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응시의 시각적 재현에 관한 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손병돈 ( Byoung Dohn Soh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09 예술과 미디어 Vol.8 No.1

        본 연구는 첫째 시각미디어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있어서 라캉의 무의식의 구조에 의지하여 시각미디어와 ``본다``는 것(시선과 응시)이 상호주체적인 과정임을 설명해줄 수 있는 이론적인 틀을 마련하는 것이다. 둘 째 이렇게 마련된 이론적 틀을 활용하여 시각적 미디 어와 이미지에 적용해 보면 스크린은 욕망을 내포하고 있는 텍스트이자 관객과 상호 작용하는 환상의 텍스트라는 것이다. 이러한 결론을 얻기 위해서 라캉의 정신분석 이론을 이미지 분석의 적용과 해석 가능성이라는 관점에 서 검토하였고, 시선과 권력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을 재구성하면서 이론적이고 분석적인 수준에서 시각이 미지와 해석의 문제에 접근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이미지를 접하는 관객 이 의미를 생산하는 정신분석학적 방식을 주목하였고 응시는 해석적 도구로써 영상에서 왜상을 해석하는 기표로 다루었다. 이를 위해 손병돈의 2008년 전시 작품을 예로 사용하였다. 그의 작품은 첫째, 작품의 왜상과 응시를 직접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관객을 유혹하는 전시를 보여주고 있었다. 왜상은 관객에게 그의 시선을 사로잡는 응시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왜상은 타자가 해석하고 동일 시하며 투영하는 욕망의 덫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컴퓨터를 이용한 관객과의 적극적인 상 호 소통은 미디어 아트의 구조를 통해 객체인 방문객을 능동적인 주체로 전환하는 상호주체적인 참여를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응시의 표현 방식은 낯익은 대상을 낯설게 압축 전치하여 사용한다. 낯익음을 가장한 낯설게 하기 방식은 왜상 혹은 왜상의 응시에 대한 오인으로 기인하는 데, 이는 관객의 익숙함을 전복시키거나 고정되어 있는 관념을 비틀어 삐딱하게 제시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정신분석학의 도움을 받아 어떻게, 왜 영상을 해석하는지를 수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영상을 분석하는 가장 직접적인 정신분 석의 구조를 설명하고 그 결과를 확인하는 해석 틀을 제공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theoretical frame to explain that both visual media and seeing, the look and the gaze, are the process of inter-subjectivity in reliance on the French psychoanalyst Jacques Lacan`s thought for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visual media. Second, according to analyze visual media and visual images, screen is not only a text including desire but also a fantastic text interacted with a viewer in using the prepared theoretical frame. Therefore, in this study I have checked over the view point which is applied from psychoanalysis to visual image and which is an interpretational possibility to have a conclusion. To recompose discussions preexisted for a look and a power, I have approached on visual media and a matter of interpretation on a theoretical and an analytical flat. In this study, I have focused on the role of the viewer in making meaning of the images, and theories about the gaze as the signifier to read or interpret anamorphosis in visual images. For it, I have used ``A Video Installation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Gaze``, the exhibition of Sohn, Byoung Dohn in 2008, as a case study. In his works, firstly, he had been showing his solo exhibition used directly an anamorphosis and the gaze to spectators as a trap for the look of spectators. The anamorphosis was functioning as the gaze in which they can read it, identify with it and project their desire onto it. Therefore, I can say that it is regarded as operating the trap of others`` desire. Secondly, his exhibition was able to be possible that others can participate inter-subjectively in it as the subject which was an object with the positive inter-communication based on the computer technology, through the structure of media art. Finally, the way of the gaze was using a familiar object to an unfamiliar one which was displaced and compressed in order to not only upset being well acquainted things but also twist the fixed notions that came from others as spectators. In this paper, I have proceeded by how and why the analysis of the visual images can be helped by Lacanian psychoanalysis. This statement will provide a template for subsequently identifying and describing those aspects of the Lacanian system that bear most directly on the analysis of the visual imag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백남준과 브루스 나우만의 초기 비디오아트에 관한 연구

        손병돈 ( Byoung Dohn Soh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0 예술과 미디어 Vol.9 No.2

