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조숙성조건이 한우 설도육의 이화학적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

        조수현,이은미,강선문,김윤석,서현우,화반바,김영춘,성필남,김진형,박범영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8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2 No.4

        본 연구는 건조숙성 조건에 따른 한우 설도육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한우 거세 1등급 설도육 54개를 구입하여 온도(2℃, 4℃), 상대습도(65%, 75%, 85%) 및 건조숙성기간(10~90일)에 따라 4종(T1~T4)의 조건으로 나누어 건조숙성하면서 도가니살 및 보섭살의 육질특성과 삼각살을 포함한 관능특성을 비교하였다. 도가니 및 보섭살의 지방함량은 4개 처리구 모두에서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반면에 수분함량은 건조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도가니육은 T2와 T4, 보섭육은 T2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도가니 및 보섭육의 육색은 건조숙성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4개의 처리구 모두 L값(백색도), a값(적색도), b값(황색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가열감량은 도가니육의 경우 T2만 건조숙성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되는 경향이었고 나머지 3개 처리구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보섭육의 경우 가열감량은 처리구 4개 모두 건조숙성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동일한 숙성일 내 처리구간 비교에서는 T2가 가열감량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 전단력은 도가니육과 보섭육 모두 4개 처리구에서 건조숙성기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p<0.05) 보수력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관능특성 변화에서 도가니육, 보섭육 및 삼각살은 건조숙성기간이 증가할수록 모든 처리구에서 연도가 증가하였다. 다즙성은 도가니육과 삼각살은 T2와 T4에서 증가하였고, 향미는 삼각살만 T2와 T4에서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4개의 처리구에 대한 한우 설도육의 육질 및 관능특성 분석결과 전단력, 보수력 및 연도가 모두 향상되었으며 특히 처리구 2 조건은 가열감량과 관능적 기호도에서 더 유리하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우 설도육은 온도와 습도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면서 약 60일 이내로 하는 것이 육질, 맛과 경제성 면에서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dry-aged Hanwoo beef. A total of 54 bottom round were distributed under 4 different treatments(T1~T4) depending on temperature(2℃~4℃), humidity(65%~85%) and drying periods(0~90 d). The fat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or all 4 treatments as the drying period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s only T2 and T4 for knuckle and T2 for sirloin muscle decreased as the dry-aging period increased(p<0.05). The meat colors(L*, a*, b*) of 4 treatments for knuckle and sirloin were decreased as the dry-aging period increased. In cooking loss(%), only T2 for knuckle and all 4 treatments for sirloin were decreased as the dry-aging period increased(p<0.05). Warner-bratzler shear force(WBS) values decreased whereas water holding capacity(WHC) values increased as the dry-aging period increased(p<0.05).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tenderness of knuckle, sirloin and tritip muscl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dry-aging period increased. During the aging period, juiciness of T2 and T4 increased for knuckle and tritip, and flavor-likeness of T2 and T4 increased for tritip(p<0.05). The result from this study showed that dry-aging improved WBS, WHC and sensory(tenderness) properties, especially, T2 had lower cooking loss and higher sensory (juiciness, flavor-likeness, overall likeness) properties than the other treatments. Therefore, the bottom round muscle should be dry-aged with the gradual increase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for less than 60 days in meat quality, palat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 KCI등재후보

        A Comparison of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and Pain Tolerance Threshold in the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 Patients

        조수현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003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28 No.3

