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에서의 하이데거 연구

        이수정 ( Su-jeong Lee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8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51

        본고는 하이데거에 대한 연구이다. 단, 하이데거의 사상을 직접 다루지는 않는다. 대신 하이데거의 사상을 다룬 ‘연구들에 대한 연구’를 주제로 삼는다. ‘한국에서의 하이데거 연구사’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려는 것이다. 현대철학에서 하이데거는 가장 많은 주목을 받고 가장 많이 연구된 철학자의 하나였다. 이는 독일과 유럽 여러 나라에 국한되지 않고 동아시아, 특히 한국과 일본에서도 두드러진 특징이었다. 이런 특별한 관심의 배경과 그 역사, 그리고 성과를 각각 간략히 정리하여 개관해보는 것도 나름의 학문적 의미가 없지 않다. 본고에서는 먼저 ‘한국과 철학’, ‘한국과 독일철학’의 인연을 간략히 살펴본 후, 하이데거에 대한 연구를 인물중심으로 상세히 검토한다. 특히, 초창기의 선구자들, 1945년 해방 이후 1980년대 말까지의 주요인물, 1990년 대 이후 특히 한국하이데거학회 결성 이후의 주요인물을 살펴보고, 그 업적을 번역, 저술, 논문 순으로 정리한다. 단, 연구내용에 대한 질적-내적 평가는 최대한 자제하고 외적 양상에 대한 기술에 주력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mmarize and to survey the whole studies about Heidegger in Korea since it’s beginning in last century until now(2018). This survey contains ‘the meaning of Being and Heidegger’, ‘the spacial relation between Heidegger and Korea’, ‘Western Philosophy in Korea’, ‘German Philosophy in Korea’, ‘Heidegger in Korea’, ‘the trailblazers in Heidegger-Research until 1945’, ‘leading figures and their researches from 1945 until the end of 1980’s’, ‘leading figures and their dissertations in 1990’s(especially after establishing the Heidegger-Society-in-Korea’, ‘the activities of Heidegger-Society-in-Korea’, ‘leading figures and their researches after 1990’s’ and ‘the brief list of the translations, books, and articles about Heidegger in Korea.

      • 한국 전통문화 속에 나타난 ‘장소론’ 읽기 -하이데거의 ‘존재의 장소론’과의 대화의 시도-

        강학순 ( Kang Hak-soon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3 존재론 연구 Vol.31 No.-

        하이데거는 동아시아적 사유, 이른바 불교와 노장사상 그리고 일본문화 등과의 대화를 시작했거니와, 그 후 이 대화가 상호문화 연구에 의해 계승되고 심화되어 왔다. 이러한 학적 대화라는 틀을 통한 비교연구에서는 양자의 유사성과 차이성, 공약가능성과 불가능성, 상호전유 가능성과 한계성, 자기 성찰과 갱신의 필요성, 연구의 심화와 확장 가능성 등을 밝혀야할 것이다. 여기서는 특별히 하이데거의 ‘존재의 장소론’(Topologie des Seins)과 동아시아의 한국문화 속에 나타난 ‘장소론’과의 대화를 시도해 보고자 한다. 이로써 ‘하이데거 사유와 동아시아 사유의 대화’라는 테제의 연구를 더욱 심화시키고 확장시켜나가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 작업을 통해 한국의 전통문화 속에 육화된 동아시아적 사유의 생생한 모습을 하이데거 사유와의 대화를 통해 읽어내고, 그것의 근원적인 의미를 재전유하고자 한다. 하이데거 사유와 한국문화 속에 나타난 장소론과의 대화 가능성을 탐구하면서 첫째로, 장소와 연관된 용어들의 의미들을 하이데거의 장소론에 나타난 용어들과 대비시키면서 밝혀보고 둘째, 한국 전통문화 속에 나타난 장소론을 살펴보면서 그것의 기원과 배경이 된 유교, 주역, 불교, 풍수지리, 무속신앙, 전통 생활문화 등을 하이데거의 장소론과 견주어 가면서 비교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하이데거 사유와 동아시아적 사유 양자 대화의 지속과 지평융합을 통해 각자의 사유를 풍요롭게 하고, 감추어진 의미를 해석학적으로 다시 재전유할 수 있는 여지가 있음을 밝혀본다. Dieser Aufsatz versucht zu fragen, ob wir die Topologie in der koreanischen traditionellen Kultur im Vergleich zur ‘Topologie des Seins’ bei M. Heidegger lesen können. Heideggger versuchte es, in einen Dialog mit dem ostasiatischen Denken, d,h. Buddhismus, Taoismus und japanische Kultur einzulassen. Solches Versuch wird von der interkulturellen vergleichenden Studie nachgefolgt und vertieft worden. Eine vergleichende Studie setzt es voraus, daß sie einen methodischen Irrtum nicht begehen darf. Hierbei versucht es zu deuten, welche Verwandtschaft und Differenz, Möglichkeit der Aneignung durch eine vergleichende Studie herausgestellt werden können. Dieser Aufsatz entfaltet sich in drei Schritten. Erstens, die Expansionsmöglichkeit der Forschung uber den Dialog zwischen Heideggers Denken und ostasiatisches Denken wird mit Hilfe der vergleichenden Studie uber die Topologie gepruft, um Beides besser verstehen zu können. Zwietens, die auf topos bezogenen Begriffe in der koreanischen traditionellen Kultur werden hinsichtlich von der Topologie des Seins bei Heidegggger behandelt. Drittens, die topos-Lehren, die als die koreanische Kulturerbe in Biddhismus, Konfuzianismus, I-King, Yin-Yang Theorie geblieben sind, werden im Vergleich zur Topologie des Seins betrachtet. Dieser Aufsatz zielt sich darauf ab, daß Heideggers Denken und Ostasiatisches Denken durch eine Horizontverschmelzung bereichern lassen und gegenseitig eigener veborgenen Bedeutung aneignen lassen.

