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4주간의 써킷웨이트 트레이닝이 20대 남성의 신체조성, 심폐기능,체력 및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소위영,최대혁,윤용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9 No.4

        Background : The rapid change in the social environment by the popularization of instant food, motorized vehicles, and the internet is threatening the health and fitness of adolescents. In particular, inactivity related to stress, schoolwork, and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results in bigger build but lower fitness as they enter their twenties. Circuit weight training is one type of exercise that maximizes the aerobic and anaerobic capacities. Though there are numerous studies from and outside Korea involving athletes, none studied subjects in their twenties. Perhaps, it was thought unnecessary to study the effects of training on persons in their twenties as this is one of the strongest periods in a person's life. This study is a well-controlled and quantitative study to show that weight training does affect this age group. Methods : Subjects included 36 adult males in their early- to mid-twenties who were students in S University exercise program at M-gu in S city. They were divided into exercise group (N=23) and control group (N=13). Circuit weight training was scheduled twice a week for 14 weeks. Body composition (weight, BMI (body mass index), and % body fat), cardiorespiratory function (SBP: systolic blood pressure, DBP: diastolic blood pressure), RHR (resting heart rate), RC (respiratory capacity), fitness (VO2max, sit-up, grip strength, sit and reach, vertical jump, reaction time, and balance), depression, self-esteem, and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is period of training. Results : There was a borderline level of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14 weeks of circuit weight training in % body fat (F=3.594, p=0.067),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F=4.444, p=0.042) and BMI (F=4.614, p=0.039).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BP (F=1.050, p=0.313), DBP (F=0.073, p=0.788), and RHR (F=0.604, p=0.442) under cardiorespiratory function,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C (F=8.640, p=0.006).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itness variables- VO2max (F=4.921, p=0.033), sit-up (F=22.822, p<0.001), grip strength (F=6.880, p=0.013), sit and reach (F=6.743, p=0.014), vertical jump (F=18.381, p<0.001), reaction time (F=5.405, p=0.026), and balance (F=6.439, p=0.016).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F=0.037, p=0.848),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F=4.268, p=0.047).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y of the SF-36 variables- physical functioning (F=1.784, p=0.191), role limitation-physical (F=0.030, p=0.864), role limitation-emotional (F=0.136, p=0.715), social functioning (F=0.271, p=0.606), mental health (F=1.424, p=0.241), vitality (F=0.611, p=0.440), bodily pain (F=0.899, p=0.350), and general health (F=0.855, p=0.362). Conclusions : For adults in their twenties, circuit weight training has little effect on psychological improvement, but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dy composition, cardiorespiratory function, and fitness. 연구배경 : 인스턴트식품, 자동차, 인터넷의 대중화로 인한 사회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청소년들의 건강과 체력을 위협하고 있다. 특히 입시경쟁의 교육풍토 속에서 온갖 스트레스와 학업으로 인한 비활동적인 생활양식은 결국 20대들에게 체격은 비대해졌으나, 체력은 감소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써킷웨이트 트레이닝은 신체의 유산소능력과 더불어 무산소능력의 극대화를 위하여 추천되는 운동의 한 형태이다. 과거 선수들을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고, 국내에서도 다양한 방면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20대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는 아마도 20대는 신체적으로 매우 강성한 시기여서, 훈련에 따른 효과를 규명할 필요성이 적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막연하게 20대에게도 써킷웨이트 트레이닝의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판단하기에 앞서 한번쯤은 잘 통제되어 정량화된 효과를 나타내는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는 그러한 요구를 반영하고자 한다. 방 법 : 본 연구의 피검자는 S시 M구에 소재한 S대학교 운동프로그램에 참가하는 20대 초·중반의 성인남성 36명으로 운동군 23명, 통제군 13명으로 분류하였다. 써킷웨이트 트레이닝은 14주 동안 주2회의 빈도로 실시하여, 훈련 전·후로 신체 조성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심폐기능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안정시심박수, 폐활량), 체력 (심폐지구력, 근지구력, 근력, 유연성, 순발력, 민첩성, 평형성), 우울,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건강관련 삶의 질 (SF-36)을 측정하였다. 결 과 : 14주간의 써킷웨이트 트레이닝 전․후 신체조성의 체지방률 (F=3.594, p=0.067)은 경계적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중 (F=4.444, p=0.042), 체질량지수 (F=4.614, p=0.039)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심폐기능의 수축기 혈압(F=1.050, p=0.313), 이완기 혈압 (F=0.073, p=0.788), 안정시심박수 (F=0.604, p=0.442)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나, 폐활량 (F=8.640, p=0.006)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체력의 최대산소섭취량 (F=4.921, p=0.033), 윗몸일으키기 (F=22.822, p<0.001), 악력 (F=6.880, p=0.013),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F=6.743, p=0.014), 수직점프 (F=18.381, p<0.001), 전신반응 (F=5.405, p=0.026), 눈감고 외발서기 (F=6.439, p=0.016)의 모든 체력 변인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우울증(F=0.037, p=0.848)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나, 신체적 자기효능감 (F=4.268, p=0.047)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관련 삶의 질 (SF-36)의 신체기능 (F=1.784, p=0.191), 신체역할 제한(F=0.030, p=0.864), 감정역할 제한 (F=0.136, p=0.715), 사회적 기능 (F=0.271, p=0.606), 정신건강 (F=1.424, p=0.241), 활력 (F=0.611, p=0.440), 신체통증 (F=0.899, p=0.350), 일반적인 건강 (F=0.855, p=0.362)의 모든 SF-36 변인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결 론 : 20대의 성인에게 있어서 써킷웨이트 트레이닝은 심리적인 개선의 효과에 다소 미약한 영향을 미치나 신체조성, 심폐기능 및 체력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성인 남성의 고혈압 기준에 따른 체력수준의 차이

