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과변수와 공변량의 측정 오차를 고려한 Fay-Herriot 모형

        류수락(Soorack Ryu),황진섭(Jinseub Hwa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1

        소지역의 효율적인 추정을 위해 Fay-Herriot 모형의 다양한 확장 버전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전 연구에서는 공변량(covariate)에만 측정오차를 고려하였으며 결과변수(outcome variable)의 측정오차(measurement error)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결과변수와 공변량의 측정오차모형을 반영한 확장된 Fay-Herriot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측정오차를 가지는 결과변수의 참값(true value)에 비확률성(non-stochastic)을 가정한 기능적 측정오차모형(functional measurement error model)과 측정오차를 가지는 공변량의 참값에 확률성(stochastic)을 가정한 구조적 측정오차모형(structural measurement error model)을 고려하였다. 모형 적합과 모수 추정을 위해 MCMC(Markov chain Monte Carlo) 방법의 계층적 베이지안 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형의 우수성을 확인하기 위해 모의실험과 실증자료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Arima et al.(2015)에서 사용한 선형적 함수와 2010 이탈리아 가계 예산 조사(2010 Italian household budget survey) 자료를 사용하였다. 모의실험과 실증자료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형의 성능이 더 우수하였다. Various extension versions for Fay-Herriot model have been proposed for efficient small area estimation. However, most previous studies have considered only covariate of measurement error model even though the outcome variable may also have measurement error model.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xtended Fay-Herriot model that can reflect the measurement error model of outcome variable and covariate. We consider a measurement error model of the outcome variable and covariate. To fit the model and estimate parameters, we consider hierarchical Bayesian model approach based on Markov chain Monte Carlo method. To check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odel, we use one linear function in simulation studies and we use the 2010 Italian household budget survey data for the empirical study. The results for simulation studies and the empirical study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has the better performance than the error model considering measurement error of covariate only.

      • KCI등재

        다중 측정오차 변수를 고려한 Fay-Herriot 모형

        김수지,황진섭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3

        Sometimes, variables could not measured exactly because of several factor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rue value and measured value is called measurement error. These measurements errors complicate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this problem is commonly called measurement error problem. In generally the model considering the measurement error is called the measurement error model. We have developed the Fay-Herriot expansion model that considers one covariance measurement error in our previous model. In practice, however, multiple covariates could have measurement errors and we propose a small area model considering multiple measurement error variables in this study. Especially, it can be classified into functional and structural measurement error model depending on whether the probability of covariance having measurement error is assumed or not.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structural measurement error model. We fit the model and estimate parameters based on the hierarchical Bayesian method and we proved the superiority of our model through simulation and application studies. We consider the seven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for the application.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때때로 변수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제 값과 측정 값 사이의 차이를 측정오차라고 한다. 이러한 측정오차는 통계적 분석을 복잡하게 하며 이를 고려한 모형을 측정오차 모형이라고 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하나의 공변량 측정오차를 고려한 Fay-Herriot 확장모형을 개발하였다. 하지만 실제 분석에서는 하나 뿐 아니라 여러 개의 공변량이 측정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중 측정오차 변수를 고려한 소지역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측정오차를 가지는 공변량의 확률성 가정 여부에 따라 기능적 측정오차 모형과 구조적 측정오차 모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측정오차 모형을 고려하였다. 계층적 베이지안 방법을 기반으로 모형의 적합 및 모수를 추정하였고, 모의실험을 통해 기존의 측정오차 변수가 1개인 측정오차 모형과 비교하여 제안한 모형의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제7기 1차연도(2016) 실증자료를 이용하여 적합도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기존 연구 모형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형의 추정치가 더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지방공기업형 사회적 책임 측정 모델 개발