      • 하이데거와 근대성의 문제 -역사적 관점에서 본 교토 학파의 하이데거 수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하피터 ( Ha Peter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4 존재론 연구 Vol.34 No.-

        이 논문의 목적은 하이데거 연구에서 그의 철학이 함축하고 있는 탈-근대적 사유를 간과한 교토 학파의 하이데거 해석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하이데거는 20세기 서양 철학에서 새로운 철학적 사유를 열어 밝힌 매우 중요한 사상가로 간주된다. 그리고 하이데거 철학에 대한 이러한 평가는 서양에서뿐만 아니라 교토 학파에 의해 동양, 즉 한국과 일본에서도 당연한 사실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역사적 관점에서 고찰 할 때, 동양에서의 하이데거 이해와 서양에서의 하이데거 이해는 동일한 지평에 서 있다고 볼 수 없다. 왜냐하면 20세기 초 서양 철학자들 특히 생철학을 지지하는 철학자들은 근대적 사유를 벗어나고자 하는 반면 일본의 사상가들은 전-근대적 사회에서 근대적 사회로 나아가는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이하게 다른 역사적 상황을 간과한 교토 학파 철학자들은 하이데거 사상이 함축하고 있는 탈-근대적 사유에 전혀 주목하지 않고 오히려 하이데거 철학을 근대에 반대되는 전통주의로 해석하고자 한다. 교토 학파 학자들은 하이데거 사상이 근대에 반대하여 전통을 지향한다는 자신들의 해석을 정당화하기 위해 근대적 개인과 대비되는 민족개념을 적극적으로 부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해석은 교토 학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쿠키의 저서 『멋[스러움]의 구조』에서 절정에 달한다. 하이데거로부터 직접적으로 철학 수업을 받은 쿠키는 일본인의 본질을 구성하는 ‘멋스러움’의 의미는 세계시민(cosmopolitan)과 대비되는 ‘민족’과 관련지어 해명될 때 비로소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이데거 철학을 반-근대적 사상으로 해석하는 교토 학파에 대비되어 우리는 하이데거 철학을 탈-근대적 사유로 이해하고자 한다. 하이데거가 탈-근대적 사상을 지향한다는 사실은 그의 데카르트 주체개념 비판과 근대 시대의 본질을 특징짓는 ‘세계상의 시대’에 대한 비판에서 보여 질 수 있다. 더 나아가 하이데거의 탈-근대적 사상은 개인적 주체를 대체한 ‘민족’개념에서도 제시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민족’은 교토 학파 철학자들이 생각한것처럼 ‘피와 토양’에 근거해 있는 사회학적 민족개념이 아니다. 하이데거에 있어서 ‘민족’은 존재에 의해 구성되는 형이상학적 개념이다. 형이상학적 민족은 시원적인 존재와 관계를 맺는 공동체를 의미하며, 이렇게 이해된 공동체를 통해 하이데거는 고대 플라톤에서 시작되어 근대에서 완성된 이전 철학적 사유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탈-근대적 사유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quire into the problems in Kyoto School’s interpretation of Heidegger that overlooks the post-modern thoughts in the philosophy of Heidegger. As it is well-known, Heidegger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kers in 20th century. And this high evaluation of Heidegger’s philosophy has been claimed not only in the West but in the East, namely Japan and Korea by the influence of the Kyoto School. However,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the high appreciation of Heidegger’s philosophy in the East should not be taken in the same manner as the Wes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n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whereas the western philosophers, who are influenced by Lebensphilosophie, attempt to overcome the modern thoughts, the japanese philosophers seek to transform the pre-modern japanese society to the modern society. Overlooking this different historical situation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the Kyoto School philosophers fail to grasp the post-modern thoughts in the philosophy of Heidegger. Instead they seek to interpret Heidegger’s philosophy in terms of traditionalism that stands opposed to modernism. In order to justify this interpretation, they emphasize the concept of ‘people’(das Volk) rather than the concept of individual. And this interpretation has become strengthened by Kuki’s book Detachment, who is a prominent member in the Kyoto School. Kuki, who studied under Heidegger, argues that the meaning of ‘detachment’ that constitutes the essence of Japanese people can be only understood when it is clarified in respect to the ‘people’ rather than the ‘cosmopolitan.’ In contrast to this interpretation that focuses on the tradition of pre-modernism, we seek to understand the philosophy of Heidegger in terms of post-modernism. The post-modern feature of Heidegger’s thoughts is shown in his critique of Cartesian subject, which is regarded as the foundation of a modern subject. Moreover, Heidegger’s post-modern thoughts is presented in the concept of the ‘people’ that replaces the modern subject. However, when Heidegger speaks of the ‘people,’ he does not mean a sociological concept of the ‘people’ that is based on ‘blood and soil’ as the Kyoto School scholars believe. According to Heidegger, the ‘people’ founded in Being has a metaphysical meaning, and the metaphysical people refers to the community that is essentially bound up with the primordial beginning of Being. With this community of people, Heidegger attempts to provide a foundation of post-modern thoughts that replaces the previous philosophical thoughts from Plato to the modern philosophy.

