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Intestinal Metaplasia among Healthy Adolescents

        박지숙,이규열,서지현,류어영,김현진,김홍준,임재영,우향옥,백승철,이우곤,조명제,이광호,고경혁,윤희상 대한상부위장관ㆍ헬리코박터학회 2015 Korean Journal of Helicobacter Upper Gastrointesti Vol.15 No.4

        Background/Aims: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incidence of intestinal metaplasia (IM) in healthy, young adults over 10 years. Materials and Methods: Urease test and histopathology by endoscopic biopsies were performed from volunteers between 1995 and 2005. Histopathological grade was assessed using the updated Sydney System. Results: In total, 714 subjects with a median age of 22.4 years were enrolled. Helicobacter pylori was observed at the antrum and body in 44.5% and 35.1%, respectively. IM limited to the antrum was present in 1.1% of the subjects. The degree of IM correlated negatively with age (P=0.04)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with H. pylori levels or the degree of chronic or active gastritis. Compared to the beginning of the study period, the positivity rate at the end of the study period droped to 45%. IM incidence did not change over the 11-year study period, whereas H. pylori-positivity and the frequency of chronic and active gastritis in the antrum and body dropped significantly over this period (P<0.05). Conclusions: This result suggests that other factors, besides chronic H. pylori infection or degree of gastritis, may contribute to the progression of atrophy to IM in healthy, young adults.

      • KCI등재

        노작교육론 기반의 ‘공동체 역량’신장을 위한 침선 공예 프로그램 개발: 두루주머니형 파빌리온 제작 사례를 중심으로

        박지숙,김미정 한국조형교육학회 2024 造形敎育 Vol.- No.89

        포스트 코로나로 인한 언택트 문화가 확산되고 에듀테크가 주목받는 산업으로 부상이 되면서 학생들의 공동체에 대한 결속이 약해지고 있는 현실을 공감하며 공예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노작교육 기반 침선 공예 프로그램을 활용한 파빌리온 제작 수업이 공동체 역량을 함양하는 데 효과적인지를 규명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연구는 침선공예와 미술 프로그램을 통합하면서 학생들에게 공동체 의식을 기르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의 장을 마련하고, 공동체의 어울림을 위한 매체로서 침선 공예의 교육적 가치를 분석하고 이것을 활용한 9차시 수업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방안은 학생들이 파빌리온을 제작함으로써 공동체 역량의 요소인 관계성, 상호 호혜성, 공감/배려를 촉진하도록하고 있다. 파빌리온은 전시장이나 박람회에서 특별한 목적을 위해 임시로 만든 건물을 뜻하며 건축계 및 문화예술계의 의미있는 야외 프로젝트로 세워진다. 본 연구에서 학생들은 파빌리온 제작을 위해서 구조물을 건설해야 하며 그 구조물들은 손바느질을 통해 광목이라는 소재에 의해서 감싸지게 된다. 이 연구는 예술 교육에 노작교육를 통합하여 공동체 의식을 고취하고 공동체 유대를 강화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측면에서 효과적인 교육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As the untact culture spread due to post-COVID-19 and Edutech emerged as a spotlight industry, the craft program was developed while sympathizing with the reality that students' solidarity with the community was weakening.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out the effectiveness of pavilion production classes using sewing crafts programs based on work-oriented education in cultivating community competence. This study aims to integrate sewing crafts and art programs, provide a place for students to learn to develop a sense of community and improve their abilities, analyze the educational value of sewing crafts as a medium for community harmony, and propose a nine-session instructional plan using it. This plan encourages students to promote relationships, mutual reciprocity, empathy/care, which are elements of community competence by creating pavilions. Pavilion refers to a building made temporarily for special purposes at an exhibition hall or fair and is established as a meaningful outdoor project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and culture and arts. In this study, students must build structures for pavilion production, and the structures are wrapped by a material called Gwangmok through hand sewing.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effective educational research i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romoting a sense of community and strengthening community ties by integrating work-oriented education into art education.

