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성애(Sung Ae Kim)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15 예술과 인간 Vol.1 No.1
예술치료교육이 한국인에게 왜 필요한가? 이 물음을 뒤집어 보면 예술치료교육이 한국인에게 꼭 필요하다는 말이다. 이 질문에는 에술치료교육이 가야 하는 방향이 이 시대의 한국인에게 꼭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한다는 요구도 들어 있다. 최근 들어 한국인은 여러 가지 고통과 충격의 도가니에 휘말려 있다. 세월호 침몰과 같은 각종 안전사고, 가난, 실직 등이 원인이 되어 세상을 등진 사람들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극심한 상실감을 앓고 있다. 또한 인터넷, 게임중독, 각종 통신 기기와의 만남으로 많은 한국인이 실존적 혼자상태에 놓였다. 여기에다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생물학적으로 다르다는 이유로 그들의 사회적인 불이익과 소외감은 항상 있어왔다. 그래서 예술치료교육은 일시적으로든지 만성적으로든지 사회로부터 배제되고 불편함을 감수하여 자신의 인생을 살아가야 하는 한국인을 건강하게 할 에너지로 작용해야 할 역학을 감당해야 한다. 예술치료교육이 한국인에게 필요한 또 다른 이유는 그 안에 창의적인 인간을 기를 수 있는 엔지가 있기 때문이다. 지금의 시대는 포스트모던 사회가 주류를 이룬다. 이 사회는 창의적인 인간을 필요로 한다. 예술치료교육은 한국인에게 창의력을 가져다준다. 예술치료교육이 이토록 중요할 진데, 예술치료교육의 개념이 어떻게 정의되어야 하며 그 실행 방향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담론할 필요가 있다. 치료는 교육이어야 하고 교육은 곧 예술이어야 한다. 그렇다면, 예술치료교육은 예술 그 자체이다. 그 예술은 치료와 교육의 개념적 차원에서의 예술이고, 치료와 교육의 실천 차원에서의 예술이다. 즉, 예술치료교육은 행동을 통한 예술적 표현이요, 창의적인 인간을 육성하는 교육적 목표를 가지는 것이요, 인간의 가능성을 의학적인 진단과 처방이 아닌 교육으로 치료적 결과를 얻는 것이다. 예술치료교육은 의학적인 치료가 아니라 예술 그 자체요, 교육적인 본질을 추구한다. 예술치료교육의 대상자들은 의학적인 손상이나 질병 등의 개념 차원으로 이해되고 지원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면 예술치료교육은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그 철학을 어떻게 소화할 것인가? 어떤 방안이 활용되어야 하는가? 등에 관한 해답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실제와 소통을 통해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가 당면한 과제가될 것이다. 위의 관점을 가진 예술치료교육과 그 운영자인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Why is the art therapy needed or Korean? Reverse this question, then the question will state that the art therapy is needs for Korean, The question also includes the demand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art therapy education should contain necessary contents for Korean people of the hour. Recently, People in Korea are in shock and racked with pain by a wide range of social problems such as safety concerns like ferry Sewol disaster, poverty and unemployment. The social problems directly-indirectly impact on people`s emotion that would be fallen into extreme sense of loss. In addition, using internet, doing internet game and using other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isolate people from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people with disabilities already have been isolated from communities and have been faced social disadvantages because of their biological differences. Thus, the art therapy education should take on a role in supporting positive energy for Korean people to overcome social disadvantages and exclusion from their society. One other reason that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needed for Korean is, there is energy which can raise creative human beings. This time, post-modern society is the mainstream society. The society needs creative people. The art therapy education develops people`s creativities. How important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Thus, the concept and the direction of the art therapy should be discussed. Therapy must be education and the education must be art. Accordingly,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art`s self. The art is not only the conceptual dimension of therapy and education but also the practical dimension of therapy and education. In other world,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the artistic presentation through actions, aims to raise creative human beings, and obtains therapeutic results by educations rather than medical diagnosis and prescription.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not medical therapy but the art`s self and it pursues educational essentiality. Thus, the subjects of the art therapy education should not be neither supported nor understood as medical disease and/or impairment. Then, how to practice the art therapy education? How to put its philosophy into practice? What kinds of methods will be used? Theses questions should be answered in future research and discussion on the art therapy education and these will be the tasks that the society of the art therapy education faced on.
