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엄경희,정보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1
세계적인 무대에서 한국 디자인이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 한국의 문화와 정체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디자인이 중요시 되고 있다. 전 세계를 무대로 활약하는K-Pop처럼 한국의 디자인도 이제 K-Design이라는 고유 브랜드로서의 정체성을 구현하기 위해서 한국만이가진 내면적 정서를 넣어 한국의 긍정적 이미지를 끌어와 전통적인 것과 현대적인 감각을 혼합하여 한국적인디자인 정체성을 정립하여 디자인의 접근을 시도 하여야 한다. 대중문화의 현상으로부터 시작된 한류의 성과를 디자인 분야의 성과 및 이익창출로 이어지도록 하여,한국 디자인의 이미지 제고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문화와 이미지의 상품화로경제적 부가가치와 고용의 창출을 거두며, 우리문화의원천인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과 저변확대로 대중문화위주인 한류의 지속적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점차 여러 디자인 분야에서 K-design을 활용한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고 있다. 이를 패션디자인, 제품디자인,인테리어디자인으로 분류하여 연구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디자인DNA 발굴 사업’에서 선정된 대표디자인중 인문정신(훈민정음)과 건축(경복궁, 창덕궁)에서 모티프를 추출하여 패션악세서리와, 뮤럴벽지등 서피스 제품디자인을 개발 하였다. 앞으로 K-design을 활용하여 현대적 디자인 감각과 우리만의 독창적인 전통미를 융합한 서피스 제품디자인 개발은 국가 디자인 경쟁력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사료 된다. 앞으로 세계시장에서K-design을 널리 알리고 이를 활용한 서피스 디자인 제품의 세계시장 진출에 무한한 가능성이 기대되어진다.
디지털 제조 시대 디자인 지적재산권 보호 방안에 관한 연구- 3D 프린팅 산업 환경 분석과 디자인 지적재산권 이해를 중심으로 -
김경아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3
디자인 산업에서 3D프린터의 보급의 확대로 원하는 제품을 직접 디자인 하거나, 개인 맞춤형으로 변형하여 생산할 수 있는 소비자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대량생산 체재의 제조업 패러다임(paradigm)을 수용하면서 개인 제조(personal manufacturing)의 시대로의 진입을 꾀한다. 디지털 제조는 온라인에서의 제조의 모든 프로세스를 거친다. 온라인 커뮤니티의 활성화로 기획, 콘셉트(concept), 디자인에 있어 전문가(디자이너, 개발자, 기획자)와 개인 사이의 아이디어 공유 및 협업이 가능하며, 3D스캐너와 3D모댈링 프로그램들의 사용성과 편의성의 향상으로 누구나 쉽게 디자인을 할 수 있다. 디지털 디자인 파일을 3D프린터에 전송하면 앉은 자리에서 제품 생산이 가능하며,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에서 디지털 디자인 파일의 공유와 판매가 가능하다. 이렇듯 디지털 제조의 시대는 디자인에 대한 개인의 접근성이 높아지고 생산의 단계까지 침투하게 되면서 디자인 창작자에게 부여하는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권리인 디자인 권의 침해라는 큰 문제에 직면한다. 기본적인 디자인의 법적인 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이 시점에서 디자인에 대한 무분별한 모방과 침해는 창작자인 디자이너는 물론 소비자들의 심리적 경제적 피해를 입히고, 기업과 산업에 손해를 입힘으로써 산업 발전에 악 영향을 미친다. 이미 디지털 콘텐츠 산업에서는 지적재산권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었고, 많은 법률과 규제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디지털 제조의 시대에는 온라인에서의 디지털 디자인 파일에 대한 불법 공유와 판매, 불법 제품의 생산과 유통의 문제에서 지적재산권 문제의 심화가 예상 되는 바 디지털 제조시대 지적재산권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정립하고 적절한 관리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현재 적용할 수 있는 디자인 보호를 위한 지적재산권을 살펴보고, 이해를 통해 디지털 제조 시대 가져올 수 있는 지적재산권 문제를 도출하여 해결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김세웅,김병완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3
The new paradigm of digital life era nestled in a variety of platforms in quick time digital graphic design, properly represent the changing paradigm. Big data management of digital information in a digital platform for the development of the graphic changes the present time and studying the essential graphic elemen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take advantage of.