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CCTV 인식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향유신념의 조절효과

        이지연 ( Lee Ji Yeun ),변은영 ( Byun Eun Yeo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CCTV에 대한 인식과 이직의도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CCTV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발생되는 결과를 완충하는 요인으로 향유신념의 조절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지역 국공립 및 법인 등 어린이집 보육교사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중 누락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27명을 제외하고 총 233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CCTV 인식과 이직의도 간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나, 보육교사의 CCTV 인식이 부정적일수록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CCTV 인식과 향유신념 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나, 보육교사의 CCTV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향유신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향유신념과 이직의도 간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나 보육교사의 향유신념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CCTV 인식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향유신념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향유신념이 높은 집단에서는 보육교사의 CCTV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이직의도가 현저하게 떨어지지만, 향유신념이 낮은 집단에서는 CCTV 인식이 긍정적이더라도 이직의도가 덜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CCTV 인식과 이직의도 간 관계에서 CCTV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유발되는 이직의도를 개인의 성격특성인 향유신념이 완충 할 수 있다는 점을 탐색적으로 검증한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savoring beliefs between the child care teachers’ CCTV percep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this study, the CCTV perception and turnover intention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avoring beliefs was selected as moderator. For collecting the data, 260 child care teachers who are working for day care center in Jeju were involv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 care teachers’ CCTV perception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the child care teachers’ CCTV perception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savoring beliefs. Third, the savoring beliefs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Finally, it was revealed that the savoring beliefs played a role as moderator between the child care teachers’ CCTV percep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was important in illuminating the facts that the child care teachers’ CCTV perception had an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and the savoring beliefs acted as moderator between the child care teachers’ CCTV perception and turnover intention.

      • KCI등재

        긍정정서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 향유신념으로 조절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이은화,김혜련,이희경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12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긍정정서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 경로를 향유신념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18세 이상 대학생 295명을 대상으로 조절된 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긍정정서와 대인관계 유능성, 향유신념, 인지적 유연성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긍정정서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를 인지적 유연성이 부분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정서와 인지적 유연성의 관계에서 향유신념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긍정정서가 인지적 유연성을 통해 대인관계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향유신념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유신념 수준을 높여줌으로써 긍정정서가 인지적 유연성을 매개로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의 긍정정서가 대인관계 유능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그 과정에서 향유하기가 긍정정서와 인지적 유연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cognitive flexibili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emo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avoring beliefs. A total of 320 students completed online questionnaires, with data from 295 analyzed. The analyses indicated that positive emotion affected interpersonal competence by impacting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Additionally, savoring beliefs moderated the impact of positive emotion on cognitive flexibility. Finally, savoring beliefs ha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among positive emotion, cognitive flexibil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is means that the influence of positive emotions on interpersonal competence can be increased through cognitive flexibility by increasing the level of savoring belief.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examined that positive emotions of university students help improving interpersonal competence. It is suggested that savoring beliefs in the process can play a role in strengthening positive emotions and cognitive flexi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counseling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 KCI등재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몰입, 향유신념, 직무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황해익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6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flourishing, teaching flow, savoring beliefs and job satisfac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33 early childhood teachers in Busan and Gyongsangnam-do.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flourishing, teaching flow, savoring beliefs and job satisfac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s.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as established and analyzed to estimate the path from teaching flow to flourishing with mediating savoring beliefs and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teaching flow had a direct effect on savoring beliefs, job satisfaction and flourishing. Teaching flow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flourishing, indic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savoring beliefs. The indices of the best fit model on these variables were adequate.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을 설정한 뒤, 교수몰입, 향유신념,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부산과 경상남도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433명을 대상으로 SPSS 21.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교수몰입, 향유신념, 직무만족도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을 검증한 결과에 따르면 교수몰입은 행복플로리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유신념은 교수몰입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였고, 교수몰입은 직무만족도와 향유신념을 통하여 행복플로리시에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증진을 위해 교수몰입을 높이도록 노력해야 하며, 유아교육기관에서 경험한 유아교사의 긍정적인 경험에 주목하고 음미함으로써 즐거움을 강화하는 향유신념을 기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향유신념의 조절효과

