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신규 수입 승인 6개 유전자변형작물의 검출기법 개발

        설민아,조범호,최원균,신수영,엄순재,김일룡,송해룡,이중로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7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Vol.44 No.1

        Living modified crops are genetically modified living organisms and are widely used in biotechnical research and desired goods. As the reliance on LM products, concerns about safety of LMO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ed in South Korea. We established the detection methods for unintentional released LMO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To detect six LM event genes of 1 canola, 1 maize and 4 soybeans, PCR conditions were based upon consideration of the Joint Research Centre information. Genomic DNAs were isolated from LM samples and PCR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each event-specific primer pair. Event-specific genes of all events were efficiently recognized by our methods. To investigate the insertion site of LM genes in each genome, we verified PCR product sequence by DNA sequenc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M event-specific gene amplification can be efficiently developed. In addition, our detection method is fit for monitoring and post-management of LM crops in the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국내 승인 유전자변형 작물의 검출 기법 확립

        설민아,이중로,최원균,조범호,문정찬,신수영,엄순재,김일룡,송해룡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5 식물생명공학회지 Vol.42 No.3

        AbstractLiving modified organisms (LMO) are one of the most widespread products of modern biotechnology after DNA discovery. Due to the decline of grain selfsufficiency rate and the increase of reliance on LMO imports in Korea, a series of concerns with regard to safety of living modified(LM) crops has been rais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etection methods for unintentional release or growing of LMO plant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To detect LM crop events, general concepts of specific primer design and PCR conditions were provided by the Joint Research Centre (JRC). The certified reference materials of seven LM events (4 soybean, 2 cotton and 1 corn) were obtained from the Institute for Reference Materials and Measurements (IRMM) and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AOCS). Genomic DNA from seven LM events were purified and PCR amplifications were carried out by using individual event-specific primer sets. LM-specific PCR products of all seven events were efficiently amplified by our method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stablished detection method for LMOs is suitable as a scientific tool to monitor whether the crops found in natural environments are LMOs.

      • KCI등재

        신규 수입 승인 6개 유전자변형작물의 검출기법 개발

        설민아,조범호,최원균,신수영,엄순재,김일룡,송해룡,이중로,Seol, Min-A,Jo, Beom-Ho,Choi, Wonkyun,Shin, Su Young,Eum, Soon-Jae,Kim, Il Ryong,Song, Hae-Ryong,Lee, Jung Ro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7 식물생명공학회지 Vol.44 No.1

        일반적으로 유전자를 재조합하는 생명공학기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은 유전자변형 작물 분야이다. LM 제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한국에서는 LMO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자연환경 내 비의도적으로 방출된 LMO를 판별할 수 있는 검출기법을 확립하였다. JRC 정보를 토대로 6개 LM 이벤트(캐놀라 1, 옥수수 1, 콩 4개)의 유전자를 검출할 수 있는 PCR 조건을 확립하였다. 각 LM 시료에서 genomic DNA를 분리하였고, 이벤트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자체적으로 확립된 검출법에 의해 모든 LMO의 이벤트 특이적 유전자가 검출되었다. LM 유전자의 삽입 위치를 분석하기 위해 PCR 생성물을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이 결과는 LM 이벤트의 특이적인 유전자를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게다가 본 연구결과 확립된 검출기법은 자연환경 내 LM 작물의 모니터링 및 사후 관리에 활용될 것이다. Living modified crops are genetically modified living organisms and are widely used in biotechnical research and desired goods. As the reliance on LM products, concerns about safety of LMO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ed in South Korea. We established the detection methods for unintentional released LMO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To detect six LM event genes of 1 canola, 1 maize and 4 soybeans, PCR conditions were based upon consideration of the Joint Research Centre information. Genomic DNAs were isolated from LM samples and PCR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each event-specific primer pair. Event-specific genes of all events were efficiently recognized by our methods. To investigate the insertion site of LM genes in each genome, we verified PCR product sequence by DNA sequenc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M event-specific gene amplification can be efficiently developed. In addition, our detection method is fit for monitoring and post-management of LM crops in the environment.