초등학교 특수학급 음악치료에 대한 특수교사와 음악치료사의 인식 조사
김정란,Kim, Jeong Ran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6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3 No.1
미국에서는 1975년 장애아동교육법(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이 시행되면서 특수교육 프로그램에서 일하는 음악치료사의 역할이 확대되기 시작하였고,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의 역사는 반세기가 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5년에 개정된 특수교육계획에서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의 치료교육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각 지역 교육청별로 특수교육 지원센터를 두어 치료교육 교사를 배치 시행하는 안을 발표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치료 보급이 시작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5년 특수교육계획이 시행된 지 6개월 정도 지난 시점에서 초등학교 음악치료와 관련된 특수교사들과 음악치료사들의 의견과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치료 현황 및 실태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개선점이나 문제점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과 문헌들을 조사 검토하고, 2005년 10월 18일부터 11월 2일에 걸쳐 특수교사 65명과 음악치료사 30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서의 음악치료 현황과 인식도, 기대도 등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기술통계 처리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특수교사와 음악치료사는 초등학교의 음악치료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으며 음악치료의 효과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기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고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악기 및 음악치료실의 완비가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국가나 학교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행 재정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특수학교나 특수학급을 비롯한 지역사회 복지관, 조기교육 현장 등 장애아동이 있는 모든 곳에서 치료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요구는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치료와 교육을 접목시킨 음악치료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를 통해 초등학교에서 음악치료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It has been passed more than 50 years of the history of music therapy on school aged children since there had been enforced the '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e' in United states 1975, which had made an important role of music therapist augmented.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rough reforming the law on March 2005 that therapist educator has to be allocated on the special class in general school, at least, patrol teacher is charged on that, which made possible to start music therapy as initial stage was realized in realistic way on the spot of school. This research has primary concerns as following. The one thing is intended that figuring the opinions of special educators and music therapists involved with the music therapy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other thing is intended that making a investigation of actual condition on the spot of existing school, moreover, pinpointing at issue and suggesting the change for the better than now. In order to undertake theses intentions, I examined preceding researches and existing data,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involved the music therapy of elementary school to the people who are composed of special educators-65 persons and music therapists-30 persons from 18th October to second of November, and analyzed collec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it says that special educator and music therapist know well about the necessity of music therapy in elementary school and its effectiveness is manifested in positive way. Moreover, in order to systemize and promote a program of music therapy, what is most urgent thing is the completion of instrument and music therapy room and there are needed strong supports at the level of nation and institution. It has become pervasive on the demand of therapy education by parents in all of the places involved with disabled children such as special school, special class, local welfare community, and early education. This research shows that how therapy and education was connected as music therapy on the spot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of music therapy.
