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urriculum Reform for the Development of Key Competencies in Korean Middle Schools

        Sangeun Lee(이상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이 글의 목적은 국내 중학교에서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개혁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의도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핵심역량 개발을 위해 국가 교육과정 수준에서 설계된 국내 중학교 교육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실행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이와 같은 교육과정 개혁으로 인해 교실 수준에서 교사들이 겪는 변화와 도전과제는 무엇인가? 셋째, ‘경험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학생들은 새로운 교육과정 변화와 자신들의 핵심역량 발달 정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 첫 번째와 두 번째 연구 문제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문서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고, 세 번째 연구 문제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최근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중학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개혁은 먼저의도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간학문적 접근의 확대, 학습량 감축,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 확 대 등의 특징을 보였다. 다음으로, 실행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수업은 학생 참여형 활동이 강조되고, 평가는 학생들의 성장 과정에 초점을 둔 과정 평가와 수행 평가의 형태가 확대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교사들 간의 학습 공동체를 활성화하며, 나아가 교사들에게 학교 밖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요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실행 과정에서 업무량 증가, 관련 자료 부족 등과 관련하여 어려움과 불만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경험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변화를 경험한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및 자신의 핵심역량 발달 정도에 관해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학생 및 학부모들의 학력 저하에 대한 우려도 공존하고 있었다. 결론 부분에서는 이러한 국내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변화가 ‘21세기 진보주의 교육의 부활’이라는 특징을 나타낸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The topic of “key competencies”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worldwide within the discourse on curriculum reform. Recently, in South Korea, a new form of curriculum for students’ development of key competencies throug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a new educational policy, “Free Semester Program” has been adop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cent trends of curriculum reform for students’ key competencies in Korean middle schools. To analyze them, the present study used the conceptual framework of curriculum expression, which distinguishes between the intended curriculum, the implemented curriculum, and the experienced curriculum. This study address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nded curriculum” designed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in Korean middle schools? (2) What are the changes and challenges faced by teachers in aspect of “implemented curriculum” intended to pursue key competencies? (3)What are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new curriculum and their development of key competencies in terms of “experienced curriculum?” To deal with this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document analysis and reanalyzed data from a survey questionnaire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 KCI등재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용도서에 대한 법적 규정의 교육법학적 검토

        박창언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특수교육학연구 Vol.45 No.2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legal issues and problems related to curriculum and curriculum books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For this end, first, the nature of the rights to rece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the Disabled Persons’ were reviewed. the nature of the rights to rece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is a kind of the rights for welfare. And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the Disabled Persons’ appeared to be superior to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in order to ensure the rights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y to receive a proper education. Second, the differences between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the Disabled Persons’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we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 regulation of curriculum are not in keeping with the curriculum books. The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was subject to the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the Disabled Persons’, and the curriculum books was covered by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Third, It was discussed legal examination related to curriculum and curriculum books in special education. The decision-making of curriculum, the relations between the curriculum of the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the relations between the curriculum and curriculum books, the writing of curriculum books, and selection and supply of curriculum books were examined. In conclusion, further attentions to legal imperatives in special education need to reconstruct regulations related to curriculum. 본 연구는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용도서에 대한 법적 규정의 분석과 그에 대한 문제를 살펴봄으로써 현행 입법을 대체하는 개선방안 탐색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논의된 내용은 첫째, 특수교육 대상자의 권리와 해당법의 특별법적 성격에 대해 논의하였다. 일반교육 대상자뿐만 아니라, 장애인 등의 특수교육 대상자 역시 교육의 기회에서 복지형 배분 원리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국가의 적극적 지원과 개입이 요구되었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은 ‘유아교육법’과 ‘초․중등교육법’에 비해 특별법적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교육과정과 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이 있다면, 우선적으로 적용되는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용도서에 대한 법규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과 동법 시행령, 그리고 일반교육에 해당되는 법으로서 ‘유아교육법’과 ‘초․중등교육법’에 대한 사항을 분석하여 특징적인 면을 정리하였다. 특징적인 면은 곧 교육과정과 교과용도서에 대한 문제와 마찬가지였다. 마지막으로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용도서에 대한 교육법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여기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용도서를 분리하여 논의하였다. 교육과정의 경우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규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교육 관련 법에 대해 특별법적 인정을 받고 있었다. 논의 내용은 교육과정 결정구조, 일반학교 교육과정과의 관계, 교육과정 내용의 조정 사항이었다. 교과용도서에 관한 사항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초․중등교육법’과 ‘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의 적용을 받는 구조였으며, 교육과정과 교과용도서의 관계, 교과서 저작, 교과서 채택과 사용에 대한 검토를 행하였다. 논의 결과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용도서에 대한 규정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동시에 제시하는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었다. 구체적인 내용에서 특수학교 교육과정 규정은 일반학교 교육과정 규정과 조화될 수 있는 법적인 정비가 필요하였으며, 교과용도서의 경우는 국가의 지원 역할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규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 KCI등재

