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자인 지식경영을 위한 프레임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서홍석(Seo, Hongseok)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디자인지식저널 Vol.21 No.-

        디자인에 있어서 디자인지식의 창조와 활용, IT기술을 이용한 체계적인 관리와 지식경영체계의 구축이 시급하다. 이는 디자인개발 과정 그 자체가 지식의 획득, 창조 공유, 활용의 과정이기 때문에 개인 및 조직에 체화된 디자인지식과 경험, 외부의 지식 자원을 결합하여 새로운 디자인 컨셉 개발과 보다 효율적인 의사결정, 새로운 디자인 프로세스와 방법에 어떻게 연결시킬 수 있느냐 하는 것이 디자인 지식경영 성과를 제고하는 핵심적인 관건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관점에서 디자인지식의 유형과 특성을 고찰하고, 디자인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적합한 지식경영체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즉 디자인 개발을 지원하고 디자인지식의 창조와 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자인 지식경영(D-KM : Design-Knowledge Management)의 이론적 개념과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디자인지식의 유형을 크게 내부지식ㆍ외부지식, 경험적지식ㆍ실용적지식ㆍ학문적지식, 개인지식ㆍ그룹지식ㆍ조직지식 등으로 분류하여 디자인지식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또한 디자인 지식경영 프레임워크 상에서 디자인지식의 창출 과정을 지식차원으로 개념화하여 지식관리 시스템과 상호 연계시킴으로써 디자인지식의 창조, 공유, 및 활용 등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areas of product design knowledge management system suitable to study, particularly to support new product development, product design, process model of knowledge management concept is proposed. For this type of design knowledge, largely empirical knowledge, practical knowledge, including scientific knowledge, were divided into three parts, a knowledge of current product design process to the level of modularity, hierarchical system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and cross-linking on product design, process design, knowledge creation, sharing, and utilization have been studied and can be done effectively.

      • 자전거 도시의 공공디자인을 위한 자전거 픽토그램연구

        정희정(Jeong, Hee Jeong),강승완(Kang, Seung Wan),문혁(Mun, Hyok)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9 디자인지식저널 Vol.11 No.-

        ?;?;세계의 선진 도시국가들은 오늘날 환경과 에너지 등의 절대 요인으로 인하여 자전거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게 인류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으며 마치 경쟁이라도 하듯이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한국 또한 이러한 흐름에 자전거 이용의 당위성과 필요성이 증가되고 자치제별로 힘을 기울이고 있으나 여러분야 에서의 문제점들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디자인강국 한국'; ';디자인수도 서울';이라 는 세계적인 슬로건을 내세우는 한국의 디자인 역량으로 볼 때 한국의 가로에서 보이는 공공디자인의 수준은 미흡하다.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분야로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며 시각언어인 자전거 픽토그램에 대한 연구로써 한국과 일본 그리고 자전거 선진도시 유럽의 5개국, 룩셈부르크,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 스위스에 대한 직접방문 사례조사와 디자인 전문가집단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여 무분별하게 자치제별로 확산되고 있는 자전거 ';픽토그램';의 개선을 통하여 한국의 자전거 친화와 자전거 중심도시의 정착에 기여하며 한국의 공공디자인 성장에 바탕이 되고자한다. In the developed cities and countries around the world nowadays, the bicycle has become the important matter of the human race than ever due to the environment and energy issues. Measures to activate the usage of bicycles are proposed as if they are in competition. Along with the trend, necessity and need of the bicycle usage are increasing in Korea as well. Local governments work on the it, but problems in various aspects have to be settled in advance. First is the integration of the system, administration and design. Considering the design ability of Korea with slogans like "Design Leader Korea" and "Design Capital Seoul", level of public design shown in the street is unsatisfying. The research is regarding the bicycle pictogram, which is the communication mean in public design sector and visual language.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visit case study of Korea and Japan, as well as the advanced bicycle cities in 5 European countries ­Luxemburg, Italy, France, UK and Swiss. Upon the case study, I have carried a survey toward the experts and analysed it. The research aims to make Korea as a bicycle-friendly country, contribute to settle the bicycle-oriented city and be the basis of the public design enhancement in Korea, through improvement of the bicycle "Pictogram" that is spreading out by the local governments in unstructured manner.

