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영화산업의 기술혁신체제 분석

        지일용(Illyong Ji),고영욱(Youngwook Ko),서은영(Eunyoung Seo),정재용(Jae-Yong Chou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1 기술혁신학회지 Vol.14 No.2

        한국 영화는 개화기에 도입된 이후 현재 세계적으로 호평 받는 수준으로 발전하였으며 산업적으로도 큰 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최근 디지털시네마 및 입체영화의 등장 등 급진적 기술이 등장함에 따라 해외 기술의 도입 위주로 진행되던 기술 전략?정책에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영화산업의 기술혁신에 초점을 두고 한국 영화산업의 기술혁신체제를 분석한다. 영화산업 관련 기존 문헌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한국 영화산업의 기술 및 지식, 제도, 혁신주체와 네트워크를 조망해 보며, 이를 통해 한국 영화산업 기술혁신체제의 특징과 문제점을 규명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연구 결과 영화산업 기술혁신의 한국적 특징을 규명하였으며, 지식 축적 과정의 단절, 영화산업 특수적 연구 개발 활동의 부재, 혁신주체의 전문성 결여 등과 같은 문제점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영화산업 기술혁신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논문은 기술혁신연구 분야에 영화산업을 소개함으로써 새로운 연구 기회를 제공한다는 의의도 갖는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motion pic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n motion picture industry has gradually evolved as one of the world leaders. However, due to the rapid technological change as exemplified by the emergence of the new digital and 3D cinema technologies, there is a need to re-consider the existing technology policy and strategy designed for the adoption and effective use of new technologies. In this paper, the authors address this issue by emphasizing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side rather than the use/adoption side. In order to provide policy makers with critical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sector, we analyzed the sectoral innovation system of the Korean motion picture industry. In order to conduct this analysis, we re-visited previous literature and interviewed experts in the motion picture sector. Then, the authors attemp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Korean motion picture industry. Based on the insights gained from this research, we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is sector. However, the implications from this paper are not limited to the motion picture industry. As the motion picture industry is a new case for innovation studies, our paper may provide new research opportunities to the academia.

      • 한국 기술혁신 논의의 변화 양상 분석

        이주영(Juyoung Lee),정효정(Hyojung Ju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1

        이 연구는 한국의 산업발전 과정에서 ‘기술혁신’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변화하며 사용되어 왔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이하 과총)의 기관지인 「과학과 기술」기사에서 등장한 ‘기술혁신’ 키워드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과학과 기술」은 1968년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발간되었으며, 과학기술인 뿐만 아니라 정부부처 관계자 및 과학 분야 기자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한국 과학기술사회 전반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사료로서 가치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1968년 이후 「과학과 기술」에 실린 기사들 중 제목에 ‘기술혁신’ 키워드가 포함된 모든 기사의 전문을 분석 대상으로 출판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을 세 구간으로 나누어 ‘기술혁신’과 동시출현하는 키워드들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기술혁신 개념은 1970년대와 크게 다를 바 없이 지금까지도 여전히 국가 주도의 산업 발전을 위한 요소로 이해되고 있었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업, 생산에 국한되어 있던 기술혁신 개념은 1980년대를 거치며 다양한 연구개발 분야 및 이해관계자들을 이어주는 키워드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한국 기술혁신 논의의 변화 양상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는 향후 한국적 맥락을 기반으로 한 기술혁신정책의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과학기술혁신의 글로벌화와 한국의 정책적 대응 방안

        임덕순,김기국,정선양,이종일 한국기술혁신학회 200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8 No.5

        현재 국가나 특정지역을 넘어서 기술혁신 자원, 기술혁신 활동, 기술혁신 결과의 활용 등이 전 세계적으로 전개되는 과학기술혁신의 글로벌화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 한국은 과거 추격형 기술개발 방식을 추종하여 성공을 거두어 왔으나 이제는 스스로 혁신을 주도하는 기술선도형 국가로 변화하여야 할 시점이다. 이런 변화는 자체 능력만으로는 어려우며, 글로벌 차원에서 기술혁신 자원을 조달하고, 기술을 획득하고, 기술을 사업화하는 일련의 글로벌혁신프로세스가 국가 과학기술 정책으로 지원되어야 가능한 일이다. 이런 맥락에서 과학기술혁신의 글로벌화 현상을 정리하고, 우리 정부의 과학기술 정책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 과학기술의 정책적 방향을 제시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반도체 IP 산업에서 지식기반 기업의 기술혁신 전략에 대한 사례연구

