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 사이에서 이미지의 역할

        고은성,이경화,송상헌 대한수학교육학회 2008 학교수학 Vol.10 No.1

        본 연구는 대수의 일반화 과제를 해결하는 2명의 초등학교 6학년 수학영재가 보여주는 사고 과정을 조사하고 이미지가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학습자가 생성한 이미지는 개별적 사례에 대한 구체적 이미지, 구체적 이미지를 변형한 역동적 이미지와 패턴 이미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문제 해결 과정 동안 이미지의 생성과 변형이 어떻게 이루어지며, 시각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 사이에서 이미지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미지는 시각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의 상호 작용 속에서 생성되고 변형되면서, 정교화되고 구체화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동시에 이미지는 시각적 사고에서 분석적 사고로, 분석적 사고에서 시각적 사고로 나아가게 하는 원동력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studied the role of images between visual thinking and analytic thinking to contribute to the ongoing discussion of visual thinking and analytic thinking and images in mathematics educ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hinking processe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who solved tasks generalizing patterns and we analyzed how images affected problem solving. We found that the students constructed concrete images of each cases and dynamic images and pattern images from transforming the concrete image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how images were constructed and transformed and what were the roles of images between visual thinking and analytic thinking. The results showed that images were constructed, transformed, and sophisticated through interaction of visual thinking and analytic thinking. And we could identify that images played central roles in moving from visual thinking to analytic thinking and from analytic thinking to visual thinking.

      • KCI등재

        입체영상에서 입체감 극대화를 위한 연출 구도 및 시각적 효과 연구

        성창경,정진헌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0 조형미디어학 Vol.13 No.2

        The 21st century’s images are rapidly changing from analogue images to digital images and the broadcasting environment is changing from 2-D images to stereoscopic image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2-D images and stereoscopic images is in depth. Though imperfect, the existing 2-D images had minus depth to it however, stereoscopic images have plus depth, which enables reflection of a more perfect reality. Therefore, a study on depth is one of most important studies on stereoscope images. When stereoscopic images with depth are made, a scene volume has to be studied from a different viewpoint from a layout for 2-D images. Stereoscopic images with depth have a huge visual stimulation due to its front and rear protrusions and a visual line give expression to three-dimensional. (anaglyphs) This study is a study on visual presentation to maximize depth on stereoscopic images. A picture screen was divided into 5 to 3 ratio on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nd studied which sections have better stereopsis. On a scene composition an object set in array three-dimensional front and rear. A visual ilne get a three-dimensional movement. As the center of the screen has minus depth due to the camera’s characteristics, stereopsis is maximized when positioned in diagonally. This study also studied on what colors anaglyphic glassess stereoscopic and polarized glasses stereoscopic have color limitations. Polarized glasses stereoscopic images showed all color and red and blue anaglyphic stereoscopic images showed red and blue in an achromatic color. Although red and blue objects had stereopsis, they lacked in stereopsis that objects with other colors. In stereoscopic images a technical method to maximize stereopsis is polarized light glasses and an aesthetic method can on the ground a visual effect and directing-composition. 21세기 영상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급속히 바뀌고 있고, 방송환경은 평면영상에서 입체영상으로 변화고 있다. 평면영상과 입체영상의 가장 큰 차이는 깊이(depth)가 있다는 것이다. 기존 평면영상은 비록 불완전 했지만 마이너스 깊이(depth)를 가졌는데, 입체영상은 플러스 깊이를 가짐으로서 보다 완벽한 현실세계를 반영할 수 있게 되었다. 입체영상의 입체감은 실재감을 표현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인데 이것은 깊이로 인해 표현된다. 깊이가 존재하는 입체영상은 전후 돌출감으로 인한 시각적 자극이 매우 크고, 시각적 동선이 입체적으로 표현된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화면을 가로 세로 5:3으로 분할하여 어느 구역에서 입체감이 큰지 연구하였는데, 카메라 특성상 화면 중앙이 마이너스 깊이감을 갖게 됨으로 원근감이 강한 대각선 구도로 화면을 배치하면 입체감이 커지게 된다. 화면 구도에 있어서 대상은 입체적으로 전후좌우에 배치되고, 시각적 동선은 입체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입체영상 제작 시 화면 구도는 평면영상 레이아웃 개념과는 다른 입체적 관점에서 표현해야한다. 또한 입체영상에서는 안경방식과 무안경 방식이 있는데, 최근 상용화하고 있는 편광안경방식과 적청 애너글리프 안경 방식의 입체영상은 어떤 색에 색 제한이 있는 지 연구하였다. 편광안경방식의 이미지는 모든 색이 표현 되었고, 적.청 애너글리프 방식의 입체영상은 적색과 청색이 무채색으로 표현되는데, 적색과 청색 물체는 입체감이 나타났지만 다른 색을 가진 물체에 비해 약하게 입체감이 표현되었다. 입체영상에서 입체감 극대화를 위한 방법은 기술적으로는 편광방식을, 미학적으로는 연출 구도 및 시각효과를 통해 보다 나은 입체감을 표현 할 수 있다.