      • 이산화탄소 농도 및 온도 상승이 지누아리의 생장, 광합성 색소, 영양염 흡수에 미치는 영향

        박지숙,황정화,송혜인,유현일,김장균 한국조류학회I 2021 수생생물 Vol.1 No.1

        해양 산성화와 지구 온난화는 전 세계적으로 공통적인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홍조류 지누아리(Grateloupia filicina)는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 분포하고 있는 해조류로써 본 연구는 상승하는 이산화탄소 농도와 온도가 지누아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지누아리 엽체를 18°C와 25°C 온도조건에서 20일간 500, 900, 1,800 ppm 농도의 이산화탄소에 노출시켜 배양하였다. 또한 폭기(aeration)의 효과를 판단하기 위해 지누아리 엽체를 넣지 않은 대조군도 같은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상대생장률(RGR), 광합성 색소 함량(R-phycoerythrin, R-phycocyanin, Chlorophyll a, Carotenoids), 영양염(인산염, 질산염) 흡수율을 매 5일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상대생장률의 경우 이산화탄소 농도에 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온(25°C), 고농도의 이산화탄소(1,800 ppm) 조건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광합성 색소의 경우 조건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산화탄소와 온도가 상승하면서 영양염 최대 흡수율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해양 산성화와 온난화의 복합적인 영향이 지누아리의 성장과 영양소 섭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Ocean acidification and global warming have been environment concerns worldwide. A red alga, Grateloupia filicina, is known as a cosmopolitan species, inhabiting in all continents except for Antarctica.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elevated CO2 and temperature on G. filicina. G. filicina blades were exposed to 500 (control), 900 and 1,800 ppm of CO2 at 18 and 25°C for 20 days. In addition, to determine the effect of aeration, a blank control without seaweed was placed at the same conditions. Specific growth rate (RGR), photosynthetic pigments (PE: Phycoerythrin; PC: Phycocyanin; Chlorophyll a; and Carotenoids) and nutrients (phosphorus and nitrate) uptake rates were measured every 5 day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photosynthetic pigments were observed at all conditions. CO2 did not affect RGR, but the high temperature (25°C) significantly reduced the growth of G. filicina when cultivated at 1,800 ppm. Maximum phosphorus and nitrate uptake rates were decreased as temperature and CO2 concentration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ed effects of ocean acidification and warming may negatively affect the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G. filicina.

      • KCI등재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학교 내 현장실습 운영에 대한 경험과 인식

        박지숙,이미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敎員敎育 Vol.36 No.3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field practice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of general high schools affect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examine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 of teachers who run on-site practice in schools. For this study, sev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general high schools were involved,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interviews. Ther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cused on improving responsibility and learning workplace etiquette to help students with disabilities develop through on-site practices in schools. Second, through on-the-job training in schools, students with disabilities developed the desire to seek employment through receiving a salary, and it became an opportunity to discover new aspects about themselves, and the practice in a familiar environment had positive effects on adapting to work. Third, the limitations of on-site practices conducted within schools were limited to the choice of jobs available in schools, reduced job adaptability, and class deficits caused byon-site practices and confusion regarding the status of students. Finally, misconceptions about field practices operations in schools have shown general teachers' misunderstanding, job guidance teachers' non-cooperation, and school officers' indifference. In order for field practices in schools to operate efficiently,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that cooperation in local communities andon-site practices in schools should be mitigated by operations and the interests and cooperation of school members.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내 현장실습을 운영하는 교사의 경험과 인식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K도 소재 7명의 일반계 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가 참여하였으며, 면담을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들은 학교 내 현장실습을 통해 장애학생의 책임감 향상과 직장예절 습득을 중점적으로 지도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 내 현장실습을 통해 장애학생은 취업하고자 하는 의지를 향상시킬수 있었고, 익숙한 환경에서의 실습은 업무에 적응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교 내에서의 직종 선택의 제한, 직업 현장 적응력 감소, 현장실습으로 인해 발생되는 수업결손과 학생으로서의 신분 혼란이 발생되었다. 넷째, 일반교사의 학교 내 현장실습에 대한 부족한 인식, 직무지도교사의 비협조, 관리자의 무관심이 학교 내 현장실습 운영을 어렵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 내 현장실습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협력과 학교 내 현장실습에 운영에 따른 특수교사 업무의 경감 및 학교 구성원의 관심과 협조가 요구된다.