      • KCI등재

        한국 전통문화 속에 나타난 ‘장소론’ 읽기 -하이데거의 ‘존재의 장소론’과의 대화의 시도-

        강학순 한국하이데거학회 2013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31

        Dieser Aufsatz versucht zu fragen, ob wir die Topologie in der koreanischen traditionellen Kultur im Vergleich zur ‘Topologie des Seins’ bei M. Heidegger lesen können. Heideggger versuchte es, in einen Dialog mit dem ostasiatischen Denken,d,h. Buddhismus, Taoismus und japanische Kultur einzulassen. Solches Versuch wird von der interkulturellen vergleichenden Studie nachgefolgt und vertieft worden. Eine vergleichende Studie setzt es voraus, daß sie einen methodischen Irrtum nicht begehen darf. Hierbei versucht es zu deuten, welche Verwandtschaft und Differenz,Möglichkeit der Aneignung durch eine vergleichende Studie herausgestellt werden können. Dieser Aufsatz entfaltet sich in drei Schritten. Erstens, die Expansionsmöglichkeit der Forschung über den Dialog zwischen Heideggers Denken und ostasiatisches Denken wird mit Hilfe der vergleichenden Studie über die Topologie geprüft, um Beides besser verstehen zu können. Zwietens, die auf topos bezogenen Begriffe in der koreanischen traditionellen Kultur werden hinsichtlich von der Topologie des Seins bei Heidegggger behandelt. Drittens, die topos-Lehren, die als die koreanische Kulturerbe in Biddhismus, Konfuzianismus, I-King, Yin-Yang Theorie geblieben sind, werden im Vergleich zur Topologie des Seins betrachtet. Dieser Aufsatz zielt sich darauf ab, daß Heideggers Denken und Ostasiatisches Denken durch eine Horizontverschmelzung bereichern lassen und gegenseitig eigener veborgenen Bedeutung aneignen lassen. 하이데거는 동아시아적 사유, 이른바 불교와 노장사상 그리고일본문화 등과의 대화를 시작했거니와, 그 후 이 대화가 상호문화 연구에 의해 계승되고 심화되어 왔다. 이러한 학적 대화라는 틀을 통한 비교연구에서는 양자의 유사성과 차이성, 공약가능성과 불가능성, 상호전유 가능성과 한계성, 자기 성찰과 갱신의 필요성, 연구의 심화와 확장 가능성 등을 밝혀야할 것이다. 여기서는 특별히 하이데거의 ‘존재의 장소론’(Topologie des Seins)과 동아시아의 한국문화 속에 나타난 ‘장소론’과의 대화를 시도해 보고자 한다. 이로써 ‘하이데거 사유와 동아시아 사유의 대화’라는 테제의 연구를 더욱 심화시키고 확장시켜나가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 작업을 통해 한국의 전통문화 속에 육화된 동아시아적 사유의 생생한 모습을 하이데거 사유와의 대화를 통해 읽어내고, 그것의 근원적인 의미를 재전유하고자 한다. 하이데거 사유와 한국문화 속에 나타난 장소론과의 대화 가능성을 탐구하면서첫째로, 장소와 연관된 용어들의 의미들을 하이데거의 장소론에 나타난 용어들과 대비시키면서 밝혀보고 둘째, 한국 전통문화 속에 나타난 장소론을 살펴보면서 그것의 기원과 배경이 된 유교, 주역, 불교, 풍수지리, 무속신앙,전통 생활문화 등을 하이데거의 장소론과 견주어 가면서 비교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하이데거 사유와 동아시아적 사유 양자 대화의지속과 지평융합을 통해 각자의 사유를 풍요롭게 하고, 감추어진 의미를 해석학적으로 다시 재전유할 수 있는 여지가 있음을 밝혀본다.