      • KCI등재

        연구논문 : 2000년대 관광 홍보 동영상 속의 한국: 그 특성과 의미

        김영훈 ( Young Hoon Kim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1 韓國文化人類學 Vol.44 No.2

        현대 한국 사회에서 시각 이미지의 중요성은 상업 광고는 물론 다방면에서 확인된다. 한국 정부가 국가브랜드위원회를 설치하여 국가 이미지 제고에 노력하고 있는 것도 주목할 만한 것 중의 하나이다. 특히 외국인 대상으로 관광 이미지를 제공하는 한국관광공사의 노력과 활동은 우리에게 매우 흥미로운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관광 이미지는 특정 가치와 이데올로기에 의해 생산되고 또한 그것을 투영하는 수단이다. 과연 한국관광공사가 보여 주는 한국의 이미지는 무엇인가? 정확히 말해 보여 주고 싶은 한국의 이미지는 무엇인가? 외국 관광객을 위한 시각적 전략은 무엇인가? 이 연구는 이러한 질문을 배경으로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제작, 배포되고 있는 동영상 관광 이미지의 특성과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대 이후 한국관광공사에 의해 인터넷에 공개된 11개의 동영상 작품을 대상으로 소재 이미지들의 종류와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한국 관광이미지에 나타난 대표적 이미지 소재들은 무엇인가, 그 특성과 그 의미는 무엇인가, 이전 시대와 비교해 볼 때 2000년대 관광 이미지의 변화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하는 것들이 주요 질문들이다. 선택된 자료들에 대한 통계 분석 결과 몇 가지 흥미로운 점이 발견된다. 우선 통계적 측면에서 대표적 이미지 소재와 속성에는 이전 시기와 큰 차이가 없지만 매우 전략화된 이미지가 제작되고 있다는 점이다. 관광객의 출신지역에 따라 매우 차별화된 이미지 소재와 속성이 선택 또는 배제되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한국의 이미지가 변주되고 있는 점이다. 둘째, 전체 비율에서 차지하는 부분은 작지만 한류, 붉은 악마, 비보이 등 특정소재 이미지들의 등장이다. ``한국적`` 브랜드의 원천으로서의 전통유산 이미지와 더불어 새롭게 변화하는 현대 한국의 상징들이 점차 관광 이미지들에 등장하고 있다. 한국이라는 주제의 복합성을 선택된 소재 이미지들로 전환시키는 관광 이미지 제작 과정은 엄청난 단순화의 과정이면서 매우 정치적이며 상징적인 과정임에 틀림없다. 한국관광공사의 홍보 동영상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시각문화의 일부를 다루는 것이면서 있는 그대로의 한국이 아니라 변화하는 한국, 보이기 위한 코리아, 상품으로서의 국가 정체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visual images is found in the diverse aspects of contemporary Korean society. Especially noteworthy is the fact that Korean government is officially trying to improve its national image by establishing a special presidential committee called Korean Brand Committee since 2009. In a similar vein, the Korean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s (hereafter KNTO) tourism images and its advertizing strategies generate interest among researchers of Korean visual culture. What are the images of Korea which appear in KNTO`s tourism films? Which messages do those visual messages deliver to foreign tourist? How could we interpret the changing visual strategies employed in those carefully crafted Korean tourism films? These are the main research questions to be examined in this paper. With these questions in mind, I`ve selected 11 short films found in the official internet site of KNTO and have conducted a statistical survey to investigate the number and kind of visual images used in those film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a few interesting points for discussion. Firstly, while most representative visual motives found in tourism images of the previous period continue to be used, newly diversified and strategically crafted tourism images are produced to attract foreign tourists of different countries. Particular visual images including Red Devils and Korean B-Boys, are being added to create new dimensions of visually constructed Koreanness alongside the traditional images of Korean. Does this change in visual imagery mean that a significant shift has occurred from traditional tourist images of the previous era? Or is the very juxtaposition of the old and the new,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an emerging visual strategy which is only unique to Korean tourism images? How could we compare the constructed Korean images with those used for tourism promotion in other countries? These questions remain unanswered and require further research in this field.