3-6세 유아의 영역별 발달 촉진을 위한 단계별 음악치료교육 활동 연구
이수연,Lee, Su yeon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6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3 No.1
유아기는 발달의 가소성이 높은 시기로써, 이 시기에 적절한 발달 과정을 거쳐서 성장한 유아들은 학령기에서 성인기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유아를 대상으로 교육을 할 때 발달 특징을 충분히 이해하고, 단계별로 진행되는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유아가 균형적이며 전인적인 발달을 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면, 유아를 교육할 때는 신뢰를 형성하고 유용한 관계를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즐거움을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음악은 즐거운 교육 환경을 제공하고 참여하도록 유도하며 음악의 다양한 요소를 활용한 음악 활동은 유아의 각 영역별 발달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음악치료에서는 이러한 음악의 효율적인 사용을 통해서 대상자의 연령별 수준에 맞는 음악 활동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계획하여 대상자로 하여금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성장을 돕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 유아는 운동, 인지, 언어, 사회성과 정서 영역에서 각각 발달의 특징을 보이며, 각 영역의 발달을 위한 음악적 접근 방법이 많은 선행 연구들에서 모색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와 이론을 토대로 유아의 영역별 발달 단계를 구분하고, 각 발달 단계에 따른 세부 목표를 설정하여 목표 달성과 발달 촉진을 위한 음악치료 교육 및 음악적 접근 방법을 적용한 음악치료 교육 활동을 연구, 개발하였다. 연구방법은 크게 문헌 조사와 검사지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 조사는 유아의 영역별 발달 특징과 음악적 접근을 모색한 선행 연구를 파악하는 단계에서 활용 되었으며, 이를 실제 유아의 발달 단계에 적용하여 적합한 음악치료 교육 활동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전문가의 검토를 받는 검사지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개발된 활동들은 관련 영역의 전문가 5명으로부터 타당도를 검토 받았으며, 검토 분석 결과, 유아의 영역별 발달 단계와 각 단계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음악 활동의 구성이 적합하고, 현장에서 활용하기에 유용성과 효율성이 있으며, 유아의 영역별 발달 촉진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각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음악치료 교육 활동을 수정, 보완하여 제시하였다. 이는 유아를 교육하는 현장에서 유아의 발달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음악치료를 하는 현장에서는 치료사들이 장애아동을 치료하는데 단계별 수준에 적합하게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arly development of an infant is crucial due to the enormous impact it has throughout an infant's lif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an infant and provide a high-quality educational environment so that an infant can progress at an innate pace to learn how to exercise, understand, speak, socialize, and empathize as well as having a balanced growth. When educating an infant, joy is a substantial factor in the formation of trust and development of relationship that makes education efficient. Music can be an effective means to offer a fun atmosphere vto the infant in which it stimulates active participation of the infant and development of a variety of dimensions to the infant's development. Also, the purpose of music therapy education is utilizes to plan for the different age groups' level of understanding of music and allow the infant to have a positive experience and develop properl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to examin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infant' developmental steps thoroughly, to suggest interventions using music therapy education to stimulate development of an infant, to prove that infants age 3 to 6 obtain the necessary ability and skill through the effective educational therapy through music, and finally to create a music program for educating infants or music therapy. This study has examined theories of the music approach targeting infants age 3 to 6 and made character observations of infant' Motor, Cognition, Communication, Socialization, and Emotions. With the basis of the above theory, the different levels of development has been divided, specific goals has been set up according to the levels, and various music therapy education for infants have been created. The music therapy education activity has been approved by five professionals who are renown in their specific field. They made comments that the development levels were properly divided in the paper. They also commented that the music program is adequate for achieving the goal of each developmental level and it stimulates the different levels of an infant's development. In conclusion, the study reflects that the approach of music therapy education stimulates the different levels of infant development. Music therapists can utilize this music program to help handicapped children identify characteristics of progress and develop at their own ability.
