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관질문 확률화응답기법을 이용한 민감한 속성에 대한 모비율의 구간추정

        강혜진,손창균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1

        사회적으로나 개인적으로 민감한 속성에 대한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자신의 개인정보가 노출될 것을 염려하여 응답을 꺼리거나 거짓응답을 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Warner (1965)는 확률장치를 이용한 확률화응답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Greenberg et al.(1969)은 Warner 모형을 확장하여 민감한 속성에 대한 질문과 관련이 없는 질문을 제시한 무관질문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민감한 속성에 대한 모비율에 대해 상대적으로 출현빈도가 적은 이항비율의 신뢰구간을 추정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근사적인 정규분포의 가정 하에서 널리 활용되는 Wald 신뢰구간은 출현빈도가 매우 작을 경우 신뢰구간의 하한이 음수가 나타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Wilson score 신뢰구간, Agresti-Coull 신뢰구간, Jeffreys 신뢰구간을 활용한 민감한 속성에 대한 모비율의 구간추정을 제안하였다. 또한 층화무관질문기법에 대해 각 층별 모비율에 대한 구간추정 문제를 각각의 신뢰구간을 적용하여 구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모의실험과 실제 조사자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평균 포함확률을 이용하여 각각의 신뢰구간의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The respondents often tend to refuse or false response for the question concerning about disclosure personal information in survey of sensitive attribute social or individual. For this problem Warner (1965) suggested the randomized response mode using the randomization device. Also Greenberg, Abul-Ela, Simmons, Horvitz (1969) suggested the unrelated question model extended the Warner model that ask unrelated question replaced by related question in Warner model.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interval estimation of population proportion of a rare and sensitive attribute using the unrelated randomized response model. When the proportion is very small, Wald confidence may has a negative value of lower bound of confidence interval which widely used under asymptotic normal distribution to interval estimation. To resolve this problem we consider the Wilson score, AC, and Jeffreys confidence intervals for interval estimation of a sensitive attribute. In addition we consider that the interval estimation of the population proportion with a rare sensitive attribute using the stratified unrelated question model. Finally, we perform simulation study and real survey data analysis to evaluate the confidence intervals using the mean coverage probability.

      • KCI등재

        A Sensitivity Analysis of Parameters Affecting Indoor Air Quality Related to TVOC and HCHO Reduction

        강혜진,김미연,이언구 대한건축학회 2012 Architectural research Vol.14 No.3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ve performance of factors affecting indoor air quality in multi-residential buildings in Korea.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indoor air quality is essential for establishing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trategies effectively. To observe the indoor air quality response following a modification of a given parameter, a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The factors examined for the analysis include; wall/ceiling paper, adhesive for wall/ceiling paper, floor material, adhesive for floor material, and ventilation rate. The Experimental Design which identifies main effects among the design parameters with a few experiments was used to decrease the number of experiments. The simulation for indoor air quality was undertaken using a validated equation. Then, ANOVA(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parameter affecting the indoor air quality.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indoor air quality may be influenced most by adhesive for wall/ceiling paper, followed by ventilation rate and adhesive for floor material.

      • KCI등재

        공공기관의 성과평가 및 보상에 관한 연구: 한국자산관리공사(KAMCO) 성과평가 및 성과급 구축사례를 중심으로

        강혜진 한국인사행정학회 2012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1 No.1

        본 연구는 한국 공공기관의 성과평가와 성과급의 도입과 적용에 있어서 공공기관의 조직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이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하여 KAMCO의 사례를 통하여 규명하였다. KAMCO의 내부자료 및 인사담당자 인터뷰를 통하여 도출해 낸 제도의 도입은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볼 수 있다. 시기별로 검토한 과정에서 제도의 구축에 성공한 요인은 조직 내부 상황, 리더와 인사관리자의 적극적행동, 구성원들의 수용도 확보를 위한 전략 마련, 새로운 조직문화의 적극 활용 등이었다. 특히 이러한과정에서 민간 기법의 도입을 공공에 적용하기 위하여 점진적이면서도 내부 구성원들의 수용도 제고를위한 끊임없는 노력은 적법절차의 메타포(a due process metaphor)가 공공부문 인사관리에 있어 서 중요한 요인임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인적 자원 관리에서의 공사구분이 관리적노력에 의해서 제고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 KCI등재