        소위영,최대혁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9 No.2

        연구배경 : 최근 우리나라는 운동부족과 신체적 비활동성, 식생활의 서구화 등으로 인하여 고혈압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은 고혈압의 예방을 위하여 운동요법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다각도적인 연구를 시도하고 있으나, 대부분 혈압강하와 관련된 운동의 효과 분석, 운동프로그램의 유용성 분석 등에 한정되어 있으며, 연령별 고혈압 기준에 따른 체력 차이 분석은 실시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자는 국민건강 관점에서 볼 때 연령별 혈압수준에 따른 체력 수준 차이에 대한 관찰은 고혈압 예방 및 처치를 위한 핵심적인 자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금후에 진행되어야 할 중요한 연구 과제라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대 이상의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연령별 혈압기준에 따른 체력의 차이를 확인하여 고혈압 예방에 대한 체력수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심폐기능의 차이를 추가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도모하고자 한다. 방 법 : 2004년 1월 2일부터 2008년 9월 31일까지 서울시 Y구 보건소 내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하여 고혈압검사가 포함된 종합검진을 받은 20세 이상의 성인남성 1895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대는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혈압기준은 미국 고혈압 합동위원회의 제7차보고서(JNC7)에 따라서 정상군, 조기고혈압군, 고혈압군으로 나누었다. 심폐기능의 평가는 안정시심박수와 폐활량으로 체력의 평가는 심폐지구력, 근지구력, 상대근력, 순발력, 민첩성, 평형성, 유연성으로 하였고, 고혈압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 위험변수로 잘 알려진 체질량지수, 음주, 흡연을 보정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이용하여 체력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안정시심박수는 모든 연령대에서 3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폐활량은 50대에서만 3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심폐지구력은 모든 연령대에서 3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근지구력은 30대, 5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3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상대근력은 모든 연령대에서 3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순발력은 4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3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민첩성은 4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3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평형성은 50대, 6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3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유연성은 60대 이상에서만 3그룹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사후검증 결과 안정시 심박수, 심폐지구력, 상대근력만이 정상군에 비하여 고혈압군이 낮은 수준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 론 : 안정시 심박수, 심폐지구력, 상대근력만이 정상군에 비하여 고혈압군이 낮은 수준에 있었으며, 폐활량, 근지구력, 순발력, 민첩성, 평형성, 유연성은 정상군, 조기고혈압군, 고혈압군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Background :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due to westernized diet, physical inactivity, and lack of exercise. Many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exercise therapy to prevent hypertension. However, most studies are limited to analysing the effects and usefulness of exercise in lowering hypertension. In addition, there is no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fitness level with regard to hypertension. And from public health point of view,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is according to age. Knowing this would be useful in preventing and hypertensio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fitness levels according to blood pressure in adult males in their twenties and older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itness level with regards to hypertension. Also, we examine the differences in cardiovascular function. Methods : Subjects were 1,895 adult males in their twenties and older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at Y-Gu(a district in Seoul, Korea) public health center and participated in comprehensive medical testing including blood pressure from 2nd January 2004 to 31st September 2008. They were divided into normal, pre-hypertension, and hypertension groups according to JNC7 criteria. Cardiorespiratory function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ir resting heart rate and lung capacity. Fitness was evaluated by cardiorespiratory endurance, muscular endurance and power, agility, balance, and flexibility. The differences in fitness was analyzed by ANCOVA adjusting for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body mass index, alcohol use, and smoking, which are well-known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blood pressure.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ting heart rate among the three groups; for lung capacity, only males in their 50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Cardiorespiratory endur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age groups by the three groups. Muscular endur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age groups by the three groups except for their thirties and fifties. Muscle strengt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age groups. Instantaneous reactionary for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ages except for 40s. Ag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age groups except for 40s. Bal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age groups except for 50s and over 60s. And flexib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nly in the groups aged over sixty. However, post-hoc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ting heart rate,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muscle strength ratio among the three groups. Conclusion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ting heart rate, cardiorespiratory fitness, muscle strength ratio (except for lung capacity), muscular endurance, reactionary force, agility, balance, and flexibility