      • KCI등재

        하이데거와 근대성의 문제-역사적 관점에서 본 교토 학파의 하이데거 수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하피터 한국하이데거학회 2014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34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quire into the problems in Kyoto School’s interpretation of Heidegger that overlooks the post-modern thoughts in the philosophy of Heidegger. As it is well-known, Heidegger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kers in 20th century. And this high evaluation of Heidegger’s philosophy has been claimed not only in the West but in the East, namely Japan and Korea by the influence of the Kyoto School. However,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the high appreciation of Heidegger’s philosophy in the East should not be taken in the same manner as the Wes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n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whereas the western philosophers, who are influenced by Lebensphilosophie, attempt to overcome the modern thoughts, the japanese philosophers seek to transform the pre-modern japanese society to the modern society. Overlooking this different historical situation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the Kyoto School philosophers fail to grasp the post-modern thoughts in the philosophy of Heidegger. Instead they seek to interpret Heidegger’s philosophy in terms of traditionalism that stands opposed to modernism. In order to justify this interpretation, they emphasize the concept of ‘people’(das Volk) rather than the concept of individual. And this interpretation has become strengthened by Kuki’s book Detachment, who is a prominent member in the Kyoto School. Kuki, who studied under Heidegger, argues that the meaning of ‘detachment’ that constitutes the essence of Japanese people can be only understood when it is clarified in respect to the ‘people’ rather than the ‘cosmopolitan.’ In contrast to this interpretation that focuses on the tradition of pre-modernism, we seek to understand the philosophy of Heidegger in terms of post-modernism. The post-modern feature of Heidegger’s thoughts is shown in his critique of Cartesian subject, which is regarded as the foundation of a modern subject. Moreover, Heidegger’s post-modern thoughts is presented in the concept of the ‘people’ that replaces the modern subject. However, when Heidegger speaks of the ‘people,’ he does not mean a sociological concept of the ‘people’ that is based on ‘blood and soil’ as the Kyoto School scholars believe. According to Heidegger, the ‘people’ founded in Being has a metaphysical meaning, and the metaphysical people refers to the community that is essentially bound up with the primordial beginning of Being. With this community of people, Heidegger attempts to provide a foundation of post-modern thoughts that replaces the previous philosophical thoughts from Plato to the modern philosophy. 이 논문의 목적은 하이데거 연구에서 그의 철학이 함축하고 있는 탈-근대적 사유를 간과한 교토 학파의 하이데거 해석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하이데거는 20세기 서양 철학에서 새로운 철학적 사유를 열어 밝힌 매우 중요한 사상가로 간주된다. 그리고 하이데거 철학에 대한 이러한 평가는 서양에서뿐만 아니라 교토 학파에 의해 동양, 즉 한국과 일본에서도 당연한 사실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역사적 관점에서 고찰 할 때, 동양에서의 하이데거 이해와 서양에서의 하이데거 이해는 동일한 지평에 서 있다고 볼 수 없다. 왜냐하면 20세기 초 서양 철학자들 특히 생철학을 지지하는 철학자들은 근대적 사유를 벗어나고자하는 반면 일본의 사상가들은 전-근대적 사회에서 근대적 사회로 나아가는발판을 마련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이하게 다른 역사적 상황을간과한 교토 학파 철학자들은 하이데거 사상이 함축하고 있는 탈-근대적 사유에 전혀 주목하지 않고 오히려 하이데거 철학을 근대에 반대되는 전통주의로 해석하고자 한다. 교토 학파 학자들은 하이데거 사상이 근대에 반대하여 전통을 지향한다는 자신들의 해석을 정당화하기 위해 근대적 개인과 대비되는 민족개념을 적극적으로 부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해석은 교토 학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쿠키의 저서 『멋[스러움]의 구조』에서 절정에 달한다. 하이데거로부터 직접적으로 철학 수업을 받은 쿠키는 일본인의 본질을 구성하는 ‘멋스러움’의 의미는 세계시민(cosmopolitan)과 대비되는 ‘민족’과 관련지어 해명될 때 비로소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이데거 철학을 반-근대적 사상으로 해석하는 교토 학파에 대비되어 우리는 하이데거 철학을 탈-근대적 사유로 이해하고자 한다. 하이데거가 탈-근대적 사상을 지향한다는 사실은 그의 데카르트 주체개념 비판과 근대 시대의본질을 특징짓는 ‘세계상의 시대’에 대한 비판에서 보여 질 수 있다. 더 나아가 하이데거의 탈-근대적 사상은 개인적 주체를 대체한 ‘민족’개념에서도 제시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민족’은 교토 학파 철학자들이 생각한것처럼 ‘피와 토양’에 근거해 있는 사회학적 민족개념이 아니다. 하이데거에있어서 ‘민족’은 존재에 의해 구성되는 형이상학적 개념이다. 형이상학적 민족은 시원적인 존재와 관계를 맺는 공동체를 의미하며, 이렇게 이해된 공동체를 통해 하이데거는 고대 플라톤에서 시작되어 근대에서 완성된 이전 철학적 사유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탈-근대적 사유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KCI등재