        조선후기 ‘음악사 쓰기’에 대한 제언

        강혜진 한국국악학회 2022 한국음악연구 Vol.71 No.-

        본 연구는 조선후기 음악사 연구의 현황과 쟁점을 돌아보고, 미래에 발간될 음악사 단행본의 서술에 있어서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들을 짚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기존 음악사 단행본을 살펴본 결과, 절반 이상의 학자들이 임진왜란을 조선후기의 기점으로 보고 있었고, 장사훈은 『금합자보』, 전인평은 『양금신보』를 조선후기의 기점으로 보고 있었다. 전인평은 조선후기를 ‘인본주의 음악시대’로, 송방송은 조선후기를 ‘근대로 전환기의 민간음악시대’로 규정하였다. 송혜진과 전지영이 집필한 음악사에서는 이전의 음악사에 비해 서민들의 음악 문화에 대한 비중이 크게 늘어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개별 음악사 연구의 쟁점은 ‘『속악원보』 편찬 시기와 그 수록 음악에 대한 해석’, ‘계면조 변화에 대한 다양한 해석’, ‘정조의 음악관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정리하였다. 음악사 단행본들의 서술 내용 중에는 풍류방 음악문화를 중인음악과 동일시하고 있는 점에 문제가 있었고, 향후 음악사 서술에 있어서 민요 관련 내용이 보충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000년대 이후 새롭게 논의된 병와 이형상의 악론과 가집에 대한 연구, 거문고와 고금을 대상으로 한 금론 연구 등의 여러 연구 성과들을 살펴보았다. ‘음악사 쓰기’는 사료를 선택하여 서술하는 과정으로, 사료 비판의 과정을 통해 검증된 사료는 ‘해석’의 과정을 거쳐 음악사에 서술되어야 한다. 사료의 ‘해석’을 위해서는 사료 안의 숨은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통찰력’과 ‘직관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통찰력’과 ‘직관력’을 기르기 위해서 다양한 학문적 소통과 비판을 경청하는 태도, 타 학문 분야의 연구 성과에 대한 관심, 역사적 사건이 일어난 과거의 관점에서 생각하는 자세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음악사 쓰기’에서 ‘사료의 비판’과 ‘사료의 해석’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한 필자의 자그마한 목소리가 미래의 ‘음악사 쓰기’에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소현성록>에 나타난 儒·佛·道·神 관계 고찰 - 퇴치담을 중심으로 -

        강혜진 한국고소설학회 2019 古小說 硏究 Vol.48 No.-

        This thesis has given thought to an aspect of the East Asia religious relationship in the 17th century by looking at the series of Sohyeonseongrok. The extermination narratives in Sohyeonseongrok unambiguously show some shortcomings of Confucianism that it is difficult to fantastically react to fantasized characters or incidents. Particularly, after deviating from a realistic space such as a 'house' (mearing both household and home), the main characters must face the world where absurdity and fantasy are prevalent. Thus, in order to broaden the stage of the text, Confucianism had to be equipped with confrontation ability against fantasy by embracing other religions. In the Sohyeonseongrok's case, the other religion was Taoisti. From this point, Confucianism and Taoism have been combined and Buddhism has been repeatedly depicted as confronting the traditional divirity. Since the traditional divinity had already been shattered at the moment, it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ne that was combined with Tacism and the other that was not. The positive view toward Taoism can be easily inferred by the fact that the edification Hereupon, the thesis is trying to find its causes by looking ov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alization principles of Taoistic fantasy and Buddhistic fantasy. Buddhism does not consider mundanity as real Taoism places emphasis on mndanity and considers it as real. From this view, one can easily suppose that the secularistic Confucianism would have preferred Tacism to Buddhism when Confucianism adopts fartasy. This combination structure can be read as a movement expressing a sense of difference toward the Buddhistic way of thinking that has come from other civilizations, as Confucianism and Taoism, the two autogenous religious ideas in East Asia, have become matured. 본고에서는 소현성록 蘇賢聖錄연작을 통해 고전소설에 나타난종교 관계의 한 양상을 고찰하였다 소현성록 의 퇴치담에서는 환상적인 인물 사건에 환상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는 유교의 한계가 여과 없이 나타난다 특히 집 안家內家門이라는 현실적인 공간을 벗어나면 주인공은 부조리와 환상이 편재 遍在한 세계와 맞서야 한다이 때문에 작품의 무대를 넓히기 위해서라도 유교는 다른 종교를 끌어들여 환상에 대한 대응력을 갖추어야 했다 소현성록 에서 그 다른 종교란 곧 도교였다그리하여 유교와 도교가 결합되고 불교와 재래신격이 배척되는 구도가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재래신격은 이미 이 시기에 파편화되어있었기 때문에 도교에 결합된 것과 아닌 것으로 나뉘었다 도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전자의 재래신격에 대해서는 교화가 후자의 재래신격에 대해서는 멸절이 나타나고 있음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물론 유교가 도교보다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했으므로 도교 전반이 모두긍정된 것은 아니다 유교적인 맥락에서 올바르고 신성해 보이는 것들만이 긍정적으로 서술되었다 반면에 불교는 피해를 입거나 수동적으로 저항하는 것으로만 묘사되었다. 이에 그 원인을 도교적 환상 구현 원리와 불교적 환상 구현 원리의차이를 살핌으로써 고찰해보았다 불교는 현세를 실재 實在하는 것으로 여기지 않는다 도교는 현세를 실재하는 것으로 여기고 중시한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현세주의적인 유교가 환상을 차용함에 있어불교보다는 도교를 선택하는 것이 쉬웠으리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이러한 결합 구도는 나아가 동아시아의 자생적 종교사상인 유교와 도교가 성숙되면서 타문명권으로부터 들어온 불교적 사고방식에 대한 이질감을 표현하는 움직임으로도 읽힐 수 있다.

