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를 매개로 한 학생-교사애착관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김남희(Nam Hee Kim),김종백(Jong Baeg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1 敎育心理硏究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학생이 지각한 교사지지와 자율성, 유능성 및 관계성을 포함하는 기본심리욕구, 수업참여, 학업성취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사지지에 기반한 기본모형에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적 측면을 보다 강조하는 학생-교사애착관계요인을 포함시켰을 때 연구변인들 간 관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교사지지와 학생-교사애착관계의 개념차이를 확인 하고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학생-교사애착 관계를 포함한 연구모형이 성별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10개 중학교 1, 2학년생 664명이었으며,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다중집단분석을 활용하여 전술한 연구문제를 검토하였다. 기본모형과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편이며 연구결과는 첫째, 기본모형에서 교사지지와 학업성취 간에 수업참여의 매개효과가 있었고 교사지지와 수업참여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부분매개효과 또한 검증되었다. 그러나 교사지지와 학업성취 간에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는 수업참여를 거치지 않고서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기본심리욕구의 하위요인들 모두는 수업참여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연구모형에서는 기본모형에서 교사지 지로부터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로 가는 직접적 영향력은 사라지고 학생-교사애착관계 요인이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교사-학생 관계요인이 교사지지와는 다른 독립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모형에서 교사-학생관계와 학업성취를 매개하는 유의미한 수업참여효과가 발견되었으며 기본심리욕구의 매개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심리욕구 요인은 오로지 수업참여를 매개로 하여서만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교사애착관계와 수업참여 간에 기본심리욕구의 하위요인들 각각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모형에서 남녀 학생집단 간 모형의 차이가 없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교사애착관계 모형이 성별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지지와 더불어 학생-교사애착관계의 독립적 영향력을 확인하고 학생과 교사 관계요인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교사와 학생 관계 요인은 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를 통해서 학업성취를 신뢰롭게 설명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among teacher support that students perceived, basic psychological needs including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lso, we identified differences in the meaning and functions of teacher support and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and then verified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by analyzing how those relationships changed when a teacher support model involved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factor that emphasized aspect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Furthermore, we examined gender difference whether female students, who were relationship-oriented, were more affected than male students in student-teacher relationship. 664 students took part in this study. They were the first and the sophomore year of 10 different middle schools in Chungcheong-do and Gyeongsang-do. We examined aforementioned subjects for inquiry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All models in this study such as basic model and research model were acceptable for their goodness of f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confirmed that there was not only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between teacher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model based on teacher support, but also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relationship of teacher support and academic engagement. On the other hand,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teacher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without academic engagement was not significant, and all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academic engagement. Second, we analyzed a research model involved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Results showed that direct influence of teacher support to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disappeared from the basic model, but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factor directly affected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It means teacher-student relationship has an independent influence different from teacher suppor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that mediated betwee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onsequence of verification about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in research model including teacher-student relationship. But no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was found because direct influence from basic psychological needs to academic achievement was not significant. It turns out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only influence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academic engagement. Each of sub 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and academic engagement had partially mediating effect. Third, we examined whether there was gender difference in the research model including teacher-student relationship by using multiple group analysis and we fou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t means research model including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gender. In this study, we clarified the structure of relationships among teacher support,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that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Also, we identified an independent influence of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and the importance of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s well. In addition, we demonstrated that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had significantly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of students.