        방준용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9 경영컨설팅연구 Vol.19 No.3

        In this study, major measuring tools for social responsibility, which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and utilized, were compiled and analyz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a measuring tool for social responsibility suitable for local public enterprises. Although major areas of activity were set up only for domestic and specific areas due to the nature of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Regional public Corporation, measuring tools not only at home but also abroad were included in the research targets based on globalization trends for social responsibility. The four representative social responsibility measuring tools (ISO 26000, GRI, UNGC and KEJI)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for social responsibility measuring tools, including 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 Sustainability Index and FTSE 4GOOD Index. ISO 26000 was selected as the basis for the social responsibility measurement model for local public enterprises among existing social responsibility measurement tools by analyz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individual measurement tools while organizing various social responsibility measurement tools. ISO 26000 applied various stakeholder views from the beginning of development and reviewed and reflected as many existing data as possible, and considered it suitable as the basis for a local public corporation-type social responsibility measurement model, a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made it more likely to generalize different types of local public entities. After developing the primary measurement model based on ISO 26000, the entire survey was conducted on 146 regional public corporations, excluding direct-run companies, to survey items in the measurement model. Prior to the launch of this survey, to enhance the suitability of the survey items and contents, a preliminary review was conducted by the heads of departments and practitioners of six public corporations. A survey data was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with the social responsibility indicators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of local public corporations to refine the measurement model, and a social responsibility measurement model comprised of 147 items of 28 components in six dimensions was derive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a policy manner, it is worth using first as a strategic approach to social responsibility, and leads to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oriented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Finally, by using it as a management tool for various stakeholders, it is expect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can be improved from a supply-oriented to demand-oriented perspective.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지방공기업에 적합한 사회적 책임에 대한 측정 도구 개발을 목표로 기존에 개발·활용되고 있는 사회적 책임에 대한 대표적인 측정 도구들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지방공기업은 설립·운영 특성상 주로 국내 및 특정지역에 국한하여 활동영역을 설정하고 있으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세계화 추세에 근거하여 국내는 물론 국외 측정 도구들도 연구대상에 포함하였다. 4개의 대표적인 사회적 책임 측정 도구(ISO 26000, GRI, UNGC, KEJI)와 함께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 지속가능지수, FTSE 4GOOD Index 등을 포함시켜 사회적 책임 측정 도구들에 대해 포괄적으로 검토하였다. 다양한 사회적 책임 측정 도구들을 정리함과 동시에 개별 측정 도구들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기존에 존재하는 사회적 책임 측정 도구들 중에서 지방공기업형 사회적 책임 측정 모델의 근거로서 ISO 26000을 선정하였다. ISO 26000은 개발 초기부터 다양한 이해관계자 관점을 적용하고 최대한 많은 기존 자료를 검토 반영한 것으로 철학적 토대가 견고함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지방공기업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이 높아 지방공기업형 사회적 책임 측정 모델의 근거로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ISO 26000에 근거하여 1차적인 측정모델을 개발한 후 2018년 행정안전부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대상 중 직영기업을 제외한 146개 전체 지방공사·공단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측정모델의 항목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본 설문조사 실시에 앞서 설문조사 항목 및 내용의 적합성 제고를 위해 6개 공기업 유형별(도시철도공사, 도시개발공사, 특정공사·공단, 관광공사, 시설관리공단, 환경시설공단) 부서장 및 실무자를 중심으로 사전검토를 실시하였다. 설문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의 사회적 책임 지표와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모델의 정제화를 실시한 결과 6개 차원 28개 구성요소 147개 항목으로 구성된 사회적 책임의 측정 모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바, 먼저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전략적 접근 도구로서 활용 가치가 있으며, 성과지향적 사회적 책임활동의 전개를 가능하도록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관리 수단으로 활용함으로써 공급 중심에서 수요 중심의 시각으로 조직문화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The Load Model Composition Method in Power Systems Using Artifcial Neural Network

        Rae‑Jun Park,송경빈,Kyungsang Lee 대한전기학회 2020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15 No.2

        An accurate load model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ccuracy of power systems dynamic stability analysis. Recent studies to estimate accurate load model have mainly been focused on the measurement-based load modeling and the method to estimate a single representative load model called load model composition or load representation. The current load model used for the dynamic stability analysis in South Korea power system was aggregated with the measurement data from only three distribution stations. The proposed algorithm is the load model composition method based on artifcial neural network technique using more measurement data than the algorithm to estimate the current load model. The proposed load model composition method using the artifcial neural network uses the load composition ratio as the input value and the ZIP model parameter, which is the estimation result at each distribution line, as the output value. The measurement data to estimate the parameter were collected from 105 distribution lines of 9 substations. The performance of proposed algorithm was verifed for three perspectives in the case studies.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algorithm has been improved by comparing the measurement data with the calculated result by using the proposed model. Th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 between the measured data and the proposed model is 1.7%. The proposed algorithm could be applied to estimate the representative load model using data measured at multiple measurement points.