      • KCI등재

        <전우치전> ‘주선랑’ 화소와 가상에 대한 사유 - 드라마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과의 비교를 바탕으로 -

        강혜진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9 고전과 해석 Vol.29 No.-

        To make the ‘idealization’, which used to be impossible in the real world, possible by vivid virtual images would seem a promising future. However, the anticipation and admiration for the progress of virtual images are only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virtual world can be controlled by the real one. From this view point, the <Jeonwoochijeon> and the <Alhambra> are worth noticing. These texts show that the superior visual world has a power to substitute the real world and human beings who are tied up with the real world. The <Alhambra> points out that the power of belief which is implicit in love makes it possible to break through the indeterminate world where the existing knowledge does not work. Thus, the <Alhambra> only suggests a venue for raising issues while it does not take it seriously. On the other hand, the <Jeonwoochijeon> largely depicts some conflicts caused by the superiority and inferiority relationship between the visual and real worlds. Moreover, it even eliminates the superiority of the real world by breaking up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worlds. In the inferior reality without any power to control the visual world, men are only allowed to feel jealousy. A research to compare novels and contents seems to be possible in two dimensions. One is the dimension of subject, and the other is the dimension of reasoning. Among them, the dimension of subject is more pragmatic. This must be the reason why there are many discussions in the dimension of subject. However, the subject of reasoning is as critical as the other. Particularly, classic novels are the results of aggregating premodern thoughts. The abundance of those thoughts is believed to make it possible to function as a thought experiment for future scientific technologies as discussed in the thesi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more actively study the clues of reasoning offered by classic novels. Finally, it will be helpful not only for studying modern texts or contents, but also for the creation of new works. 기술 발전으로 가상이 극도로 생생해진다면 현실에서는 구현될 수 없었던 이상마저 구현이 가능해질지 모른다. 그런 점에서 이는 얼핏 장밋빛 미래에 대한 이야기처럼 들린다. <전우치전>에서 소년들은 주선랑의 아름다움을 자신들이 즐길 수 있을 거라 기대했기에 그림에 탄복한다. <알함브라>에서 진우도 이 생생한 게임을 자신의 사업 아이템으로 쓸 수 있기에 게임에 감탄한다. 즉, 가상의 발전에 대한 기대와 감탄은 어디까지나 가상이 현실에 의해 통제될 것이라는 믿음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전우치전>과 <알함브라>의 서사 전개가 보여주듯 우월한 가상은 현실과 현실에 긴박된 인간 자신마저 대체할 힘을 갖는다. <알함브라>와 <전우치전>은 이 문제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해결한다. <알함브라>에서는 사랑에 내재된 믿음의 힘이 기존의 앎이 통하지 않는 불확정적인 세계마저도 돌파하게 한다고 설파한다. 그러므로 <알함브라>에서는 문제를 제기할 장(場)은 만들었어도, 그것을 중점적으로 문제삼지는 않았다. 가상과 현실의 우열문제는 다른 문제들에 가려진 채 주변으로 밀려난다. 반면에 <전우치전>에서는 정반대로 가상과 현실의 우열관계가 초래하는 갈등을 전면화시킨다. 심지어 <전우치전>에서는 전우치가 민씨를 이무기로 만드는 환상적 사건을 조성함으로써 문제를 심화시킨다. 가상과 현실의 단순한 이분법이 무너지자 현실이 갖는 우월성은 기댈 곳이 없어져 버린다. 전우치는 민씨에게 질투하지 말 것을 폭력적으로 주문한다. 그러나 가상에 대한 통제력이 없는 열등한 현실의 인간이 가질 수 있는 것은 질투밖에 없다. 소설과 콘텐츠를 비교하는 연구는 두 가지 차원에서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하나는 소재의 차원이고 둘은 사유의 차원이다. 그중 소재의 차원은 보다 실제적이고 실용적이다. 많은 논의가 소재의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이유일 것이다. 그러나 소재의 차원 못지않게 사유의 차원도 중요하다. 특히 고전소설은 전근대의 사유를 집적한 결과이기도 하다. 그 사유의 풍요로움이 본 논의에서 펼쳐낸 바대로 미래상, 미래의 과학기술에 대한 사고실험으로도 기능할 수 있게 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고전소설, 보다 넓게는 고전 서사가 제공하는 사유의 실마리를 앞으로도 더욱 적극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것이 콘텐츠나 스토리텔링을 연구하는 데에도, 나아가 창작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리라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