      • KCI등재

        교사의 다문화 교육인식과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적응과의 관계 : 교사-학생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종백,탁현주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10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적응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교사의 다문화 교육인식과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교사-학생관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1년 5월부터 6월까지 약 3주간에 걸쳐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의 다문화가정 학생 350명과 담임교사 등 교사 40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학생 325명과 교사 378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먼저 교사의 다문화 교육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4요인으로 구성된 측정도구(검사신뢰도 .92)와 학생의 학교적응을 평가하기 위해서 역시 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측정도구(검사신뢰도 .90)를 개발하였다. 이어 다문화 교육인식과 학교적응에서 교사-학생관계를 매개로 하고 한국어능력이 교사-학생관계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에 따라 대안모형을 설정하였고, 연구모형과 대안모형의 적합도와 간명성을 비교한 결과 완전매개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사의 다문화인식이 다문화가정 학생과의 관계를 촉진할 경우에 한해서 학교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볼 때, 교사의 인식이 인식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학생과의 관계개선을 위해 실질적인 노력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chool adjustment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specially,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or not student teacher relationship mediated this relationship. For this study, 378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325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participated. Two scales of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Reliability=.92) and Students' School Adjustment(Reliability=.90) were developed. Research model was built to test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ption and students' school adjustment mediated by student-teacher relationship. There was als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is results, teacher percep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tudent adjustment was completely mediated by student-teacher relationship. However, language ability did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but di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tudent school adjustment variable. Based on these results, alternative model was built and compared with the research model. Alternative model made two changes from the original model.

      • KCI등재

        초등학생의 부모애착이 학생이 지각한 학생-교사 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장미정 ( Jang Mi-jung ),이수영 ( Lee Soo-you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4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부모애착이 학생이 지각한 학생-교사 관계에 영향력이 있는지 살펴보고, 부모애착과 학생 지각 학생-교사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밝혀 학생-교사 관계의 개선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6학년 학생들을 평가대상으로 설정하였고, 평가대상 학생들이 자신에 대해 자기평정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최종 480명의 학생에 대한 자기평정 자료를 SPSS 23.0, Amos 23.0의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애착과 모애착 모두 학생-교사 관계와 정적 상관이었고, 부애착과 모애착 모두 학생-교사 관계 형성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학생의 부애착과 모애착이 안정적이고 긍정적일수록 학생-교사 관계가 긍정적임을 의미한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학생-교사 관계는 정적 상관이 있었고, 자아존중감은 학생-교사 관계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학생-교사 관계 형성에 유리하고,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긍정적인 학생-교사 관계 형성에 어려움이 따름을 의미한다. 셋째, 부애착과 모애착 모두 자아존중감과 정적 상관이었고, 각각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부모와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한 아동들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것을 뜻한다. 넷째, 초등학생의 부애착 및 모애착이 학생이 지각한 학생-교사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의 부분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초등학생의 부애착과 모애착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학생-교사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는 부모애착이 안정적 혹은 불안정적으로 형성된 학생들과 학생-교사 관계를 형성할 때, 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긍정적인 학생-교사 관계 형성의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ather attachment and mother attachment have an influence on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perceived by students or not,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by find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father and mother attachment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5th and 6th graders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set as evaluation targets, and the students were asked to self-evaluate themselves. The self-assessment data for the final 480 student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father and mother attach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nd both father and mother attachment had direct effect on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nd self-esteem had a direct effect on student-teacher relationship. Third, both father and mother attachmen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the effect of each on self-esteem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her attachment and father attachment influencing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perceived by students. In other words, the father and mother attach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fluence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through self-esteem as a medium. This means that when forming a student-teacher relationship with students whose parental attachment is stable or unstable, improving the student's self-esteem can be a way to form a positiv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 KCI등재