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digital life component paradigm, examines trends and key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by combining the global design trends and has developed a graphic style to offer. The purpose of this study due to changes in the digital lifestyle changes based on the paradigm of a new type of digital design, content, appearance and graphics easily and conveniently applies the appropriate development and is known to utilize. Research paradigm range of digital life at the moment, and it examines various features utilizing graphic design KakaoTalk, Facebook, YouTube, Naver Blog was analyzed by selecting the latest global design trends and connect the digital graphic design research, was developed. The aforementioned study research methods to analyze and graphic style Layout, Visual effect centered on user interaction made based on analysis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elements analyzed. Through this practice standards uibae expression analysi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global design trends and considering the common expression applied to the digital paradigm is proposed for easy graphic styl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forementioned bar, it was developed a graphic style to the development of new digital content that is likely to present. 디지털 라이프 시대의 다양한 플랫폼 속 디지털 그래픽 은 변화하는 현 시대의 패러다임을 반영하여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빅 데이터의 디지털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효과적인 디지털 플랫폼과 그래픽의 개발을 위해서는 현 시점의 본질적인 그래픽 요소들을 연구하고 활용 방안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라이프 패러다임의 개념과 요소, 트렌드의 주요 특징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글로벌 디자인 트렌드와 접목시킨 그래픽 스타일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라이프 시대의 새로운 타입의 디자인 콘텐츠가 가지는 의미를 확인함과 동시에 디자인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그래픽디자인을 쉽고 편리하게 개발하여 사용하는데 도움을 주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현 시점의 디지털 라이프 패러다임의 경향을 고찰하고 이를 그래픽 디자인에 활용한 카카오톡, 유투브, 네이버 블로그를 선택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이를 최근 글로벌 디자인 트렌드와 연결시켜 Layout, Visual effect 등의 시각적 표현요소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글로벌 디자인 트렌드와 공통점을 고려하여 표현된 디지털 패러다임에 적용이 용이한 그래픽 스타일을 최종적으로 개발·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디지털 라이프 패러다임과 그 속에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디자인트렌트를 살피고 나아가 이를 반영한 그래픽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그래픽디자인의 개발은 경쟁력 있는 산업콘텐츠로 활용되어 국가문화산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황지은,윤상훈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디자인 각 분야의 독특한 방법론이 디지털화 되면서 다른 분야에 미치는 영향이 커진다는 가설에서 시작한다. 즉, 특정 디자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소프트웨어나 디지털 제작법 등이 다양한 디자인 문제에 적용되면서 디자인 미디어의 발전은 물론 다시 다른 분야에 새로운 시도를 이끌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디지털 미디어의 빠른 확장과 변화의 특성상, 동시 다발적으로 벌어지는 방대한 양의 사건들을 인지하고 그 간극의 직간접적인 관계를 파악하는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본 연구의 목표는 다양한 디자인 분야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목록화하고 이를 시대적 맥락과 함께 이해할 수 있는 연대기 형식의 플랫폼을 개발하여, 여러 분야의 디자인 전문가들과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정보 리소스를 구축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디자인 미디어의 변천과 디자인의 진화에 대한 기초 조사를 바탕으로, 플랫폼 시스템에 필요한 정보의 구성을 도출하여, 시대적 사건을 입력, 관리하고 출력할 수 있는 위키 기반으로 시스템을 제안하여 여러 가지 방대한 디자인 사례와 시대적 사건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공급받고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현한다. 향후 이와 같은 정보 플랫폼을 개발하여, 여러 분야 디자인 과정이 디지털화 되면서 한 분야의 방법론이 다른 분야에 차용되고 전이되어 혁신적인 결과로 귀결되는 예증을 통해 디지털 디자인의 범위와 방법론을 재조명하며, 디지털 미디어를 매개로한 분야 간 학제 간 융합에 대한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디지털 디자인의 생태개념 적용을 통한 생성적 디자인 체계 연구
