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쓰기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과 교정적 피드백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신동로,왕경수,김경희 한국교육방법학회 2007 교육방법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적 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 교수법 중의 하나인 쓰기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과 쓰기 활동에 대해 제공되는 교정적 피드백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전주시 시내에 있는 초등학교 학생 98명을 무선표집하였다. 쓰기를 활용한 수업처치에 따른 수학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에는 쓰기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 내 교정적 피드백 제공 유무에 따른 수학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한 집단은 쓰기 활동에 대한 교정적 피드백을 제공하고 다른 한 집단에는 쓰기 활동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고 수학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쓰기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집단이 전통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집단보다 수학 학업성취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자기효능감에서도 쓰기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집단이 전통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집단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쓰기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집단 내에 교정적 피드백을 받은 집단이 피드백을 받지 않은 집단보다 수학 학업성취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넷째, 교정적 피드백을 받은 집단이 피드백을 받지 않은 집단보다 자기효능감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쓰기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의 효과성과 쓰기 활동에 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피드백의 필요성을 입증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쓰기에 대한 보다 다양한 자료를 개발하여 적용하고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수학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of mathematics utilizing to writing and corrective feedback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ense of self-efficacy in mathematics. The research questions are: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ense of self-efficacy in Mathematic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And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ense of self-efficacy in Mathematics between teacher's corrective feedback group and no feedback group? To test the above topics of interest, the study selected 98 sixth grade students from Jeonju, Yelementary school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Then they were divided three sub-groups designated as an experimental group Ⅰ in an experimental group, an experimental group Ⅱ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led group. Data were analyzed through one-way ANCOVA.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of al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n their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n their effect on the students' sense of self-efficacy. Th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thematics in teacher's corrective feedback group and no feedback group after mathematical writing activities on academic achievement. The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thematics in teacher's corrective feedback group and no feedback group after mathematical writing activities on the students' sense of self-efficacy.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educational implication is drawn that teaching/learning methods of mathematics utilizing to writing has more positive effects than traditional instruction to improve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ense of self-efficacy in mathematics. After mathematical writing, teacher's corrective feedback has more positive effects than no

      • KCI등재

        CRA 전략 기반 수감각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중재반응모델 2단계 적용

        김자경(Kim, Jakyoung),강혜진(Kang, Hyejin),서주영(Seo, Juyoung),신정원(Shin, Jeongwo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CRA 전략 기반 수감각 2단계 중재가 수학장애 위험군 아동의 수감각과 수학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지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수감각 수준이 낮은(-1SD 이하) 만 6세 아동 5명을 대상으로 수감각 2단계 중재를 실시한 후 수감각과 수학성취도 검사에서 향상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수감각 2단계 중재는 매 차시 C(구체적)-R(표상적)-A(추상적) 단계의 활동으로 5주간 총 29회기 진행되었다. 각 회기는 도입(5분), 전개(20분), 정리(5분)로 구성되었다. 수감각의 진전도를 확인하기 위해, 김자경 등(2018)이 개발한 수감각 검사로 사전, 중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학성취도 향상을 확인하기 위해 KISE-BATT:수 영역 검사로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학장애 위험군 아동들의 수감각 총점에 대한 진전도를 분석해 보면, 매회기 점차적으로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수감각 사전-사후 점수의 비교를 위해 비모수통계를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둘째, 수학장애 위험군 아동들의 수학성취도 사전-사후 점수의 비교를 위해 비모수통계를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한 명을 제외한 모든 아동의 수학성취도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보다 향상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수감각 2단계 중재는 수학장애 위험군 아동의 수감각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Number Sense Teaching Program based on CRA (concrete-representational-abstract) for children at risk for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Method: 5 children at risk for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6-year-old) participated in the CRA-based Number Sense Teaching Program for 29 sessions during 5 weeks. Each session was made of introduction (5 min), main lesson (20 min), and wrap-up (5 min). The main lesson consisted of C(Concrete)-R (Representational)-A (Abstract) stages. Children at risk for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were measured with a Number Sense Test, developed by Kim et al. (2018) and the Number Subtest of KISE-BATT: Math (Basic Academic Achievement Test: Math), which is a standardized test of math achievement. Result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 number sense of children at risk for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gradually improved during the intervention. The non-parametric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pre- and post-test scores of the number sens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Second, the non-parametric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pre- and post-test scores of the math achievement in Number,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not observed. However, all children except one showed higher scores on the post-test than the pre-test on the Number Subtest of KISE-BAAT: Math.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number sense intervention based on CRA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number sense of the children at risk for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 KCI등재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 성취에 대한 CRA 교수 기반 수감각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중재반응모형 1단계 적용