박지영(Ji-young Park)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15 예술과 인간 Vol.1 No.1
한국의 다문화 음악교육은 다문화주의에 대한 철학적 배경이나 이론적 근거에 관한 진지한 연구 없이 교육 현장에서 실시 되어 왔다. 그리하여 한국적 다문화주의에 대한 풍부한 논의가 선행되지 못하였다. 한국은 다문화 현상이 나타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 경험이 짧다고 할 수 있고, 다문화 사회에 대한 담론을 충분히 구축하지 못한 면도 있다. 우리와 역사적 실행이 다른 캐나다, 미국, 유럽 등의 국가들의 사례를 통하여 충분히 배울 수 있겠지만, 교육자들의 고민을 거듭한 결과물들이 나와서 그에 대한 적용을 통한 시행착오를 거쳐 한국만의 다문화 음악교육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음악교육의 선행 연구를 분석해 보고,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살펴보면서 실제로 다문화 음악교육이 제대로 실행되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한국의 다문화 음악교육은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을 감상하고, 노래 부르기 등의 고정된 교육을 벗어나서 우리와 다른 음악, 다른 문화에 대한 교육이 아닌 세계 여러 나라의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열린 마음을 가질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육의 기본 방향이나 철학적인 토대, 기본적인 교육의 설계가 포함되어 있는 교육과정부터 변화해야 한다. 또한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은 학문적 배경과 철학적 토대를 굳건히 세운 다음 시대적 요구와 교육의 현실을 반영하여 만들어져야 한다. 그리고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를 만들 때 연구진 및 교과서 집필자 또한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충분한 고민과 연구를 담아야 한다. In South Korea,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has been provided on the field without any serious research on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or theoretical grounds of multiculturalism, which is why there have been no rich discussions about the Korean-style multiculturalism. It has not been long since the emergence of multicultural phenomena in the nation, which has a short history of multicultural experiences and no enough discourse o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country will be able to learn fully from the cases of Canada,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European nations whose practice of history has been different from it, but its educators are required to produce results after repeated contemplations, apply them, and establish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unique to the country through trial and error. This study thus set out to analyze previous studies o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nd examine whethe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as properly provided in reality by looking into the elementary music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s.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of South Korea needs to grow out of the old fixed education of appreciating the music of and singing songs of various cultures and inspire the students to have an open mind to the cultural diversity of the world instead of focusing on different music and culture from them. It demands changes starting with the curriculums containing in them the basic directions, philosophical foundations, and basic designs of education, In addition, the curriculums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should first establish academic backgrounds and philosophical grounds in a solid manner and then reflect the needs of the times and the reality of education. In addition, the researchers and textbook authors should have enough contemplations and research efforts with regard to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hen writing a textbook according to the curriculum.
편정원(Jeongwon Pyeon),이에스더(Esther Rhee)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15 예술과 인간 Vol.1 No.2
현대의 급속한 사회변화에 따른 복잡하고 다양한 면모의 사회 현상 속에서의 인간성 상실은 학교현장에서도 예외가 아니며 해결해야할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다. 특히 청소년기의 학생들은 가정, 학교 또는 주변 환경 및 또래집단에서 심리적, 정서적 갈등을 겪거나 문제행동을 표출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에 학교현장에서는 학생들의 인격적 성장과 심리적 안정을 통한 창의·인성적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이 시도되고 있으며, 미술교육에서는 미술이라는 매개체를 통한 교육적이며 예방적, 치료적 차원에서의 교육환경을 제공하고, 창조적 활동을 통한 청소년의 자기표현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제시되고 있다. 21세기는 테크놀로지의 진화와 세계화를 통해 물질 중심에서 인지 중심 그리고 창조 중심으로의 미래사회로 변화하고 있으며, 융합은 이제 현시대의 키워드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창의적 사고가 요구되는 하이컨셉의 시대에 맞는 개념과 감성에 능통한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을 지향하기 위해서는 현시점의 학교교육이 안고 있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융합적 접근의 사고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미술치료 매체의 탐색, 특히 재활용 재료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활용을 통해 새로운 인식의 변화를 위한 교육의 접근을 제시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치료적 접근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미래의 주인이 될 학생들에게 필요한 가치관 교육과 동시에 공동체 의식을 통한 인성함양과 미적 감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대한다. 미래사회의 책임과 관심을 촉구할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치료적 접근을 통해 미래학교교육에서의 융·복합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고, 치료와 예방적 차원에서 보다 더 의미 있는 가치적 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지속되기를 바란다. The fast pace of social change has resulted in a certain loss of humanity throughout the Korean society in a number of complex ways. This loss is in turn creating a number of problems that must be addressed through education. Adolescent teens tend to experienc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onflicts at home, school, surrounding environment or peer group. Teens also tend to exhibit problematic behavior. In response to this, schools are engaging in diverse efforts to promot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ersonal growth, in order to fulfill their goal of creative and personal education. Art education in particular is experimenting with art to establish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is educational, preventative and therapeutic. Furthermore, schools