        칠리다와 하이데거 그리고 공간- 칠리다의 조각 작품에 대한 철학적 해석 -

        김경미,이유택 한국하이데거학회 2014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34

        Nach Heidegger, im Gegensatz zur modernen Ästhetik, besagt die Kunst “das Sich-ins-Werk-Setzen der Wahrheit des Seienden.” Mit anderen Worten, ist die Kunst“ein Werden und Geschehen der Wahrheit”, d. h. ein Ereignis, das sich im Kunstwerkdas Sein des Seienden eröffnet. Mit dieser ‘Eröffnung’ des Seins des Seienden, mit deraletheiologischen Auffassung des Kunstwerkes begegnen wir mit dem ontologischenRaumverständnis des späten Heidegger, das sich in <Bauen Wohnen Denken>(1951) und<Die Kunst und der Raum>(1969) findet. Der Raum ist für Heidegger weder vorhandenwie ein Ding noch ein subjektives Form in uns. Der Raum räumt. Das Räumen desRaumes geschieht als einräumendes Zulassen von Orten. Dieses Ereignis des Räumensdes Raumes als einräumendes Zulassen von Orten wurde von einem spanischenKünstler, Eduardo Chillida, ins Werk gesetzt. Für Chillida ist der Raum als daseigentliche Material, das die Formen erschafft. <Die Kunst und der Raum> istKonsequenz des direkten Kontaktes zwischen Heidegger und Chilida, stellt aberinsbesondere die Materialisation gemeinsamer konzeptueller Anliegen dar, iher Fragenhinsichtlich des Raumes, seiner Grenzen und der Schaffung von Orten. Diese Zulassungvon Orten bzw. Räumen des Raumes im Sinne Heideggers geschieht besonders bei denEisenskulpturen von Eduardo Chillida auf eine herausragende Weise. Eisen war ihm ammeisten das entsprechende künstlerische Material. Beispielsweise, hat Chillida in den<Windkämmen> als in einem Gesamtkunstwerk ganz im Sinne Heideggers einen Ort geschaffen, der sinnliche und geistige Erfahrungen vielfältiger Art ermöglicht. 하이데거에게 예술은 존재자의 진리가 작품 안으로 정립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술은 진리의 생성과 생기, 즉 예술작품 안에서 존재자의 존재가 개시되는 사건이다. 존재자의 존재의 이러한 ‘개시’(Eröffnung) 사건, 예술작품에 대한 진리론적 이해와 함께 우리는, <건축 거주 사유>(1951)와 『예술과 공간』(1969)에서 전개된, 후기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공간이해와 만난다. 여기서 하이데거가 말하는 공간은 더 이상 사물처럼 객관적으로 실재하는 공간도 아니고, 우리 내부의 주관적인 형식도 아니다. 공간은 공간으로 열린다(räumen). 공간의 이러한 열림은 장소를 허용하는 형태로 일어난다. 하이데거의 이러한 공간열림의 사건을 스페인의 예술가 에두아르도 칠리다는 그의작품을 통해 형상화 시켰다. 칠리다에게 공간은 형태를 창조하는 고유한 물질로서 기능한다. 『예술과 공간』은 하이데거와 칠리다의 공동작업의 결과물로서, 무엇보다 공간, 한계, 장소의 생성과 같은 그들의 공동의 관심사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한 책이다. 하이데거적 의미의 장소허용, 공간열림의 사건은 특히 칠리다의 철 조각 작품에서 탁월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다. 철은칠리다의 예술을 실현시킬 가장 적합한 재료였다. 그 한 예로 종합예술이라할 수 있는 <바람 빗>에서 칠리다는 감각적이고 정신적인 경험을 다차원으로 가능하게 하는, 하이데거적인 의미의 장소를 창출해 내는 데 성공했다.