        김민식(Min-Sik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2 기술혁신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반도체 IP산업의 지식기반 기업에 있어 기술혁신전략에 대하여 분석한 것이다. 분석을 위한 이론적인 논의는 i)지식의 창조?보호?활용과 혁신에 관한 이론, ii)혁신으로부터 가치 창출에 대한 이론 iii)모듈화, 시장진입시기, 표준(지배적 디자인)의 등장?경쟁 등의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이론적인 선행 연구를 통해 지식기반 기업의 기술혁신전략에 대한 탐색적인 연구가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러한 반도체 IP산업의 대표적인 지식기반 기업으로 ARM과 INTEL의 기술혁신전략 사례 분석을 분석하여, 제시된 연구 가설들을 확인하였다. 첫째, 기술 주기에 있어 초기단계에 진입하는 지식기반기업은 i)상호보완적 자산(지식)에 대한 접근성이 낮아 수직 통합하는 기술 전략을 선택하며, ii)환경변화로 인한 산업의 가치사슬 분화에도 불구하고 수직결합적인 기술 전략을 주요한 방향으로 유지한다. 둘째, 기술 주기에 있어 후기단계에 진입하는 지식기반 기업은 i)상호보완적 지식자산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져 계약거래를 통한 기술 혁신 전략을 선호하며, ii)보유한 지식자산에 있어 불연속적인 특징의 존재여부에 따라 기술 혁신 전략의 경로를 다르게 선택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technology innovation strategies of knowledge-based companies in the semiconductor IP industry. The theoretical approaches of this study are to i) the creation,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knowledge and innovation, ii) value creation from innovation, iii) modularity, timing of market entry, and the emergence and competition of standard (dominant design). Based on the theoretical analysis, I presented exploratory research hypotheses. Ultimately, this study examined the proposed hypotheses by conducting case studies on the technology innovation strategy of two leading knowledge-based companies in the semiconductor IP industry: ARM and INTEL. First, knowledge-based companies entering in the early stage of the technology cycle select the vertically-integrated technology strategy because of lower access to complementary knowledge assets, and maintain the vertically-integrated technology strategy despite the environmental change-driven differentiation of industry"s value chain. Second, knowledge-based companies entering in the later stage of the technology cycle prefer the contract-based technology strategy because of its increased accessibility to complementary knowledge assets, and choose a different path of innovation strategies depending on whether their asset has the feature of discontinuity or not.

      • KCI등재

        사회ㆍ기술시스템론과 과학기술혁신정책

        송위진(Wichin So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3 기술혁신학회지 Vol.16 No.1

        사회ㆍ기술시스템론은 사회와 기술은 서로 분리되어 존재할 수 없는 통합된 시스템으로 존재한다고 파악한다. 사회와 기술이 서로 보완성을 형성하면서 사회ㆍ기술시스템을 구성한다. 사회ㆍ기술시스템론은 혁신체제론이 진화한 논의로서 혁신의 사용 측면, 사회적 측면을 중요한 요소로 설정하고 있다. 혁신체제론의 경제중심적 측면을 보완하면서 사회적 측면까지 분석에 포괄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사회ㆍ기술시스템론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것의 활용방안을 살펴본다. 특히 장기비전 형성, 연구개발사업 기획, 참여형 연구개발사업, 과학문화 사업에 사회ㆍ기술시스템론을 도입했을 때 나타나는 양상과 의의를 논의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approach of socio-technical systems and strategic niche management. It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that approach such as multi-level perspectives, the views on technology, and policy orientation. It applies the approach to the long-term vision making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socio-technical planning, participatory R&D, and science communication in Innovation policy areas and suggests some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기술이전 제도 비교 연구