are studying the value of art as a tool for creative activities and self-expression. The 21st century is marked by technological evolution and globalization, which drive the shift from material-based society to cognition and creativity-oriented society. With this shift, “convergence” has become a major keyword. Against this background, it is imperative that educational institutions utilize convergence as a strategy to overcome challenges school education currently faces, so that Korea’s education system can nurture mentally and emotionally intelligent youths who can meet the challenges of today’s creative society. The thesis investigates the therapeutic role of art education and its contribution to sustainable life by introducing a new educational approach that utilizes diverse art therapy media, especially recycled materials, in new and different ways. The author believes that such art education will instill ideal values in young students and promote team spirit, which in turn will bolster their artistic intelligence and develop their character. Also, the art therapy strategy aimed at art education to encourage interest in, and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future will encourage convergence-oriented education paradigm for the future. The author expects further research on value-driven education for therapeutic and preventative purposes.
공통 교육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의 연계를 통한 초등학교 음악과 통합수업의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창작 활동을 중심으로
원초롱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22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methodology for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to provide appropriate music education to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inclusive classrooms. This study presents a customizing music curriculum reconstructing model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This model consists of six stages: analyzing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needs, analyzing the common music curriculum and basic music curriculum, establishing specified assessment criteria for achievement standards, analyzing the music textbook for the common curriculum and basic curriculum, reorganizing educational activities in music units, and conducting differentiated music instruction. This study presents an example of the customization process and focuses on a creative music activity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commendations and guidelines for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to best meet the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re provided. 본 연구는 통합학급의 특수교육대상학생에게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공통 교육과정과 기본 교육과정의 연계를 통하여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맞춤형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특성 및 교육적 요구 분석, 음악과 공통 교육과정 및 기본 교육과정 분석,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세분화된 평가준거 성취기준 설정, 공통 교육과정 및 기본 교육 과정의 음악과 교과서 분석, 음악과 단원의 교육활동 재구성, 맞춤형 음악과 수업 실시의 6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창작 활동을 중심으로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하여 학교 현장에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적 필요에 따라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김병현(Byung-hyun Kim)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15 예술과 인간 Vol.1 No.1
오늘날 우리사회 전방에 걸쳐 스트레스가 증폭 되고 있으며, 특히 우울증, 자살과 이혼, 각종 중독, 폭력 등 정신건강 문제가 종전보다 더욱 심각해지고 있어 기분장애나 불안장애, 소아청소년 질환과 치매 등 노인성 질환도 증가하고 있다. 정신과 치료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으로 인하여 예술치료에 대한 기대감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결과의 객관적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예술치료 분야에서 혈압 ㆍ맥박 ㆍ호흡 ㆍ피부반응 ㆍ뇌파 등의 생리신호를 분석하는 감성공학적 접근에 대한 연구가 매우 필요한 시기이다. 감성공학에서 적극 활용되는 감성인식 기술은 예술치료 분야에서 보다 더 다양한 치료 및 검증 도구로의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즉, 예술치료에서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치료프로그램과 상담프로그램이 내담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과거 예술분야와 과학 기술 분야는 서로 다른 영역으로 인식되었으나 예술의 창의성과 과학 기술의 객관성이 융합 가능한 예술치료에서의 감성공학적 접근을 통해 인간회복, 행복감 증진, 일상으로의 복귀, 자신의 개선하고자 하는 문제점 극복 및 치유를 위한 치료의 극대화와 건강 증진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People under mental disorder has increased the case in rapid and sustainable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fast-paced modern society. So we need that methods of art therapy are increasing the demand to resolve their trouble. The various types of mental health health problems such as depression, suicide, divorce, addiction and violence are seriousness because of extreme stress causing. As a result, the people are suffering various mental diseases including mood disorder, anxiety disorders, pediatric disease, and geriatric diseases. Therefore objective data need to explain art thearchy`s effect depending on expectation and potential demand. Biosignal which has response of autonomic nervous system such as blood pressure, pulse, respiration, skin temperature and brain wave representing central nervous system can be used as objective information. The emotion engineering approach can evaluate user emotion and current status based on physiological signals. Emotion recognition technology not only will offer an objective evaluation system for art therapy but also broaden the scope of treatment. Numerical and objective analysis of various treatment and counsel programs will increase the efficiency of art therapy. Art and science, which has been recognized to be apart, has converged under the name of art therapy. With the tools of emotional engineering, research on art therapy will enable development of specified treatment for targeted mental disorder.
