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과 어머니의 모니터링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배희분 한국가족관계학회 2023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8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한가운데에 있는 중학생과 부모가 각자의 입장에서 모니터링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를 심층적이고 세밀하게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중학생 9명과 어머니 5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을위하여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주제와 6개의 범주, 그리고 총12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주제는 “모니터링을 둘러싼 갈등과 상처”이고 그아래 2개의 범주는 “날로 깊어지는 갈등”과 “쉽게 회복되지 않는 상처”였다. 두 번째 주제는 “영역별로 다른 모니터링 방식과 대응”이었고 범주는 “학업과 안전, 최후의 보루”와“뜨거운 감자, 이성 문제와 온라인 세상” 2가지가 나타났다. 세 번째 주제는 “모니터링 전략과 가족 맥락”이었고 2개의 범주로 “갈등을 피하는 다양한 전략”과 “가족 맥락 속의 모니터링”이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그동안 주로 양적으로, 그리고 청소년과 부모 개별적으로 연구되었던 청소년기 부모모니터링 현상을 질적으로, 그리고 청소년과 부모 모두를 대상으로 연구함으로써 그 개념과 과정에 대한 더 상세하고 맥락적인 이해의 폭을 넓혔다. 나아가 청소년과 부모를 조력하는 각종 교육 프로그램과 상담적 개입에 있어 도움이되는 기초적인 정보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n in-depth and detailed look at how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middle of adolescence and their parents experience monitoring from their respective perspectives. Metho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9 middle school students and 5 mothers,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data. Results: 3 themes, 6 categories, and a total of 12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e first theme was “conflict and wounds surrounding monitoring,” and the two categories below it were “deeper conflicts” and “wound that cannot be easily recovered.” The second theme was “different monitoring methods and responses across monitoring domains” and two categories appeared: “academic achievement and safety, the last bastion” and “hot potatoes, sexual problems and the online world.” The third theme was “monitoring strategies and family context,” and two categories were derived: “various strategies to avoid conflict” and “monitoring within the family context.” Conclusion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its contribution to a nuanced and context-specific understanding of parental monitoring during adolescence. Unlike previous predominantly quantitative and separate studies, this study introduces a qualitative dimension, providing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for both parties involved. The findings offer foundational information and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to support both adolescents and parents.

      • KCI등재

        중학생의 부모를 위한 가족식사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배희분,옥선화 한국가족학회 2015 가족과 문화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부모를 대상으로 가족식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으로 프로그램 기획, 구성, 실시, 평가의 4단계 개발 모형에 따라 진행되었다. 요구도 조사를 위해 중학생의 부모와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그룹 인터뷰와구조화된 설문지법을 병행 실시하였다. 내용선정의 원리와 회기구성의 원리에 따라 총 8회기로 이루어진 가족식사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그 내용은 가족식사의 의미, 가족식사의 효과, 청소년자녀의 이해, 청소년과 가족식사의 관계, 부모자신의 이해, 가족식사와 의사소통, 가족식사 실천전략, 그리고 가족식사 실천의지 다지기 등으로 이루어졌다. 이렇게 개발된 가족식사교육 프로그램을 경기도에 소재한 한 중학교에서 20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추후검사 대응표본 t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족식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의 어머니들은 프로그램 실시 이전에 비해 부모자녀 의사소통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부모효능감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날로 심각해지는 청소년 관련 문제를 해결하고 그들의 건강한 발달을 도모하기 위하여 가족과 가족관계에 초점을 둔 실천적 개입의 방안으로 가족식사라는 일상의 공유가 효과적인 처방이 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고 하겠다. 결과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한계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덧붙여졌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family meal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parents that would promote healthy development of families with adolescent. Through 4-step model of program development, a family meal education program consists of 8 sessions in total has been developed. The themes of 8sessions are the meaning of family meal, the effect of family meal, understanding of adolescent childre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nd family meal, understanding parent’s own self, family meal and communication, the strategies for practicing family meal,and lastly, the will for practicing family meal. This program was implemented at a middle school in Gyeonggido province. The results of the effect analysis showed that the family meal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parents contributed to improve the participants’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arent sense of competence. We discussed the result of these findings, and suggested the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y.