      • KCI등재

        이미지와 자연과학적 입증

        김은지(Kim, Eunji)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4 美術史學 Vol.- No.28

        이미지는 무엇인가를 보여주고, 혹은 무언인가를 시각화 해낸다. 또한 비가시적인 것을 가시화 해낸다. 이러한 이미지의 특징은 직접적인 전달력과 강한 사실적 증빙력을 지닌다. 이것은 시각적 존재에 잠재하는 힘이자 기능이다. 동시에 능력으로도 간주된다. 이미지의 이러한 잠재된 힘과 기능은 비가시적인 영역을 가시화해내며 입증과 증빙에 활용하는 학문분야인 자연과학에서 고유의 가치를 발한다. 더욱이 천문학은 시각화된 상태가 아니고서는 입증과 설명이 불가한 많은 실험관찰보고 및 가설입증에 이미지를 활용하고, 비가시적인 세계를 가시화해내며 세상의 진리탐구를 지향한다. 이미지를 통하지 않고서는 증명이나 설명 혹은 이해될 수 없는 사실 혹은 단어로 설명되기 어려운 순간의 과정 및 언어로 요약되지 못하는 장면을 가시적인 실질로 구체화해내기 위해 시각자료 즉 이미지를 이용한다. 이러한 과학적 실증적 시각기록자료는 전문적인 학술 내용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동시에 이러한 시각자료는 다른 것으로 대체될 수 없다. 그 자체로 존재하며 의미를 전하기 때문이다. 이를 배경으로, 본 연구는 이미지와 그 현상에 집중한다. 이미지를 전통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창작의 테두리 안에서 보지 않고, ‘무엇인가를 시각화’ 한다는 인식론적이고 현상학적인 의미에서 이미지의 개념을 확장해, 자연과학에서 생산하는 시각적 기록 및 증빙자료 역시 이미지의 범주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이를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그동안 간과해온 이미지의 또 다른 가능성을 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이미지의 가능성 연구는 유럽 특히 독일 베를린의 이미지학(Image Science)연구소에서 정립한 “지식의 이미지”와도 닿아있다. 이미지에 의한 지식과 정보의 빠른 전달과 폭 넓은 확산을 지칭하는 “지식의 이미지”는 이미지가 지닌 무한한 잠재적 가능성의 재발견에 대한 고찰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미 이미지연구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이미지를 지식과 정보 혹은 사고의 전달을 위한 ‘단순매개’로 보지 않으려는 관점에 입각해, 사유를 유도하는 이미지 동시에 지식정보를 보다 지적으로 전달하는 이미지의 숨은 매력 등에 중점을 두어 이미지의 가능성을 재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이미지의 가능성의 재고는 국제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이미지에 의한 지식의 확산을 도모할 수 있는 “지식의 이미지” 연구 필요성과 중요성을 재고하게 하는 또 다른 길을 모색하게 할 것이다. Images show somethings or are something which is visualized anything and also is able to make visible of invisible things. Characteristics of such visual things are directness and immediacy for communication. It is regarded as latent power of image and at the same time function and ability of image. Such kind of characteristics of image is used as valuable side for scientific demonstration and scientific evidence. Moreover in astronomy is tried to discover verity through visual information for scientific evidence and explanation which are only possible with visualizing of the invisibles. Namely image or visualized information is practical used in inexplicable situation or for phenomena in difficult summarizing in word for scientific assertion and evidence. Such kind of images for visualizing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subsist singly in or with image itself. At the same time, image cannot be replace by anything also exist merely in itself meaningful. In these background, my research will be focused on the being of image and it phenomena. Here will be considered image not as in conventional and historical creative frame but as in "visualizing of something" in the epistemological and phenomenal sense in order to spreading of definition of image with image is produced for visual documentation in science. The aim of this is to restudy latent power and possibility of image what one overlooks meantime. Research of its possibility can be compared with "Image of Knowledge" or "Knowledge in Image" which mean widely acceptance and broader spreading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and in image, is established especially by Image Science research team of Institute of Helmholz Center in Berlin, Germany. The "Image of Knowledge" is consideration for rediscovering of infinite latent possibilities of visual being. So my research will reconsider the possibilities of image with focusing on attraction of image which lead the way for thinking and impart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more intellectual way. That is based on the view for that image is no just a "simple methode" as transfer for information and scientific theory that is matter of discussion in Image Science research worldwide. And also these reconsideration for image will recover new valuable way for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mage of Knowledge".