        동통을 평가하기 위해 여러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동통평가의 신뢰성과 타당성은 논란의 여지가 많다. 이에 저자는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새로운 전기진단기구로 전류인지역치와 동통내성역치를 살펴보고자 동통의 주관적 보고는 전류인지역치와 동통내성역치간에 상호관련있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측두하악장애로 진단받은 21명 여성환자를 대상으로 삼았다. 실험전 Visual analog scale (VAS)를 이용하여 주관적인 동통을 측정하였다. 전류인지역치와 동통내성역치는 완전 자동화법으로 Neurometer CPT/C 전기진단기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Neurometer의 5 Hz는 무수신경인 C신경섬유을, 250 Hz는 작은 유수신경인 Aδ 신경섬유, 2 kHz는 큰 유수신경인 Aβ 신경섬유를 선택적으로 자극한다. 전류인지역치와 동통내성역치 실험부위는 환자가 동통을 호소하는 측의 외이도 이주 1 cm 전방 삼차신경부위와 개체내 반대측 무증상부위를 대조부위로 삼았다. 진단범주, 개체내 증상부위와 대조부위간의 전류인지역치와 동통내성역치에서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동통기간를 비교한 바, 급성과 만성간에는 유의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개체내 증상부위와 대조부위간의 비교에서는 단지 큰 유수신경인 Aβ 신경섬유의 전류인지역치에서만 유의성이 관찰되었다. VAS, 전류인지역치와 동통내성역치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바, VAS와 큰 유수신경인 Aβ 신경섬유의 전류인지역치에서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보였으나, 전류인지역치와 동통내성역치간에서는Aδ 신경섬유와 무수신경인 C신경섬유에서 양의 상관관계에서 통계학적 유의성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VAS와 동통내성역치간에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동통평가에 있어 전류인지역치는 동통내성역치에 영향을 주며, 이 두 역치를 함께 평가하는 것은 간편하고, 정량적인 방법으로 측두하악장애환자에서 객관적인 동통평가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며, 치료효능평가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1++ 등급 거세한우의 부위별 이화학적 육질특성 및 영양성분조성

        조수현,김진형,성필남,조영무,정완태,박범영,정명옥,김동훈,이종문,안종남 한국축산식품학회 2008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8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properties of Hanwoo steer beef by different cut. Ten cuts [Abjin (short plate), Bosup (top sirloin), Cheggt (striploin), Dngsim (loin), Guri (chuck tender), Hongduke (eye of round), Moksim (chuck roll), Sulgit (bottom round), Udoon (top round), Yangji (brisket)] prepared from 10 Hanwoo steers (28-30 months old)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 The range of pH was 5.46-5.64. In the chemical analysis, Hongduke contained highest protein contents (21.15%) and Dngsim had lowest protein contents (16.94%) (p<0.05). Fat contents were higher in Dngsim whereas those of Guri, Hongduke and Udoon were significantly lower when compared to the other cuts (p<0.05). The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meat color (L, a and b values) properties only except that L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ngsim among 10 cuts (p<0.05). Cooking loss (%) was higher in Guri, Hongduke, Udoon and Yangji whereas 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Cheggt (p<0.05). Warner-Bratzler shear force (WB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bjin (6.24 inch2/kg), whereas Dngsim (3.45 inch2/kg) and Cheggt (3.50 inch2/kg)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 cuts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ater-holding capacity (WHC) among 10 cuts (p>0.05). Total amino acid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ongduke (p<0.05). Hongduke was highest in most kinds of amino acids, however, Udoon had the highest methionine and histidine contents among 10 cuts (p<0.05). Glutamate contents were high in all cuts and followed by aspartate, leucine and lysin. With regard to mineral contents, Ca was ranged from 47.63- 70.69 mg/kg and Fe was ranged from 15.09-26.68 mg/kg in 10 cuts. Zn was highly contained in Guri (50.56 mg/kg) when compared to the other cuts (p<0.0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properties of Hanwoo steer beef by different cut. Ten cuts [Abjin (short plate), Bosup (top sirloin), Cheggt (striploin), Dngsim (loin), Guri (chuck tender), Hongduke (eye of round), Moksim (chuck roll), Sulgit (bottom round), Udoon (top round), Yangji (brisket)] prepared from 10 Hanwoo steers (28-30 months old)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 The range of pH was 5.46-5.64. In the chemical analysis, Hongduke contained highest protein contents (21.15%) and Dngsim had lowest protein contents (16.94%) (p<0.05). Fat contents were higher in Dngsim whereas those of Guri, Hongduke and Udoon were significantly lower when compared to the other cuts (p<0.05). The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meat color (L, a and b values) properties only except that L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ngsim among 10 cuts (p<0.05). Cooking loss (%) was higher in Guri, Hongduke, Udoon and Yangji whereas 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Cheggt (p<0.05). Warner-Bratzler shear force (WB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bjin (6.24 inch2/kg), whereas Dngsim (3.45 inch2/kg) and Cheggt (3.50 inch2/kg)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 cuts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ater-holding capacity (WHC) among 10 cuts (p>0.05). Total amino acid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ongduke (p<0.05). Hongduke was highest in most kinds of amino acids, however, Udoon had the highest methionine and histidine contents among 10 cuts (p<0.05). Glutamate contents were high in all cuts and followed by aspartate, leucine and lysin. With regard to mineral contents, Ca was ranged from 47.63- 70.69 mg/kg and Fe was ranged from 15.09-26.68 mg/kg in 10 cuts. Zn was highly contained in Guri (50.56 mg/kg) when compared to the other cuts (p<0.05).