        김자경,서주영,강혜진 한국특수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학연구 Vol.5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 CRA-based number sense teaching program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ttitude and mathematics achievement. For this study, 57 children aged 6 years old participated from three child care centers in B city, and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18. The program was performed with the intervention group for a total of 19 times, three or four times per week for 30 minutes each time. No intervention was performed with the comparison group. The mathematical attitude test and the mathematical achievement test were used for the pre- and post-test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in the pre-test of mathematical attitudes. In the post-test,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total score of the mathematical attitudes, in the scores of self-concept of mathematical ability, and in the scores of the perception of the task.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 and post-test for the mathematics achievement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pre- and post-tests scores in the mathematical attitudes of the low number sense group,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otal score and the scores of sub-factors.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 and post-tests for the mathematical achievement.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number sense teaching program based on the CRA mode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mathematical attitudes of young children. However,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more intensive and longer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low-achieving results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ir mathematical attitude and math achievement. 본 연구는 중재반응모형 1단계 CRA 교수 기반 수감각 프로그램이 만 6세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 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B시 소재 3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6세 유아 57명을 섭외하여 2018년 7월에서 9월까지 연구를 실시하였다. 중재 집단인 1개 기관 30명의 유아들에게는 5주간 주3∼4회, 매 30분간의 CRA 교수 기반 수감각 프로그램을 총 19회기 실시하였으며, 비교 집단인 2개 기관 27명의 유아들에게는 어떠한 중재도 실시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로 수학 태도 검사와 수학 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감각 하위 수준 유아를 선별하기 위해 수감각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수학 태도에 있어 사전 검사 결과 중재 집단과 비교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 검사 결과 중재 집단 유아의 수학적 태도 총점과 하위요인 중 수학능력에 대한 자아개념, 과제에 대한 지각에서 중재 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수학 성취에 있어서는 사전․사후 검사 모두에서 중재 집단과 비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수감각 하위 수준 유아의 경우 수학적 태도 총점과 하위요인 모두에서 사전․사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학 성취에 있어서도 사전․사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를 통해 중재반응모형 1단계 CRA 교수 기반 수감각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감각 하위 수준 유아에게는 좀 더 집중적이고 장기간의 중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e-learning에서 학습실재감, 매체효능감, 학업성취도,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박혜영,김효선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3 e-비즈니스 연구 Vol.24 No.7

        본 연구는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e-learning 환경에서 고등교육 학습자들이 지각하는 학습실재감이 매체효능감, 학업성취도, 학습지속의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모형에 제시된 가설들을 검증하고자 수도권 및 충청권 소재 4년제 대학 중 인문사회대학에 재학 중인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Amo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습실재감이 매체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1은 채택되었다. 둘째, 학습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설2는 채택되었다. 셋째, 매체효능감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3는 통계적인 유의미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기각되었다. 넷째, 학습자의 학업성취도가 학습지속의향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4는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실재감이 매체효능감,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매체효능감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대학의 변화하는 온라인 학습환경에 학습실재감을 향상시켜 학습자의 성취뿐 아니라학습지속의향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학습방법과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강화하는 전략을 제시하고학문적·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후속연구에서도 다양한 학습자의 교육적 요구와 만족을높일 수 있는 e-learning 학습환경에 대한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Research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learning presence, learning persistence in e-learning mediating with media 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Research Methods: We used a structured equation modeling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our variables; the sense of presence, media 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persistence. Results in Research: The overall findings supported that a sense of learning presence was an important environment to promote university students’ media 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learning environment. Also, the academic achievement influence was indirect to learning persistence. Research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a sense of learning presence in e-learning for students to continue their learning,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The study suggests various e-learning facilitat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sense of presence and student’s outcomes such as media efficacy, student’s achievement, and learning persistence.

      • KCI등재후보

        금산 세계인삼엑스포 자원봉사자의 참여동기가 성취감과 몰입,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수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민순 한국관광산업학회 2017 Tourism Research Vol.4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a volunteer worker’s satisfaction boosting, an inducement of a volunteer worker to continuous, constant concern for the event, and a successful event by inquiring into an efficient management plan for a volunteer worker, which could be helpful to an operator involved in the Expo event in relation to management of the definitely indispensable volunteer worker in proceeding with the successful operation of the Geumsan World Expo. As a result of hypotheses testing, first, a egoistic motiv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influence on a sense of achievement. second, a egoistic motiv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influence on commitment. Third, it was found that an altruistic motive didn’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a sense of achievement. Fourth, it was found that an altruistic motive didn’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commitment. fifth, the hypotheses testing results showed that a sense of achieve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sixth, he hypotheses testing results showed that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seven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goistic motive and a sense of achievement, service performance was found to produce no regulation effect. eigh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goistic motive and commitment, service performance was found to produce no regulation effect. nin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ltruistic motive and a sense of achievement, service performance was found to produce no regulation effect. ten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ltruistic motive and commitment, service performance was found to produce no regul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a foundation for follow-up studies. It will also be a great help to the organizers of the expo. 본 연구의 목적은 금산 세계인삼엑스포를 성공적으로 운영 및 진행함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되며 반드시 필요한 자원봉사자 운영과 관련하여 엑스포 행사 운영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효율적인 자원봉사자 관리방안을 모색하여 자원봉사자의 만족도 제고 및 행사에 대한 지속적이며 끊임없는 관심 유도, 성공적인 행사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가설검증 결과 첫째, 이기적 동기는 성취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기적 동기는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타적 동기는 성취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타적 동기는 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취감은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몰입은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이기적 동기와 성취감과의 관계에서 서비스 수행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이기적 동기와 몰입과의 관계에서 서비스 수행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이타적 동기 성취감과의 관계에서 서비스 수행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째, 이타적 동기와 몰입과의 관계에서 서비스 수행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후속 연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엑스포 행사 운영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영향 변인 탐색