      • KCI등재후보

        응시의 시각적 재현에 관한 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손병돈 ( Byoung Dohn Soh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09 예술과 미디어 Vol.8 No.1

        본 연구는 첫째 시각미디어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있어서 라캉의 무의식의 구조에 의지하여 시각미디어와 ``본다``는 것(시선과 응시)이 상호주체적인 과정임을 설명해줄 수 있는 이론적인 틀을 마련하는 것이다. 둘 째 이렇게 마련된 이론적 틀을 활용하여 시각적 미디 어와 이미지에 적용해 보면 스크린은 욕망을 내포하고 있는 텍스트이자 관객과 상호 작용하는 환상의 텍스트라는 것이다. 이러한 결론을 얻기 위해서 라캉의 정신분석 이론을 이미지 분석의 적용과 해석 가능성이라는 관점에 서 검토하였고, 시선과 권력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을 재구성하면서 이론적이고 분석적인 수준에서 시각이 미지와 해석의 문제에 접근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이미지를 접하는 관객 이 의미를 생산하는 정신분석학적 방식을 주목하였고 응시는 해석적 도구로써 영상에서 왜상을 해석하는 기표로 다루었다. 이를 위해 손병돈의 2008년 전시 작품을 예로 사용하였다. 그의 작품은 첫째, 작품의 왜상과 응시를 직접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관객을 유혹하는 전시를 보여주고 있었다. 왜상은 관객에게 그의 시선을 사로잡는 응시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왜상은 타자가 해석하고 동일 시하며 투영하는 욕망의 덫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컴퓨터를 이용한 관객과의 적극적인 상 호 소통은 미디어 아트의 구조를 통해 객체인 방문객을 능동적인 주체로 전환하는 상호주체적인 참여를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응시의 표현 방식은 낯익은 대상을 낯설게 압축 전치하여 사용한다. 낯익음을 가장한 낯설게 하기 방식은 왜상 혹은 왜상의 응시에 대한 오인으로 기인하는 데, 이는 관객의 익숙함을 전복시키거나 고정되어 있는 관념을 비틀어 삐딱하게 제시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정신분석학의 도움을 받아 어떻게, 왜 영상을 해석하는지를 수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영상을 분석하는 가장 직접적인 정신분 석의 구조를 설명하고 그 결과를 확인하는 해석 틀을 제공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theoretical frame to explain that both visual media and seeing, the look and the gaze, are the process of inter-subjectivity in reliance on the French psychoanalyst Jacques Lacan`s thought for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visual media. Second, according to analyze visual media and visual images, screen is not only a text including desire but also a fantastic text interacted with a viewer in using the prepared theoretical frame. Therefore, in this study I have checked over the view point which is applied from psychoanalysis to visual image and which is an interpretational possibility to have a conclusion. To recompose discussions preexisted for a look and a power, I have approached on visual media and a matter of interpretation on a theoretical and an analytical flat. In this study, I have focused on the role of the viewer in making meaning of the images, and theories about the gaze as the signifier to read or interpret anamorphosis in visual images. For it, I have used ``A Video Installation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Gaze``, the exhibition of Sohn, Byoung Dohn in 2008, as a case study. In his works, firstly, he had been showing his solo exhibition used directly an anamorphosis and the gaze to spectators as a trap for the look of spectators. The anamorphosis was functioning as the gaze in which they can read it, identify with it and project their desire onto it. Therefore, I can say that it is regarded as operating the trap of others`` desire. Secondly, his exhibition was able to be possible that others can participate inter-subjectively in it as the subject which was an object with the positive inter-communication based on the computer technology, through the structure of media art. Finally, the way of the gaze was using a familiar object to an unfamiliar one which was displaced and compressed in order to not only upset being well acquainted things but also twist the fixed notions that came from others as spectators. In this paper, I have proceeded by how and why the analysis of the visual images can be helped by Lacanian psychoanalysis. This statement will provide a template for subsequently identifying and describing those aspects of the Lacanian system that bear most directly on the analysis of the visual images.