      • KCI등재후보

        12주간의 탄력저항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신체조성, 심폐기능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소위영,전태원,서동일,장혁기,서한교,엄우섭,박성태,박재영,이호준,박수경,김준홍,송욱 대한비만학회 2008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7 No.3

        연구 배경: 본 연구에서는 탄력밴드를 이용한 두가지 형태(Blue Band 14회 반복;BB14, Red Band 25회 반복;RB25)로 구성된 12주간의 탄력저항 운동이 비만개선을 위하여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규명하여 비만인의 운동처방 지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 피검자는 50대 중반의 비만 중년여성으로 평상시 규칙적으로 운동하지 않은 30명을 대상으로 두가지 형태의 탄력저항 운동을 실시하였다. 실험군은 높은 부하 낮은 반복횟수 운동군(BB14, N=9)과 낮은 부하 높은 반복횟수 운동군(RB25, N=11), 그리고 통제군(N=10)으로 분류하였다. 탄력저항 운동은 12주동안 주2회의 빈도로 실시하여, 운동 전·후로 신체조성, WHR(Waist-Hip Ratio), 혈압, 안정시 심박수, 체력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12주간의 탄력저항 운동은 BB14 운동군에서는 WHR, 안정시 심박수, 근지구력, 유연성, 순발력, 민첩성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RB25 운동군에서는 WHR, 안정시 심박수,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평형성, 민첩성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그러나 신체조성에 있어서는 BB14 운동군, RB25 운동군 모두에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집단간 분석에서는 12주 운동 후 BB14 운동군에서 안정시 심박수(F=3.789, p=0.035)와 체력요소 중 민첩성(F=4.370, p=0.023)만이 집단간의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결론: 12주간의 탄력저항 운동은 심혈관기능과 관련된 안정시 심박수의 변화와 복부비만의 지표가 될 수 있는 WHR의 개선과 체력의 향상을 가지고 왔으나, 중년비만여성의 비만개선을 위한 직접적인 신체조성의 변화는 두집단 모두에게서 나타나지 않았다. 즉, 본 연구에 있어서 탄력밴드를 이용한 저항성 운동은 재활치료의 목적이 아닌 비만치료를 위하여서는 효과가 미비하였음으로, 비만치료에 응용되기에는 다른 형태의 운동과 병행하는 것이 더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탄력밴드 운동이 노인의 신체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지속적 효과