        초등체육에서 교사열정과 학생-교사관계, 자율성지지 간의 구조적 관계

        김인수 한국체육교육학회 2017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2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was to examined structural relation among enthusiasm,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and autonomy support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constructed theoretical model which is enthusiasm as a exogenous variable and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and autonomy support as endogenous variables. Methods: The subjects are 291 teachers(elementary school teachers: 222,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69) and use teacher enthusiasm scal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scale and autonomy relation. Data is analysed by description analysis, corelation, and structure equation. Results: First,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howed higher teaching and subjection enthusiasm than tho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ers have more 10 years teaching career show higher scor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than that of teachers who have lower 9 years teaching career. In analysis correlation, there are significant corelation between teaching enthusiasm and subjective enthusiasm, teaching and subjective enthusiasm and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 students, between enthusiasm and autonomy support, and between relationship teacher - students and autonomy support. In analysis structure equation, this model could be used as theoretical model because general index are proved(χ 2=191.17, Q=2.45, GFI=.91, TLI=93, NFI=.93, CFI=.96, RMSEA=.078). In analysis details index, there were significant paths of part teaching and subjective enthusiasm →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 autonomy support, and teaching enthusiasm → autonomy support. Conclusion: There ar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nthusiasm, teacher-students relationship and autonomy support. 이 연구는 초등 체육수업에서 교사의 열정이 교사-학생관계, 자율성 지지와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는것으로 교사열정을 외생변인으로, 교사-학생관계와 자율성 지지를 내생변인으로 한 이론모델을 설정하였다. 이의 검증을 위해 291명의 초, 중등교사(초등:222, 중등:69)를 대상으로 교사열정척도, 교사-학생관계척도와 자율성 지지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여 첫째, 연구 참여자의 특성에 따른 기술분석에서중등학교 체육교사가초등교사에 비해 교과열정과 교수 열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의 성별에 따른 집단 간에는 교사열정, 교사-학생관계 및 자율성 지지에 차이가 없었다. 교사의 경력에 따른 집단간 변인 비교에서 10년 이상교육경력 집단이 그 미만의 경력을 가진 집단에 비해 교사-학생 관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인간 관계에서 교사열정, 교사-학생관계와 자율성지지 간에는 서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론모델을 검증한 결과 이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모델은 전반적 지수가 양호한 것으로(χ2=191.17, Q= 2.45, GFI= .91, NFI= .93, TLI= .96, CFI= .96, RMSEA= .078) 나타나 이론모델로서 가치가 인정되었으며 세부적 지수분석에서교과열정, 교수열정 → 교사-학생관계, 교사-학생관계 → 자율성지지, 교수열정 → 자율성지지 경로가 유의한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수업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및 개인 요인의 구조적 관계 탐색

        유신복(Yu, Shin-Bok),김선미(Kim, Seon-Mi)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수업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부모의 자율성지지, 교사-학생관계, 친구관계, 성취목표를 설정하고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분석 자료는 2019년 대구교육실태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로, 대구광역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2,712명을 연구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고등학생의 수업 참여에 부모의 자율성지지, 교사-학생관계, 친구관계가 직접적으로, 숙달목표를 매개로 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직접효과 검증 결과, 부모의 자율성지지, 교사-학생 관계, 친구관계가 높을수록 숙달목표와 수업참여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숙달목표가 높을수록 수업참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친구관계가 숙달목표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친구관계와 수업참여의 관계에서 숙달목표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부모의 자율성지지, 교사-학생관계, 친구관계와 수업참여의 관계에서 숙달목표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을 확인하였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로 고등학생의 수업참여와 부모의 자율성지지, 교사-학생관계, 친구관계, 성취목표간의 일반적인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학생의 수업참여를 높이기 위한 방안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teacher-student relationship, friend relationship, and mastery goal that affect high school student engagement..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2019 Daegu Education Survey,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on 2,712 second-year students of Daegu Metropolitan City high school.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parental autonomy support,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friend relationship had an influence on student engagement directly and through mastery goal. Second, the higher the parental autonomy support,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friend relationship, the higher the mastery goal and student engagement. However, the influence of friendship relationship on mastery goal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astery goal was not significant between friend relationship and student engagemen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astery goal was significant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teacher-student relationship, friend relationship, and student engagement. Conclusi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engagement, parental autonomy support, teacher-student relationship, friend relationship, and mastery goal were confirmed, and implications for increasing student engagement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육실습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육실습생과 학생들 간의 관계 탐색