        우리의 삶에 있어, 행복을 성취하기 위한 한 수단으로서의 정신적 가치는 매 시대 정의 되어 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인해, 정신적 노동의 산물인 현 대 예술작품(상층구조의 산물)은 그 자체의 존재론 적인 정당성을 갖고 하나의 독립적인 존재로 간주 되어야 한다. 간혹, 새로운 예술 작품(상층구조)의 형태는 어떤 해석적인 감각에 근거해서 우리가 상 상할 수 있는 존재론적인 측면에 비해 낯설기도 하 다. 즉, 기계적 기술과 연계된 멀티미디어 예술작품 은 우리에게 새로운 미적 접근을 요구하는 것이다. 오히려 우리의 접근 방식을 변경할 때라야, 21세기 문화의 중요한 부분으로서의 멀티미디어가 밝혀질 것이다. 진보한 기술은 예술에 있어 어떤 새로운 전형을 창조해 왔다. 현대 문화와 사회의 고도 산업화된 체 제 하에서 후기 자본주의는 멀티미디어 아트의 유 입에 사회적으로 일정부분 그 기반을 두고 있음은 분명하다. 예술과 자본주의 사이의 상호 밀접한 기 능에 의해서, 현대의 테크놀로지는 사람들의 일상의 삶 속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예술에 있어 새로운 기술적 요소들은 역설적으로 새로운 정신적 지향성을 갖고 천부의 재능을 부여받은 젊은 예술가들의 자신을 표현하는 도구로서 이용되고 있다. 멀티미디어 예술가들은 절대적으로 기술적 미디 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들의 작품 속에 기술적 요 소들을 시각적으로 변형시키고 있다. 이러한 테크놀 로지의 구조적 사용을 통해, 멀티미디어 예술가들은 우리 시대의 예술에 새로운 모형을 창조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후기 자본주의 문화 속 미디어 아트 의 역할을 연구함은 21세기 예술과 문화를 정의할 담론들을 발견하는 데 우리를 인도해 줄 것이다. 그리고 그 출발점은 백남준과 브루스 나우만의 작품을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한다. Contemporary artwork as the product of superstructural activity (activities related to spiritual labor including art) must be considered as an independent existence with its own ontological validity. Sometimes, new forms of artwork (superstructure) do not have familiar ontological aspects that we can imagine based on a hermeneutic sense. That is, multimedia artworks employing machine technology require of us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aesthetic quality. Only when we modify our approach, is multimedia revealed as an important part of late twentieth century culture. Advanced technology has created a new paradigm for art. Late capitalism has socially based an influx of multimedia art under the highly industrialized system of the contemporary culture and society. By this interrelated function between art and capitalism, contemporary technology influences people`s everyday lives. Indeed, the new technological elements in art play a critical role in endowing younger artists with a new spiritual orientation. Multimedia artists peremptorily use technological media and visually transfer those technological elements into their artworks. Contemporary artwork as the product of superstructural activity (activities related to spiritual labor including art) must be considered as an independent existence with its own ontological validity. Sometimes, new forms of artwork (superstructure) do not have familiar ontological aspects that we can imagine based on a hermeneutic sense. That is, multimedia artworks employing machine technology require of us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aesthetic quality. Only when we modify our approach, is multimedia revealed as an important part of late twentieth century culture. Advanced technology has created a new paradigm for art. Late capitalism has socially based an influx of multimedia art under the highly industrialized system of the contemporary culture and society. By this interrelated function between art and capitalism, contemporary technology influences people`s everyday lives. Indeed, the new technological elements in art play a critical role in endowing younger artists with a new spiritual orientation. Multimedia artists peremptorily use technological media and visually transfer those technological elements into their artworks.

      • KCI등재

        나를 향한 질문: 영상 속에 나타나는 응시에 관한 연구

        손병돈 ( Byoung Dohn Sohn ) 한국사진학회 2009 AURA Vol.0 No.20

        The aim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find a stream of visual communication which has been slightly changed but also to prescribe a space which has been understanding between art works and viewers.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is able to lay groundwork for the study of visual communication and to provide a clue which helps to understand various art works, the advent of entering upon the age of digital information. It will be to analyze the artistic expression of art works presented the gaze and to find a way, a new artistic expression, over the case study. It will be helpful that the gaze will be an alternative factor for communication between art works and audiences and also enhanced with various ways of seeing for a new media. Interpreted a visual image of art works, the gaze and Che vuoi are suggested as a prism which is a function to separate the meaning through them into questions like what is that for me and what is your desire etc. Case studies for the presentation of the gaze are as follows, the look for a camera, the sight awry, the gaze and technology. With being analyzed this study into the case studies, the inherent question of the gaze for the subject I is a kind of trap and lure caught in viewer`s own eyes on the ball. Finally, the researcher can approach the question as the object to be explained as well as the object to be changed in viewer`s min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무의식의 구조와 영상분석에 관한 연구

        손병돈 ( Byoung Dohn Sohn ) 한국사진학회 2006 AURA Vol.0 No.15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rench psychoanalyst Jacques Lacan`s thought about the unconscious and to analyze the movie, Vertigo directed by A. Hitchcock in 1958. According to Lacan, the unconscious is structured like a human language based on metonymy and metaphor. For him it means that the unconscious is composed of three orders that are the imaginary, the symbolic, and the real. The imaginary is the world, the register, the dimension of images, conscious or unconscious, perceived or imagined. The notion of the symbolic is not icons but signifier like a language. The subject, in Lacan`s sense, is an effect of the symbolic. The real links to the symbolic and the imaginary. It stands for what is neither symbolic nor imaginary, and remains foreclosed from the analytic experience, which is an experience of speech. It is a non-signifying Other, the real, that exists as sedimentations within language which resist symbolization, remaining obscurely and intransigently material It is thus the place where the analyst can read the screen which is consist of man`s desire and symptom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a general outline of Lacan`s theory of the unconscious and to suggest its relevance to the field of visual criticism.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