        김상태(Sang-Tae Kim),홍운선(Woon-Sun Ho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3 기술혁신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미국과 한국의 기술이전을 위한 제도 구축 과정을 살펴보고, 한국의 KAIST와 미국의 캘리포니아대학교의 사례를 통해 비교 탐색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의 기술이전 정책과 제도가 형성되는 과정이 해당 대학의 제도 개선과 어떤 관계를 지니는지를 함께 비교하며,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캘리포니아대학교는 1960년대부터 구성원의 기술이전 활동을 규제 또는 촉진하기 위한 규범과 지침을 제정하였다. 이러한 제도화는 특허관리에서 연구자로서의 올바른 행동 지침까지 규율하고 있다. 규범화와 관행을 통해 산학협력활동에 따른 위법과 적법의 경계를 명확히 함으로써 불확실성을 감소시켰다. 이에 반해, KAIST는 기술이전에 관하여 국내의 우수 사례이지만 제도 개선이 내부 요구보다는 정부의 정책방향에 좌우되는 바가 크다. 특히, 미국의 베이-돌 법안과 같은 정부차원의 법적 제도가 2002년에도 도입됨에 따라 아직 제도 구축의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다. 본 비교 연구의 결과, 기술이전의 실질적 성공을 위해서는 대학에 기술이전 권한을 위임하고 대학 자율권을 확대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trajectories of institutionalization for technology transfer both in the U.S. and Korea, particularly focusing on two universities: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and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UC). By comparing the diverging paths of the two universities in setting up institutions, this paper examines the limits of and lessons for technology transfer policies both to Korean government and universities in Korea.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was involved in designing rules and codes, on one hand, to stimulate its members’ engagements with technology transfer activity and, on the other hand, to keep its academic integrity since, no later than, the 1960s. The efforts and consequences range from its rules of patenting system to its codes of conducts. Through making rules formal and resolving conflicts on technology transfer activity, the U.S., and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ave decreased uncertainties for its members’ engagements with industries. By contrast, KAIST has not built up such range of rules or codes due to its shorter experience and its constraining legal contexts. Korea introduced the legal format of the US Bayh-Dole Act in 2002, and its central government has led the initiatives for technology transfer, not allowing much latitude for its universities. This study implies a set of policy recommendations to the Korean government and KAIST: to build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the government should give greater latitude to universities, so universities should be more rigorously engaged in developing their own rules and routines; the government, rather, should focus on providing bridging R&D funds like the Small Business Innovation Research (SBIR), so researchers could draw on resources to move their basic research into next phases; KAIST would be better to promote its members to engage with industries, and introduce conduct codes that allow its academics to engage in industrial activity, rather than building up its commercialization facilities.

      • 포스트-산업화 시대의 과학·기술과 헌법

        부경호(Gyoung-Ho Buh)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5

        산업화 시대의 공업화를 전제로 헌법에서 고착된 ‘과학기술’에 대한 관념을 비교법적 및 통시적으로 고찰하고, 4차 산업혁명을 지향하는 시점에서 헌법에서 담아야할 개정 방향을 논의한다. 현행헌법 제127조 제1항에 규정된 ‘과학기술’의 ‘경제 종속성’에 대한 통시적로 분석을 통하여, 산업화 시대에 ‘과학’은 ‘산업기술’ 획득의 전제로서 각인되었음을 밝혔다. ‘경제논리’로부터 과학의 해방’이라는 일각의 주장에서 탈피하여, 포스트-산업화 시대에 결맞는 ‘기술혁신’ 체계의 구축의 관점이 필요하다.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사법적 해석을 중심으로 헌법적 용어인 ‘과학기술’의 협착(狹窄)을 살펴본다. 헌법에서 ‘과학’과 ‘기술’은 서로 결착되어 ‘과학기술’이라는 용어로만 기재된다. 이는 과학을 기술발전을 위한 수단으로 각인시키고, 자연과학·공학에 기반을 두지 않는 기술을 천시하는 경향을 노정한다. 산업화 시대의 공업화의 기초로서 통념된 ‘과학’은 산업기술 획득의 수단에서 해방되어야 하고, 포스트-산업화 시대의 ‘기술’은 다양성과 창의성을 통섭해야 할 것이다. 현행 헌법 제119조 제1항의 경제 질서에서의 ‘창의 존중’을 통시적으로 분석하였다. 포스트-산업화 시대의 탈추격형 기술혁신 체계에서는 ‘과학’과 ‘기술’은 물론 정치·경제·사회·문화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개인의 자유와 창의가 최고도로 발휘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자유·평등과 함께 ‘창의’를 국가의 기본적 성격으로서 삼았던 제헌 헌법 제5조의 부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