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짝임 변성 방지 처리 인공수정체가 안구 내 스트레이라이트에 미치는 영향

        강민지,황형빈,정성근,Min Ji Kang,Hyung Bin Hwang,Sung Kun Chung 대한안과학회 2014 대한안과학회지 Vol.55 No.7

        <b>Purpose:</b> To compare intraocular straylight between glistening-free and conventional intraocular lenses in pseudophakic eyes. <b>Methods:</b> Straylight values were measured prospectively in 21 eyes with glistening-free pseudophakic lenses (group A, model enVista™, Bausch & Lomb, Inc., USA) and 79 eyes with conventional hydrophilic pseudophakic lenses (group B, model Akreos MI-60, Bausch & Lomb, Inc., USA).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and straylight were measured preoperatively and 1 month and 2 months postoperatively using C-quant straylight meter (Oculus GmbH, Wetzlar, Germany). <b>Results:</b>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BCVA preoperatively or 2 months postoperatively between the 2 groups (<em>p</em> > 0.05). BCVA and straylight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operation (<em>p</em> < 0.05). The mean straylight values were 1.43 ± 0.12 (log[s]) and 1.41 ± 0.16 (log[s]) for group A, and 1.33 ± 0.61 (log[s]) and 1.40 ± 0.82 (log[s]) for group B at postoperative 1 month and 2 months, respectively,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2 groups (<em>p</em> > 0.05). <b>Conclusions:</b> In terms of straylight, glistening-free intraocular lenses were not beneficial. Although strayligh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ther correlations between glistening and visual function should be investigated.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7):1001-1006

      • KCI등재

        부산지역 대학생의 짠맛 선호도에 따른 소금 섭취 식행동 차이와 상관성 분석

        강민지,최기보,류은순,Kang, Min-Ji,Choi, Ki-Bo,Lyu, Eun-Soon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5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1 No.4

        본 연구는 부산지역 4개 대학 급식소를 방문한 학생 977명을 대상으로 짠맛 자가 선호도 및 소금 섭취 관련 식행동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저염 식사 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짠맛 자가 선호도는 '싱겁다' 18.8%, '보통이다' 45.8%, '짜다' 35.3%이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짠맛에 대한 자가 선호도가 유의적(p<0.01)으로 높았다. 저염식의 의미를 아는 학생은 조사대상자의 79.8%이며, 남학생은 75.3%, 여학생은 84.7%으로 유의적(p<0.01)인 차이를 보였다. 짠맛 자가 선호도가 '싱겁다', '보통이다'인 학생은 '짜다'인 학생보다 저염식 인지 비율이 유의적(p<0.01)으로 높았다. 소금 섭취 식행동에서,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건어물, 생선자반 등을 자주 먹는다', '국이나 국수류의 국물을 다 먹는 편이다'(p<0.01)와 '김치류를 많이 먹는다', '튀김이나 전 생선회 등에 간장 고추장을 듬뿍 찍어 먹는다'(p<0.05)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짠맛 자가 선호도에 따른 소금 섭취 식행동 전체 평균점수는 '싱겁다' 2.49/5.00점, '보통이다' 2.87/5.00점, '짜다' 3.19/5.00점으로 각 짠맛 선호도에 따라 유의적(p<0.01)인 차이를 보였고, 소금 섭취 섭취 식행동의 모든 세부항목에서 짠맛 자가 선호도가 낮은 학생이 높은 학생보다 소금 섭취 식행동 점수가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저염식을 인지하는 학생이 비인지 학생보다 소금 섭취 식행동 전체 평균점수가 유의적(p<0.01)으로 낮았으며, '국이나 국수류의 국물을 다 먹는 편이다', '생구이보다 양념구이 조림류를 선택한다', '라면을 자주 먹는다' (p<0.01)와 '외식을 하거나 배달을 자주 시켜먹는다'(p<0.05)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짠맛 자가 선호도는 평상시 식사에서 간장, 고추장, 소금 등을 섭취하는 식행동과 유의적(p<0.01)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앞으로 대학교에서는 학내에서 학생들에게 짠 맛에 대한 선호 및 짠맛 미각 판정 검사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소금 섭취 문제점을 고취시켜 저염식에 대한 인지를 높이며 나트륨 저감화가 실생활로 연계 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천 방안 교육과 홍보가 전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the meaning of a low-sodium diet as well as the self-reported preference of saltiness and sodium-intake related dietary behaviors for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977 students (male: 512, female: 465). For the self-reported preference of saltiness, 45.8%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moderate' preference, 35.3% reported 'salty' preference, and 18.8% reported 'unsalty' preference. Male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females (p<0.01). Regarding awareness of the meaning of a low-sodium diet, 20.8 % of the students did not recognize the phraseand, males had significantly lower awareness than females (p<0.01). The 'salty'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rate than others (p<0.01). Males had significant higher sodium-related dietary behaviors scores than females for the following questions 'I often eat dried seafood and salted seafood', 'I usually eat all the broth in soups or stews' (p<0.01), 'I usually eat a lot of kimchi and salt-pickled vegetables', 'I usually eat soy dip or hot pepper dip with sushi and fritters' (p<0.05). Mean scores for sodium-related dietary behaviors by self-reported preference of saltiness were 2.49/5.00 (unsalty), 2.87/5.00 (moderate), and 3.19/5.00 (salty), respective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p<0.01). The lower the scores for the self-reported preference of saltiness, the lower the scores for sodium intake-related dietary behaviors (p<0.01). The average score for sodium-related dietary behaviors in the group familiar with the meaning of a low-sodium die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group that 'did not know' (p<0.01).