      • KCI등재

        본래성의 윤리학으로서 사르트르와 칸트의 윤리학

        설민 철학연구회 2018 哲學硏究 Vol.0 No.120

        윤리학의 중대한 두 물음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와 어째서 이기주의를 벗어나는 도덕적 규범을 준수해야 하는가이다. 본고는 사르트르와 칸트의철학에 의거하여 본래성의 윤리학의 견지에서 두 물음에 대한 답변을 모색한다. 두 물음에 함께 답할 수 있으려면, 우선 첫째 물음,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물음을 다루어야만 한다. 이에 대하여 사르트르는 실존의 본래성이라는 답변을준다. 이 답변은 인간의 삶의 방식 자체에 대한 특정한 지침을 준다. 사르트르의 실존 윤리학에 의거하는 이 답변에서 출발하여 이제 둘째 물음, 도덕성 정당화의 문제를 칸트의 이성 윤리학에 의거하여 다룰 수 있다. 본래적 실존은 스스로를 존엄한 존재로서 이해하기 때문에 이성의 견지에서도 순수한, 본래적인 자기이기를, 즉 존엄한 인격이기를 선택함으로써 도덕 법칙에 스스로를 구속한다. The two crucial questions of ethics are how one should live andwhy one should follow moral norms beyond egoism. Based on Sartreand Kant, this paper seeks to answer two questions from theperspective of the ethics of authenticity. In order to be able to answertwo questions together, first, one has to deal with the question of howto live. Sartre gives the answer, namely authentic existence. Thisanswer gives specific guidance on the way of life. Starting from thisanswer based on Sartre’s existential ethics, now the question of thesecond question, the justification of morality, can be dealt with byKant’s rational ethics. Since the authentic existence understands itselfas a dignified being, it redeems itself to the moral law by choosing tobe pure reason, that is, the dignified person.

      • KCI등재

        실존주의, 모노, 아펠을 바탕으로 한 가치회복 및 허무주의 극복 시도

        설민 철학연구회 2015 哲學硏究 Vol.0 No.110

        Nihilism and the collapse of values stand among the most urgent problems in the present age.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y emerged in the existentialism. However traditional existentialists were confronted with ‘heroic nihilism’ and ‘decisionism’. A french molecular biologist, Jacques Monod, spoke similarly of the “sickness of the modern spirit”, but he made a difference in giving an rationalistic answer to it: Choosing the “postulate of objectivity” one sets objective knowledge as the primordial value. So ‘heroic nihilism’ is resolved, ‘decisionism’ is weakened. He conceded, however, a limit of the postulate of objectivity: It is in itself arbitrary. Karl-Otto Apel overcame this limit by means of his ultimate justification of ethics. Insisting moral principles are ‘already’ implied in practical suppositions of discourse, he claimed the realization of an ideal community of communication to be an a priory moral aim. Despite the limit of a rationalistic setting of values against the emotional, voluntative character of the nihilism, one can find in it a clue to the meaninglessness of human life. 허무주의와 가치의 몰락은 현대인의 가장 절박한 문제에 속한다. 철학사에서 이 두 문제는 실존주의를 통해서 부각되었다. 그러나 전통적 실존주의자들은 ‘영웅적 허무주의’와 ‘결단주의’라는 난점에 봉착한다. 프랑스의 분자생물학자 자크 모노(Jacques Monod)는 실존주의자와 마찬가지로 현대의 시대사적 문제로 “영혼의 질환”을 언급하지만 문제의 대응방식에서는 합리주의적 답변을제시하는 차별성을 보인다. 그는 “객관성의 공리”을 채택함으로써 객관적 지식이 원초적 가치로 수립된다고 주장한다. 이로써 ‘영웅적 허무주의’가 제거되고‘결단주의’가 약화된다. 그러나 객관성의 공리는 여전히 그 자체로는 무근거할따름이다. 이러한 한계는 독일의 담론이론가 칼-오토 아펠(Karl-Otto Apel)의 윤리학 최종정초에 의해서 극복된다. 그는 초월론적 반성을 통해 논의전제에 ‘이미’ 윤리적 원칙이 함축되어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상적 의사소통공동체의 실현을 선험적인 윤리적 목표로 내세운다. 이러한 목표 설정은 가치의 몰락 문제를해결하지만 의지적, 정서적 성격을 지니는 허무를 일소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아펠의 합리주의적 대안은 현대인에게 삶의 실존적, 윤리적 무의미를 극복할 한 가닥 실마리를 내어준다.

