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압력 바이오피드백 제공에 따른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하지패턴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근력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진,송명수,Park, Jin,Song, Myung-Soo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2020 PNF and Movement Vol.1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trength and walking ability of chronic stroke patients following either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pattern training with pressure biofeedback units (feedback group) or PNF pattern training without pressure biofeedback units (control group). Methods: Eighteen participants with chronic stroke were recruited from a rehabilitation hospital.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feedback group (n = 8) and a control group (n = 10). They all received 30 minutes of neurodevelopmental therapy and PNF training for 15 minutes five times a week for three weeks. Muscle strength and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were measured. Muscle strength was measured by hand-held dynamometer; gait parameters were measured by the Biodex Gait trainer treadmill system. Results: After the training periods, the feedback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hip abductor muscle strength, hip extensor muscle strength, step length of the unaffected limb, and step time of the affected limb (p<0.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attern training with pressure biofeedback units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hip muscle strength and walking ability than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attern training without pressure biofeedback units. Therefore, to strengthen hip muscles and improve the walking ability of stroke patients, using pressure biofeedback units to improve trunk stability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이야기치료와의 연계를 통한 문학치료의 발전 방향

        박진 한국문학치료학회 2018 문학치료연구 Vol.46 No.-

        The special research significance of literary therapy is the anthropological possibility of narrative theory in literary therapeutics. First, this essay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narrative theory in literary therapeutics centered on the complexity of "narrative"(story-in-depth) and the "subject of narrative." On the other hand, its limits mainly appeared in clinical therapeutic studies caused by medical discourse, pathological viewpoint, expert power and so on. The connection with narrative therapy can compensate for these limits in literary therapy.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narrative therapy, participants are the subjects of the narrating act who create their own life stories from innumerable detailed experiences. Narrative therapists are "assistants" in these interactive "re-authoring conversations." Their intention is not to co-construct stories that describe experiences, but to co-construct stories through which people can live in preferred ways. Accepting this viewpoint, literary therapists can help participants more efficiently change their "story-in-depth of selves" which is closely associated with life stories and real lives. Through this transformation, people's own identities and values can be reflected in their story-in-depth. This connection with narrative therapy can extend the meaning of literary therapy as an ethical and social praxis. 문학치료의 연구 성과는 특히 서사의 다층성에 기반을 둔 서사이론의 인간학적 가능성에 있다. 이 글에서는 우선 ‘서사’ 개념과 ‘서사의 주체’ 논의를 중심으로 문학치료학 서사이론의 의의와 잠재력을 검토하였다. 이어서 주로 임상연구에 나타난 문학치료학의 한계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상담치료의 한 경향인 이야기치료의 관점과 실행 양상을 통해 보완의 방향을 찾아보고자 했다. 문학치료의 참여자는 자기서사와 실제 삶의 경험들, 그리고 생애 이야기가 긴밀하게 교섭하는 장이자 그 관계망 속에서 이야기를 만들고 이야기를 살아가는 ‘서사의 주체’이다. 삶의 경험들과 생애 이야기의 관계에 집중하는 이야기치료의 관점을 발전적으로 수용한다면, 문학치료는 참여자의 자기서사가 생애 이야기로 구현되고 그럼으로써 실제 삶을 변화시키는 과정에 더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을 것이다. 문학치료학은 또한 작품서사와 자기서사의 관계뿐 아니라 치료자와 참여자 사이의 상호작용 관계에도 좀 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전문가 권력, 정신의학의 담화, 병리학적 관점 등으로부터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참여자의 이야기를 잘 듣고 공감적인 지지자로서 함께 참여하는 협력적 대화의 과정이 동반돼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할 때 문학치료자는 참여자의 자기서사가 변화하고 성장해가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 과정에 특히 참여자 자신의 정체성과 가치관이 적극적으로 반영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그리하여 참여자가 자신이 원하는 삶의 방향을 발견하고 그런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격려한다면, 문학치료는 윤리적이고 사회적인 실천으로서의 의의를 더욱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셸링의 예술철학에 대한 고찰 ― 독일이상주의에서 철학과 상상력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진 대동철학회 2006 大同哲學 Vol.34 No.-