      • KCI등재

        전기방사를 이용하여 제조한 PLGA/Graphene 복합 섬유지지체의 인장성질과 세포독성

        강민지,김형환,박아름,김현정,박영환,Kang, Min Ji,Kim, Hyung Hwan,Park, A Ruem,Kim, Hyun Jung,Park, Young Hwan 한국섬유공학회 2013 한국섬유공학회지 Vol.50 No.1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LGA/graphene composite scaffold prepared by electrospinning method for its possible application in biomedical fields. Mixture of 16 wt% PLGA and 0.1~1.0 wt% well-dispersed graphene dissolved in 1,2-dichloroethane co-solvent was used as a dope solution for fabricating a mat type of electrospun PLGA/graphene composite scaffold. The morphological structure of the composite scaffold was examined by FE-SEM, indicating that monolayered graphene was well hybridized inside the PLGA microfiber (ca. 900~1000 nm fiber size). Indirect evidence of graphene inclusion in the composite scaffold was confirmed by X-ray diffraction analysis and thermal gravimetric analysis quantitatively. As a result of tensile test, the PLGA/graphene composite scaffold had an excellent tensile strength (2~2.5 times higher), breaking strain (2.5~3.5 times higher) and Young's modulus (1.2~2.4 times higher) compared to electrospun PLGA scaffold. Cytotoxicity and cell proliferation of the composite scaffold were also performed by MTT assay using MC3T3-E1 and NIH3T3 cell, showing that graphene-containing PLGA scaffold has no cytotoxicity and even much better cell adhesion and proliferation ability.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electrospun PLGA/graphene composite scaffold can be potentially used in biomedical applications for tissue engineering, due to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s well as high cell compatibility.

      • SCOPUSKCI등재

        Blaschko선을 따라 발생한 색소성 편평태선

        강민지 ( Min Ji Kang ),양보희 ( Bo Hee Yang ),방찬일 ( Chan Yl Bang ),변지원 ( Ji Won Byun ),송희진 ( Hee Jin Song ),최광성 ( Gwang Seong Choi ),신정현 ( Jeonghyun Shin ) 대한피부과학회 2013 대한피부과학회지 Vol.51 No.2

        Lichen Planus Pigmentosus (LPP), an uncommon variant of lichen planus, is clinically characterized by insidious onset of diffuse or reticulated hyperpigmented patches on the sun-exposed areas and flexural folds. Histopathologic findings of LPP show atrophic epidermis with vacuolar degeneration of the basal cell layer and sparse lichenoid lymphohistiocytic infiltration with melanophages in the dermis. Although there have been few reports of LPP, clinical and histological pathogenesis and prognosis are not well known. Herein, we describe a case of linear LPP along the Blaschko`s lines in 34-year old Korean man who presented with linear hyperpigmented, dark brown patches on his left thigh, repeatedly developing new lesions of erythematous reticular patches since puberty. This report shows the early events of LPP and the protracted course. (Korean J Dermatol 2013;51(2):123∼126)

