depending on different R&D development stage, a number of researchers and the amount of R&D funding, the royalty varied. Finally, we derived that out of all the independent variables, a number of applied patents, a number of researchers and the amount of R&D funds can affect the royalty generated from technology transfer. Based on such results we suggest several policy implications.

      • 기계환기가 필요한 암환자의 저열량공급

        김혜원,문진영,손금희,조영아,이혜경,조성숙,연승민,주정남,박상재,이종목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5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학술대회집 Vol.2015 No.-

        배경: 중환자의 영양상태 또는 영양공급이 중환자의 임상경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인자로 이미 널리 인식되고 있다. 중환자 중에서도 암을 기저질환으로 동반하거나 항암치료 경험이 있는 환자들은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합병증의 발생이나 대사불균형 등으로 인하여 영양불량 상태로 장기간 지속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더욱이 중환자의 대사불균형 상태를 고려하여 일반적인 열량요구량보다 적은 열량을 공급하는 것에 대한이점을 발표한 연구들도 있어 기존 가이드라인을 이러한 암 환자에게도 그대로 적용하여 영양지원을 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4월부터 2014년 4월까지 국립암센터 중환자실에 3일 이상 재실한 성인 암 환자 중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였고 생존한 상태로 중환자실을 퇴실한 환자에 대한 관찰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환자 96명을 중환자실 재실기간 중 공급 받은 열량에 따라 저열량 그룹(20kcal/kg/day 미만)과 표준열량 그룹 (20kcal/kg/day 이상)으로 분류한 후, 인공호흡기 사용일수, 중환자실 재실기간, 감염 발생률, 혈당, 염증 수치 등 두 군의 임상경과를 비교하였다. 범주형 변수는 X2-test 또는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임상경과 중 인공호흡기 사용일수와 중환자실 재실기간은 평균(Mean), 중앙값(Medium), 최저값(Min), 최대값 (Max)을 모두 기술하고 Wilcoxon rank sum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중환자실 재실기간 중 20kcal/kg/day 미만으로 열량을 공급 받은 환자는 57명(저열량 그룹)이었고 11.20 ± 5.20kcal/kg/day을 공급받았다. 20kcal/kg/day 이상 공급 받은 환자는 39명이었고 25.19 ± 5.21kcal/kg/day를 공급받았다. 두 그룹의 APACHE II score, PG-SGA 등급, SICU/MICU 비율, 암종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기본특성은 나이, 체질량지수(BMI), 중환자실 입실사유였다. 인공호흡기 사용일수는 각각 8.51 ± 16.28일과 16.05 ± 14.22일로 저열량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짧았다(p=0.0008). 중환자실 재실기간도 각각 11.18 ± 7.73일과 20.56 ± 17.80일로, 저열량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짧았다(p=0.0023). 영양상태를 반영할 수 있는 지표인 albumin, total protein, hemoglobin, hematocrit은 입실 시, 퇴실 시, 재실기간 중 평균, 변화량에 있어서 두 그룹이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결론: 인공호흡기를 사용한 중환자실 암 환자 중 기존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것보다 저 열량을 공급 받은 그룹 역시 영양상태를 반영한 지표의 변화가 표준 열량공급 그룹에 비해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인공호흡기 사용일수와 중환자실 재실기간이 더 짧아 암 환자에서 저 열량 영양지원의 이점이 있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향후 중환자 치료를 받은 암 환자의 적절한 영양지원에 대한 지침 마련을 위해서는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통제된 조건 하에서 대규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