      • KCI등재

        특집논문1 : 이미지와 응시: 고대 그리스도교의 시각적 신심(visual piety)

        최화선 ( Hwa Sun Choe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4 종교문화비평 Vol.25 No.25

        이 연구의 목적은 4세기 그리스도교 순례 문헌들을 통해 순례 현상에서 드러난 시각적 신심의 성격을 규명하고, 그러한 시각적 신심이 그리스도교의 이미지 공경, 성유물 공경에 끼친 영향을 밝히는 데 있다. 시각적 신심은 단순히 이미지에 대한 혹은 이미지를 통한 신앙심만이 아니라, 종교적 실천 행위로서의 ‘이미지’와 ‘보는 행위’ 이를 통해 구축되는 세계와 주체, 그리고 그 이면에서 작동하는 힘의 메커니즘 전체 안에서 고찰될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연구는 고대 그리스도교의 벽화나 도상이 아닌 순례라는 현상에서 드러나는 ‘보는 행위’의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이 메커니즘이 어떻게 이미지 공경과 성유물 공경에서도 작동하는지, 그 과정을 보여주는 데 주목한다. 《에게리아의 여행기》를 비롯한 4세기 순례 문헌들 속에 나타난 순례자들의 경험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현재의 풍경을 보면서 과거의 성서 속 사건들의 이미지를 떠올리는 것이다. 히에로니무스가 사용한 ‘신앙의 눈(occulus fidei)’ 이라는 표현은 이러한 경험을 요약해주는 대표적인 단어라 할 수 있다. 순례자들이 성지에서 ‘응시’를 통해 현재가 아닌 과거의 ‘이미지’를 보는 것을 뜻하는 이 ‘신앙의 눈’은, 역설적으로 신자들이 성지라는 장소의 성스러움을 넘어설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순례자들의 ‘응시’를 통해 기억에 저장된 ‘이미지’는 더 이상 성지라는 특정한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독립적인 시각적 이미지로 남아 언제 어디에서든지 신자들에게 성스러움의 경험을 재현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성스러움’을 포착한 어떠한 ‘이미지’도 우리를 성스러움과 연결시켜 줄 수 있다는 이러한 생각은 이미지 자체에 대한 공경심으로 이어지며, 이것은 ‘응시’와 ‘이미지’가 성스러움과의 연결통로가 되는 시각적 신심(visual piety)이다. 이러한 시각적 신심은 후기 고대 교부들의 성유물 공경에 대한 해석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성유물 공경은 흔히 성인과 직접적으로 접촉한 물질에 대한 촉각적 신심으로 해석되어 왔다. 그러나 놀라의 파울리누스는 예수의 십자가 조각이 갖는 힘을 이야기하며, ‘내면의 시각(interna acies)’으로 십자가에서 예수를 보고 구원을 보는 경험을 강조한다. 이처럼 성유물 공경에 대한 옹호에서도 성유물을 바라보는 눈의 힘, 성유물을 응시함으로써 이미지 너머의 성스러움을 불러내오는 시각의 힘에 대한 긍정이 중심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신성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주장하며 성스러움을 담보하려는 것은 고대로부터 여러 종교들에서 사용되어 오던 테크닉이다. 그러나 시각적 신심은 물리적인 접촉이 아니더라도 ‘응시’를 통해 성스러움과 연결될 수 있다는 믿음을 표방한다. 4세기 그리스도교 성지 순레에서 드러나는 ‘응시’를 통한 ‘시각적 신심’은 성지라는 특정한 물리적 장소를 넘어, 성유물과 도상적 이미지, 그리고 그것들의 복사본에게까지 확장될 수 있는 신심이며, 여기서 우리를 성스러움과 연결시켜 주는 것은 바로 우리의 보는 행위, ‘응시’과 그러한 ‘응시’ 앞에 놓인 ‘이미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ature of visual pietymanifested in fourth-century Christian pilgrimage materials and to shed lighton the influence of visual piety on the cult of images and the cult of relics. Visual piety is not mere devotion expressed to or through an image; rather, itdemands consideration of images as a religious practice, of the act of seeing, of the world and the self constructed through these visual religious practices, and of the power mechanism operating in these practices. In that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 mechanism of seeing in ancient Christian pilgrimages and shows how this mechanism applies to the cult of images and the cult of relics.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 of fourth-century Christian pilgrimage writings such as Egeria’s Travels is the visualization of images of past biblicalevents while looking at the contemporary landscape of the Holy Land. Thephrase “eye of faith” (occulus fidei) very well encapsulates this practice of evoking images of the past while gazing on a contemporaneous landscape. The eye of faith paradoxically enabled pilgrims to transcend the limits of thesacred tied to certain locations, because the image was made by pilgrims’gaze and, stored in their memories, could re-create the experience of thesacred anywhere, far beyond the physical holy places. The idea that anyimage which captured the sacred could connect viewers to the sacred was also found in the cult of image and formed the essence of visual piety, in which people believed that they could reach the sacred through gaze and images. This concept of visual piety is also found in the writings of the Church fathers on the cult of relics from late antiquity. The cult of relics has been usually interpreted in terms of tactile piety. However, Paulinus of Nola, in his writings about the relic of the Holy Cross, emphasized the ability to see the suffering of Christ and his salvific drama on the cross through the aid of “inner vision” (interna acies). Thus, in shaping the cult of relics, the Church fathers emphasized the power of eyes and the ability of gazing at relics to evoke the sacred reality beyond the image. Since ancient times, many religions have authenticated experiences of the sacred through claims to direct contact with the divine. However, visual piety in ancient Christianity proclaimed that, even without the direct physical contact, we can connect to the sacred through gaze. This visual piety of gaze revealed in fourth-century Christian pilgrimage materials could extend beyond specific holy places to the image, relics, and even to the copies of those things. What connected one to the sacred was the act of seeing, the gaze and the image in front of one.