      • 다차로 ETC의 적정 제한속도에 관한 연구

        강민지 ( Kang Min-ji ),박현수 ( Park Hyun-su ),권오훈 ( Kwon Oh Hoon ),박신형 ( Park Shin Hyoung ) 한국도로교통공단 2020 교통안전연구 Vol.39 No.-

        다차로 ETC는 두 개 이상의 ETC 차로를 연결하여 보다 넓은 차로 폭을 확보함으로써 운전자가 사고위험 없이 빠른 속도로 고속도로 요금소를 통과할 수 있도록 설치된 시설이다. 그러나 현재 운영 중인 다차로 ETC의 제한속도는 명확한 기준이 부재하고, 운영자의 경험적 판단에 따라 설정하고 있어 안전성 측면에서 적절한 속도로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판단 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차로 ETC의 적정 제한속도에 대한 기준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드론을 통해 수집한 실주행 자료를 기반으로 다차로 ETC의 적정 제한속도를 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차로 ETC의 적정 제한속도 산정에 사용한 지표는 주행성과 안전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다차로 ETC의 도달속도와 교통류 간의 상대속도를 사용하였다. 주요 지점별로 MTC(Manual Toll Collection) 이용 차량과 다차로 ETC 이용 차량의 MSSD(최소정지거리) 식을 통해 산출한 속도와 실주행속도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적정 제한속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은 향후 다차로 ETC 설치 시 적정 제한속도 설정 기준을 수립하는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multi-lane electronic toll collection (ETC) is a facility that allows drivers to pass through a highway toll plaza at high speed by connecting two or more ETC lanes to secure wider lanes. However, i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or’s empirical judgment without clear criter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ethodology to set appropriate speed limits in a multi-lane ETC by considering safety and traversability based on actual speed data collected from drones. The indicators used to calculate the appropriate speed limit in a multi-lane ETC are the speed at the entrance of the multi-lane ETC, and the relative vehicle speed between traffic flow of the manual toll collection and traffic flow of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appropriate speed limits for installing multi-lane ETC in the future.

      • KCI등재

        아동전문병원의 대기공간 이미지 개선을 위한 아동의 선호도 비교분석

        강민지 ( Kang Min-jee ),이경현 ( Lee Kyoung-hye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2 No.-

        최근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소비자들은 병원에서 단순 치료의 목적을 넘어, 의료 서비스의 요구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부응하기 위하여 병원들은 의료시설의 차별화, 특성화로 개성을 살려 병원 실내디자인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특히 아동은 어른들과 달리 병원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심리적으로 환경에 많은 자극을 받는다. 따라서 아동전문병원은 의료서비스 뿐만 아니라 병원에 대한 심리적인 불안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아동의 심리적인 측면까지 고려한 시각적 환경의 설계가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아동전문병원 대기공간의 이미지를 4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 대상은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일반병원이 아닌 아동전문병원이라는 특별한 상황에서 아동은 일반성인과는 선호도가 어떻게 다른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아동과 성인을 함께 설문 진행하였다. 또, 설문조사과정에 아동이 일상적이고 평범한 상황이 아닌 병원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심리적 안정을 위하여 일상과 다른 특정요소를 필요로 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아동이 평소 마음의 불안감 없이 활동하는 공간인 유치원과 함께 비교분석하였다. 조사한 결과 성인의 경우 유치원에서는 팝아트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고 모던한 이미지가 가장 낮게 나왔지만 병원에서는 자연적인 이미지의 선호가 상승하였으며 팝아트이미지의 선호가 가장 낮게 나왔는데 그 이유는 `청결하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어른이 아동에 비해 병원의 특성상 청결함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취학 아동의 경우 유치원에서는 일러스트레이션과 팝아트 간에 큰 차이가 없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던이미지를 가장 낮게 선호하였지만 병원의 경우에는 일러스트레이션 이미지의 선호도가 크게 증가하였고 모던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지 않아 그 차이가 매우 유의미하게 나왔는데 그 이유로는 `편안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부분에서 아동이 병원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심리적으로 불안함을 느끼기 때문에 편하고 즐거운 유치원이라는 공간에 비해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기 위하여 일러스트레이션적인 이미지를 특히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아동전문병원 대기공간의 디자인이 나아가야할 방향과 개선할 점을 제시함으로써 아동전문병원 대기공간의 디자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다주길 기대한다. As the quality of life increases, consumers` demands from the hospitals are gradually increasing beyond the treatments to the medical services. To meet this demand, the hospitals are attempting a change in interior design through emphasizing the uniqueness with differentiation and specialization of medical facilities. Children, unlike adults, especially get psychologically stimulated by the environment because of the particularity of hospital. Therefore children hospitals will need to design a visual environment not just including the medical services but also by considering the psychology of the children to alleviate the psychological anxiety. Thereupon, this essay analyzed and investigated on the images of children hospital waiting room. According to the results, adults preferred pop art images the most in kindergarten and least preferred was the modernistic images, but in the hospital, naturalistic images were the most preferred because of the cleanliness and the least preferred was the pop art images. This means adults think of the cleanliness in the hospitals characteristically important compared to the children. In case of preschool childr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between illustrations and pop art. Modernistic images were the least preferred but the preference of illustration images in hospital greatly increased and modernistic images were least preferred, so there seemed to be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comfortable” as a reason had the most number of votes. From here, we could see that the children prefer illustrative images so they can feel psychologically stable because special environment like hospitals can make them feel anxious not like comfortable and enjoyable kindergarten. Through this study, by suggesting the direction and the improvements to make on the children`s hospital waiting room, we expect it will bring positive influence to the designing of children`s hospital waiting room.