      • KCI등재

        아동의 기질 및 어머니 양육행동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지숙,박성연 한국인간발달학회 2008 人間發達硏究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s a function of child temperament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The subjects were 286 1st- an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reported by mothers or the teachers of the subject children.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mong the three temperament dimensions, only that of 'activity level' was able to predict emotion regulation. Specifically, children with higher activity levels exhibited lower emotional regulation. Moreover, the researcher was able to identify the interactional effects of child temperament and parenting in relation to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Over and above gender, children with lower activity levels exhibited higher emotion regulation according to the mother's higher democratic, lower coercive, and lower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s. In conclusion, parenting behaviors moderat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levels of tempera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 KCI등재

        Semi-Tensor Product 연산을 이용한 불리언 네트워크의 정적 제어

        박지숙,양정민,Park, Ji Suk,Yang, Jung-Min 대한전기학회 2017 전기학회논문지 Vol.66 No.1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static control of Boolean networks described in the framework of semi-tensor product (STP) operation. The control objective is to determine control input nodes and their logical values so as to stabilize the considered Boolean network to a desired fixed point or cycle. Using topology of Boolean networks such as incidence matrix and hub nodes, a set of appropriate control input nodes is selected, and based on STP operations, we assign constant control inputs so that the controlled network can converge to a prescribed fixed point or cycle. To validat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scheme, we conduct a numerical study on the problem of determining control input nodes for a Boolean network representing hierarchical differentiation of myeloid progenitors.

      • KCI등재후보

        환경회화(Site-Specific Art)의 성격과 유형고찰

        박지숙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6 미술교육연구논총 Vol.19 No.-

        Site-Specific art refers to art that emphasizes the artistic function of the environmental-centric aspect of a specific space/architecture. This art is an important resource of the culture of 21st century because it can increase cultural tourism sites, create artistic scenery at tourist sites, improve the city image, and is rapidly increasing in its cultural value. Environmental art that considers the originality and the variety of the city-improvement method and the preservation of each area’s culture, history, and ecosystem especially needs a professional study and an expansion in teaching methods in drawing techniques. The goal should be to expand expressions of urban-environmental art by inventing and utilizing various materials and to increase artistry and accessibility. 攀논문 1차 심사 6월 22일, 2차 심사 7월 18일, 3차 심사 7월 23일 攀攀Site-specific art increases the quality of life and creates aesthetic and beautiful environment; as this art has a huge social welfare impact, its educational effect has an equally important role. An educational approach should contain the expansion of the expression of urban site-specific art by utilizing and inventing various artistic materials and mediums as well as leading the active participation of art education. The definition of site-specific art and its terms, as well as the examin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urban environment and art, was conducted with aforementioned views in mind. We have also examined the role and function of site-specific art, especially the role of open space and the current state of administration.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주제어(Key word): 싸이트-스페시픽 아트(Site-Specific Art; 환경 특성화 미술), 스튜디오 아트(Studio Art),공간회화(Space Painting), 열린 공간 회화(Open Space Painting), 온사이트 아트(On-Site Art) 미술이 환경 또는 특정 공간․건축에 적용되는 환경 중심의 예술적 기능이 강조되는 회화를 환경회화라고 한다. 이 회화는 문화 관광자원 확대, 관광지에 예술경관 조성, 도시 이미지 제고를 통해 문화의 경제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21세기 문화의 세기에 중요한 자원으로서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도시개발방식에 개성과 다양성을 부여하고 각 지역의 문화, 역사, 환경보존을 고려하는 환경회화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와 회화 영역에서 확장된 수업방법도 개발되어야 한다. 특히 다양한 표현재료를 개발하고 활용하여 도시 환경미술의 표현을 확대시키고 예술적, 심미적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환경회화는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쾌적하고 미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등 문화 복지적 효과가 큰 만큼 교육적 효과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육적 측면에서는 다양한 표현재료와 매체를 개발하고 활용하여 도시 환경미술의 표현을 확대시키고 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주도하는데 연구를 주력하여야 한다. 이러한 내용을 목적으로 환경회화의 정의와 개념규정을 하고 도시환경과 회화의 관계를 고찰했다. 또한 환경회화의 역할과 기능, 특히 개방 공간의 역할과 관리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디자인씽킹 기반의 공감 능력 신장을 위한 ‘아트보드게임’ 개발 및 적용 –미술 영재 PED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