오지은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6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3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music therapy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by conducting a survey of music therapists. Completed surveys from 32 certified music therapists were included for analysi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38 items that asked about the participants’ background, work environment and music therapy implementation experience (including assessment, goal establishment, intervention strategy and difficul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music therapy for adults with ID was practiced in diverse facilities. Enhancing social interaction was the most frequently set goal by music therapists, whereas facilities mostly required the music therapy services for emotional stability. Also, instrument playing was used most among music activities, and musical structure was considered most when choosing music for therapy. Among the influential institutional factors,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y were considered most frequently, and the level of functioning was the most considered in terms of client-related factors. To advance the effective use of music therapy interventions with adults with ID, development of music therapy assessment tools and more active communication with facility staff were also suggested when working with this popul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 음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국내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 임상중재의 현황과 중재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인지적장애인 대상으로 음악치료제공경험이 있고 설문 참여에 동의한 음악치료사 39명 가운데 정규 자격증을 취득한 음악치료사 32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음악치료사의 배경정보, 성인지적장애인 음악치료 환경, 형태, 음악치료 진단, 목표설정, 중재전략,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의 어려움에 대해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성인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는 사회복지시설, 병원, 음악치료센터 등 다양한 시설에서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음악치료사들이 설정한 주된 음악치료 목표는 상호작용 향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관 담당자의 의견과는 일치했지만 음악치료가 소속된 기관의 서비스 항목인 정서 안정과는 일치하지 않았다.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에서 상호작용 향상을 위해 가장 많이 활용된 활동은 악기연주로 나타났고, 음악치료 내에서 음악을 사용할 때 가장 많이 활용한 음악 요소는 형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 중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기관 관련 요인은 기관의 특성이었고, 대상 관련 요인은 기능수준으로 나타났다.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 중재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 진단도구 개발과 기관 담당자와의 원활한 소통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악치료가 성인지적장애인 대상으로 효과적인 중재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향후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조현아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3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urrent trends in music therapy literature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the groundwork for future research. Therefore, 122 articles from the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KJMT) from 1999 to 2012 and 76 articles from the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JMHB, formerly known as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Education) from 2004 to 2012 were analyzed. Analysis was performed by identifying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following items: type, population, topic, and methodology of published articles. In addi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compared and contrasted between these two publications.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prevalence of descriptive studies (KJMT, 46%,; JMHB, 45%), applied research (KJMT, 51%; JMHB 66%), and quantitative studies (KJMT, 82%; JMHB 37%). In addition, ordinary people with no particular diagnosis were the most often studied population (34%). Differences were found in that a historical study was only found in KJMT whereas a philosophical study was published only in JMHB. Further analysis revealed that JMHB included a higher proportion of applied research than KJMT. In KJMT, quantitative research was appeared twice as often as qualitative and mixed-method research combined. On the other hand, a similar number of each of the three methodological types of studies appeared in JMHB.