        백예은(Yeheun Baek),정혜원(Hyewon Chung)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6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의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학생 개인, 부모, 학교 생활 및 교사 변인이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교육청 교육정책연구소에서 제공하는 부산교육종단연구(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자료의 중학교 3학년에 해당되는 초4 패널의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의 3단계 접근법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은 3개의 잠재프로파일 집단으로 분류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낮은 학업성취도-낮은 진로성숙도-낮은 공동체의식’, ‘중간 학업성취도-낮은 진로성숙도-중간 공동체의식’, ‘높은 학업성취도-높은 진로성숙도-높은 공동체의식’ 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한 결과, 학업적 효능감, 수업 방식, 자유학년제 만족도, 교사의 ICT 활용정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다양한 발달의 측면(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을 고려하여 분류된 집단의 특징을 확인하고 집단 분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함으로써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latent profi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career maturity, and sense of community and also to explore the impact of relevant factors on the identified latent profiles. For this propose, a latent profile analysis with a three-step approach was applied to the sixth band of the elementary 4 panel (9th grade) of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inth grad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profiles: (a) low academic achievement—low career maturity—low sense of community, (b) middle academic achievement—low career maturity—middle sense of community, and (c) high academic achievement—high career maturity—high sense of community. Second, as a result of exploring variables tha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profiles, relevant factors such as academic efficacy, teaching method, satisfaction with the free school year system, and the degree of the teacher's ICT us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iscusses educational implication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latent profiles and exploring the effect of various factors on the latent profiles in consideration of a variety of aspects (academic achievement, career maturity, and sense of commun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development.

      • KCI등재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의 대략적 수 민감도와 영역 별 수학 성취도 간의 관계에 대한 단기 종단 연구

        장세림,김나래,조수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7 No.3

        Approximate number sense (ANS) refers to the ability to approximately estimate and operate upon large numerosity. There have been reports on the correlation between ANS acuity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supporting the hypothesis that ANS serves as a basic foundation for formal mathematical achievement. However, previous developmental studies mainly focused on ‘Number Concept’ and ‘Arithmetic’ scores and did not differentiate between different domains of mathematics. Therefore,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ANS acuity and math ability differs by the domain of mathematics. In addition, we aimed to test the argument raised by some researchers stat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NS acuity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is entirely mediated by cognitive control ability. Second graders were tested twice on their ANS acuity and math achievement with a 3-month interval. A number comparison task using a pair of dot arrays was used to measure ANS acuity. ANS acu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Number Concept & Arithmetic’ at both testing periods. ‘Geometr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NS acuity in the second testing session but not in the first. On the other hand, ANS measured under high requirement for cognitive control did not correlate with any measure of math achievemen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ANS and math achievement can be generalized to mathematical domains including ‘Number Concept’, ‘Arithmetic’ and ‘Geometry’.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NS acuity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does not seem to be mediated by cognitive control ability in any domain of mathematics. 대략적 수 민감도(이하 수 민감도)는 수량을 대략적으로 추정, 비교 및 조작할 수 있는 인지적 능력을 의미한다. 수 민감도가 수학 성취도의 근간이 된다는 이론이 제기되어 이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이론을 지지하는 여러 선행 연구에서는 아동의 수 민감도가 수학 성취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하지만, 수 민감도와 아동의 수학 성취도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수 개념과 산술 영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기하학 등 다양한 수학의 하위 영역들을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이론이 수학의 다양한 영역으로 일반화될 수 있는지 확인되어야 한다. 또한 일부 연구자들은 수 민감도와 수학 성취도의 관계성이 온전히 인지 억제 능력에 의해 매개된다고 주장하고 있어 이러한 반론에 대한 검증 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수 민감도와 수학 성취도 간의 관계성을 영역 별로 나누어 단기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수에 대한 이해와 수학적 인지 기능이 급속도로 발달하는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로, 3개월의 간격을 두고 두 차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두 검사 시기에서 모두 수 민감도와 ‘수 개념 및 산술’ 영역 측정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도형’ 영역의 성취도는 2차 검사 시기에서만 수 민감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한편, 인지 억제 능력에 대한 요구가 높았던 과제를 통해 측정된 수 민감도와 수학 성취도 간의 관계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 민감도와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성이 비단, ‘수 개념과 연산’ 뿐 아니라, ‘기하학’ 등 다양한 수학의 영역으로 일반화될 가능성을 제시하며 일부 연구자들의 주장과 달리 수 민감도와 수학 성취도의 관계성은 인지 억제 능력에 의해 매개되는 것이 아님을 확인시켜 준다.