      • 국내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

        노선영(Ro, Sun You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7 디자인지식저널 Vol.4 No.-

        초기의 국내 아파트 브랜드의 명칭은 단순히 건설 회사 이름에 지역명을 붙였었다. 이러한 형태는 현재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의 가치를 정하는데 최소한의 정보로써 가장 중요한 자리를 잡아 왔다. 하지만, 건설 회사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 기업에서는 소비자의 욕구에 맞춘 다양한 콘셉트의 아파트를 건축하기 시작하였고, 경쟁 업체와의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가 필요하게 되면서 국내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의 시각적 표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게 되었다.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화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것은 브랜드네임을 만드는 데 있어 의미적 요소에 독특하고 차별화된 형태와 칼라로 시각적 효과를 주어 소비자에게 강한 인상을 주는 데에 있다. 또한, 아파트 콘셉트에 맞는 브랜드 이미지를 강하게 각인시켜 소비자의 구매욕을 상승을 꾀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아파트 소비자들이 입지요건이나 교통, 교육, 환경 등을 고려했던 것과 달리 최근에는 브랜드의 이미지 또한 하나의 구매요인으로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아파트 브랜드가 성공적인 이미지를 개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고찰하고자 각 건설 회사들의 브랜드 이미지를 시각적 요소로 살펴보고, 동시에 의미적 요소, 형태, 칼라요소 그리고 이미지 포지셔닝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향후 국내 건설 회사들의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의 시각적 표현에 대하여 성공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Names of Korea’s apartments in early years were simple combinations of the names of the construction companies and the location of the apartment. Such style of naming is still alive to this day, which has positioned itself as the minimum portion of information to set up the value of the apartment brand images. However, as the number of construction companies grew, each company started to diversify their concepts of apartment building to meet the demands of consumers. Furthermore, due to the stiff competition, apartment construction companies came to need differentiated brand images, whim led to an active research into the visual expression of local apartment brand images. What attracts our attention the most in the image making of apartment brands is that they give strong impressions to consumers by giving visual effects with the use of original and differentiated forms and colors in the element of their meanings of naming. Furthermore, the companies try to carve their brand images that fit in to their apartment concepts to promote customers’ interests. This is because a brand has become one of the influential elements to decide purchase, while consumers of the past considered location, traffic, education and environment. Therefore, this research aimed to look into the ways to develop successful images for local apartment brands. To do so, this study looked into visual elements of each construction company’s brand images, and at the same time, made an analysis into the elements of meaning, forms and colors, together with the image positioning. By doing so, this study tried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successful visual presentation of local construction companies’ brand images in the future.