      • KCI등재

        Maternal Characteristics, Short Mid-Trimester Cervical Length, and Preterm Delivery

        조수현,박교훈,정은영,주정경,장지애,유하나 대한의학회 2017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2 No.3

        We aimed to determine the maternal characteristics (demographics, an obstetric history, and prior cervical excisional procedure) associated with a short mid-trimester cervical length (CL, defined as a CL of ≤ 25 mm) and whether having a short cervix explains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maternal characteristics and spontaneous preterm delivery (SPTD, defined as a delivery before 34 weeks). This is a single-center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3,296 consecutive women with a singleton pregnancy who underwent routine CL measurement between 20 and 24 weeks. Data were collected on maternal age, weight, height, parity, obstetric history (nulliparity; a history of at least 1 SPTD; and at least 1 term birth and no preterm birth [low-risk history group]), and prior cervical excisional procedure. In the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an obstetric history, prior cervical excisional procedure, and gestational age at measurement were the variable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hort CL. In contrast, maternal weight, height, age, and parity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hort CL. By using the likelihood of SPTD as an outcome variable, logistic regression indicated that short CL and obstetric history, but not prior cervical excisional procedu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PTD after adjustment for potential confounders. A history of SPTD and prior cervical excisional procedure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a short mid-trimester CL. A history of SPTD, but not prior cervical excisional procedure,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SPTD, independent of a short CL.

      • KCI등재

        장중첩증으로 나타난 구불결장의 평활근육종 1예

        조수현,이종훈,최석렬,백양현,윤현아,이창재,최세웅,한진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0 Clinical Endoscopy Vol.40 No.4

        Leiomyosarcomas are malignant tumors of smooth muscle. Leiomyosarcomas of the large intestine are rare, with an incidence of less than 0.1% of all colorectal malignancies. A 70-year-old woman was admitted to the hospital with lower abdominal pain and hematochezia. The abdominal CT scan revealed a solid mass in the sigmoid colon and intussusception with a lead point. Surgical excision of the sigmoid colon mass was performed.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a leiomyosarcoma originating from the sigmoid colon. Few cases of primary sigmoid colon leiomyosarcoma presenting as an intussusception have been reported in the medical literature. We report here on a case of complete surgical resection for a leiomyosarcoma of the sigmoid colon and this presented as intussusception. 평활근육종은 평활근 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으로 대장에서는 드물게 발생하는 질환이다. 대장 평활근육종은 복통이 가장 흔한 증상이며 출혈, 천공 등이 동반되기도 하지만 장중첩증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 성인의 장중첩증은 대부분 원인질환에 의해 발생하며 급성보다 만성적인 임상경과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또한, 소장에서 가장 흔하며 구불결장에서는 낮은 발생빈도를 보인다.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이 장중첩증의 진단과 원인 질환의 감별에 가장 유용하지만, 실제 수술적 절제 후 병리검사에서 원인 질환이 밝혀지기도 한다. 저자들은 하복부 통증과 혈변을 주소로 내원한 70세 여자 환자를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으로 검사하여 장중첩증과 동반된 구불결장의 종양을 발견하였으며, 이 종양을 수술로 제거한 후 평활근육종으로 진단하였다. 이처럼 장중첩증으로 나타난 구불결장 평활근육종의 증례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적이 없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KCI등재