      • KCI등재

        고3시기 부모의 정서적・물리적 지원이 대학생의 대학전공만족도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배희분,서주현,김효선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6(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arents’ affective & physical support for high school senior students influenced on their child ’s college-major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e study also used the data of Korean Education Employment Panel(KEEP), and occupi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pursue the research purpose.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s’ affective support - a concern on their child positively influenced on college-major satisfaction. Conversation time between high school senior student and their parents negatively impact on college-major satisfaction. Parents’ physical support did not impact on their child’s happiness. However, affective support of parents was very significant to enhance their child’s happiness. In particular, their concern on child and information gathering in child’s education still kept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ir child’s happiness, even after the 3 year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vided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 KEEP 종단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등학교 3학년 시기 부모가 제공한 자녀교육에 대한 정서적・ 물리적 지원이 1년 후 대학생이 된 자녀의 대학전공만족도와 3년 후 성인으로서 느끼는 자녀의 행복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3시절 부모의 물리적 지원은 1년 후 자녀의 대학전공만족도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지 못했으나, 부모의 정서적 지원, 즉 자녀에 대한 관심은 대학전공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자녀와 대화시간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고3때 부모의 정서적・ 물리적 지원이 3년 뒤 성인자녀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해 본 결과, 대학전공만족도와 유사하게, 물리적 지원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반면 정서적 지원의 일부 변인은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부모의 정서적 지원 중 자녀에 대한 관심은 3년이 지난 후 성인자녀의 행복감에도 여전히 중요한 긍정적 효과를 유지하고 있었고, 고3때 부모가 가졌던 자녀교육에 대한 정보력도 자녀의 대학시절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에 대한 실천적 함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동반자와 내담자 부모의 부모상담 경험에 관한 연구

        배희분,이미현,노성덕,정재우,김태성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7 청소년상담연구 Vol.25 No.2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to explore vivid and unique feelings and views of Youth Companion(YC) and adolescent clients’ parents who have a profound influence on their child’s counseling effect. Three main themes and 10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focus group interviews for the YC and clients’ parents. The three themes were the importance of parent counseling, the difficulty of parent counseling, and the effective interventions. The first topic, "the importance of parent counseling," included three categories, which were the effect of parent counseling, the variables related to effectiveness, and the meaning of parent counseling in visiting counseling. The second theme, 'difficulties of parent counseling,' included three categories: severity of parental cases, parental counseling, and structural problems. Finally, under the theme of 'effective intervention', four categories were included: expertise and trust, successful first interview, practical help, and non-counseling support and personal attention. Subcategories and examples were presented, and discussion poin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mentioned.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상담의 성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부모상담에서 청소년동반자와 부모가 무엇을 경험하는지 그 생생하고 독특한 느낌과 견해를 탐색하기 위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활용한 질적분석을 수행하였다. 청소년동반자와 내담자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결과 3가지의 주제와 1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는데, 3가지의 주제는 부모상담의 중요성, 부모상담의 어려움, 그리고 효과적이었던 개입 등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주제인 ‘부모상담의 중요성’에는 3개의 범주가 포함되었는데, 부모상담의 효과, 효과와 관련된 변인, 찾아가는 상담에서 있어 부모상담의 의미 등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 주제인 ‘부모상담의 어려움’에서 추출된 3개의 범주는 청소년동반자 사례 자체의 심각성, 부모상담의 고비, 그리고 구조적 문제 등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이었던 개입’이라는 주제 하에 전문성과 신뢰, 성공적인 첫 면담, 실제적인 도움, 상담 외적인 관심과 도움 등 4개의 범주가 포함되었다. 각 범주별 하위범주와 예시문을 제시하였고,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점과 시사점, 연구의 제한점을 언급하였다.

      • KCI등재

        비혼 여자 청소년의 임신갈등 경험에 관한 연구

        배희분,이혜정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1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egnancy conflict of non-married female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van Manen’s phenomenological experienc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he subjects of study were 5 non-married female adolescents from 2 single mother facilities. The research revealed a total of 3 categories and 10 subcategories. Under 'Being left alone in pregnancy conflict' were 3 subcategories: 'Unbelievable reality,' 'Pregnancy out of wedlock and people who wants abortion,' 'The pain that nobody knows.' The second main category 'Endless choices in despair' consisted of 3 subcategories: 'The women's life ruined (as opposed to men),' 'Conflict in abortion,' 'Conflict in raising a child.' The last main category, ‘Regeneration as main agent' was consisted of 4 subcategories: 'Letting go of myself by myself,' 'Feeling the fetus,' ‘Realizing new relationship,' and 'Stepping to the future self.' This study shows that adolescents with pregnancy conflict establish a new order of relationship to regenerate themselves as a woman who escape from a shrunken life by pregnancy and live without shame as she perceives herself as the mother. 비혼 여자 청소년의 임신갈등 경험 탐색을 위해 비혼 상태에서 임신한 출산 전후 여자 청소년 2개 집단 5명에 대해 질적 면접을 진행하여 경험 자료를 수집하고 현상학적 체험연구 방법으로 이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3개의 주제와 10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임신갈등 속 홀로 남겨짐’이라는 주제에 ‘믿기 어려운 현실’, ‘혼인 없는 임신과 아이를 지우고 싶은 사람들’, ‘아무도 이해해주지 못하는 혼자만의 고통’이라는 3개의 하위범주가 포함되었다. 두 번째 ‘절망 속 끝나지 않은 선택’이라는 주제 아래 ‘남자와 달리 쫑난 여자의 인생’, ‘지움의 갈등’, ‘키움의 갈등’ 3가지 하위범주가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질서 속, 주체로 재탄생’이라는 주제는 ‘나를 버림, 그리고 내가 버림’, ‘태아를 느낌’, ‘새로운 관계의 인식’, ‘미래의 나에게 다가서기’ 등 4개의 하위범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임신갈등 여자 청소년이 어머니로 자신을 자각하게 되면서 임신으로 위축되었던 삶에서 부끄럼 없이 살아가는 한 여성으로 자신을 재탄생시키기 위해 관계의 새로운 질서를 구축해 나가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모니터링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배희분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10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lucidate whether monitoring mediates the influence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n adolescent delinquency and whether this mediation effect is moderated by gender.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535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Jamovi 2.2.5.0 was utilized in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egative parenting attitud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dolescent delinquency as well as 5 out of 7 subfactors of monitoring. Delinquency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3 out of 7 subfactors of monitoring. Secondly,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media monitoring and the complete mediation effect of covert monito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delinquency was verified.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media monitoring and covert monitoring was more significant in males than females. In other words, the more negatively the adolescents perceived the parenting attitude, the stronger they felt media monitoring and covert monitoring were, and this led to increase of delinquency, which is more salient in male adolescents. A discussion,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가족식사 빈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부모와의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검증