        교육과정 일치도 구현을 위한 교육과정 프레임워크 탐구

        이지은,박진령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7

        The alignment of curriculum is a very important issue i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curriculum. Recently, the policy of the alignment of curriculum–Instruction- Evaluation-Recording emerged with the focus of the city education office, as a result, in schools, the attention is growing on the alignment of curriculum However, teachers tend to recognize the components of the alignment of curriculum in a segmental way. Thus, this is a challenge in implementing the alignment of curriculum. Therefore, in this study, each component is explored in terms of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 alignment of curriculum. And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a curriculum framework. The researcher analyzed and explored the components of the alignment of curriculum as records of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based on standards, student-participated classes, process-centered evaluation, and student growth processes. Based on this, a five-step curriculum framework was proposed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to implement the alignment of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this alignment will be strengthened if the curriculum is developed using the proposed development framework in addition that the classes and evaluation are implemented and student records are recorded at the same time. 교육과정의 일치도는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최근 각 시․도교육청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라는 정책이 등장하였고 이를 계기로 학교에서는 교육과정 일치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교사들은 교육과정 일치도의 구성 요소를 분절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교육과정 일치도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으로 작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일치도 구현을 위해 각 구성 요소를 교육과정적 측면에서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교육과정 일치도의 구성 요소를 성취기준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 학생 참여 중심 수업, 과정 중심 평가, 학생의 성장 과정 기록으로 분석하고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일치도를 구현하기 위해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5단계의 교육과정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교사들이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수업과 평가를 실행, 학생부 기록을 한다면 엄격한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이 가능해져 교육과정 일치도가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독일어 교육과정 <평가>진술 고찰–독일어Ⅰ을 중심으로

        이경택,임춘택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동서인문학 Vol.0 No.5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analyze the evaluation statement of the curriculum for German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the system of the curriculum for German education <evaluation> and deals with the statements in <evaluation> of the curriculum for German education in terms of curriculum comparison. The <evaluation> section, which has been incorporated into the curriculum for German education since the 4th curriculum and was set up as an independent curriculum section from the 6th German curriculum.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curriculum for German education was fully established as a curriculum from the 6th curriculum. The <evaluation> section of the curriculums for German education has subdivisions of evaluation guidelines(precautions), evaluation contents and evaluation methods. Also, each <evaluation> section of the curriculum for German education has distinctive emphasis on the areas of language function, materi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culture. This change is due to the teaching methods and the demands of the subjects of the times. 본 연구는 독일어 교육과정 <평가>항목에 나타난 진술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독일어 교육과정 <평가>의 체제 변천에 대해 고찰하고, 독일어 교육과정의 <평가>진술을 교육과정 차시별 비교의 관점에서 다룬다. 제4차 교육과정부터 독일어 교육과정에 편입된 <평가>항목은 제6차 독일어 교육과정부터 독립적인 교육과정 구성항목으로 설정되었다. 이에 따라 독일어 교육과정은 제6차 교육과정부터 교육과정으로서의 체계가 정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독일어 교육과정의 <평가>항목은 차시에 따라 평가지침, 평가내용, 평가방법의 하위영역을 두고 있으며, 교수법의 변천 및 교과의 시대적 요구에 따라 차시별로 각각 언어기능, 언어재료, 의사소통 기능, 문화의 영역에 서로 다른 강조점을 두고 있다. 교육과정 <평가>항목의 진술은 <목표>진술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야 하는데, 지난 독일어 교육과정의 <평가>진술은 교육과정 <내용>진술을 토대로 하고 있다. 따라서 독일어 교육과정 <평가>항목의 진술은 평가의도와 평가방법이 <목표>진술과 연계하여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하고, 실행 가능한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 KCI등재