      • KCI등재

        평면영상과 입체영상의 연출 구도 비교 연구 -힘과 방향을 중심으로-

        성창경,정진헌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0 조형미디어학 Vol.13 No.4

        A good screen composition is essential to easily convey the contents of the moving pictures to the audience. Traditionally, the golden section cut was frequently used when arranging static paintings or still cuts. This is because it is also one of the most suitable screen composition method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audience. However,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applying this golden section cut in dynamic images (flat, stereo-scopic). While painting or still pictures have a composition within a fixed frame, because moving pictures form a composition in a moving screen, if the golden section cut is applied by pausing the moving picture at any one point, it will cause an inconsistency with the next image and thus interfere with the audience understanding its contents. This problem can be even more severe in stereo-scopic image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stereo-scopic images and flat screen images is its depth, and this is because not only the left and right of the screen, but also the front and rear of the screen must also be considered in its composition. Stereo-scopic images are expanding the composition space by arranging the composition elements of the screen from deep in the screen to right in front of the audience. Therefore, the production composition of stereo-scopic images and flat screen images should be considered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and flat screen images should be approached from a flat perspective and stereo-scopic screen images should be approached from a dimensional perspective. In other words, the screen of 3D images is not flat, but dimensional, and the screen composition should be produced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audience is included in the 3D screen. In addition, when producing the composition, it should be done so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not only the golden section cut, but also the strength and direction in the screen, the relationship of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outside of the screen and the constituents, and the relationship of strength and direction of the space inside of the screen and the constituents. 영상에서 좋은 화면구도가 필요한 이유는 관객에게 보다 쉽게 영상의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서이다. 전통적으로 정적인 회화나 스틸 사진에서 화면에 구성요소를 배치할 때에 황금분할 구도를 많이 사용해 왔는데, 이것 또한 관객의 이해를 돕는데 있어 가장 적합한 화면구도 방식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황금분할 구도 방식을 그대로 동적인 영상(평면, 입체)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따른다. 회화나 스틸 사진에서는 고정된 프레임 속에서 구도가 형성되지만, 영상은 움직이는 화면에서 구도가 형성되기 때문에, 어느 한 시점에 영상을 고정시켜 황금분할 구도를 적용한다면, 다음으로 연결되는 영상과 불협화음이 생겨 관객이 내용을 이해하는데 있어 오히려 더 방해할 수 있다. 특히 입체영상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더욱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입체영상과 평면영상의 가장 큰 차이점은 깊이(depth)인데, 입체영상의 화면구도는 깊이로 인해 화면의 좌우 외에 전후의 공간을 구도에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입체영상은 화면의 구성요소들을 화면 깊숙이 먼 곳에서 관객 바로 앞까지 배치하여 구도공간을 확장하고 있다. 따라서 입체영상과 평면영상의 연출구도의 개념은 다른 관점에서 생각해야 하는데, 평면영상은 화면을 평면적 관점에서 입체영상은 화면을 입체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다시 말해 입체영상의 스크린은 평면이 아니라 입체이고, 관객은 그 입체 스크린 속에 포함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화면 구도를 연출해야 한다. 또한 구도를 연출 할 때 황금분할구도 뿐만 아니라 스크린 속에서 힘과 방향, 스크린외각과 구성요소와의 힘과 방향의 관계, 스크린속 공간과 구성요소의 힘과 방향 관계를 함께 고려해 구도연출을 해야 한다.