        황해익,탁정화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4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on role of the savoring beliefs of earlychildhood teachers in relation to the influence of their flourishing on self-esteem. The subjects inthis study were 195 early childhood teachers in Busan, Ul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the SPSS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their ownself-esteem, flourishing, savoring beliefs was above averag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positive correlations among self-esteem and flourishing, self-esteem and savoring beliefs,flourishing and savoring beliefs. Finally, the savoring belief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found to have a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esteem and flourishing. The findings of this studies are expected to suggest how to promote the flourishing of earlychildhood teachers and how to understand their psychology.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향유신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교사 1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Rosenberg(1965)의 척도를, 행복플로리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Butler와Kern(2014)의 척도를, 유아교사의 향유신념을 살펴보기 위하여 Bryant(2003)의 향유신념도구(SBI)를 한국인의 특성에 맞게 타당화한 한국판 향유신념 척도(조현석, 권석만, 임영진, 2010)를 사용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향유신념은 보통 이상이었으며,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는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행복플로리시, 향유신념은 서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셋째,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향유신념은 유사조절변수로 작용하였으며 자아존중감과 긍정적 정서에서 향유신념은 유사조절변수의 역할을 하였으나 긍정적 관계, 의미, 성취에 서 향유신념과 자아존중감은 상호작용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프로야구 선수의 완벽주의 성향과 향유신념의 관계연구

        김현수,김영재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한국프로야구 선수를 대상으로 완벽주의와 향유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연구의 대상은 한국 프로야구 9개 구단 중 두산 베어스, 한화 이글스, LG 트윈스, NC 다이노스, 넥센 히어로즈 5개 구단을대상으로 각 구단별 1, 2군 그리고 은퇴한 한국프로야구 선수의 구별 없이 총 218부가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 Windows 20.0버전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실시하였고,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한국프로야구 선수의 완벽주의가 향유신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지션별 완벽주의에서는 포수의 완벽주의성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국내 연구에 향유신념 척도가 스포츠심리학 분야에 사용된 사례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한국프로야구 선수를 대상으로 향유라는 개념을 처음 도입하고, 척도를 적용하여 프로스포츠 선수들의 긍정적인‘인생을 향유하기’를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nfluence of perfectionism and Savoring Belief among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players. 250 players from 5 Korea professional baseball teams, including Doosan Bears, Han Wha eagles, LG twins, NC Dinos, and Nexen Heroes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is survey. Some of them are currently involved in Major and Minor league teams, and others are already retired players. Out of 250 questionnaires were provided, but 218 questionnaires were answered clearly, so only they were used for this actual research. Speaking of data analysis, using SPSS windows 20.0 versions,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 player's perfectionism and savoring belief, one-way ANOVA an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And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the same as below. To sum up, professional player's perfectionism turned out to be influential in savoring belief. Players from Major and Minor league teams showed higher public sense of identification based on field of playing than already-retired players. Catchers showed the highest perfectionism than players in other positions.