        孤雲 崔致遠의 書體特徵과 東人意識

        조수현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5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Choe Chiwon's Seoye(書藝 ; Korean Colligraphy) and DongIn-uisik(東人意識;Choe Chiwon's personal view on the nation), and the amalgamation thought of three religions(Confusionism, Buddhism and Taoism) as his core idea. Choe Chi-won is known to have produced more reputable works than any other colligrapher of ancient Korea in the domain of Seoye(書藝; Korean Colligreaphy). Sasanbimyung(四山碑銘; four tombsttones edited by Choe Chi-won) is an tombstone edited by Choe Chi-won which consists of Jingamseonsabi(眞鑑禪師碑; A tombstone to the memory of Jin Gam priest), Nang Hye priest), Jijeungdaesabi(智譄大師碑; A tombstone to the memory of Ji Jeung priest) and Sungboksabi(崇福寺碑; A tombstone to the memory of the establishment of Sung Bok temple). In Jingamseonsabi(眞鑑禪師碑; A tombstone to the memory of Jin Gam priest) and Sungboksabi(崇福寺碑; A tombstone to the memory of the establishment of Sung Bok temple), we are able to understand his Seoye(書藝; Korean Colligreaphy) most clearly. The colligraphic styles of the inscribed slate on Jingamseonsabi(眞鑑禪師碑; A tombstone to the memory of Jin Gam priest) and Sungboksabi(崇福寺碑; A tombstone to the memory of the establishment of Sung Bok temple) show that he accepted the styles of Dang Dynasty and North Dynasty. The refined sentences of Jingamseonsabi(眞鑑禪師碑; A tombstone to the memory of Jin Gam priest) and Sungboksabi(崇福寺碑; A tombstone to the memory of the establishment of Sung Bok temple) is a good reference in studying his thougth in connection with Sin-Ra era's society. Choe Chi-won is an intellectual who lived on Dang Dynasty at the close of Sin-Ra era. He went abroad to Dang Dynasty at the age of 12, and there he succeeded in passing Bingonggwa(賓貢科;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for foreigners) at 10. After he returned to religions(Confusinism, Buddhism and Taoism). His sentences reflect such tendency in Sasanbimyung(四山碑銘; four tombsttones edited by Choe Chi-won). 孤雲 崔致遠(857-?)은 新羅末 골품제 출신으로 12세(868년)에 唐에 유학하여 18세(874년)에 빈공과에 급제한 후 크게 文名을 날리고 29세(885년)에 귀국하였다. 귀국 후 동인의식에 의한 문장 찬술과 자신만의 서체를 확립하였다. 篆額의 글씨는 자유롭고 부정형적이며 반정면적인 운동성을 지니고 있다. 碑文은 唐楷의 영향을 중심으로 古法을 고루 수용하여, 해서와 예서 행서를 넘나드는 자유로움 속에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장방형을 기본으로 하고 上大下小의 결구와 전액과 마찬가지로 反正面性에 의한 운동감이 있다. 물이 흐르는 듯한 기상은 도가적인 기상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그의 서체는 모두 동인의식에 기인한다. 동인의식은 서국에 대한 동인의 개념으로 우리나라를 중국과 대등한 입장에서 인식하고 있다. 이는 통일신라의 풍류도를 비롯하여 유⋅불⋅도 삼교합일의 정신, 弘益人間의 이념에서 이해할 수 있는 三⋅一사상 및 天符經 사상과 같은 민족국가를 통합하는 求心的 이념이다. 동인의식에서 나타나는 合一사상은 그의 글씨에서도 잘 나타난다. 어느 한 서체에 머무르지 않고, 어느 한 사람의 서풍에 머무르지 않고 法古創新하여 자가풍에 이른 것이다. 최치원의 글씨에서 ‘一統三韓’이나 풍류도에 내재된 ‘三敎合一“의 정신에서와 같이 서예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를 수용하여 하나의 멋을 이루어낸 것은 고구려⋅백제⋅신라가 함께 지닌 우리 고유의 민족적 멋이라고 해도 무방하리라 여겨진다.