안성모,송지현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디자인의 생태학적 접근에 주 목하고, 이러한 융합적 시도의 바탕이 되는 생태 체계의 디지털 디자인 생성 체계로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그 기반을 제시하는 것이다. 디지털 디자인은 디자인 자 체를 유기체적 관점으로 보게 되면서 자연의 생태계가 그러하듯 환경의 정보에 반응하는 발생적 가능성을 부여 한다. 생물의 발생, 성장, 적응, 진화, 도태, 변이 등의 근원적 원리들에는 생물과 환경의 관계에 대한 생태학적 원리가 작용하며, 디지털 기술은 디자인에 있어 이러한 생물의 근원적 원리를 정보화하여 시뮬레이션을 가능하 게 한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을 통해 생성적 형태 구현 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연생태 체계와 생태계 작동원리 를 디지털 환경에 대입하여, 가상 세계에서도 생태체계 에 근거 한 디지털 유기체가 발생, 성장할 수 있다. 생태 학적 원리를 근간으로 하는 디지털 디자인 환경체계는 크게 생물학적 활성에 의한 내적 작용인 모포제네시스와 물리적 활성의 힘에 의한 외적 작용인 다이나믹스로 나 누어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생물이 환경에 반응하여 형 태를 발생시키는 생태학적 원리와 그 틀을 같이한다. 두 생성 체계는 독립적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복잡한 상 호작용을 통해 작동 한다. 생물의 발생, 진화, 항상성의 원리에는 환경에 최적화 하려는 개체와 환경과의 복잡한 정보적 작용이 작동한다. 디지털 디자인의 생성체계에 있어서도 외적 작용인 역학적 활성과 내적 작용인 생물 학적 활성이 매개변수화 된 정보와 생성 알고리즘을 통 한 상호작용을 통해 디자인 유기체의 조직과 형태가 결 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생성 체계는 디지털 환경 내의 유기체적 디자인 발생에 있어서 생명 시스템을 적용하 고, 또한 생물학적 생성의미를 부여하는 근거가 된다. 생 성적 체계를 통해 디자인은 계속해서 변화할 수 있는 유 기체적 잠재성을 내포하며 복잡성을 지닌 환경에 유연하 게 반응하게 된다.
안선아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4 No.2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세자는 디지털 세계에서 컨텐츠 인지도의 수명이 반영구적이라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미래를 선도하는 산업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에 국가 경쟁력 확보와 고유한 문화적 정체성 표출을 위해 고유한 디자인의 개발이 절실하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미를 자연환경의 영향을 받은 자연주의와 우리의 생활 공간, 의복, 음식, 예술등의 생활세계, 사상과 철학을 바탕으로 자연의 미, 선(線)의 미, 여백의 미, 백색의 미의 네가지로 특징짓게 되었다. 네가지의 한국의 미를 브라우저(웹)에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적절한 레이아웃, 이미지, 색채, 서체등 GUI(Graphic User Interface)에 적용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본다. 또한 여러 종류의 사이트 스타일을 분석하여 '한국의 미(美)가 나타난 디자인' 의 장단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한국인이 선호하는 디자인을 통해 고유의 민족문화에서 세계적 보편성을 찾고 타문화와 차별되는 독창성을 부각시킨 디자인을 연구하여 전통 문화 유산에서 독창적인 조형요소를 디자인에 활용하여 세계시장에서 한국의 이미지의 제고를 기할 수 있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가장 한국적인 향기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통해 한국디자인' 이 문화컨텐츠로 자리매김하는데 바람이다. Interface design is fast rising as the leading industry for our future, as it is confirmed that contents can enjoy nearly eternal recognition life span in the digital world. Thus, it is essential to develop our unique design in order to secur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express our unique cultural identity. Based on naturalism, which is affected by natural environment, and our life-world, such as our surroundings, clothing, food and art, as well as ideology and philosophy, this paper characterizes Korean Style as following four beauties: beauty of nature, beauty of line, beauty of empty space, and beauty of pure white. Then, the paper finds ways to effectively express these four beauties through the web browser by applying right sort of GUI(Graphic User Interface), such as layout, image, color, font and etc. Moreover, by analyzing styles of various sorts of web sites, the paper identifies strengths and weaknesses of 'Design with Korean Style.' By finding out designs that are preferred by Koreans, we can find universality in our culture. Also, by studying designs that highlight originality of the Korean culture, this paper aims to enhance the image of Korea in the world market through application of unique formative factors in our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This study seeks to establish 'Korean Design' as rightful cultural contents by using interface design that best express the true beauty of the Korean culture.