      • KCI등재

        학습목표지향성의 인지 및 정서 경로: 미래지향시간관과 향유신념

        홍지웅,황수정,홍아정 한국교육심리학회 2019 敎育心理硏究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avoring belief' on the cognitive and emotional path of employees' 'learning goal orientation'. As for the cognitive pathway, the future time perspective will enhance the learning preference and the learning goal orientation through the 'cognitive flexibility'. For the emotional path, the savoring belief will reinforce the learning goal orientation that strengthens the active and voluntary attitude by predicting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emotion'.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381 respondents of workers at financial company in a national constituency participated the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confirmed that cognitive flexibility showed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ture time perspective and the learning goal orientation that corresponded to the cognitive path, and positive emotions also presented a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savoring belief and the learning goal orientation. This study verifi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gnitive and emotional path of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suggests new possibilitie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and education. 본 연구는 직장인의 학습목표지향성에 대한 인지 및 정서 경로를 탐색하기 위해 미래지향시간관과 향유신념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인지경로로 미래지향시간관은 개인의 학습 선호도를 높이는 동시에 인지적 유연성을 매개로 하여 학습목표지향성을 향상시킬 것이다. 정서경로는 향유신념이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태도를 강화하여 학습목표지향성을 높여줄 것이며, 그 과정에서 긍정정서의 매개효과를 예측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전국 단위 금융기업 사무직 근로자 381명의 응답을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지경로에 해당하는 미래지향시간관과 학습목표지향성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고, 정서경로인 향유신념과 학습목표지향성 사이에서 긍정정서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직장인의 학습목표지향성을 높일 수 있는 경로를 인지 및 정서 측면으로 접근하여 학습동기에 대한 거시적인 안목을 제안하고 확인하였으며, 학습과 교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향유신념이 아동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김경희,박소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fluence of a savoring beliefs on child`s emotional regulationa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0 copies of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21 to October 28, 2017, disttributed to 4, 5, and 6 grade elementary schools in Jeonbuk area J city collected and the final 331 vali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analysis. In order to measure the emotional regulation, Kim So-young and Kim Jin-sook(2011)[1] reconstructed the items of the existing scale and measured savoring beliefs, used self-reported savoring belief scale developed by Bryant(2003)[2] used child`s savoring beliefs(CSBI), which was developed and validated by Cho Hyeon-seok(2010)[3]. The results showed that savoring beliefs were effective i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mong the three sub-factors of past recall, present and future expectations of savoring belief, present savoring beliefs factors influenced emotional regulational. IN addition, the present saving beliefs factor showed effects on all three suvscales of emotional regulational(emotional recognition, emotional behavior, and emotional experience), and the effect on emotional behavior(β=.417) was the largest. 본 연구의 목적은 향유신념이 아동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전북지역 J시 초등학교 4, 5, 6학년을 대상으로 2017년 9월 21일부터 10월 28일까지 설문지 400부를 배포하고 회수하여 최종 331부의 유효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SPSS통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정서조절을 측정하기 위해서 김소영, 김진숙(2011)[1]이 기존척도의 문항을 재구성하여 아동의 정서조절 척도를 향유신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Bryant(2003)[2]가 개발한 자기 보고식 척도를 조현석(2010)[3]이 번안 및 타당화한 아동용 향유 신념 척도(CSBI)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향유신념이 아동의 정서조절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유신념에는 과거회상, 현재향유, 미래기대 3개의 하위요인 중에서 현재향유 요인이 아동의 정서조절에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현재향유 요인은 정서조절 3개의 하위요인(정서인지, 정서행동, 정서체험)에 모두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행동에 미치는 효과(β=.417)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년기 위기감, 지혜, 향유신념, 대인관계 조화 및 생산성과의 관계