      • 미디어 패러다임 변화에 의한 지식디자인의 확장 연구

        김효일(Kimm, Hyoil)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0 디자인지식저널 Vol.15 No.-

        미디어는 인간의 지적 탐구와 새로운 정보의 습득을 가능케 하는 창구로서 다양한 정보자원의 수집과 배포, 발간 기능의 변화를 통해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창조하였고, 인간의 지적 욕구충족의 과정에서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오게 했다. 인간에게 정보와 지식은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기본적인 도구로 사용되었으며, 새로운 환경과 도전에 대응하는 방법론을 제공하고 있다.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는 인식 구조의 축으로 시공간의 궤적을 통해 새로운 가치체계의 틀에서 발견되며, 그 기술적, 방법론적 발전에 따라 미디어가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의 인식은 이전의 미디어와의 관계로 대입하여 인지되는 것이 아니라, 전혀 새로운 시각에서 미디어의 변화된 구조를 이해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디자인 영역의 변화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의 구조는 시각디자인 영역에서 확장되어 디자인과 지식의 관계를 통해 확장된 디자인의 매개과정에서 기본적 아이디어를 구성하고 있으며,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가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과 디자인의 영역 확장의 관계에 대하여 진행되었다. 정보디자인의 영역 확장에서 출발한 지식디자인 영역은, 사회구조의 변화가 미디어의 확장과 패러다임 변화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결국 디자인의 영역 확장 또한 미디어의 패러다임 변화에 의해 반영되는 메타담론(meta discourse)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 지식디자인은 광의의 범위에서 흩어진 자료와 정보의 가공을 통해 새로운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정보를 디자인하는 영역이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의 관점과 미디어의 진화심리학적 맥락에 의해 조망하게 되고 있으며, 미디어 패러다임의 영향에 의해 디자인의 영역과 수행방법론이 변화된 것을 이해할 수 있다. Media is a tool that enables intellectual pursuit and information learning and therefore has created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through changing role of collection and distribution, publication of various information resources; and in the course of satisfying intellectual desire instigated changes in media paradigm. Information and knowledge have been used by the humankind as a basic tool to make them a true human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methodology to respond to new environment and challenges. Extension in information design can be likened to media ecology in change in media paradigm where media evolves from static to dynamic medium activities. When looking into the changes in media, various technical medium including personal media, UCC, RSS, blog, widget and other types of Web 2.0 have surfaced as reasons that cause changes in socio-cultural media paradigm. As an axis of cognitive structure, changes in media paradigm are discovered in new value framework from time and space trajectory and its technological methodological development leads to changes in media. Such changes are not necessarily recognized as their relation with existing media; but from a completely fresh perspective changed structure of media can be understood based on which change in information design realm can be interpreted.