        중학교 국어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

        김현주,김대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This study describes the twenty-four years of experience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as a Korean teacher in middle school, and reflect the changes and the cause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Autoethnography was applied for this study to explain personal experiences in a more collective societal context. As the study results shows, my curriculum implementation has changed to 'literacy of curriculum', 'recognition of curriculum', 'acceptance of curriculum', and 'critical application of curriculum'. These changes was attributed to the context of the growth of teacher professionalism by acquiring curriculum content knowledge through academic inquiry and practical knowledge through teaching experience, deep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as ‘facilitator of change' in school, and my concerns and conflicts by strengthening education policy and on-site inspection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has produced implications on future studies. First, training for curriculum, knowledge of teaching methods, and curriculum reorganization training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Second, the developed curriculum should be allowed to be adjusted and executed according to the actual situation and context of the classroom. Third, the opinions of teachers who apply the achievement standard directly in the field on the achievement standard should be collected and reflected. 본 연구는 중학교 국어교사로서 연구자가 24년 동안 교육과정을 실행한 경험을 기술하고 교육과정 실행의 변화와 그 원인을 성찰하였다. 이를 위해 공동체와의 맥락 속에서 개별 경험을 이야기하는 자문화기술지를 활용하였다. 1996년부터 2019년까지 교육과정 실행에 관한 개인적 기록물과 문화적 인공물, 동료 교사들의 내러티브 및 인터뷰 자료를 수집하고 살다냐(Saldaa)의 인 비보 코딩과 대비코딩을 1차적으로 진행하고 2차 코딩으로 종단적 코딩(longitudinal coding)을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나의 교육과정 실행은 ‘교육과정 문맹’, ‘교육과정 인식’, ‘교육과정 수용’, ‘교육과정 비판적 적용’으로 변화해왔다. 이러한 변화는 교육과정 지식과 교수 경험을 통한 실천적 지식 습득에 따른 교사 전문성의 성장, 학교 내 ‘변화 촉진자’로서 교육과정에 대한 깊은 관심과 이해, 교육과정 실행 관련 교육정책의 강화에 따른 고민과 갈등이라는 맥락 속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법적, 실천적 지식 및 교육과정 이해 연수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개발된 교육과정을 실제 교실 현장의 상황과 맥락에 따라 조정하며 실행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 셋째, 성취기준 자체에 대하여 직접 현장에서 성취기준을 적용하는 교사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반영해야 한다.