        근대철학의 역사 속에서 셸링은 “미학”(Ästhetik)으로부터 “예술철학”(Philosophie der Kunst)에로의 전환을 본격적으로 수행한 철학자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성론의 전통 속에 서 있던 바움가르텐에 의해 최초로 명칭이 부여된 근대 서구의 “미학”(Aesthetica)(1750)은 샤프츠베리, 버크 등 영국 경험론적 전통을 거쳐 취미판단의 기준을 마련한 칸트의 “판단력비판”을 통해 비로소 본격적으로 체계화되고 학문적인 입지가 마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칸트를 계승한 독일이상주의의 전통 속에서 셸링에 이르러 비로소 예술은 철학의 가장 중요한 주제로 부각되게 되며, 그에 의해 “예술철학”은 이제 전 철학 체계 건축의 “마감돌”(Schluß- stein)이자 절대자를 파악하고자 하는 “초월철학”의 열쇠로 간주된다. 예술을 통해 그는 절대자의 실재적인 표현이 가능하다고 보았으며, 예술가의 “미적 직관” 속에서 유한자 안의 무한자를, 양자의 참된 동일성을 포착하고 형상화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런 생각이 낭만주의의 철학적 기초를 제공해 주었다. 이런 셸링의 예술에 대한 평가의 배후에는 “절대자”를 파악하고자 하는 사변적 관심과 “신적 창조”에 대한 깊은 관심이 숨겨져 있다. 셸링의 예술철학은 인간의 예술창작의 과정을 신의 관점, 창조의 관점과 유비적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때문에 그에게는 상상력이나 천재의 개념이 중요한 것으로 등장한다. 칸트에서 상상력은 감각과 사유, 감성과 지성을 인식론적으로, 심미적으로 매개하고 조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데 그치지만, 셸링에 있어 상상력은 존재론적으로 변형되게 되며, 형이상학적 의미에서 자연과 이성, 객체와 주체, 인식과 행위, 필연과 자유, 실재와 이념, 무의식과 의식 등 모든 대립자와 유한자를 통일하는 힘으로 이해된다. 이런 상상력의 형이상학적 의미는 노발리스 등 낭만주의자들에게 계승되며 이제 상상력은 자연과 정신, 이론과 실천, 이를 매개하는 인간의 예술 안에서 스스로 현시하는 창조적이고 생산적인 힘 자체와 동일시된다. Philosophie und Einbildungskraft im deutschen Idealismus ― Park, Jin ― Die vorliegende Arbeit stellt sich die Aufgabe, einige wesentliche Bedeutungen und Funktionen von Einbildungskraft bei Kant, Fichte, Scheliing kurz herauszustellen, das wichtigste Verhaeltnis von Kunst und Einbildungskraft bei Schelling in diesem Zusammenhang der Geschichte des deutschen Idealismus nachzugehen. Der Begriff Einbildungskraft spielt eine bedeutende Rolle nicht nur bei Kant und Fiche, sondern auch bei Schelling. Diese Arbeit betrachtet die Bedueutug und Rolle der Einbildungskraft in der Kunstphilosophie von Schelling. Das System des transzendentalen Idealismus(1800), in dem die Behauptung von der fundamentalen Funktion der Kunst aufgestellt wird, gilt als das Hauptwerk der transzendentalphilosophischen Periode Schellings. Die Einbildungskraft spielt in der Transzendentalphilophie Schellings eine wichtige Rolle und wird weiterhin in der späteren Kunstphilosophie angewendet. Die Philosophie der Kunst von Schelling ist die Ontologie, in der enie absolute Synthese oder Wechseldurchgringung der Freiheit und der Notwendigkeit darstellt wird. In diesem Zusammenhang spielt die Einbildungskraft eine zentralle Rolle als die einigende Mitte zwischen Vernunft und Natur, Subjekt und Objekt, Freiheit und Notwendigkeit, Idealität und Realität, Unendlichkeit und Endlichkeit, Wissen und Handlung, Bewusstsein und Unbewusstsein.