      • 경제와 디자인의 상관성에 관한 논설

        문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8 디자인지식저널 Vol.8 No.-

        경제와 디자인이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논의해 보는 것이 이 논설의 목적이다. 경제와 디자인이 크게 보면 거의 같은 성쇠를 겪는 동반자나 다름없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디자인과정은 분명히 ‘경제적 활동’이며 디자인의 결과는 분명한 ‘경제적 산물’이기 때문이다. 경제가 발전할수록 자본, 노동, 토지 등에 비해 지식이 가장 중요한 생산 요소가 되며, 지식의 증가에 의한 생산성 향상이 경제성장을 견인하게 된다. 이것을 지식경제라고 지칭하며 한국경제의 성장 동력을 회복 하는 길은 한국경제를 본격적인 지식경제 체제로 만드는 데서 찾아야 한다. 그러므로 지적자산의 일부인 디자인이 매우 중요해지는 시점이다. 디자인은 향후 다수의 세분시장을 대상으로 제품 믹스를 제공하는 일종의 다세분화(Multi-Segment)전략을 구사해야 한다. 즉 디자인 시장의 가능성은 크게 프리미엄 시장과 중저가 브랜드 시장으로 이원화될 것이며 후자인 중저가, 저가 제품 디자인이 더 크게 열려있는 블루오션이라 판단된다. 기존의 기존 한국 기업이 구축해온 프리미엄 이미지는 향후 장기적으로 통합적인 관점에서 세계시장을 주도할 소중한 자산이다. 그리고 세계경제가 어려울수록 중저가 브랜드의 새로운 창출 역시 어느 때 보다 더 큰 가능성으로 열려있다.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y and design. It is not an excessive expression to regard design and economy as companion which is under the same prosperity and decline, for the process of design is a kind of 'economic activity' and the result of design is a sort of 'economic output'. Knowledge is come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rather than capital, labor, and estate(land) according to the economic growth, furthermore production elevation by knowledge increase draws the economic growth. This knowledge economy could be one of the key to Korean business recovery if it would be under the setup of knowledge economy. This point tells us design is come to be more important because it is a kind of knowledge property. Designers should seek market segmentation strategy which considers diverse consumer's need. Design market is come to be devided to premium market and brand market of lower price. Korean products of premium image will be important property leads world market. In addition, the new creation of lower price brand makes an offer much possibility as blue ocean.

      • 디자인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업 내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의 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이현규(Lee, Hyungue),김은명(Kim, Eunmyou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1 디자인지식저널 Vol.18 No.-

        우리나라는 지식기반 산업인 디자인산업을 중점 육성하여 경제발전 도모 및 국가경쟁력을 높일 미래의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설정하고 있다. 디자인은 지식서비스 산업으로 기본적인 인프라는 디자인 관련 전문인력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자인전문인력의 산업계 내에서 전문적인 활동과 기여도, 기업 및 기관 등의 디자인전문인력을 위한 인력개발 및 재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디자인전문인력의 전문성과 경쟁력을 높여 디자인과 전 산업계의 성장동력으로 역할 할 수 있도록 디자인전문인력에 대한 인력양성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 되었다. 기존에 실시한 타 연구자들의 조사와 연구, 기관에서 발표한 현황자료를 참고하여 디자인전문인력의 산업계에서의 활동에 대한 현황과 기업들의 디자인인력에 대한 경쟁력강화를 위한 재교육 등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산업과 디자인전문인력의 양성과 관련한 강점과 약점을 분석하였다. 정부차원에서 구축하고 있는 한국디자인진흥원과 각 거점별 RDC 및 지역별 DIC 등 인프라를 적극 활용함에 대한 당위성을 바탕으로 디자인관련 우수한 전문인력의 기반 확대와 역량강화를 통해 디자인 산업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Design industry is one of the promising future growth engine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So, securing its development is important for raison d’etat. Human resource is the fundamental infrastructure of design industry. In the study, some issues, level of business activity and contribution degree of skilled design manpower,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in job retraining, are discussed and alternative plans are suggested to improve professionalism and competence of design experts. It may brings a ripple effect on design industry itself and any other industry. Previous researches, studies and status report are used to determine the business activity status of skilled design manpower and effectiveness of retraining program for competence improvement. Strength and weakness in design industry and nurturing skilled manpower are analyzed with those research materials. To secure competiveness of design industry, expanding qualified design expert poll and intensifying bedrock of constant retraining program are required. Making aggressive use of official and quasi-public design infrastructures, KIDP, government supported design institute, regional RDC and university-run DIC and so on, could be one of the appropriate alternatives.