      • KCI등재

        改定 敎育課程 ‘漢文’의 現場 適用 方案 硏究

        원용석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0 漢字 漢文敎育 Vol.24 No.-

        The core of the state of affairs of school lesson is always on 'what and how to teach?' and the curriculum must satisfy this. Since the foundation of the 7th revised curriculum on Sino-Korean subjec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7th curriculum, the school field is in a situation of having to accept many changes. In this context, it can be said that 'what' is the 'Sino-Korean' that is the major area of Sino-Korean curriculum and 'how' is the 'a secondary school field application'. The revised curriculum changed into the major area system of 'Sino-Korean & Sino-Korean knowledge'. Accordingly, the possibility in the aspect of linguistics was examined first for the school field application for only the 'Sino-Korean' except for the major area of 'Sino-Korean knowledge' in the revised curriculum. The major area of 'Sino-Korean' in the revised curriculum has been categorized and structured into the three mid areas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culture', and the contents according to each mid area have been presented. In addition,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middle school years have been presented. Such contents are in fact a presentation of a series of courses that progress to 'understanding' from 'reading' and to 'culture' from 'understanding'. This is a literary embellishment course that must be dealt with in the Sino-Korean curriculum through which the 'cultivation of Sino-Korean skill' is being sought. Therefore, the 'contents system' and contents' of the revised curriculum 'Sino-Korean' were examined, analyzed and schematized to understand their implicit flow.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a literary embellishment process of 'reading out aloud → punctuation → correct interpretation → understanding of contents and subject →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special expression methods'. In addition, actual 'sentences' were applied to this and the process of literary embellishment flow was traced in order to integrate the intend of revised curriculum which is the 'cultivation of Sino-Korean skill'. In addition, it has been elaborated that the curriculum itself must be respected rather than depending on the textbooks in order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the goal by applying the revised curriculum in the school field. It is considered that the revised curriculum will end up being correctly applied in the school field when the teachers become those who practice the curriculum and the recomposition of textbooks. 敎育課程에 대한 관심은 그 교과에 종사하는 사람에 국한하여 의미를 가진다. 학교 수업 사태의 核心은 늘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이며 敎科 敎育課程은 이를 充足해야 한다. 그러므로 ‘무엇을’은 교육과정의 目標와 內容을 包括하며, ‘어떻게’는 敎授-學習 方法과 교수 학습 방법에 기여하는 技法과 資料까지를 그 범위로 한다. 개정 제7차 교육과정은 제7차 교육과정과는 그 근본을 달리하기 때문에 학교 현장은 많은 變化를 受容해야 하는 상황이다. 여기서 ‘무엇을’은 개정 제7차 교육과정 대영역인 ‘한문’이며 ‘어떻게’는 ‘중등학교 현장 적용’이라고 할 수 있다. 개정 교육과정은 ‘漢文․漢文知識’이라는 大領域 體制로 轉換하였다. 이에 따라 우선 개정 교육과정에서 대영역 ‘한문 지식’을 제외한 ‘한문’만을 대상으로 한 학교 현장의 적용하기 위하여 言語學的인 側面의 可能性을 探索하였다. 개정 교육과정의 대영역 ‘한문'은 ‘읽기’, ‘理解’, ‘文化’라는 세 개의 中領域으로 範疇化하여 構造化되었으며, 또한 각각의 중영역에 대한 領域別 內容이 提示되었다. 또한 그들을 통하여 중학교 學年別 內容을 提示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사실상 일련의 과정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읽기’를 통하여 ‘이해’로 나아가며 ‘이해’를 통하여 ‘문화’로 나아가는 과정으로 이어져 있다. 이는 문자언어를 대상으로 한 한문 교과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文識의 過程이며 이러한 문식의 과정을 통하여 얻고자 하는 것은 ’漢文 能力의 伸張‘이다. 따라서 개정 교육과정 ‘漢文’의 ‘內容 體系’와 ‘內容’을 檢討․分析하고 圖式化하여 그것들이 갖는 內在的인 흐름을 把握하였다. 그 결과 ‘소리 내어 읽기 → 끊어 읽기 → 바르게 풀이하기 → 내용과 주제 이해 → 특수한 표현 방식 이해 및 감상’이라는 文識의 過程이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그것에 實際의 ‘文章’을 適用하고, 文識性 흐름의 過程을 追跡하여 ‘漢文 能力의 伸張’이라는 改定 敎育課程의 意圖를 學校 現場에 繼承하려 試圖하였다. 또한 개정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적용되어 보다 목표 도달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과서에 의존하기 보다는 敎育課程 自體가 尊重되어야 한다는 것도 부연하였다. 결국 敎師들이 敎育課程과 敎科書 再構成의 實踐者가 될 때 개정 교육과정은 비로소 學校 現場에 바르게 適用될 것이라 여겨진다.