      • KCI등재

        한우고기와 뉴질랜드산 냉장수입육의 육질 및 영양성분 비교

        조수현,강근호,성필남,박범영,정석근,강선문,김영춘,김지희,김동훈,Cho, Soo-Hyun,Kang, Geun-Ho,Seong, Pil-Nam,Park, Beom-Young,Jung, Seok-Geun,Kang, Sun-Moon,Kim, Young-Chun,Kim, Ji-Hee,Kim, Dong-Hun 한국축산식품학회 2011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1 No.6

        본 연구에서 거세한우(26-28개월) $1^+$, 1 등급육과 뉴질랜드산 냉장수입 육우로부터 채끝, 등심, 우둔, 꾸리부위를 공시시료로 이용하여 일반성분, 육색, 전단력, 가열감량, 지방산조성, 아미노산조성 및 무기물 함량을 비교하였다.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채끝, 등심, 꾸리, 홍두깨 부위 모두 단백질 및 수분함량이 한우고기 $1^+$, 1 등급육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반대로 근내지방함량은 뉴질랜드산 채끝, 등심, 꾸리부위가 한우고기 $1^+$, 1 등급육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육색은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한우고기 $1^+$, 1 등급육과 비교했을 때 채끝과 홍두깨 부위의 $L^*$값(백색도)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꾸리 부위의 $a^*$값(적색도) 및 $b^*$값(황색도)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전단력은 채끝, 등심, 홍두깨 부위에서는 원산지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꾸리부위에서는 한우고기 $1^+$, 1 등급육이 뉴질랜드산 흑우육보다 전단력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한우고기보다 4개 부위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가열감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한우고기보다 C18:0 및 C18:3n3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C16:1n7 및 C18:1n9 지방산은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특히 C18:2n6 지방산은 한우고기 $1^+$ 등급육이 4개 부위 모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한우고기 $1^+$, 1 등급육보다 포화지방산(SFA)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에 단일불포화지방산(MUFA) 함량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한편 n-3 계열 다가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p<0.05). 아미노산 조성에서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alanine, valine, leucine, iso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lysine, histidine 함량은 채끝, 등심, 꾸리 및 홍두깨 부위 모두에서 뉴질랜드산 흑우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Cystein, arginine과 proline 함량도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한우고기 $1^+$, 1 등급육보다 채끝과 등심 부위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무기물 조성 비교에서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한우고기보다 채끝부위의 Ca 함량과 홍두깨 부위의 Zn 함량이 유의적으로 더 높았던 반면에 한우고기 1 등급육은 뉴질랜드산 흑우육보다 채끝과 꾸리 부위에서 Fe 함량이 유의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결론적으로 한우육과 뉴질랜드산 수입흑우육은 부위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한우육은 근내지방과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았고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단백질함량과 아미노산함량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뉴질랜드 흑우육은 한우육보다 유통경로상 냉장숙성기간이 더 길었으나 전단력 수치를 비교한 결과 등심, 채끝등심, 홍두깨 부위의 연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우고기는 뉴질랜드산 흑우육보다 근내지방함량이 높고 특히 단일불포화지방산함량이 높았으며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단백질함량과 아미노산함량이 높았다. 또한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수입육 유통경로상 한우육보다 숙성기간이 더 길었음에도 불구하고 전단력 분석결과 등심, 채끝등심 및 홍두깨 부위의 연도에 있어서 한우육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가열감량이 적어 한우육이 뉴질랜드산 흑우육보다 숙성효과 및 육질이 우수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ximate composition, meat color, Warner-Bratzler shear force (WBS), cooking loss (CL), fatty acids composition, amino acid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s of Hanwoo beef (QG $1^+$, 1) and imported New Zealand black Angus beef with loin, strip loin, eye of round and chuck tender. The intramuscular fat contents were higher in the strip loin, loin and chuck tender of Hanwoo beef than New Zealand beef (p<0.05). Hanwoo QG 1 beef had higher Fe contents in the strip loin (30.52 mg/100g) and chuck tender (40.70 mg/100g) (p<0.05). Hanwoo beef had lower cooking loss and than those of New Zealand beef, whereas New Zealand beef had higher protein and amino acids contents (%) than their counterpar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BS between two origin samples except the chuck Hanwoo beef had significantly lower saturated fatty acids (SFA) and higher monounsaturated fatty acids contents than New Zealand beef (p<0.05). WBS values indicated that Hanwoo and New Zealand beef had similar tenderness in the loin, striploin and eye of round due to the longer aging periods of the New Zealand beef than Hanwoo beef during the distrib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