비정형 건축 외장의 재현과 구축을 위한 통합적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 적용 연구
조민정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현대 건축의 유기적 디자인 사조와 디지털 디자인 패러다임을 반영하는 비정형 건축을 대상으로 통합적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의 실무 적용 방식을 논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먼저 문헌고찰을 통해 현대 비정형 건축의 유기적 형태 구조와 디지털 건축 패러다임의 철학적, 수학적 사유체계 배경을 조명한다. 또한 비정형 건축의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를 형태 생성, 재현, 구축 과정으로 세분화하여 각 단계별 적용되는 디지털 기술을 파악한다. 특히 디지털 건축 정보의 연속적 흐름에 의해 형태 생성, 재현, 구축 단계가 상호 연계되는 통합적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에 주목하여 이를 지원하는 디지털 모델링과 제작 기술을 살펴본다. 사례분석에서는 최근 십년간 시공된 국내외 비정형 건축 외장 디자인 사례들을 선별하여 통합적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가 적용되는 방식과 디지털 모델링 및 제작 기술이 연계되는 방식을 분석한다. 설계자의 의도와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라 기술의 선택과 활용 범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조사 결과 다음과 같은 적용 방식을 도출할 수 있다. 형태 생성과 재현 과정이 연계된 경우 운동 기반 모델링, 넙스 모델링, 패라메트릭 모델링이 통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형태 재현과 구축 과정이 연계된 경우 패라메트릭 모델링과 전통적인 CAD/CAM 소프트웨어가 통합되고 있다. 특히 패라메트릭 기반의 소프트웨어가 설계 초기 단계부터 적용된 경우 형태 생성, 재현, 구축의 전 과정에서 디지털 건축 정보가 연속적으로 상호 피드백 되며 디자인과 엔지니어링 분야 간의 통합적 협업이 지원되고 있다. 따라서 통합적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에서는 연속된 디지털 건축 정보의 공유를 통해 유기적으로 프로젝트를 제어할 수 있고 전통적인 협업 방식의 변화를 수반하고 있어 미래 건축 실무 환경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크루즈 선사를 위한 캐빈용 베딩 서피스패턴디자인 분석 및 개발
엄경희,김형주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4
크루즈 산업은 미래를 선도하는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유럽, 미주의 선진국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한국은 세계1위 조선강국임에도 불구하고 선박용 고급 인테리어 분야는 외국에 비해 상당히 뒤처져 있다. 특히 한국을 기항지로 하는 크루즈 관광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한국형 디자인의 개발이 절실한 이 시점에서 본 연구는 크루즈 선사별로 특성화된 캐빈용 베딩 서피스패턴디자인을 제시하여 크루즈 인테리어 산업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 범위는 세계 크루즈 2대 선사인 카니발과 스타로 한정하였고,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자료와 인터넷자료를 참조하여 크루즈와 크루즈 선사의 개념, 크루즈 산업의 국내외 현황, 크루즈 2대 선사별 베딩 서피스패턴디자인의 특징과 스타일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콘셉트를 설정한 후 고부가가치의 한국형디자인 개발을 위해 한국전통문양에서 모티프를 가져와 선사별 아이덴티티에 적합하고 독창적인 디자인을 개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카니발 크루즈 선사의 펀쉽‘ 테마에 적합한 베딩 서피스패턴디자인은 ‘인벤티브 팝’ 콘셉트로 창의적이며 웰빙과 오락적인 요소가 조화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었으며, 유기적, 기하학적 모티프와 경쾌한 컬러를 반영하여 유쾌하고 유니크한 캐빈용 베딩 패턴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둘째, 스타 크루즈 선사는 동양적인 오리엔탈과 유럽의 클래식한 디자인을 세련된 느낌으로 조화시킨 ‘에센트릭 트루스’ 콘셉트로 장식적 보헤미안 스타일의 모티프와 동양적이고 클래식한 컬러를 조합하여 동양의 전통성을 살린 클래식 보헤미안 스타일의 캐빈용 베딩 서피스패턴디자인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 후 고부가가치의 한국형 크루즈 인테리어 관련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크루즈인테리어 관련 연구개발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해본다.