      • KCI등재

        분수 지도에서 전체-부분 모델과 측정모델에 관한 교수학적 비교·분석

        강흥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6 No.2

        이 논문에서는 분수에 관한 전체-부분 모델과 측정모델을 심리학적, 교수학적 면에 서 비교·분석하고 그에 기초하여 한국 교과서의 분수 지도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 였다. 그 결과, 이 두 모델은 분수의 지도이론 안에서 뿐 만 아니라, 일반적 수학교 육이론 차원에서 서로 구별되는 특성을 가진 대립적인 모델임이 드러났다. 두 모델 속에는 수학에서의 이산적인 수와 연속적인 양 사이의 대립, 수학교육에서의 논리 적인 것과 발생적인 것의 대립, 그리고 Freudenthal이 말한 ‘구상화’와 ‘수학 화’의 대립이 반영되어 있다. 한국의 교과서는 분수지도에서 전체-부분 모델을 지 배적인 모델로 채택하고 있으면서도, 이론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그 모델을 일관적 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가분수의 도입과 사칙계산 알고리즘을 증명하는 장면 등 여러 곳에서 전체-부분 모델을 포기하고 측정모델을 편의적으로 끌어와서 사용 하고 있다. 이는 전체-부분 모델에 내재한 제한성에 기인한다. 이에 대한 개선 방 안은 측정모델을 지배적인 모델로 채용하고 전체-부분 모델은 응용사례로 처리하 는 것이다. 이것은 분수의 이론 전개를 일관성있게 만들고, 학생들로 하여금 분수 개념 도입부터 알고리즘 증명까지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part-whole model and measurement model of fraction were analyzed in mathematical, psychological, and pedagogical aspects. Based on the result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teaching of fraction in Korean textbooks was explor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se two models reflect the opposition between the logical and the genetic in mathematics education, represent Freudenthal's concretisation and mathematisation, and represent the opposition of discrete numbers and continuous quantities. Although Korean textbooks adopt the part-whole model as the dominant model for teaching of fraction, they do not consistently use this model in the course of developing the theory. It uses the measurement model conveniently in various places, such as the scene to prove the calculation algorithm.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Korean textbooks is to improve the part-whole model more thoroughly, or to adopt the measurement model as the dominant model. Either way, it will be a big challenge to figure out how to teach fractional multiplication and division algorithm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s to apply the part-whole model more consistently and thoroughly, or adopt the measurement model as the dominant model. Either way, it will be a big challenge to figure out how to teach fracti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algorithms.

      • KCI등재후보

        한우 체척 검정개월령에 따른 단·다형질 개체모형의 육종가 및 정확도 비교연구

        이수현,당창권,최연호,박미나,이승수,이영창,이재구,장혁기,이도현,윤호백,최태정 한국동물유전육종학회 2021 한국동물유전육종학회지 Vol.5 No.4

        한우는 국가단위 검정체계에서 개량되고 있는 한국 고유품종이다. 한우의 평가형질 중 체척은 개체의 신체부위를 10부위로 구분하여 개체의 성장 척도로 활용하는 형질이다. 2021년 하반기 기준의 검정체계는 18개월령에 측정된 후대검정우의 체척성적을활용하고 있으나 이는 검정체계 상 어느 종료시점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그 외에 당대검정에서도 체척 성적을 수집한다는 점에서 모든 자료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척 수집개월령 및 모형에 따른 유전모수와 육종가, 정확도를 비교하고 개선된 평가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활용된 자료는 총 13370두의 당후대검정우의 보정된 12개월령 체중과 12, 18개월령 체척 10부위 성적이며 혈통자료는 84936두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단형질, 다형질평가모형으로 나누어 총 6개의 평가그룹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유전모수 추정에는 수집개월령을 불문하고 모형을 기준으로 볼 때 단형질모형 전체형질의 유전력평균이 0.27, 다형질모형이 0.28의 수준을 보였다. 육종가의 상관결과로는 단형질, 다형질모형 간에 0.87 수준을, 12개월령 당대성적이 추가된 육종가와 12개월령 후대성적만 활용된 상관결과는 0.72 수준으로 파악되었다. 정확도는 전체형질의 평균을 기준으로 12, 18개월령 후대검정 단형질모형에서 각각 63% 수준으로 최저 정확도를, 12개월령 당후대검정 성적을 모두 활용한 다형질모형에서는 74%로 전체 평가그룹 간 가장 높은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연도별 씨수소들의 육종가의 경향은 12개월령 당후대검정 단형질모형으로 평가된 육종가 평균을 제외하고 전체 형질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은육종가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12개월령 당후대검정 성적을 모두 활용하여 다형질모형을 적용한 평가결과의 이점을 투영하려 하였으며 평가결과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Hanwoo cattle is one indigenous breed that have been improving its genetic performance through national evaluation system. 10 categories of Body measurement are one of evaluation trait in Hanwoo population that depicts indirect growth performance. Recent national evaluation system in 2021 have been using body measurement traits measured at 18 month that is not belong to any of the proper test period(e.g. 12, 24 month). Though body measurement traits measured at 12 month are abundant due to not only progeny but performance test animals, evaluation system that using traits measured at 18 month is still remained.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d on the data by measured points and models by single and multiple trait for informing to improve genetic evaluation of national evaluation system. Total 13370 animals from performance and progeny test animals and total of 84936 pedigree records were used. Evaluation group were allocated into 6 in total by 3 measured points and 2 models, and compared by each group. Where regarding only single and multiple trait model, mean of heritability for all traits is depicted as 0.27 and 0.28 in single and multiple trait model respectively. Correlation of breeding value between single and multiple trait model for each measured points was 0.87, while body measurement at 12 month which dataset includes performance test animals and traits at 12 month without performance test animals were shown 0.72 correlation. Accuracy of estimated breeding value was the least when single trait model with body measurement at 12 month and 18 month without performance test animals were used (63%). Multiple trait model using body measurement at 12 month with performance test were recorded as the highest accuracy at 74%, among the evaluation groups. Genetic trend in sires that have at least 6 progenies was in similar pattern annually for all evaluation group except single trait model with performance test animals that measured 12 month body measurement. The group using multiple trait model with traits at 12 month which have performance test records were higher for all traits than other groups. In short, this study was aimed to draw the advantages of multiple trait model using body measurement at 12 month including performance test animals.