      • 한국적 디자인 형상성과 신조형주의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윤우중(Yoon, Woojoong),이현진(Lee, Hyunji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2 No.-

        21세기는 다양한 디자인과 미술 양식이 공존하고 과학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실험적인 표현들이 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실험적인 표현 및 양식 속에는 시대와 지역을 초월한 공통된 디자인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유사성이 나타나는 현상과 함께 각 나라마다 대표되는 디자인 형질들이 요구되는 패러다임 또한 요구되고 있다. 미국의 실용주의, 프랑스의 장식주의, 독일의 견고한 함축미 등과 같이 각국을 대표하는 디자인 경향은 그 나라의 디자인 정체성을 견고히 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반면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한국의 경우 차별화된 디자인 형질, 즉 디자인 정체성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현대디자인의 경향과 연관된 신조형주의의 개념을 통해 한국디자인의 정체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시도 되었다. 형상성의 보편적 리얼리티를 표현하는 신조형주의와의 연관성을 비교하여 과거부터 잠재해 있던 본질적인 한국의 조형적 원리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면과 색채의 구성에서 매우 뛰어난 조형성을 보여주는 19세기 조선의 조각보와 현대 추상예술의 선구자인 몬드리안의 사례로 살펴보도록 하였다. 연구방법은 형상성의 개념을 통해 조각보와 신조형주의인 몬드리안 작품이 지닌 내재적인 의미와 외재적 의미를 조형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형상성의 조형개념이 조각보와 몬드리안의 작품에 보편성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조형적 보편성은 현대디자인에도 적용되고 있음을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결국 한국의 조각보에는 잠재된 한국 특유의 조형가치가 충분하며, 이를 신조형주의의 개념과 비교하여 한국 디자인이 지니고 있는 표현형질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delve into the identity of the Korea design through the concept of Neoplasticism related to the tendency of modern design.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intrinsic formative principle of Korea, which is latent from the past, as compared to the correlation of Neoplasticism expressing universal reality of Feature-in-form. To prove this, we examined traditional patchwork, showing remarkable Feature-in-form in the composition of line and colour, at the Joseon in the 19th century and the works of Mondrian, who is a pioneer of abstract art in modern, as examples. Research method formatively analyzes intrinsic and extrinsic meanings on the work of Mondrian and patchwork through the concept of Feature-in-form. As a result, we could notice that the formative concept of Feature-in-form was expressed as universality on the work of Mondrian and patchwork, and the formative universality has been applied to the modern design.Eventually, We found that the formative value in Korea’s patchwork having uniqueness was sufficient and the superiority of phenotypic characteristics in Korea design was verified, compared to the concept of Neoplasticism.

      • 디자인지식이 디자인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정윤((Jang, Jungyoun),임헌혁(Im, Hunhyouk)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0 No.-

        최근 기업들은 가치의 극대화 수단으로 디자인 경영을 모토로 설정하고, 저마다 디자인 성과를 높이기 위해 디자인 지식을 공유, 축적,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기업에서 표방하고 있는 디자인 경영이란 매우 모호한 개념으로 디자인의 중요성을 표면적으로만 강조할 뿐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기존의 시행착오를 반복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자인경영의 올바른 도입과 적극적인 활용를 위해 디자인 지식이 디자인 성과에 미치는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그에 따른 척도를 확인함과 아울러 디자인 경영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실제적 표본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디자인 지식과 디자인 성과에 관련한 이론을 고찰하고, 국내 1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고자 한다. 연구조사 표본으로 10대 기업에 종사하는 150명의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방식을 통하여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고, 연구조사대상표본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제시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수향하였으며, 구조 방적식모형은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을 제시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바람직한 디자인경영 방안으로 디자인 지식이 디자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디자인 업무시스템 및 조직성과의 관계를 심층 분석함으로써 디자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조직의 활성화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It is natural for company to mention the importance of design. However, most of companies mention the importance of design but they do not know what they do throughout the company. Actually, the design management that many companies expres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design, is very obscure concept. Design management can be mentioned when the design knowledge and abilities of design staffs are rooted in company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knowledge and design result in order to improve the brand image of compan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knowledge and design result, the core design ability will become the media, partial media and perfect media effect. Actual analysis result will be shared with design managers leading companies, design scholars and core designers of company.