      • KCI등재

        위기의 역사 앞에서 창조적 현-존재의 존재의미

        최상욱 한국하이데거학회 2016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43

        Mit dem Bezug auf der Heideggers Philosophie wird in dieser Abhandlung danach gefragt, was die Philosophie vor der Krise der Geschichte tun soll. Insofern Heidegger das Sein auf dem Horizont der Zeitlichkeit versteht, ist seine Philosophie eine Geschichtsphilosophie. Insofern das Dasein als In-der-Welt-sein mit dem anderen Dasein, d.h. mit dem Mit-dasein existiert, ist seine Philosophie eine Philosophie des Da, oder des Polis, d.h. eine Philosophie der Politik. Vor Heidegger interpretierte Hegel die Geschichte auf Grund der Philosophie. Beide Philosophen vergleichend wird es also in dieser Abhandlung erhellt, dass Heidegger die Krise der Geschichte anders als hegelsche Dialektik, durch die revolutionaere Weise zu ueberwinden versucht und dass bei Heidegger die Krise der modernen Gesellschaft nichts anders als die Krise des Seins und des Denkens bedeutet. Heideggers Auslegung ueber die Hymmnen Hoelderlins aufmerksam folgend, wird es gezeigt, was der Sinn des Seins des kreativen Daseins vor der Krise der Geschichte sein soll. Dafuer wird die Auseinandersetzung mit den Figuren gefuehrt, die heissen; Herakles, Oedipus, Empedokles, Prometheus, Diotima, Antigone. 본 논문은 하이데거 철학을 통해, 역사적 위기 앞에서 철학의 존재의미가무엇인지 다룬다. 하이데거의 철학이 시간성이란 지평에서 존재의 의미를 해명하는 한, 그의 철학은 역사철학이다. 또한 존재의 의미를 이해하는 존재자인 현존재가 세계-내-존재로서 공동현존재와 더불어 존재하는 한, 그의 철학은 현(da)과 polis의 철학, 즉 정치철학이다. 그런데 하이데거보다 앞서 철학을 역사와 더불어 해석한 철학자는 헤겔이다. 본논문에서는 헤겔과 하이데거의 역사관을 비교하면서, 위기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법이 헤겔의 변증법과 달리 해체라는 혁명적 방식임을 밝힐 것이다. 그리고 하이데거가 보고 있는 현대사회의 위기의 본질이 “존재”와 “사유”의 위기에서 비롯된다는점을 밝히고, 하이데거가 제시하고 있는 새로운 사유가 계산적 사유와 비교할 때,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것은 무용성, 무지, 무능, 무력함이 어떻게 유용성, 지, 유능, 유력함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로 이어진다. 그리고 횔덜린의 송가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명을 중심으로 위기의 역사 앞에서창조적인 현존재의 존재의미가 무엇인지, 그들이 역사의 전환점에서 감수하고 견뎌내야 하는 운명이 무엇인지 살펴볼 것이다. 이것은 그들이 경험하는 근본기분에대한 논의를 통해 밝혀질 것이다. 마지막으로 하이데거가 선택한 창조적 현존재에대하여 다룰 것이다. 그것은 헤라클레스, 오이디푸스, 엠페도클레스, 프로메테우스, 디오티마, 안티고네에 대한 해명으로 나타날 것이다.