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more effort should be made to increase the quanti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professional publications in the field of music therapy in Korea. 본 연구는 국내 음악치료 학술지 연구의 현황과 미래 방향성에 대한 기초 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999년에서 2012년까지의 한국음악치료학회지(The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KJMT) 122편과 2004년에서 2012년까지의 인간행동과 음악연구(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JMHB. 전, 음악치료교육연구,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Education) 76편의 총 198편의 논문을 유형, 대상, 주제 및 방법에 따라 연도별 게재 현황과 비율을 고찰하고 각 영역별 비율에 대한 두 학술지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유형 중 기술연구가 46%(KJMT), 45%(JMHB)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연구대상에서는 두 학술지 모두 일반대상에 대한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34%). 연구주제에서는 학문연구가 51%(KJMT), 66%(JMHB)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연구방법에서는 양적 연구가 82%(KJMt), 37%(JMHB)를 보이며 각 영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차이점으로 KJMT에 게재된 연구유형에는 역사연구가 있었으나 철학연구는 없었던 반면, JMHB에는 철학연구는 있었으나 역사연구는 없었다. 연구주제에서는 KJMT보다 JMHB에서 학문연구의 비율이 높았으며 연구방법에서는 KJMT에서 양적 연구가 질적, 통합적 연구보다 2배 이상 높은 비율을 보였다. 반면, JMHB에서는 각 연구가 유사한 비율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음악치료 전문 학술지 연구동향을 파악 할 수 있으며 향후 음악치료 학문발전을 위한 연구의 양적 확대와 질적 제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2014년 보건복지부 지정 5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음악치료 현황
김은정,김경숙,최윤선,김원철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6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3 No.1
This study provides numerical data on the status of music therapy practices in 54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in Korea. Two different questionnaires for music therapists and coordinators were sent to 54 coordinators via email, and 47 (87%) hospitals and centers replied by email or post. The survey period was October 30 through December 5, 2014. Music therapists were asked to respond to 65 questionnaire items regarding working conditions, environment, session process, and personal competence. Coordinators were asked to complete 28 questionnaire items regarding the status of music therapy in their perspective setting. Twenty-two (46.8%) hospitals and centers were running music therapy programs with 28 music therapists, and 19 (67.9%) of these music therapists majored in music therap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usic therapists (M=3.43, SD=0.96) and coordinators (M=2.73, SD=0.77) regard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 of music therapy sessions (p<.05). The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for music therapy are inadquate for optimal implementation of music therapy practice. However, the perceived benefits of music therapy by coordinators suggest that music therapists do play an important role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his research provides the first quantitative baseline data of music therapy statu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in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복지부에 의해 지정된 5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음악치료에 대한 수치 기반의 현황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54개 기관의 코디네이터에게 E-mail로 설문지를 발송하여 총 47개 기관(87%)의 음악치료사와 코디네이터로부터 E-mail과 우편으로 회신을 받았다. 조사기간은 2014년 10월 30일부터 12월 5일까지였으며, 음악치료사 대상 설문지는 근무조건/처우, 음악치료 환경, 진행 및 개인역량 등 총 6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코디네이터 대상 설문지는 각 기관의 음악치료 시행 여부 및 코디네이터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음악치료의 현황과 개인정보 등 총 2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47개 기관 중 음악치료 시행 기관은 22개 기관(46.8%)이었으며, 음악치료사 28명 가운데, 음악치료를 전공한 음악치료사는 19명(67.9%)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세션 준비, 수행, 평가와 관련해 음악치료를 진행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갖추어져 있는지를 묻는 문항에 대해 음악치료사(M=3.43, SD=0.96)와 코디네이터(M=2.73, SD=0.77)의 응답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음악치료는 현재 시행 기관이 많지 않고 환경이 열악하지만,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 결과를 볼 때 향후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에서의 음악치료 현황에 대한 최초의 정량적, 통계적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