      • KCI등재

        공변량의 측정오차를 고려한 로그 변환된 소지역 모델의 계층적 베이즈 추정

        김희준,황진섭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2

        Previous researches proposed various extended versions of the Fay-Herriot model to estimate a small area means. Especially, we developed extended models that could take into account covariate measurement errors along with various distribution of outcome variables(normal distribution, binomial distribution, and Poisson distribution). Chandra, Aditya, Kumar(2018) proposed a log-transformed small area model that could take into consideration outcome variables in asymmetric forms rather than normal distribution bigger than 0, but this model can not consider covariate measurement errors. In this study, we extend the log-transformed small area model that could take into account measurement errors of covariates. The measurement error model is divided into a functional measurement error model that assumes non-stochastic on the true value of covariates and a structural measurement error model that assumes stochasticity. In this study, a structural measurement error model was considered. Hierarchical Bayesian estimation is used, which is based on Gibbs sampling as a method of MCMC(Markov chain Monte Carlo), to estimate model fitting and parameters. The conditional distribution of all parameters is calculated for Gibbs sampling and simulation studies are carried out to check the performance of the models. In addition, an application analysis is conducted based on the 2010 National Health Nutrition survey data which is a national sample data. 기존 연구들을 통해 효율적인 소지역 추정을 위한 Fay-Herriot 모형의 확장 버전이 다양하게 제안되었으며, 특히 여러 가지 결과변수의 분포(정규분포, 이항분포, 포아송분포)와 공변량의 측정오차를 고려할 수 있는 확장모형들을 개발하였다. Chandra, Aditya, Kumar(2018)은 양의 값을 가지는 정규분포의 형태가 아닌 비대칭 형태의 연속형 결과변수를 고려할 수 있는 로그 변환된 소지역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공변량의 측정오차를 고려할 수 없는 모형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공변량의 측정오차(measurement error)를 반영할 수 있는 로그 변환된 소지역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측정오차 모형은 공변량 참값에 비확률성(non-stochastic)을 가정한 기능적 측정오차 모형(functional measurement error model)과 확률성(stochastic)을 가정한 구조적 측정오차 모형(structural measurement error model)으로 나누어지며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측정오차 모형을 고려하였다. 모형의 적합과 모수의 추정은 MCMC(Markov chain Monte Carlo) 방법 중 깁스 표집(Gibbs sampling)을 바탕으로 하는 계층적 베이지안 추정법을 활용하였다. 무정보적 사전분포(non-informative prior)의 사용에 대한 사후분포의 적절성(propriety of posterior)을 확인하였으며, 깁스 표집을 위해 모든 모수에 대한 조건부 분포를 계산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의 우수성을 확인하였으며, 실증분석으로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본 연구의 모형이 기존 모형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SCIESCOPUSKCI등재

        Measurement-based Estimation of the Composite Load Model Parameters

        Kim, Byoung-Ho,Kim, Hong-Rae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2012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7 No.6

        Power system load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 system. Although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describe loads in a mathematical model, accurately modeling them is important for a system analysis. The traditional load modeling method is based on the load components of a bus. Recently, the load modeling method based on measurements from a system has been introduced and developed by researchers. The two major components of a load modeling problem are determining the mathematical model for the target system and estimating the parameters of the determined model. We use the composite load model, which has both static and dynamic load characteristics. The ZIP model and the induction motor model are used for the static and dynamic load models, respectively. In this work, we propose the measurement-based parameter estimation method for the composite load model. The test system and related measurements are obtained using transient security assessment tool(TSAT) simulation program and PSS/E. The parameter estimation is then verified using these measurements. Cases are tested and verified using the sample system and its related measurements.