      • KCI등재

        부모의 방임과 아동의 학업성취의 관계

        박은정(Park, Eun Jung),이유리(Lee, Yu Ri),이성훈(Lee, Sung Hoon) 한국생활과학회 2015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lect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218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he third wave sample of the 2012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For data analysis, the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and Kenny (1986) was performed and the Sobel tes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ediation effects. The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ub-component factors of achievement value, mastery goal orientation, behavioral control, academic time-management revealed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lect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sense of community also showed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lect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 viewpoint to deeply observe the problem of parents neglect in connection with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ense of community, and can be used as practical data to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the benefit of improving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메타버스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예비 유아교사의 학업성취도와 소속감에 미치는 영향

        김영은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4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메타버스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예비 유아교사의 학업성취도와 소속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캡스톤디자인 교수법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C자치 시 지역의 4년제 C대학교 유아교육과 메타버스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에 참여한 재학생 3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 방법은 SPSS 26.0(ver.)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선형회귀분석, 저널을 분석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5점 리커트 척도를 이용할 때 메타버스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만족도는 4.41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타버스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메타버스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소속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저널 내용에서 학습자들은 컨텐츠를 제작하고 유치원 방문 및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흥미롭고 재미있었으며 보람을 느낄 수 있었다고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metaverse-based capstone design class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ense of belonging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capstone design teaching method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urveyed among 35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metaverse-based capstone design class at the 4-year C University in the C autonomous city region.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version 26.0 was used for data analysi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journal analysis.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the study: First, using a 5-point Likert scale,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metaverse-based capstone design class was determined to be 4.41. Second, the metaverse-based capstone design clas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metaverse-based capstone design cla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nse of belonging. Lastly, in the journal entries, learners expressed that creating content, visiting kindergartens, and engaging in the capstone design class were interesting, enjoyable, and rewarding.

      • 청각장애학교 교사의청각장애유아 수학교과 교수방법에 대한 질적 연구

        장효민,최성규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3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thematics methodology of teachers for kindergarte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individual interview was utilized for this study. Four teachers were participate for this study. The teachers's working experiences for kindergarte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t the special school were at the least three years to eight years. The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importance of the mathematic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kindergarte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s in the mathematical interaction,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efficiency and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 importance of the mathematic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kindergarte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were positive; (b) the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s in the mathematical interaction were very importance to teach the mathematic knowledge; and (c) the teachers' efficiency wes very important factor to ensure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mathematical attitudes and achievement.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attitudes of the teachers who are working for hearing impairment at the special school toward mathematical importance was very important factor to ensure the effective mathematic achievement of the kindergarte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출생 후부터 약 만4세까지의 유아는 수학적 발달의 기초를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를 경험한다. 특히, 청각장애유아의 수학적 발달에는 조기교육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수화의 사용이 익숙지 않은 청각장애유아는 수학적 상호작용 표현과정에서 더욱더 효율적인 의사소통 활용방안이 필요하였으며 이와 함께 청각장애유아들의 수업태도와 수학적 성취도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상관관계를 연구 할 필요가 있었다.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현장에서 수학교과 교수방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 수반되어야하는 선행조건들을 파악하고, 현실적인 수학교과 교수방법을 조사 및 개발하여 수학교수-학습능력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청각장애유아 수학교과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과 관계를 밝혀 특수교육 현장에서 필요한 특수교사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수업의 질을 높여 효율적인 특수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 현장에 있는 교사에게 도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 및 방법은 대구지역의 청각장애학교에서 근무 중인 유치원과정을 담당하는 교사들로 구성되어 개별 심층 면담 및 반구조화된 면담지, 추가적인 질문 등을 통하여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질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청각장애유아들은 조기교육을 통해 사고 및 표현의 향상으로 인한 언어적 표현기술이 수학적 상호작용의 향상으로 연결되고 자신감과 유능감이 형성되어 긍정적인 수학적 태도가 형성된다. 이는 수학적 성취도 및 교사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다시 유아의 성취도와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