      • KCI등재

        하이데거에서 본래성과 퇴락의 양립가능성에대한 연구

        설민 한국하이데거학회 2009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19

        In der Seinsart des Daseins gibt es zwei Modi, d.i. Eigentlichkeit und Uneigentlichkeit. Das Dasein existiert entweder im Wählen des Selbstes (Eigentlichkeit) oder in der Vergessenheit des Selbstes (Uneigentlichkeit). Das Verfallen, das den Seinsmodus der Alltäglichkeit bestimmt, wird oft für das Gleiches wie Uneigentlichkeit gehalten. Aber andererseits wird es in einen Moment der Sorge miteinbezogen, die die wesenhafte Struktur des Daseins ist. Die Frage, die ich in dieser Arbeit stellen möchte, ist: Wie kann das eigentliche Dasein existieren, wenn das Verfallen die wesenhafte Struktur des Daseins ist. Die möglichen Antworten könnten zur zwei verschiednen Ansichten unterschieden werden: nach der einen Ansicht kann das Verfallen nicht verträglich mit der Eigentlichkeit sein, und nach der anderen Ansicht ist das möglich. Die Erstere wird noch mal zu den zwei unterschiedlichen Meinungen unterteilt, dass (1) das Verfallen nur temporär ausschlossen wird, und/oder (2) das Verfallen doch ständig ausschlossen werden kann. Ebenso wird die Letztere zu den zwei verschiednen Aspekten unterteilt, dass (3) das Verfallen nur eine Neigung zur Uneigentlichkeit ist und in der Eigentlichkeit latent, und/oder (4) das Verfallen in der Eigentlichkeit auch wirksam ist. In dieser Arbeit nehme ich die vierte Stellung ein und werde sowohl gegen die drei anderen Stellungen argumentieren, die verschiednen Phänomenedes Verfallens mehrschichtig analysieren als auch es darstellen, wie das Verfallen tatsächlich verträglich mit der Eigentlichkeit sein kann. 현존재의 존재방식에는 본래성과 비본래성이라는 두 가지 양태가 있다. 현존재는 자기를 선택하여 본래적으로 실존하거나 자기를 망각한 채 비본래적으로 실존한다. 일상성의 존재양식을 규정하는 퇴락은 한편으로는 종종 비본래성과 동일하게 취급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퇴락은 현존재의 본질적인 구조인 우려의 한 계기로 편입된다. 본고에서 제기하고자 하는 문제는 퇴락이 이와 같이 현존재의 본질적인 구조라면 어떻게 본래적인 실존이 가능할 수 있겠는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답변은 우선 퇴락과 본래성의 양립불가능성을 견지하는 입장과 양자의 양립가능성을 인정하는 입장으로 나뉠 수 있다. 또한 전자는 다시금 (1) 퇴락이 본래성에서 일시적으로 배제된다는 입장과 (2) 지속적으로도 그러한 배제가 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으로 나뉘고, 후자는 다시금 (3) 퇴락을 단지 비본래성으로의 경향성으로 간주하고 본래성에서는 잠재되어있다고 보는 입장과 (4) 퇴락이 본래성에서도 현세적으로 나타난다고 보는 입장으로 나뉜다. 본고는 (4)의 입장을 취하며 첫째, 다른 세 입장에 대한 반박을 제시하고 둘째, 퇴락의 제반 현상을 다층적으로 분석하여 셋째, 어떻게 해서 양자의 양립이 실질적으로 가능한가를 추적하고자 한다.