      • 한국 용(龍)에 표출된 전통 조형미와 익살의 디자인적 활용 가치

        이진구(Lee, Jinkoo)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5 No.-

        본 논문은 먼저 한국용의 미학적 가치를 찾아내기 위한 방법론으로 한국의 조형미(선, 색채, 여백)와 익살의 특징을 서민 예술에 표출된 한국용의 조형적 특성에 대입하여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한국용은 그 독자적인 특징이 뚜렷하며 한국의 전통적인 미와 익살의 특징이 선명하게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근거로 제안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의 한국 정체성 표현으로 한국용에 표출된 선, 색채, 여백의 본질을 이해하고 현대적으로 잘 해석한다면 디자인의 새로운 경쟁력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한국적 익살에서 그 모티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한국용뿐 만 아니라 전통조형 예술의 전반에 표출되는 한국만의 특징이며 차별화된 독자적 가치를 지닌다. 셋째, 국가브랜드 가치, 한류, K-pop, K-design, 싸이 등에서 보여준 가능성과 같이 경쟁력이 있는 전통 조형미의 가치를 디자인적인 관점에서 재해석, 현대화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그 대표적인 한 예로 한국용은 서민 문화의 재미있는 아이콘으로 충분한 가치와 정서를 지니고 있다. 여기에 한국적 조형 가치가 더해져서 재조명 된다면 디자인의 새로운 소재로 응용 가능하며, 글로벌 시대 또 하나의 디자인적 활용 가치로 재탄생 될 수 있을 것이다. As a methodology to find out the aesthetic value of Korean dragons, this thesis first substitu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esthetic quality (line, color, margin) and humor of Korea with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Korean dragons for analysis. As a result, Korean dragons have distinctive independent characteristics and they clearly reveal the traditional beauty and humor of Korea. On such a basis, the following are suggested. Firstly, a new competitiveness in design will be able to be found if the essence of the line, color, and margin expressed in Korean dragons is understood and interpreted well with a modern sense with the expression of Korean identity in the design. Secondly, the motive will be able to be found in Korean humor, which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Korea expressed not only in Korean dragons but also throughout the traditional formative arts to have differentiated independent values. Thirdly, it is important to reinterpret and modernize competitive values of traditional aesthetic quality which was shown in the value of national brand, Hallyu, K-pop, K-design, Psy, etc. As a representative example, Korean dragons have sufficient value and emotion to be an interesting icon for the culture of ordinary people. If Korean aesthetic value is added to it for review, it can be used as a new design material and reborn with another usage for design in the global era.

      • 경제와 디자인의 상관성에 관한 논설

        문찬(Moon, Char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8 디자인지식저널 Vol.8 No.-