        정한호 ( Han Ho Jeong ) 안암교육학회 2014 한국교육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교육실습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육실습생과 학생들 간의 관계 형성 및 발전 과정의 실테를 탐색하고 교육실습이 올바른 방향으로 활성화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생 42명의 일지와 5명을 대상으로 수행된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교육실습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육실습생과 학생들 간의 관계를 있는 그대로 제시하고 그 현상의 의미를 탐색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실습생들은 대학과 다른 교육실습하교의 조직문화와 지도교사와의 관계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탐색할 수 있었다. 특히 교육실습생들은 학생들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을 지니고 교육실습에 임하지만 학생들의 경계심이나 무관심으로 당황하게 되거나 예의 없고 버릇없는 행동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게 된다는 점을 탐색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육실습생들은 학생들의 무관심과 예의 없는 태도에도 불구하고 이들과 친해지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였으며 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고민, 불안, 또는 방황에 대해 이해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문제행동을 학생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학생이 처한 환경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불기항력적인 상황”으로 인식하고 헌신적인 자세로 학생들에게 다가가는 교육실습생도 있었다. 이 같은 교육실습생의 노력으로 인해, 학생들도 점차 “마음의 문”을 열게 되었으며 이전과 다른 “인사하기, 먼저 말 걸기, 먹을 것 주기, 장난걸기, 농담하기”등과 같은 변화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었다. 특히 교육실습생들은 자신을 “선생님”으로 부르고 따르는 학생들의 모습을 통해 드디어 자신이 “교사가 되었다”라는 “성취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과의 관계를 기반으로 나타나는 교육실습생의 “교사되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교육실습생들은 학생들과의 관계를 통해 부여된 “교사라는 지위”에 감격하고 희열을 느끼게 되지만 이것이 도리어 교사라는 업무를 올바로 수행하는데 예상치 못한 한계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탐색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of the relationships and development process between student teacher and students, and help activate the pre-service internship in right direction. This research focused on presenting accurately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teacher and students in pre-service internship course and investigating the meaning of the phenomena, on the basis of practice journals of forty-two student teachers and in-deep interviews with five student teachers. Our study results showed that student teachers were suffering from organizational culture that are different from their universities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 In particular, our study results showed that student teachers performed the internship with positive expectations for students, but they were perplexed by wariness and apathy or were suffering from naughty and rude. However, student teachers continued to try to make good relationship with student in spite of their wariness and rude, understood a much more appreciation of distress, anxiety, or wandering that they had in schools. In addition, some student teachers recognized problems with student behavior as a matter of “impossibility of the situation” from their environment rather than as their own problems, and then they showed their dedication to the students. As a result of student teachers` efforts, students opened their heart at last, and they showed student teachers their transformation such as “bowing, talking, giving snack, playing around, and joking”. In particular, when student called and followed student teacher as a real teacher, student teacher displayed a sense of accomplishment “became. a teacher”. However, in this study, there was a limit to the “becoming teacher”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n addition, student teachers were overjoyed at “status of teacher” granted through a relationship with the students, but this worked as an unexpected limitation to perform their duties properly.

      • KCI우수등재

        중학생의 차별 경험과 교사-학생 관계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분석

        박선나,김수진,박승종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nd their teacher-student relationship using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data. Using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it examines (a) how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from the first grade through the third grade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eachers change, (b) how the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ffect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fterwards and vice versa. Finally, it also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ve schools by using a multigroup analy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n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a following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but it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econd, while a positive early teacher-student relation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ater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t has a negative effect on a later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This shows a cross-lagged effect between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nd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ve schools in the longitudinal interaction between disciplinary experience and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s not confirmed.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that teachers try to reduce and mediate discrimination and build good relationships with their students, and that relevant policy support be provided.