        채수홍,권현용 한국교육치료학회 2019 교육치료연구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nse of mid-life crisis , wisdom, savoring belief, and interpersonal harmony on generativity. We surveyed 600 middle-aged men and women aged 40 to 65 years living in Seoul, Gyeonggi, Gangwon, Chungcheong, Jeolla, Gyeongsang, and Jeju Province, using a random sampling method. 566 copies were exclud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mid-life crisis, wisdom, savoring belief, interpersonal harmony and generativity, middle-aged sense of crisi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wisdom, savoring belief, interpersonal harmony and generativity. In addition, wisdom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avoring belief, interpersonal harmony, and generativit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role of wisdom, savoring belief, and interpersonal harmon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mid-life crisis and generativity, sense of mid-life crisi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generativity through wisdom, savoring belief, and interpersonal harmony, and had a mediating effec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f sense of mid-life crisis, wisdom, savoring belief, interpersonal harmony and generativity, and to b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that can overcome the sense of mid-life crisis and increase generativity. 본 연구는 중년기 위기감, 지혜, 향유신념, 대인관계 조화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 강원, 충청, 전라, 경상, 제주지역 등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40∼65세 중년기 남성‧여성 600명을 대상으로 임의표집 방식을 이용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후, 그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14부를 제외한 566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위기감과 지혜, 향유신념, 대인관계 조화, 생산성의 관계성을 살펴본 결과, 중년기 위기감은 지혜, 향유신념, 대인관계 조화, 생산성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혜는 향유신념, 대인관계 조화, 생산성과 정적 상관이 있고, 향유신념은 대인관계 조화, 생산성과 정적 상관이 있으며, 대인관계 조화는 생산성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기 위기감과 생산성의 관계에서 지혜, 향유신념, 대인관계 조화의 매개역할을 살펴본 결과, 중년기 위기감은 지혜, 향유신념, 대인관계 조화를 매개로 생산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중년기 위기감, 지혜, 향유신념, 대인관계 조화 및 생산성의 관계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년기 위기감을 극복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중년기 성인의 향유신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박선미,전혜성 한국가족치료학회 2018 가족과 가족치료 Vol.26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voring beliefs and a subjective sense of well-being among middle-aged adults.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given to middle-aged adults aged between 40-65 years in Seoul, Gyeonggi, Daegu, and Gwangju during a two week period in March, 2018 (N=326).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were the savoring belief scale,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scale, and the shortened subjective well-being scal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were examin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erified by verifying the measurement model. Results: Three major results were found: First, higher savoring belief enhance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mproves subjective well-being. Second, the higher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higher the subjective well-being. Third,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avoring belief and subjective well-being. Conclus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middle-aged adults, the savoring belief of emotional expressiveness, which includes a cognitive psychological mechanism, should be highly antecedent.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향유신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대구, 광주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40∼65세의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2018년 3월 2일에서 3월 17일까지 대략 2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N=326). 측정도구는 향유신념 척도, 정서표현성 척도, 단축형 주관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와 AMOS 18.0의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조사하였고, 측정모형의 검증을 통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높은 향유신념은 정서표현성을 높이고,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정서표현성이 높아지면 주관적 안녕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표현성은 향유신념과 주관적 안녕감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지적 심리기제인 향유신념과 정서적 심리기제인 정서표현성이 중년기 성인의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는 선행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고, 정서표현성이 향유신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향유신념과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조현주(Cho, Hyun Joo)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0 복지상담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초, 중, 고 교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향유신념과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조사하였다. 서울과 경기기역에 근무하는 초, 중, 고 교사 411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최종적으로 398명의 자료를 PASW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초, 중, 고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향유신념, 정서표현성, 삶의 만족도는 정적 또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와 향유신념, 정서표현성과 삶의 만족도 간에는 부적상관관계를, 향유신념, 정서표현성과 삶의 만족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델을 근거로 해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직무 스트레스가 향유신념과 정서표현성에 각각 영향을 주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단순매개효과는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 모형은 완전매개모형보다 부분매개모형이 적합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지적 기제인 향유신념과 정서ㆍ행동적 요인인 정서표현성이 교사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선행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향유신념 및 정서표현성이 교사 상담에 주는 의의와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survey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bou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avoring belief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11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inally, 398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ASW 18.0 and AMOS 18.0 programs. First, the job stress, savoring belief, emotion expressive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or negative correlation.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lower the savoring belief, emotion expressiveness, and satisfaction level of life. Second, ba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the simple effect of job stress on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as it affected the savoring belief and the emotion expressiveness respectively. Especiall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as a research model in this study has more goodness than the full mediating effect.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gnitive mechanism, the savoring belief and emotion expressiveness,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served as the leading factors in enhancing the satisfaction of teachers liv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job stress, life satisfaction, relish belief and emotional expression in teach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