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유아의 다중지능과 관련된 생물생태학적 변인 연구 -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 조화적합성을 중심으로 -
서주현,이순형,Suh, Joo-Hyun,Yi, Soon-Hyung 한국가정관리학회 2009 가정과삶의질연구 Vol.27 No.6
This study investigates how bioecological variables affect the child's multiple intelligence through independent and interactional way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7 pairs of 5-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the Project Spectrum was employed to measure multiple intelligences. Each mothers was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on her child's temperament, her maternal parenting style, 'goodness of fit' and 'the fit of child's intelligence'. Data were analyzed using a factor analysis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WIN 15.0.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goodness of fit' to the child's temperament moderated the effect of a maternal parenting style that would foster child's dependency on the mathematical intelligence through interaction. 'The fit of child's intelligence' also moderated the effect of maternal positive parenting style to the child's mathematical intelligence. Second, in language intelligence, girls were more verbally intelligent than boys. In that regard, because the sex variable entails a combination of both inherent attribute and social-cultural effects, that result can be interpreted as an interac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environment. Lastly, a maternal parenting style that would foster child's dependency moderated the effect of the child's regular temperament on interpersonal intelligence. This means that the child's regular temperament can be a protective factor for the negative effect of a maternal parenting style that would foster child's dependency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actional factors such as 'goodness of fit' should be considered in studies involving children.
유아대상 한글학습용 애플리케이션 평가 및 내용 분석-언어 교수방법에 따른 비교 분석
서주현 한국보육지원학회 2015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대상 한글학습용 애플리케이션의 내용을 전통적 언어교육에서 사용하는 언어교수방법인 발음중심 교수방법과 총체적 교수방법으로 분류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학습용 애플리케이션 내용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유아용 애플리케이션 평가 척도에서 학습내용과 관련된 4개 하위영역을 선택하여 이를 수정, 보완하여 총 51개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체적 교수방법의 애플리케이션이 발음중심 교수방법의 애플리케이션보다 인터랙션을 잘 활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총체적 교수방법의 애플리케이션은 교육의도에 적합한 그래픽의 사용, 매력적인 캐릭터 및 피드백을 통한 능동적 학습활동 유도에서 발음중심 교수방법의 애플리케이션을 앞섰다. 이 연구결과는 효율적인 한글학습을 위한 양질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태도, 조화적합성이 유동성 지능 및 결정성 지능에 미치는 영향
서주현,이순형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연구 Vol.29 No.4
This study investigated how a child’s temperament, maternal parenting style and goodness of fit affect children’s intelligence in the contexts in which they are found by examining the independent and interactional effects of the 4 variables. The effects of each component were further examined according to the suggestions of the Gf-Gc theory. Subjects were 147 five-year-olds and their mothers living in Seoul and KyoungGi-Do.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goodness of fit of a calming temperament factor along with a maternal dependency-fostering parenting style effected fluid intelligence for the children in this study. 2) The effect of goodness of fit is slightly greater than the others’, thus, supporting the goodness of fit model. 3) For crystallized intelligence also the goodness of fit of a calming temperament had the most powerful effect. In addition, two interactional effects were found. 4) The goodness of fit of child’s temperament has a synergistic effect with a democratic parenting style and 5) a child’s adaptive temperament moderates the effect of a democratic parenting style. Because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even fluid intelligence, which is considered to be inherent, can be affected by parenting style, they imply that fluid intelligence can be changed to some extent by environment. Thus, the study suggests that contextual environmental and interactional effects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children’s intellectual abilities. 이 연구는 유아의 개체 변인인 기질과 주요 환경 변인인 어머니의 양육태도, 그리고 기질에 관한 조화적합성이 상호작용하며 어떠한 양상으로 유아의 지능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의 만 5세아와 어머니 총 29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양상을 검증하기 위해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으로 나누어 본 결과, 유동성지능은 차분한 기질 요인과 이에 대한 조화적합성, 그리고 의존성 조장 양육태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조화적합성이 기질요인보다 설명력이 더 커서 조화적합성의 영향력을 입증하였다. 또한, 선천적인 특성을 갖는 유동성지능도 어머니의 의존성 조장 양육태도가 영향요인으로 밝혀져 환경의 영향력을 시사했다. 결정성지능 역시 차분한 기질 요인에 대한 어머니의 조화적합성이 가장 큰 설명력을 가졌다. 또한 유아의 전체 기질에 대한 어머니의 조화적합성이 어머니의 민주적 양육태도와 만났을 때 효과가 상호상승되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유아가 적응적 기질 특성이 낮은 경우에 민주적 양육태도의 효과가 커지는 상호작용 효과가 밝혀졌다. 이 연구는 유아의 지능에 미치는 개체 변인, 환경 변인, 그리고 양자의 연결 변인과 이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밝히고 조화적합성이 기질보다 더 큰 영향력이 있음을 지지함으로써 유아 지능 관련 연구에 보다 심층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능을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지능 및 영향요인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서주현,백인호,김임렬,김수룡,조정민,Seo, Ju-Hyun,Paik, In-Ho,Kim, Im-Yel,Kim, Su-Ryong,Jo, Jung-Mi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8 생물정신의학 Vol.25 No.2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sychopathological feature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in schizophrenics with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OCS) as well as the severity of OCS according to duration of schizophrenia. Methods We randomly selected sixty four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We classifi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OCS group, non-OCS group) according to the Yale-Brown Obsessive-Compulsive Scale (Y-BOCS). Clinical and demographic features were evaluated. To assess OCS, Y-BOCS were performed.