        소위영,송미순,조비룡,박연환,김연수,임재영,김선호,송욱 韓國老年學會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4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근육은 감소 현상(sarcopenia)을 나타낸다. 근육의 감소는 노인의 의료비 증가와 직접적인 관련성은 없어 보이지만, 근육의 감소가 근력의 감소로 연결되어 체력의 약화, 활동성의 감소, 낙상의 증가 등과 같은 독립적인 생활을 감소시킨다. 이는 신체장애로 연결되며, 또다시 당뇨,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등과 같은 만성퇴행성 질환으로 연결된다. 결국, 근감소증은 사망률을 상승시키는 잠재 위험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탄력밴드 운동을 통한 근감소증 예방과 관련된 변인인 신체조성 및 체력의 향상된 변화와 더불어 운동중단에 따른 운동효과의 상쇄(相殺) 정도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피검자는 S시 J구 J노인복지관 운동프로그램에 참가하는 60-70대의 노인 14명으로 선정하였다. 12주 동안의 탄력밴드 운동은 주2회의 빈도로 실시하였다. 측정시기는 12주간의 통제전, 통제후(운동전), 12주간의 운동 후(운동중단 전), 12주간의 운동중단 후로 신체조성 과 체력 변인을 측정하였다. 12주간의 통제전 후 신체조성과 체력 변인에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12주간의 운동전 후 신체조성의 체중(t=2.978, p=0.001), 체질량지수(t=3.502, p=0.004), 체지방율(t=2.216, p=0.045), 근육량(t=-3.837, p=0.002), 내장지방면적(t=5.186, p<0.01), 허리-엉덩이 둘레비(t=3.045, p=0.009) 모든 변인에서, 체력의 2분 제자리 걷기(t=6.891 p<0.001), 덤벨들기(t=-4.702, p<0.001),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t=-4.860, p<0.001), 의자앉아 앞으로 굽히기(t=-5.910, p<0.001), 등 뒤에서 손잡기(t=-3.834, p=0.002), 244㎝ 왕복 걷기(t=7.560, p<0.001)의 모든 변인에서 운동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그 효과가 12주간의 운동중단 후에도 신체조성의 체중(t=2.323, p=0.037), 체질량지수(t=2.503, p=0.026), 근육량(t=-3.137, p=0.008) 변인에서, 체력의 2분 제자리 걷기(t=-6.489, p<0.001),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t=-4.694, p<0.001), 의자앉아 앞으로 굽히기(t=-3.690, p=0.003), 244㎝ 왕복 걷기(t=7.539, p<0.001)의 변인에서 그 유지가 지속되었다. 노인에게 있어서 탄력밴드 운동은 신체조성 및 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며, 그 운동의 효과가 12주가 경과되어도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Muscle mass is reduced by aging. There seems to be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sarcopenia(muscle loss) and medical cost in the elderly, but lowering muscle mass results in increase risk of fall and decrease of strength, fitness, physical activity, and independent life. This is coupled with physical trouble and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such as diabetes, obesity, hyperlipidemia, and hypertension. Thus, sarcopenia is potential risk factor increasing mort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astic band exercise and detraining on sarcopenia prevention related variables, body composition and fitnes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60~70 aged 14 seniors who participated in exercise program in J-welfare senior center at J-gu in S-city. Elastic band exercise was performed twice per week for 12 weeks. The body composition and fitness variables were measured before 12 weeks of control, after control(before exercise), after 12 weeks of exercise(before detraining), and after 12 weeks of detrain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composition and fitness variables before and after 12 weeks of control, but elastic band exercise before and after 12 weeks has effect on body composition variables such as weight (t=2.978, p=0.001), body mass index (t=3.502, p=0.004), percent body fat (t=2.216, p=0.045), muscle mass (t=-3.837, p=0.002), visceral fat area (t=5.186, p<0.01), and waist-hip ratio (t=3.045, p=0.009) and on fitness variables such as 2-mminutes step (t=6.891 p<0.001), arm curl (t=-4.702, p<0.001), chair stand (t=-4.860, p<0.001), chair sit and reach (t=-5.910, p<0.001), back scratch (t=3.835, p=0.002), and 8-ft up and go (t=7.560, p<0.001). This exercise effect was continued after 12 weeks of detraining on body composition variables such as weight (t=2.323, p=0.037), body mass index (t=2.503, p=0.026), muscle mass (t=-3.137, p=0.008) and on fitness variables such as 2-minutes step (t=-6.489, p<0.001), chair stand (t=-4.694, p<0.001), body mass index (t=-3.690, p=0.003), and 8-ft up and go (t=7.539, p<0.001). It was found that the elastic band exercise has positive effect on body composition and fitness in the elderly and the effect was maintained over 12 weeks of detraining.