박광철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7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7 No.4
)신발산업의 디지털설계 기반과 신발개발 현황을 고찰하IT고 디지털산업의 발전과 함께 융화되는 디지털디자인 방,향과 의의가 신발산업에 미치는 특성 및 연계성을 사례로신발디자인 디지털설계기반 위치와 발전 가능성 토대로개발된 트랙스타 등산화의 개발과정에서 디자인과 디IST지털 인식이 상품가치를 높이는 개념을 연구하였다 신발.산업의 핵심으로 성장하는 디지털기반과 디지털디자인기술개발의 관계유발 성을 조사하고 신발디자인이 성능평,가 시스템개발과 생체공학연구를 통한 화형 의 개발(LAST)과정부터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공유한 디자인 작업과정관리하고 기능과 성능이 신발디자인의 역할에 디지털의통합적 의미를 제안한다 기업자원으로서의 신발디자인의.본원적 전략과 디지털화 의미를 정리하였으며 디지털신,발디자인이 신발산업에 적용하여 고부가가치를 선도하는전략적 가치가 필요하며 디지털가치의 근원이 고급화된,신발디자인산업의 성숙화 된 산업중심에서 소비자와 생산의 통합적 의미로서 발전하게 된 의미를 연구하였다.
IT산업에 나타난 디자인의 역할 및 가치분석- 디지털산업을 중심으로 -
김재익,엄기서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3
디지털시대를 맞이하여 디자인의 역할은 그 범위가 날이 갈수록 광범위해지고 있다. 1990년대 이전까지 디자인의 역할은 인쇄를 기본으로 한 편집과 제품 생산을 위한 미적 표현 중심의 행위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현재는 산업의 발달과 IT의 급속적인 변화로 그 역할이 넓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시대에 부합하는 디자인의 역할을 찾고 분류하여 그 가치를 찾고자 연구되었다. 디지털산업 속에 등장하는 디자인의 유형을 분석하고 정리하여 현시대를 비롯한 앞으로의 디자인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우선 IT 산업의 현황을 조사하여 논하고 그 속에 나타난 디자인의 유형들을 세부적으로 분석, 조사한 결과를 형태적 표현에 따라 웹디자인, 영상디자인, 3D디자인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시작해 보았다. 첫째로는 편집디자인을 바탕으로 한 웹디자인이 IT속에 변형되어지는 형태 분석해 보았다. 둘째로는 영상디자인이 IT 산업에서 변형되어지는 형태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3D디자인에서는 새로운 기술력의 발전으로 이루어진 가상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디자인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되어진 형태적 유형 속에 칼라표현, 편집능력과 디자이너의 감각적 표현능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디자이너와 비전공자 사이에 IT 기술과 결부되어 표현되어지는 능력이 디자이너가 다소 미약하게 표현되고 있었다. 이는 편집 속에 오랜 디자인의 미적요소가 대중에게 강하게 남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웹 기술을 기반으로 디자인의 역할보다는 기술적 역할이 강하게 좌우되고 현재는 앱과 같은 빠른 변천에 따른 디자인 접근성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유형에서는 IT기술이 최우선시 되어 지고 디자인의 가치와 역할은 미약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결과를 가져온다. 앞으로는 더 빠른 시대의 변모가 이루어질 것이라는 전망을 해본다. 본 연구는 나날이 발전하는 디지털 산업 속에서 디자인의 표현 형태를 분석하고 조사하여 디자인의 올바른 활용방안을 제시하고, 디자이너들의 인지를 바꾸고 재해석하고자 진행되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디지털 산업 속에서 디자인의 가치에 대한 변화와 정립의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