      • KCI등재

        하이데거의 경험 개념: 『현상학의 근본문제들(1919/20)』과 『종교 현상학입문』(1920/21)을 중심으로

        한충수 한국하이데거학회 2016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43

        Der vorliegende Beitrag verfolgt drei Ziele. Zunächst zielt er darauf ab, vorzulegen, dass der Begriff der Erfahrung eine grundlegende Rolle in Heideggers Philosophie spielt. Für diese Vorlegung werden drei seiner bekanntesten Schriften herangezogen, nämlich Sein und Zeit, Der Ursprung des Kunstwerkes und Einblick in das was ist. Dabei ist bemerkenswert, dass der Erfahrungsbegriff zwar die Grundlage für die genannten Schriften bildet, aber nicht begrifflich bestimmt bleibt. Das zweite Ziel des Beitrages besteht darin, nachzufragen, woran diese Unbestimmtheit liegt. Schließlich unternimmt er den Versuch, dem Begriff der Erfahrung eine Definition zu geben, und zwar im Anschluss an zwei der frühen Freiburger Vorlesungen Heideggers, nämlich Grundprobleme der Phänomenologie (1919/20) und Einleitung in die Phänomenologie der Religion.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경험 개념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 설정에 대해 하이데거 철학 연구자라면 아마도 고개를 갸웃할것이다. 왜냐하면 이제까지 하이데거의 경험 개념이 거의 연구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독자의 눈에도 띄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먼저 하이데거의 경험 개념이 그의 철학에서 근본적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존재와 시간, 예술작품의 근원 , 존재하는 것에 대한 통찰에 근거해 밝힌다.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기이한 사실은 경험개념이 막중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명확한 규정을 쉽게 찾을 수없다는 점이다. 이어서 본 논문은 그 무규정성에 대한 이유들을 찾아본다. 첫 번째가능한 이유는 오이겐 핑크의 주제용개념과 작업용개념 간의 구분에 근거한다. 우리가 망치로 못을 박을 때, 망치가 아니라 못에만 관심을 기울이는 것처럼, 작업(고찰)을 위한 개념보다는 고찰의 주제가 되는 개념이 우리의 눈에 띄는 것이다. 하이데거의 경험 개념은 주제용이 아니라 작업용인 것이다. 두 번째 가능한 이유는 하이데거의 경험 개념이가지는 현사실적 삶의 성격이다. 삶에서 우리는 경험을 할 때, 그 경험의 대상(경험된 것)에만 관심을 기울이고, 그 경험의 양식(경험함)에는 관심을 가지지 않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현상학의 근본문제들(1919/20)과 종교 현상학 입문(1920/21) 강의에서 하이데거가 경험 개념에 대해 고찰한내용을 바탕으로 그의 경험 개념을 재구성한다. 그러니까 그는 경험 개념을 규정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자신의 긴 사유 여정의 초반에 이미정의했다. 그 정의에 따르면, 경험 개념은 무엇보다도 중의성을 지닌다. 경험은 경험 작용과 경험되는 대상을 모두 가리키기 때문이다. 즉, 하이데거는 경험 작용과 대상 간의 불가분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렇게경험 개념이 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존재와 시간(1927)을 읽은독자와 예술작품의 근원 (1935/36)과 존재하는 것에 대한 통찰 (1949) 강연을 들은 청중은 하이데거의 경험 개념 앞에서 당황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위에 언급된 두 강의는 각각 1992년과1995년에야 비로소 출판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하이데거의 초기 프라이부르크 강의는 아직 많이 연구되지 않았고, 경험 개념과 관련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본 논문은 아직 어둠에 쌓인 경험 개념에 약간의 빛을 비출 수 있을 것이다.

      • 헤겔과 하이데거의 비교연구

        박찬국 ( Park Chan-kook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4 존재론 연구 Vol.34 No.-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헤겔과 하이데거를 비교하는 논문들이 여러 편 발표되었다. 이러한 논문들은 첫째로 하이데거의 헤겔 해석을 가능한 충실하게 정리 소개하는 성격이 강한 논문들, 둘째로 하이데거의 헤겔 해석을 기본적으로는 받아들이고 있지만 그것을 단순히 정리 소개하는 것을 넘어서 하이데거가 헤겔과 어떻게 다르고 또한 헤겔을 어떤 식으로 극복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있는 논문들, 셋째로 하이데거가 헤겔의 진의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고 보면서 하이데거의 헤겔 해석을 비판하고 있는 논문들, 넷째로, 하이데거가 헤겔 철학을 일정 부분 수용한다고 보면서 양자가 서로 보완이 가능하다고 보는 논문들로 나뉜다. 본 연구는 첫 번째 범주의 연구들과는 달리 하이데거의 헤겔 해석을 단순히 정리 소개하는 것을 넘어서 하이데거와 헤겔을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교를 두 번째 범주에 속하는 논문들 중 하제원의 논문과 세 번째 범주와 네 번째 범주에 속하는 논문들과의 대결을 통해서 수행하려고 한다. 본인은 하이데거가 자신과 헤겔 사이에 존재하는 근본적인 차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인은 하이데거의 헤겔 해석을 기본적으로 수용하지만 하이데거의 헤겔 해석을 요약 정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하이데거 철학과 헤겔 철학 전체에 대한 포괄적인 시야에 입각하여 양자의 차이를 분명하게 드러내려고 한다. Until now, several papers that compare Hegel and Heidegger were published in our country. These paper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Firstly, some papers introduce Heidegger’s Interpretation of Hegel as faithfully as possible. Secondly, some papers investigates how Heidegger is different from Hegel and overcomes Heidegger, following Heidegger’s Interpretation of Hegel basically. Thirdly, some papers criticize Heidegger’s Interpretation of Hegel, insisting that Heidegger misunderstood Hegel. Fourthly, some papers insist that Heidegger accepts Hegel’s philosophy in some points, and that Hegel and Heidegger complement each other. This study tries to compare Heidegger and Hegel, confronting with the papers of second, third and fourth groups and present a balanced interpretation of Hegel and Heidegger.