        박지숙,홍혜영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1 No.4

        This study began with the view that students have interests in Art Board Game programs and practice empathy by focusing on the enhancement of empathy, which is emphasized as a way to enhance competence and convergence art education in line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is an activity to design Art Board Game models that include Gamification elements and develop Design Thinking-based Art Board Game, defined as a PED(Play, Empathy, Design) program. The research target was art-gifted students, and it was planned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experience high-level empathy. It is a plan for practicing Interactive Art to develop interactive Art Board Game, it focused on the process of reflecting student opinions and promoting empathic communication as a case study for convergence art education. The Art Board Game model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and presented as a Design Thinking-based PED program, analyzing surveys and results. As a result, students were interested in developing games with Gamification, and based on Design Thinking, they positively evaluated that their works are meaningful in enhancing empathy. In addition, it confirmed the achievement of the program's goals by showing the agency as art in which their works effectively experienced empathy. Therefore, the PED program presented positive impacts on the effects of classes to improve empathy, confirmed the demand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specific practice.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in the future, Art Board Game classes should be developed so that they can be actively applied to schools.

      • KCI등재

        공감 능력 신장을 위한 게이미피케이션 기반의 ‘아트 보드게임’ 적용 연구 - 융합예술 이미지 연상법 실행을 중심으로 -

        박지숙,홍혜영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5

        코로나19 사태로 언택트(Untact) 시대가 도래하여학교 교육에서는 이에 따른 문제 해결로 공감 능력, 예술적 감성, 문화적 경쟁력을 갖춘 융합 인재 교육에주목하게 되었으며, 매체와 콘텐츠의 확장과 장르의경계를 넘어선 다차원적 통합의 융합예술이 시도되고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게이미피케이션에 기반한 ‘아트보드게임’을 통한 공감 능력 신장을 위한 구체적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실행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초등 미술교육과정의 미적 체험, 표현, 감상 영역에따라 구성하고 공감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급을 선정하여 변증법적 나선형 실행연구 모형에 따라 실행하였다. 희망자를 대상으로 아트 보드게임 수행 과정을 살핀 후, 공감 능력을 위한 교육과정에 따라 재구성했으며 구체적 내용을 언급하기 위해 인터뷰, 심층면담, 설문지를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아트 보드게임을 통한 융합예술 이미지 연상법으로 감정을 미적 이미지로 표현하고 공감을 구체화하였으며 감정 이해 및 감정 인식에 긍정적영향을 주었다. 둘째, 명화 작품 속 인물과 공감하고상황에 적절한 공감의 방법을 이해하며 공감에 따른상황 대처 방법을 이야기함으로써 정서적 관점을 수용하였다. 셋째, 조형 요소와 원리를 아트 보드게임을통해 학습하고 이를 적용하여 대상을 위한 디자인을제안하는 과정에서 공감적 소통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인지, 정의, 의사소통적 공감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일반화하기- 132 - 위해 현장 적용에 적합한 교구 개발 및 다양한 프로그램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