      • KCI등재

        12주간의 탄력저항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우울증 및 건강관련 삶의 질(SF-36)에 미치는 영향

        소위영,전태원,서동일,최대혁,엄우섭,이호준,송욱,장혁기,서한교,박성태,박수경,김준홍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9 No.2

        Background Considering th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obese people in our societies, it is not surprising that most obese people strive to lose weight to improve their psychological status. It is well known that physical activity leads to weight loss and improves psychological condition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without adverse effects. However, whether exercise which does not induce weight reduction has a psychological benefit remains controversial.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if low intensity band exercise without weight redu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conditions. Methods Obese middle-aged women who engaged in no regular exercise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an exercise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y participated in elastic band exercises twice/wk for 12 weeks. Pre- and post-exercise body composition, self-esteem,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F-36) were measured. Results After 12 weeks of band exercis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F=0.014, p=0.907), BMI (F=0.002, p=0.919) and body fat(%) (F=2.336, p=0.138). However, FFM (F=6.399, p=0.017), self-esteem (F=40.688, p<0.001) and depression (F=7.336. P=0.011)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exercise. The results of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F-36) showed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on physical function (F=1.190, p=0.275), mental health (F=1.125, p=0.298), social function (F=1.923, p=0.116), general health (F=0.812, p=0.375) and physical pain (F=0.481, p=0.490) while showed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on fatigue (F=4.618, p=0.040), control of emotion (F=4.000, p=0.046) and restriction of physical function (F=14.421, p=0.001).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 12-week band exercise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self-esteem, depressed mood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F-36), regardless of weight reduction. 연구배경 비만인이 사회 전반에 퍼져있는 편견과 차별을 겪어야 한다는 점을 볼 때, 정신사회학적 상태의 개선을 위하여 비만인들이 체중 감량을 원한다는 것은 그리 놀랄만한 사실이 아니다. 운동을 통한 체중감량은 우울증, 불안, 심적 고통 등의 정서장애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쇠약, 흥분, 과민, 피로감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이 체중감량을 초래하여 정신사회학적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는 연구이지만 운동을 즐긴다는 그 자체가 가져다주는 심리적인 효과 때문인지 운동에 따른 체중감량이 수반되어 나타나는 효과 때문인지를 확인할 수가 없다. 본 연구는 탄력저항 운동을 이용하여 체중감량에는 큰 변화가 없는 운동일지라도 비만인에게 신체적 자기효능감, 우울 및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개선에 어떠한 심리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체중감량과는 독립적인 요인으로 운동 그 자체가 가져다주는 심리개선의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는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 법 본 연구의 피험자는 50대 중반의 비만중년여성으로 평상시 규칙적으로 운동하지 않은 30명을 대상으로 탄력저항 운동군 17명, 통제군 13명으로 분류하였다. 탄력저항 운동은 12주 동안 주2회의 빈도로 실시하여, 운동 전·후로 신체 조성(체중, 체질량지수, 제지방량, 체지방률), 신체적 자기효능감, 우울 및 건강관련 삶의 질(SF-36)을 측정하였다. 결 과 12주간의 탄력저항 운동전후 체중(F=0.014, p=0.907), 체질량지수(F=0.002, p=0.919) 및 체지방율(F=2.336, p=0.138)은 운동전후의 시점에 따라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못하였으나, 제지방량(F=6.399, p=0.017), 신체적 자기효능감(F=40.688, p<0.001), 우울증(F=7.336, p=0.011)은 운동전후의 시점에 따라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건강관련 삶의 질(SF-36)의 8항목 중 신체기능(F=1.190, p=0.275), 정신건강(F=1.125, p=0.298), 사회적 기능(F=1.923, p=0.166), 일반적인 건강(F=0.812, p=0.375), 신체통증(F=0.481, p=0.494)은 운동전후의 시점에 따라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못하였으나, 활력/피로(F=4.618, p=0.040), 감정역할 제한(F=4.000, p=0.046), 신체역할 제한(F=14.421, p=0.001)은 운동전후의 시점에 따라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 론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12주간의 탄력저항 운동이 체중감량 요인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신체적 자기효능감, 우울증, 삶의 질 향상(SF-36)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성인 여성의 혈압수준에 따른 체력의 차이