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K-PANSS), the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BPRS), the Korean version of the Calgary Depression Scale for Schizophrenia (K-CDSS), the Beck Anxiety Inventory (BAI)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were conducted.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 test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two group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uration of schizophrenia and the Y-BOCS score. Results The Y-BOCS, K-CDSS, and BAI scores were higher in the OCS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uration of schizophrenia and the Y-BOCS score. Conclusions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were severe in the OCS group.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longer duration of schizophrenia, the more severe the OCS. Therefore, the evaluation of OCS in schizophrenics should be accompanied by treatment intervention.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위험요인 선별을 통한 노모그램 구축
서주현,오동엽,박용수,이제영,Seo, Ju-Hyun,Oh, Dong-Yep,Park, Yong-Soo,Lee, Jea-Young 한국통계학회 2017 응용통계연구 Vol.30 No.4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has increased in Korea and people have become more concerned with respiratory diseases. This study selected risk factors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through demographic and clinical features and constructed a nomogram. Firs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mographic and clinical feature and the pulmonary function test results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6^{th}$ (2013-2015) and the nomogram was constructed to visualize the risk factors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terpret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The ROC curve and calibration plot were also used to verify the nomogram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서주현,이제영 한국통계학회 2018 응용통계연구 Vol.31 No.3
Nomogram is a statistical tool that visualizes the risk factors of the disease and then helps to understand the untrained people. This study used risk factors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and compared with logistic regression model and na¨ıve Bayesian classifier mode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6th (2013–2015). First, we used 6 risk factors about COPD. We constructed nomogram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and na¨ıve Bayesian classifier model. We also compared the nomograms constructed using the two methods to find out which method is more appropriate.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d the calibration plot were used to verify each nomograms. 노모그램은 질병의 위험 요인과 예측 확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통계적 도구이다. 본 논문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의 위험 요인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모형과 순수 베이지안 분류기 모형의 노모그램을 구축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데이터는 국민건강영양조사 6기(2013-2015)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총 6개의 위험 요인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모형, 순수 베이지안 분류기 모형과 각각의 구축 방법을 이용하여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노모그램을 제시하였다. 또한, 구축된 두 노모그램을 비교하여 유용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ROC curve와 Calibration plot을 통하여 각 노모그램을 검증하였다.
GNN을 이용한 웹사이트 Hierarchy 유사도 분석 기반 해외 침해 사이트 분류 모델 연구
서주현,유선모,박종화,박진주,이태진 한국융합보안학회 2023 융합보안 논문지 Vol.23 No.2
The global popularity of K-content(Korean Wave) has led to a continuous increase in copyright infringement cases involving domestic works, not only within the country but also overseas. In response to this trend, there is active research on technologies for detecting illegal distribution sites of domestic copyrighted materials, with recent studies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illegal distribution sites that often include a significant number of advertising banners. However, the application of detection techniques similar to those used domestically is limited for overseas illegal distribution sites. These sites may not include advertising banners or may have significantly fewer ads compared to domestic sites, making the application of detection technologies used domestically challenging. In this study, we propose a detection technique based on the similarity comparison of links and text trees, leveraging the characteristic of including illegal sharing posts and images of copyrighted materials in a similar hierarchical structure. Additionally, to accurately compare the similarity of large-scale trees composed of a massive number of links, we utilize Graph Neural Network (GNN). The experiments conducted in this study demonstrated a high accuracy rate of over 95% in classifying regular sites and sites involved in the illegal distribution of copyrighted materials. Applying this algorithm to automate the detection of illegal distribution sites is expected to enable swift responses to copyright infringements. 전 세계적으로 한류 콘텐츠가 유행하며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국내 저작물의 저작권 침해 사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 불법 저작물 유통 사이트를 탐지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연구는 국내 불법 저작물 유통 사이트들이 광고 배너를 상당수 포함하고 있는 특징을 활용한 연구가 존재한다. 그러나 해외 불법 저작물 유통 사이트의 경우 광고 배너를 포함하지 않거나 국내 사이트에 비해 적은 양의 광고를 포함하고 있어 국내와 같은 탐지 기술의 적용이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작물 불법 공유 사이트가 게시물과 저작물의 이미지를 유사한 계층 구조로 포함하는 특징을 이용하여 링크 트리 및 텍스트 유사도 비교 기반의 탐지 기술을 제안한다. 대량의 링크로 작성된 대규모 트리의 정확한 유사도 비교를 위해 GNN(Graph Neural Network)를 활용한다. 본 연구의 실험에서 일반 사이트와 저작물 불법 유통 사이트를 분류에 95% 이상의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 해당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불법 유통 사이트의 자동화된 탐지를 통해 신속한 저작권 침해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