        배희분,옥선화,양경선,Grace Chung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가족식사 빈도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 있어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도 ‘청소년의 가족의식․가정생활 실태조사’ 에서 수집된 전국 중․고등학생 6,979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 또는 어머니와 함께하는 가족식사 빈도와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부모와의 가족식사 빈도는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가족식사 빈도와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부모와의 의사소통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고 그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 매개경로 중 어머니 쪽보다는 아버지 쪽 경로계수가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부분매개모형이 완전매개모형보다 적합한 모형으로 지지되어 가족식사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간접효과 뿐 아니라 직접효과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 가족식사와 같은 기본적인 일상이 매우 중요하며, 가족식사가 의사소통이라는 매개변인을 통해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는 사실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family meal frequency and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Data included 6,979 adolescents from '2010 Korean Survey on the Familial Consciousness of Youth and Parents' conducted by Korean Youth Policy Institute (KYPI). Firs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family meals and communication with father or mother had significant effects o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Second, communication with father or mother significantly mediated the influence of family meal frequency o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on path for fathers had larger standardized coefficients than for mothers. Thir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model showed a better model fit than the complete mediation effect model. In other words, the family meal frequency had both indirect and direct effects for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Results suggested t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sharing daily family meals to improve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Also worth noting was the role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as a hidden path through which the family meal affected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 KCI등재

        만화 그리기를 활용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된 무기력을 중심으로

        강자영,배희분 한국인간발달학회 2022 人間發達硏究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 그리기를 활용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자아존중감과 학습된 무기력에 관한 어려움이 있는 수도권의 중학교 1, 2학년 22명(실험집단 11명, 통제집단 11명)을 대상으로 주 2회 70분씩 8회기 동안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자아존중감과 학습된 무기력 검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를 통한 양적 분석과 회기별 활동지 및 만화 내용, 소감문 등을 활용한 질적 평가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만화 그리기를 활용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이야기치료 구성요소 및 흐름을 기본으로, 만화 그리기 요소를 결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만화 그리기를 활용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키는데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화 매체와 이야기치료의 장점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치료 효과와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였다는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주혜원,배희분 한국가족관계학회 2020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5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Methods: For this study, a total of 514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Korea, were analyzed. The resulting data was interpre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Second,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ere verified to have mediating effects under the influence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hir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ere confirmed. Conclusion: The finding hold significance in that they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of undergraduate students with corresponding complaints at the site of counseling, while they also work as useful reference in solving these problems.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중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그 경로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 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통제척도, 대인관계문제척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514명의 자료를 SPSS 21.0 프로그램과 Mplu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는,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대인관계문제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만 아니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통해서도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성인형성기의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중. 고등시기의 자녀와 다르지 않게 여전히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있는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의 발생과 유지에 기여하는 주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담현장에서 이러한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대학생 내담자의 상담 시 환경적 요인이라 할 수 있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보다는 인지적 변인인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개입하는 것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를 해결하는데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문제관계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가속화하거나 촉진함으로써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를 심화시키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성격적 변인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이 높아지고, 높아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성향은 인지적 변인이라 할 수 있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높여 결과적으로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가 심화될 수 있다는 것과 성인형성기의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여전한 영향을 끼치는 주요한 변인임을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친밀감이 주요 과업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끼치는 변인을 종합적으로 살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개인의 성격적 변인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인지적 변인이라 할 수 있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단계를 거쳐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로 이르는 경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에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문제를 상담현장에서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절하고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