      • KCI등재

        모델 스캐너와 구내 스캐너로 획득한 디지털 모형에서 시행한 공간 분석의 타당도, 신뢰도, 재현성 평가

        박서현,김종수,오소희 대한소아치과학회 202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validity,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tooth width (TW), arch length (AL) and arch length discrepancy (ALD) measured on a digital model taken via 3-dimensional model scanner and intraoral scanner compared to a plaster model. A total of 30 patients aged 12 to 18 were eligible for the study. 3 types of models were acquired from each patient: a conventional plaster model (P), a model scanned digital model (MSD) taken via Freedom UHD® and an intraoral scanned digital model (ISD) taken via CS3600® in-vivo. The reliability of TW and AL in each group was evaluat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hile the reproducibility was evaluated with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validity of space analysis was assessed by paired t-test. As a result, all measurements of P, MSD and ISD groups showed favorable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Most of measurements for space analysis in MSD group and TW in ISD group also presented high validity. AL and ALD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 and ISD group. The validity of measurements of space analysis in ISD group was short in doubt to valid, but clinically acceptable. Both MSD and ISD are clinically acceptable to use for space analysis but clinician should be aware that errors can be found using a digital model. 이 연구는 모델 스캐너로 석고 모형을 스캔한 디지털 모형(Model scanned digital model, MSD)과 구내 스캐너로 구강을 스캔한 디지털 모형(Intraoral scanned digital model, ISD)에서 계측한 치아 근원심 폭경(Tooth width, TW)과 치열궁 길이(Arch length, AL)의 신뢰도와 재현성, 치열궁 길이 편차(Arch length discrepancy, ALD) 분석의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만 12 - 18세의 남, 여 30명에게 석고 모형, MSD, ISD를 획득하고, 2번 계측한 TW, AL의 신뢰도는 Pearson 상관 분석, 4명의 재현성은 군간 상관 분석 그리고 TW, AL 및 ALD의 타당도는 대응표본 t검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모든 군에서 계측한 TW, AL는 높은 신뢰도와 재현성을 보였고 MSD군의 ALD분석은 적절한 타당도를 보였다. ISD 군의TW는 가장 높은 타당도를 보인 반면에, AL와 ALD분석은 유의미하게 짧게 측정되어 낮은 타당도를 보였으므로 임상가는 디지털 모델을 이용하여 공간 분석 시행 시 이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친환경공급사슬관리 측정모델의 개발과 교차타당성 검증

        주혜영(Hye-Young Joo) 한국물류학회 2014 물류학회지 Vol.24 No.5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에서 동일하게 기능할 수 있는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측정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표적 실행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Vachon and Klassen(2006)b, Zhu and Sarkis(2006)의 연구모델과 본 제안모델을 교차타당성과 간명성을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Vachon and Klassen(2006)b, Zhu and Sarkis(2006) 및 본 연구모델은 모두 교차타당성이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Vachon and Klassen(2006)b 의 연구모델은 교차타당성의 측면에서는 가장 우수하나 적합도는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Zhu and Sarkis(2006)의 모델은 적합도는 우수했으나 교차타당성은 다소 낮게 나타났다. 본 제안모델의 경우는 모델의 적합도가 높았고 교차타당성도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모델은 Green SCM 측정모델의 교차타당성과 간명성을 높인 모델로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model of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which can perform the same func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To do this, we evaluated Vachon & Klassen(2006)b, Zhu & Sarkis(2006), and the proposed model proposed in respect of cross validation and parsimon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l research models of Vachon and Klassen(2006)b, Zhu and Sarkis(2006) and the proposed model accomplished a cross validation within a research model. Second, Vachon and Klassen(2006)b research model was superior to the others in respect of cross validation, but not that of goodness of fit. Zhu and Sarkis(2006)’s research model was excellent in goodness of fit of model, while cross validation was not so. In the case of the proposed model, the model’s excellence in the goodness of fit and cross validation were all higher than the others’ level. Thus,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proposed model’s excellence in respect of cross validation and parsimo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