      • KCI등재후보

        중학생이 지각하는 또래관계와 교사관계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 및 학년의 조절효과

        이동미 ( Dong Mi Lee ),김규태 ( Kyu Tae K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교사교육연구 Vol.5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하는 또래관계와 교사관계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 및 학년의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D 광역시에 소재하는 S중학교 1, 2, 3학년 남녀 학생 390명이었으며 사용한 측정도구는 또래관계 척도, 교사관계 척도, 회복탄력성 척도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이변량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또래관계와 교사관계는 회복탄력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또래관계가 회복탄력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관계 및 교사관계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현장에서는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또래관계 및 교사관계가 형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교육과 상담 프로그램 그리고 교사의 역할에 대한 전문적인 연수, 성별에 따른 차별적인 개입전략 등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peer relationships and student- teacher relationships on the resili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included 390 boys and girls in the seventh, eighth, and ninth grades at middle schools in D city.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Peer Relationship Scal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and Resilience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via Pearson``s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7.0 statistical progra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erceptions of peer relationship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resili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Positive peer relationships affected the students`` resilience relatively more than in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econd, gender appeare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with a stronger resilience for boys than girls in peer relationship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grade. The findings suggest that positively perceived peer relationship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have a influence on the resili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se relationships reinforce the need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form positive relationships in school. The findings also suggest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differentiating intervention strategies when dealing with students with low resilience according to gender. These results will be of interest to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and professional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counsellors.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하는 또래관계와 교사관계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 및 학년의 조절효과

        이동미,김규태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peer relationships and student- teacher relationships on the resili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included 390 boys and girls in the seventh, eighth, and ninth grades at middle schools in D city.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Peer Relationship Scal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and Resilience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via Pearson``s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7.0 statistical progra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erceptions of peer relationship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resili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Positive peer relationships affected the students`` resilience relatively more than in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econd, gender appeare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with a stronger resilience for boys than girls in peer relationship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grade. The findings suggest that positively perceived peer relationship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have a influence on the resili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se relationships reinforce the need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form positive relationships in school. The findings also suggest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differentiating intervention strategies when dealing with students with low resilience according to gender. These results will be of interest to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and professional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counsellors.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하는 또래관계와 교사관계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 및 학년의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D 광역시에 소재하는 S중학교 1, 2, 3학년 남녀 학생 390명이었으며 사용한 측정도구는 또래관계 척도, 교사관계 척도, 회복탄력성 척도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이변량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또래관계와 교사관계는 회복탄력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또래관계가 회복탄력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관계 및 교사관계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현장에서는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또래관계 및 교사관계가 형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교육과 상담 프로그램 그리고 교사의 역할에 대한 전문적인 연수, 성별에 따른 차별적인 개입전략 등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성인애착이 교사-학생관계에 미치는 영향: 공감의 매개효과

        김준미,김은하 한국웰니스학회 2019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학생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경기도 용인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4,5,6학년 담임교사 158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척도, 교사-학생 관계척도, 공감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세 가지 척도 중 교사-학생 관계 설문지의 경우 교사와 학생의 관계 특성에 대한 교사의 지각을 평가하도록 되어 있어 담임교사 반의 학생 1인에 대한 교사의 지각을 답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성인애착은 공감전체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공감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공감과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정서적 공감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초등교사의 성인애착의 하위요인 중 불안애착은 공감의 하위요인의 정서적 공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회피애착의 경우 공감 및 공감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공감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초등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학생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회피애착과 교사-학생 관계에서 공감은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공감의 하위요인 중 인지적 공감이 회피애착과 교사-학생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dult attachment and teacher-student's relationship.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158 elementary school teachers(of grade 4~6) in elementary schools in Yongin, Gyeonggi-do using 3 scales composed of adult attachment scale, teacher -student's relationship scale, and empathy scale. For the purpose of the teacher-student's relationship questionnaire that was intended to assess teacher's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a student, teachers' perceptions of one specific student in their classroom was subjected to be answered. First, adult attachment showed non-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overall empathy;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effects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its sub-factors of empathy(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Specifically,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cognitive empath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emotional empathy. In addition, the anxious attachment(the sub-factor of adult attach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motional empathy(the sub-factor of empathy), and the avoidance attachment(the sub-factor of adult attach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pathy as well as its sub-factor, cognitive empathy.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on teacher-student's relationship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ce attachment and teacher-student's relationship, empathy was fully mediated the variables. In addition, cognitive empathy(the sub-factor of empathy) also fully mediated the avoidance attachment and the teacher-student's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