      • KCI등재후보

        말더듬 발생과 언어발달: 신경학적 설명

        박진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2 언어와 정보 사회 Vol.18 No.-

        Park, Jin (2012), "Stuttering Onset and Language Development: A Neurological Model," Language & Information Society 18. Most stutterers begin to stutter during the preschool years. Evidently, children at this age are in the middle of acquiring some advanced language skills towards adult-like communication. Thus,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onset of stuttering and some processes of the child`s language development, The present paper aims to provide a neurologically-based explana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ergence of stuttering behaviors and some patterns of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The main poi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Stuttering can be considered as a disorder in sensori-motor integration due to a decreased white-matter integrity of the arcuate fasciculus. The emergence of stuttering behaviors related to some processes of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can also be explained in terms of aberrant maturation of the arcuate fasciculus in children who stutter.

      • KCI등재

        융(C. G. Jung)의 분석심리학으로 본 영화 <크루엘라>의 개성화(Individuation) 과정과 신화적 상징성 ― ‘그림자’의 통합과 ‘모성 콤플렉스’ 문제를 중심으로

        박진 한국문학치료학회 2022 문학치료연구 Vol.65 No.-

        The movie Cruella is a film that richly embodies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the core of Jungian psychology. According to Jung, individuation refers to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wholeness of the “Self” by integrating unconscious elements of the Ego: the center of conscious life. In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we first assimilate the “Shadow”, which is the dark part of the Ego’s personality, and recognize the complex, elements of the Personal Unconscious. We also become conscious of the Archetypes underlying the complex. Through this, individuation ultimately aims to realize “autonomous whole human beings.” In the movie Cruella, Estella’s wholeness is divided into Ego and Shadow due to the biased development of her personality. Her shadow becomes increasingly powerful, and eventually she merges with her shadow after the reversal of the opposite pole. Her individuation process is closely intertwined with the “Mother Complex” that combines the Personal Unconscious and the archetypal mother imago. Therefore, this essay examines the process by focusing on the problem of the Shadow and Mother Complex. For Estella, accepting and assimilating the dark shadow named Cruella is not only a realization of her own creative potential but also an ethical request that includes moral issues. Meanwhile, her mother complex is related to the mythic mother imago: “nurturing mother” and “swallowing mother”. Her individuation is also a process of internal struggle to liberate her regressive libido tied to the mythic “dual mother.” This analysis suggests what the mythical story of the movie Cruella means to us as a symbolic unconscious drama. <크루엘라(Cruella)>는 융 분석심리학의 핵심인 개성화(Individuation) 과정을 풍부하게 형상화한 영화이다. 융에 따르면 개성화는 의식적 삶의 중심인 자아(Ego)가 무의식의 요소들을 통합해나가면서 자기(Self)의 전일성을 회복하는 과정을 뜻한다. 개성화는 우선 자아의 어두운 인격인 그림자(Shadow)를 동화하고 개인무의식의 요소인 콤플렉스(Complex)들을 인식하는 가운데, 이와 결부된 집단무의식의 원형들을 의식화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개성화는 궁극적으로 ‘자율적인 전체 인간’의 실현을 지향한다. 영화 <크루엘라>에서 주인공 에스텔라의 여정은 인격의 치우친 발달로 전일성이 쪼개지고 그림자가 점점 더 강력해지다가, 대극으로의 반전을 거쳐 그림자와의 통합에 이르는 개성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 과정에는 에스텔라의 개인무의식과 원형적 어머니상이 맞물린 ‘모성 콤플렉스’ 및 그 극복 양상이 긴밀하게 얽혀 있다. 이런 관점으로 이 글에서는 그림자와 모성 콤플렉스 문제를 중심으로 영화 <크루엘라>에 나타난 개성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크루엘라로 출현하는 어두운 그림자를 수용하고 동화하는 일은 에스텔라에게 자신의 창조적 잠재력을 실현하는 일인 동시에, 도덕적 쟁점을 수반하는 윤리적 요청의 성격을 띤다. 한편 주인공의 모성 콤플렉스는 이 영화에서 ‘양육하는 어머니’와 ‘삼키는 어머니’라는 신화적인 어머니상과 관련된다. 그녀의 개성화 과정은 신화적인 ‘이중의 어머니’에 묶인 자신의 퇴행적 리비도를 해방하는 내적 투쟁의 과정이기도 하다. 이를 검토함으로써 영화 <크루엘라>의 신화적 이야기가 무의식적 드라마로서 우리에게 어떤 상징적 의미를 지니는지 생각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