      • KCI등재

        사르트르와 레비나스에게서 절대적 타자로서 타인

        설민 한국동서철학회 2023 동서철학연구 Vol.- No.109

        사르트르와 레비나스는 실천적 견지에서 상반된 타자론을 제시한다. 사르트르는 타인과의 관계의 근본 형태를 갈등과 소외로 파악하지만, 레비나스는 사랑과 평화로 파악한다. 우리는 먼저 사르트르와 레비나스의 타자론을 각각 ‘권력적인 시선’과 ‘호소하는 얼굴’을 중심으로 고찰할 것이다. 이어서 그들이 실천적 견지에서 대립각을 형성하게 되는 배경을 상이한 인간관에서 찾을 것이다. 자기정립적 의지를 근간으로 하는 사르트르적 인간, 곧 ‘대자’는 타인의 권력적인 시선에서 현상학적으로 결정적인 타자 경험을 발견한다. 반면에 인본주의적 전통을 타자 철학적 견지에서 일신하려는 레비나스에게 인간을 참으로 인간답게 해주는 유일무이한 것, 곧 호소하는 타인의 얼굴이야말로 진정한 타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현격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사르트르와 레비나스는 타인을 절대적 타자로 파악한다는 이제껏 충분히 주목되지 못한 사실을 환기할 것이다. 특히 그들에게 절대적 타자로서 타인은 (1) 여느 대상과 달리 인식 가능성을 초월하며, (2) 세계의 저편에 위치하고, (3) 주체를 수동적인 처지로 몰아세운다. Sartre and Levinas present conflicting theories of the other: Sartre understands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as conflict and alienation, but Levinas understands it as love and peace. We will first examine their theories of the other, focusing on the ‘powerful gaze' and 'appealing face' respectively. Next, we will trace the background in which they practically formed different views of the other to different views of human beings. Sartrean human being based on self-establishing will, that is, the 'for-itself' discovers the phenomenologically decisive experience of the other in the powerful gaze of the other. On the other hand, for Levinas, who is trying to renew the humanistic tradition from the standpoint of the philosophy of the other, what makes a human truly human is the appeal of the other's face, which is understood to provide a true experience of the other. At last, we will recall the hitherto unnoticed fact that, in spite of this stark difference, they perceive others as the absolute other in common. For them, as an absolute other, the other person (1) transcends the possibility of recognizing unlike other objects, (2) is located beyond the world, and (3) drives the subject to a passive mode of being.

      • KCI우수등재

        레비나스와 얼굴의 현상학

        설민 한국철학회 2022 철학 Vol.- No.151

        Levinas’ reference to the ‘phenomenology of the face’ is confusing. In the introduction to the German version of Totality and Infinity (1961), he seems to affirm it, but in an interview with Philippe Nemo, he expresses a skeptical view. Levinas also frequently makes distancing remarks about phenomena or phenomenology. This is likely to give rise to the idea that his discourse on the faces of others ultimately strays from phenomenology. This article tries to show that such a thought is close to misunderstanding, and Levinas’ thoughts on the face are developed through phenomenological analysis, and therefore his text can be best understood when approached phenomenologically. To this end, I will first confirm that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face developed by Levinas is a work of reawakening the distorted and hidden horizons. Subsequently, I would like to offer some answers to the question of why he often distanced himself from ‘phenomenology’ and referred to ‘beyond phenomenology.’ ‘얼굴의 현상학’에 대한 레비나스의 언급은 혼란스럽다. 『전체성과 무한』(1961)의 독일어판 서문에서 그는 그것을 긍정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필립 네모(Philippe Nemo)와의 대담에서는 회의적인 견해를 피력한다. 또한, 레비나스는 빈번히 현상이나 현상학에 대해서 거리를 두는 발언을 한다. 이는 타인의 얼굴에 대한 그의 담론이 궁극적으로 현상학을 벗어난다는 생각을 불러일으키기 쉽다. 이 글은 그런 생각이 오해에 가까우며 얼굴에 대한 레비나스의 사유는 현상학적 분석을 통해 전개된 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그의 텍스트는 현상학적으로 접근할 때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레비나스가 전개한 얼굴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은 동일자의 인식과 지배 역량에 따라 왜곡되고 은폐된 지평을 의식에 다시 일깨우는 작업임을 확인할 것이다. 뒤이어 그런데도 어째서 그가 ‘현상학’에 종종 거리를 두고 또 ‘현상학 너머’를 언급했는가라는 문제와 관련하여 약간의 답변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