        소위영,최대혁 韓國老年學會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1

        최근 우리나라는 식생활의 서구화와 더불어 운동부족 등으로 고혈압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은 운동요법으로서의 고혈압 처치 및 예방을 위하여 다각도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혈압강하와 관련된 운동의 효과 분석, 운동프로그램의 유용성 분석 등에 한정되어 있으며, 연령별 고혈압여부에 따른 체력의 차이에 대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자는 국민건강 관점에서 볼 때 연령별 고혈압여부에 따른 체력 수준 차이에 대한 확인은 고혈압 예방 및 처치를 위한 핵심적인 자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금후에 진행되어야 할 중요한 연구 과제라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대 이상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연령별 고혈압여부에 따른 체력의 차이를 확인하여 고혈압 예방에 대한 체력수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심폐기능의 차이를 추가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보다 가치 있는 연구를 도모하고자 한다. 2004년 1월 2일부터 2008년 9월 31일까지 S시 Y구 보건소 내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하여 고혈압검사가 포함된 종합검진을 받은 20세 이상의 성인 여성 8889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미국 고혈압 합동위원회의 제7차보고서(JNC7)의 고혈압 기준에 따라서 정상군, 조기고혈압군, 고혈압1기군과 고혈압2기군으로 나누었다. 심폐기능의 평가는 안정시심박수와 폐활량으로 체력의 평가는 심폐지구력, 근지구력, 근력, 순발력, 민첩성, 평형성, 유연성으로 하였고, 고혈압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 위험변수인 체질량지수, 음주, 흡연을 보정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이용하여 체력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가지의 모든 심폐기능 변인, 7가지의 모든 체력 변인에서 대부분의 연령대별로 4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정상군에서 고혈압군으로 혈압수준이 높아질수록 낮은 심폐기능과 낮은 체력수준을 소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Recently, The number of hypertension is increasing with westernized diet and lack of exercise. Many researchers are trying to treat and prevent hypertension by exercise therapy. However, not only did most of studies analyze the effect and usefulness of exercise related to lowering hypertension, but also there is no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fitness with regard to hypertension according to ages. It is assumed to be important research work to be continued to identify, from the public health's point of view, the difference of fitness with regard to hypertension according to ages can be a essential data for treating and preventing hypertension. Thus,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fitness according to hypertension of adult female over 20s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itness level to the hypertension. Also, this study is to devise valuable study by examining the difference of cardiovascular function. Subjects were 8889 of adult female over 20s. Subjects visited promotion of health center at Y Gu public health center and took comprehensive medical test including hypertension test in Seoul in Korea. It was divided into normal, prehypertension, stage I hypertension and stage II hypertension group by JNC7. The evaluation of cardiorespiratory function was by resting heart rate and lung capacity, the evaluation of fitness was by cardiorespiratory endurance, muscular endurance, muscular strength, power, agility, balance, and flexibility, and the difference of fitness was analyzed by ANCOVA revising independent variable of BMI, drinking, and smoking which affects hypertension. At resul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rmal and hypertension group according to most ages in two variable of all cardiorespiratory function, seven fitness variable. Through this study, it was defined that hypertension group had lower cardiorespiratory function and fitness than normal group.

      • KCI우수등재

        생활체육인과 전문체육인의 부상 심각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성별, 연령, 운동 수준 및 스포츠 활동 습관에 대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중심으로

        소위영,박성은 한국체육학회 2023 한국체육학회지 Vol.62 No.6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factors such as gender, age, exercise level, and sports activity habits affect the severity of injuries in recreational and professional athletes. We analyzed raw data from the “2019 Sports Safety Accident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Sports Safety Foundation. The data included responses from 11,745 people who had experienced injuries, 7,725 of whom were recreational athletes and 4,020 were professional athletes. The data from their responses to 17 survey questions involving nine items were analyzed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for recreational athletes, moderate injury severity (compared to mild) was greatly influenced by sex, age, exercise level, frequency of sports activity, time spent per single activity, and level of safety knowledge. Meanwhile, serious injury severity (compared to mild) was seemingly greatly influenced by sex, age, exercise level, frequency of sports activity and time per single activity. In professional athletes, moderate injury severity (compared to mil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xercise level, time per single activity, and age, particularly in those aged 40 years or older compared to the 13–18 year age group. Meanwhile, the severity of serious injuries (compared to mild ones) were seemingly greatly influenced by age, exercise level, time per single activity, and level of healthcare. In conclusion, to effectively prevent injuries, sports organizations should prioritize safety education, especially for young recreational athletes. Recreational and professional athletes must develop customized training plans by adjusting the intensity and frequency of training according to their age and expertise. Additionally, infrastructure must be established to enable professional athletes to access high-quality health services to improve their health management levels. Considering the heterogeneous results and the changing sports environment, continued research will be important for tailoring and updating injury prevention strategies.