      • 하이데거의 철학사적 위치와 의의에 대한 고찰

        박찬국 ( Park Chan-kook ) 한국하이데거학회 2008 존재론 연구 Vol.18 No.-

        이 글은 서양철학사에서 하이데거가 차지하는 위치와 의의를 짚어보려는 하나의 시도다. 하이데거는 물론 서양철학의 역사에서 자신이 차지하는 위치와 의의를 이미 분명히 했다. 즉 그는 플라톤 이래 니체에 이르기까지 서양철학을 지배해 온 존재망각을 극복하고 서양철학에 새로운 시원을 여는 사상가다. 그리고 하이데거에 의하면 철학이야말로 각 시대의 세계이해와 인간이해를 개시함으로써 각 시대를 정초하는 것인 바, 철학에 새로운 시 원을 연다는 것은 서양의 역사에 새로운 시원을 건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글은 하이데거의 이러한 자기파악을 염두에 두면서도, 하이데거의 철학사적 위치와 의의에 대해서 막스 될러 (Max Mtiller) 와 하인리히 롬바히(Heinrich Rombach)와 같은 사람이 개진했던 해석을 고려하면서 하이데거가 서양철학의 역사에서 갖는 위치와 의의를 다시 한번 조명하고자 한다. 우리는 이를 위해서 우선 서양철학의 역사를 크게 플라톤 이전의 자연철학 자들의 철학, 본질질서로의 실체존재론이 지배하는 고중세의 형이상학, 무한한 방향의 철학으로서의 체계존재론이 지배하는 근대의 형이상학으로 대별하면서 각 철학의 본질적인 내용과 특성을 고찰했다. 그리고 이러한 고찰에 입각하여 인간의 역사성과 유한성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았다는 데서 그것들의 한계를 찾으면서 고중세 형이상학과 근대형이상학의 한계를 하이데거가 어떻게 극복하는지를 보여주려고 했다. 이러한 고찰은 서양철학사에서 자신의 철학이 차지하는 위치와 의의에 대한 하이데거의 자기파악과 배치되지 않으면서도 하이데거 철학이 갖는 본질적 특성과 중요성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Position and significanee of Heidegger's philosophy in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Needless to say, Heidegger already clarified the Position and significanee of his philosophy in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He is a thinker opening the new beginning for the Western philosophy by overcoming the forgetfulness of the Being which has dominated the history of the westem philosophy from Plato to Nietzsche. Purthermore, according to Heidegger, philosophy gives a foundation of each era by disclosing its understandings of the world and human beings. Considering interpretations that Max Müller and Heinrich Rombach carried out conceming Heidegger's philosophy, this article tries to illuminate the Position and significanee of Heidegger's philosophy in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once again. We classify the history of the Western philosophy into tree stages, that is, the philosophy of pre-socratic philosophers, the ancient and medieval metaphysics as the ontology of the substance and the modern metaphysics as the philosophy of the System Then we researches the essential content and characteristic of each philosophy.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becomes clear that the ancient and medieval metaphysics as the ontology of the substance and the modern metaphysics as the philosophy of the System have ignored the historicity and the finitude of human beings, while Heidegger opened the new beginning of the thinking by considering the historicity and the finitude of human beings. With this in mind, we can understand how Heidegger overcame the limitaton of the ancient medieval metaphysics and the modern metaphysics without diverging from what Heidegger himself said about the significanee of his philoso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