        경제와 디자인이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논의해 보는 것이 이 논설의 목적이다. 경제와 디자인이 크게 보면 거의 같은 성쇠를 겪는 동반자나 다름없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디자인과정은 분명히 ‘경제적 활동’이며 디자인의 결과는 분명한 ‘경제적 산물’이기 때문이다. 경제가 발전할수록 자본, 노동 토지 등에 비해 지식이 가장 중요한 생산 요소가 되며, 지식의 증가에 의한 생산성 향상이 경제성장을 견인하게 된다. 이것을 지식경제라고 지칭하며 한국경제의 성장 동력을 회복 하는 길은 한국경제를 본격적인 지식경제 체제로 만드는 데서 찾아야 한다. 그러므로 지적자산의 일부인 디자인이 매우 중요 해지는 시점이다 디자인은 향후 다수의 세분시장을 대상으로 제품 믹스를 제공하는 일종의 다세분화(Multi-Segment)전략을 구사해야 한다. 즉 디자인 시장의 가능성은 크게 프리미엄 시장과 중저가 브랜드 시장으로 이원화될 것이며 후자인 중저가, 저가 제품 디자인이 더 크게 열려있는 블루오션이라 판단된다. 기존의 기존 한국 기업이 구축해온 프리미엄 이미지는 향후 장기적으로 통합적인 관점에서 세계시장을 주도할 소중한 자산이다. 그리고 세계경제가 어려울수록 중저가 브랜드의 새로운 창출 역시 어느 때 보다 더 큰 가능성으로 열려있다.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y and design. It is not an excessive expression to regard design and economy as companion which is under the same prosperity and decline, for the process of design is a kind of "economic activity" and the result of design is a sort of I economic output". Knowledge is come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rather than capital, labor, and estate(land) according to the economic growth, furthermore production elevation by knowledge increase draws the economic growth. This knowledge economy could be one of the key to Korean business recovery if it would be under the setup of knowledge economy. This point tells us design is come to be more important because it is a kind of knowledge property. Designers should seek market segmentation strategy which considers diverse consumer"s need. Design market is come to be devided to premium market and brand market of lower price. Korean products of premium image will be important property leads world ma rket. In addition, the new creation of lower price brand makes an offer much possibility as blue ocean.

      • 미디어 패러다임 변화에 의한 지식디자인의 확장 연구

        김효일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0 디자인지식저널 Vol.15 No.-

        Media is a tool that enables intellectual pursuit and information learning and therefore has created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through changing role of collection and distribution, publication of various information resources; and in the course of satisfying intellectual desire instigated changes in media paradigm. Information and knowledge have been used by the humankind as a basic tool to make them a true human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methodology to respond to new environment and challenges. Extension in information design can be likened to media ecology in change in media paradigm where media evolves from static to dynamic medium activities. When looking into the changes in media, various technical medium including personal media, UCC, RSS, blog, widget and other types of Web 2.0 have surfaced as reasons that cause changes in socio-cultural media paradigm. As an axis of cognitive structure, changes in media paradigm are discovered in new value framework from time and space trajectory and its technological methodological development leads to changes in media. Such changes are not necessarily recognized as their relation with existing media; but from a completely fresh perspective changed structure of media can be understood based on which change in information design realm can be interpreted. 미디어는 인간의 지적 탐구와 새로운 정보의 습득을 가능케하는 창구로서 다양한 정보자원의 수집과 배포, 발간 기능의 변화를 통해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창조하였고, 인간의 지적 욕구충족의 과정에서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오게 했다. 인간에게 정보와 지식은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기본적인 도구로 사용되었으며, 새로운 환경과 도전에 대응하는 방법론을 제공하고 있다.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는 인식 구조의 축으로 시공간의 궤적을 통해 새로운 가치체계의 틀에서 발견되며, 그 기술적, 방법론적 발전에 따라 미디어가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의 인식은 이전의 미디어와의 관계로 대입하여 인지되는 것이 아니라, 전혀 새로운 시각에서 미디어의 변화된 구조를 이해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디자인 영역의 변화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의 구조는 시각디자인 영역에서 확장되어 디자인과 지식의 관계를 통해 확장된 디자인의 매개과정에서 기본적 아이디어를 구성하고 있으며,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가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과 디자인의 영역 확장의 관계에 대하여 진행되었다. 정보디자인의 영역 확장에서 출발한 지식디자인 영역은, 사회구조의 변화가 미디어의 확장과 패러다임 변화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결국 디자인의 영역 확장 또한 미디어의 패러다임 변화에 의해 반영되는 메타담론(meta discourse)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 지식디자인은 광의의 범위에서 흩어진 자료와 정보의 가공을 통해 새로운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정보를 디자인하는 영역이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의 관점과 미디어의 진화심리학적 맥락에 의해 조망하게 되고 있으며, 미디어 패러다임의 영향에 의해 디자인의 영역과 수행방법론이 변화된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