      • 다감각자극 표현요소에 의한 치유환경으로서 명상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강민지(Kang, Min-Ji),윤은경(Yun, Yean-Kyung)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5

        As the side effect of the modern obsession over materialistic values and economic growth, contemporary society has become vulnerable to various mental trauma and stressful environments. Against such era-specific backdrop, meditation has become the focus of much attention and research as a new means of healing. However, as the research on the physical space for meditation remains scarce,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potential of meditation space as a new healing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s that existing meditation spaces are simple in form and provide restrained stimulus, much in line with traditional concepts of religious meditation. In order to present the way ahead for meditation space that meets the needs of contemporary society and can serve as a new healing environment, this study analyzes the composition of meditation spaces to derive spatial and environmental design language. This study also identifies expressive design elements based on the scalability, relatability, temporality, and unconsciousness of multi-sensor stimulus. Through these elements, this study presents a way to induce a sensory experience that traditional meditation spaces lacked and thereby suggest a new healing space that can integrate the human mind and body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 나주 불회사 대웅전 및 명부전 목부재 수종 및 연륜연대분석

        강민지 ( Minji Kang ),이광희 ( Kwanghee Lee ),김수철 ( Soochul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22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1

        나주 불회사 대웅전은 익공계 맞배지붕형태의 건물로 1799년(정조 23년)에 나한전과 함께 지었다는 기록만 있을 뿐 그 외의 중건 및 수리 기록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대웅전, 명부전 건물의 수종 및 연륜연대분석을 실시하여 건축물의 정확한 연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웅전 목부재 60점과 명부전 목부재 16점을 대상으로 특수제작된 코어형 비트를 이용하여 수피근처에서 연륜 연대분석시료를 채취하였다. 수종분석 결과, 소나무류 19점, 상수리나무류 13점, 졸참나무류 4점, 느티나무 16점, 전나무속 3점, 비자나무 2점, 측백나무속 1점, 미송속 1점, 가문비나무속 1점 등으로 식별되었다. 명부전에서의 목부재 16점 중 느티나무 9점, 소나무류 2점, 상수리나무류 1점, 단풍나무 1점, 졸참나무류 1점, 서어나무속 1점, 삼엽송류(외래산 소나무) 1점 등으로 식별되었다. 연륜연대분석은 시료를 고정대에 부착 후 사포로 연마하여 연륜폭측정기를 이용해 0.01mm 정확도로 측정하였다. 측정된 연륜폭그래프는 그래프와 통계분석을 이용한 크로스데이팅(cross-dating)을 통해 시료의 정확한 생육연대를 각 연륜에 부여하였다. 연륜연대분석 결과 대웅전의 소나무류 연대기는 1718-1797년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명부전의 소나무류 연대기는 대웅전 소나무류 연대기 연륜패턴과 일치하여 최종 1750-1798년 연대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나주 불회사 대웅전과 명부전은 거의 동일한 시기에 중건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연륜연대 대상 시료들 중에서는 중건 연대 이외의 시기가 확인되지 않았다. 수종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된 일제 강점기 이후의 수리 이외에는 중건 이후 수리가 없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