      • KCI등재

        The Influence of Visual Elements of Bank Logo Design on Corporate Image - Focused on Representative Chinese Banking Brands -

        가장장,박용진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1

        The banking industry is directly linked to people’s daily lives as a global financial nexus, and its logo demands more attention as the initial visual impression transmitted to the public.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visual elements in bank logos on corporate image by investigating the global representative Chinese banking brands. Firstly, the brand logos and corporate image, as well as the visual elements of logo design, were examined theoretically. Secondly, the application status and the visual elements of the 10 Chinese banks’ logos were analyzed. Thirdly, the influence of visual elements on corporate image was investigated through a public survey with the Likert scale and I.R.I color image scale. The results show that, the corporate image of ‘stability’ presented by the Chinese banking brand logos is the strongest perceived, followed by ‘trust’ and ‘service’, and ‘friendly’ was weaker. Second, considering the visual elements on corporate image, BOC received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PSBC and CCB, while SPDB received the lowest. Among them, the ‘stable’ corporate image has the highest perception rating of the typeface element in BOC’s logo. And, the shape element of PSBC’s logo presents a more pronounced ‘friendly’ corporate image. The examination of color elements showed that, the overall color of the Chinese banking brands presented a ‘powerful’, ‘unique’ and ‘functional’ brand image, which was close to the corporate image conveyed by the other logo visual elements. Finally, as a global banking leader, the evaluation of ICBC’s logo visual elements on corporate image is mediocre, which may be influenced by the limitations caused by most Chinese bank logos’ patterned style.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future improvements of Chinese bank logos, as well as an objective perspective for designers, thereby assisting Chinese banks in developing a stronger financial image.

      • KCI등재후보

        시각적 촉각 자극과 광고영상 구성요소의 상관성 연구 : TV 공익광고영상 중심으로

        김종무(Kim Jongmoo),김성훈(Kim Seonghu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3

        인간은 오감을 통해 세상을 지각한다. 그 중 시각 60% 청각 20% 촉각 15% 미각 3% 그리고 후각이 2%로 받아들인다. 이처럼 시각과 청각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특히 TV영상은 이미지와 소리 중심으로 표현되기에 시각과 청각에 대한 비중이 더욱 높다. 본 논문은 이처럼 시각과 청각 자극의 비중이 높은 TV 환경에서 공익광고 영상을 대상으로 피부로 접촉하지 않고 눈으로 보고 느낄 수 있는 촉각적 경험인 시각적 촉각 자극에 대해 알아봄과 동시에 시각적 촉각 자극 공익광고영상과 광고영상구성요소와의 상관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7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1년간 TV에서 방송된 공익광고영상을 대상으로 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최종 실험 결과 총 52편중 12편(23.1%)에 대해 실험자가 시각적 촉각 자극을 느꼈으며 광고구성 요소와의 상관성에서는 모델(31.1%)과 컴퓨터그래픽 (18.2%)에 실험자가 가장 시각적 촉각 자극을 많이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모델과 컴퓨터 그래픽의 어떤 요소가 시각적 촉각 자극에 관여 하였는가'에 대한 연구와'시각적 촉각 자극 정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어떠한 광고영상이 시청자 (소비자)에게 더욱 효과적으로 의미를 전달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며 본 논문이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Human recognizes the world through senses. Human accepts 60% of information from vision 20% of it from hearing 15% of it from touching 3% of it from palate and 2% of it from smell. Among all these senses people highly depend on vision and hearing. Especially most information on TV is visual images and sound.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visual haptic experience of public advertising campaign images on TV screen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haptic stimulus and advertising elements of visual image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52 public advertising campaign images aired in 2007. As a result the subjects felt visual haptic stimulus from 12(23.1%) public advertising images. As for the relationship with advertising visual elements the subjects felt it more from model (31.1%) and computer graphic images (18.2%).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further study was proposed: analysis about more specific visual haptic stimuli elements of model and computer graphic images and comparative analysis about level of visual haptic images to find out more effective visual haptic stimulus for the public advertisement campa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