      • KCI등재

        기공 운동이 비만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SF-36)과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소위영(Wi-Young So),서한교(Han-Kyo Seo),최대혁(Dai-Hyuk Choi),신현정(Hyun-Jung Shin),조은효(Eun-Hyo Cho),유병욱(Byoung-Wook Yoo),전태원(Tae-Won Jun)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1

        많은 비만인들은 사회적인 편견과 차별로 인하여 신체상에 대한 불만족, 우울, 불안 및 정서장애를 경험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의 저하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비만인들의 정신적 고통을 개선하기 위하여 운동요법은 하나의 긍정적인 치료 방법으로 권장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동양의 전통 운동형태 중 기공 운동이 비만인에게 건강관련 삶의 질(SF-36), 자기효능감, 우울, 불안, 피로의 심리적 요인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비만인을 위한 운동처방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피검자는 S시 G구에 소재한 S대학교 골든웰빙 운동프로그램에 참가하는 50-60대의 성인으로 통제군 16명, 운동군 17명으로 분류하였다. 기공 운동은 12주 동안 주2회의 빈도로 실시하여, 운동 전ㆍ후로 건강관련 삶의 질(SF-36), 신체적 자기효능감, 우울, 불안, 피로도 변인을 측정하였다. 12주간의 기공 운동 전 후 건강관련 삶의 질(SF-36)의 8항목 중 감정역할 제한(F=0.187, p=0.668), 정신건강(F=2.043, p=0.163)은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나, 신체기능(F=15.151, p<0.001), 신체역할 제한(F=18.278, p<0.001), 사회적 기능(F=4.957, p=0.033), 활력/피로(F=11.485, p=0.002), 신체통증(F=6.623, p=0.015), 일반적인 건강(F=4.498, p=0.042)의 6가지 변인은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불안(F=0.631, p=0.433)은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나, 신체적 자기효능감(F=6.124, p=0.019), 우울(F=5.109, p=0.031), 피로(F=7.998, p=0.008)의 3가지 변인은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비만인에게 있어서 기공 운동은 비록 느린 동작으로 수행되는 낮은 강도의 운동형태일지라도 운동자체가 가져다주는 정신 심리적인 개선효과가 분명하게 나타나는 운동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Obese people experience dissatisfaction of body, depression, anxiety, and emotional disturbance by social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further they represent declin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xercise therapy is recommended as one of the positive treatments to improve the emotional pain of obese people. This study is to provide guideline of exercise prescription for obese people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qigong exercise on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F-36), self-efficiency,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in obese peop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60s adults participated in Golden-Wellbeing program at S university in G gu of S city and were devided into exercise (N=17) and control (N=16) group. Qigong exercise was performed twice per week for 12 weeks and SF-36, self-efficiency,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12 weeks of exercise. In the 8 items of SF-36 before and after 12 weeks of qi-gong exercise,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role limitation-emotional (F=0.187, p=0.668), mental health (F=2.043, p=0.163) between groups, but there was significance in physical functioning (F=15.151, p<0.001), role limitation-physical (F=18.278, p<0.001), social functioning (F=4.957, p=0.033), vitality (F=11.485, p=0.002), bodily pain (F=6.623, p=0.015), and general health (F=4.498, p=0.042) between groups. Also, anxiety (F=0.631, p=0.433) was not significant, whereas self-efficiency (F=6.124, p=0.019), depression (F=5.109, p=0.031), fatigue (F=7.998, p=0.008) was significant between groups. Even though qigong is slow motion and low intensity of exercise, it was found that qi-gong has exercise effect which induces mental and psychological improvement through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