      • KCI등재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 정책에 대한 전문가 인식 탐색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및 성취기준 개정을 중심으로-

        천주영 ( Joo-young Chun ),이경건 ( Gyeong-geon Lee ),홍훈기 ( Hun-gi H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6

        교육과정의 ‘지역화’ 정책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한 방향인 ‘분권화·자율화’ 정책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이러한 교육과정 정책의 변화는 학생들이 지능 정보 사회 도래, 그린 혁명, 저출산 시대라는 미래사회의 뉴노멀에 대응할 수 있도록 사회변화 대처 역량 함양을 꾀한다. 특히 끝없이 확대되고 변화하는 과학과 교육환경과 컨텐츠를 고려하면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역화는 다양성을 통한 전문성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 정책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을 통해 과학과 교육과정 ‘시·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이하 ‘지침’)’과 성취기준 개정 중심으로 교육과정 개정 시점의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과학과 고유의 특성에 기인하여 교육과정 지역화 확장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고, 17개 시·도교육청을 의미하는 지역 수준 지역화와 학교 수준 지역화 사이에 위치하는 시·도내 지역교육청 또는 마을 단위의 지역화 수준을 인식하였으며, 향후 학교 수준까지 지역화가 도달했을 때 교사의 수준이 지역화의 수준이 될 수 있음에 주목하여 교사 역량 등 교원 정책과의 연계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과학과 교육과정 ‘지침’의 지역화가 이루어지려면, 이와 병행하여 17개 시·도에 일부 성취기준을 자율적으로 구성할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는 공통적인 인식이 나타났다. 그리고 이와 연계되는 과학과 ‘성취기준의 지역화’를 위해서는 ‘성취기준의 재구조화 또는 대강화’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한편, 교육과정지역화 정책에 의해 과학과 교육과정의 다양화·자율화 측면이 제고될 것으로 예측하면서도, 성취기준의 설정은 평가와 직결되기에 과학과 ‘지침’ 내 평가 항목의 기술이 새롭게 이루어지는 등의 정책의 정교화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과학과 특성을 고려할 때, 수업 소재의 지역화를 넘어서서 지침 자체에 지역별 중점 과학교육정책을 명시해 담을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는 추후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있어서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의 구체적 거버넌스 구축과 과학과 교육과정 ‘지침’ 및 성취기준 개선에 관한 실질적인 정책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is closely related to the decentralization and autonomy policy, which is a direc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ontinuously expanding and changing environment and contents in science education, the localiza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has the advantage of advancing to expertise through diversity. In this paper, through experts’ percep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the implications of the curriculum revision were confirmed, focusing on ‘MPOE(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hereinafter referred to as ‘guideline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revision of science curriculum. In conclusion, study participants considered that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localization of the curriculum was high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cience practices. And they recognized the level of localization at the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or village’-level between MPOE-level and school-level. When localization reaches the school-level in the future,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discuss linkage with teacher policies such as teacher’s competency, noting that the level of teachers could become the level of localization. In addition, there was a common perception that in order for the science ‘guidelines’ to be localized, 17 MPOE must be given the authority to autonomously organize some achievement standards in parallel. It was considered that ‘restructuring or slimming of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precede localiz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in connection with this. On the other hand, it was predicted that th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would enhance the aspect of diversification and autonomy of the science curriculum, and the establish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was directly related to evaluation, so it recognized the need to refine policies such as new description for evaluation clause in future science ‘guidelines’. Finally, considering science and characteristics, it was mentioned that it is necessary to specify regional intensive science education policies in the ‘guidelines’ themselves beyond the localization of teaching materials.

      • KCI등재후보

        '성결과 비전' 교육과정의 평가

        손원영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4 기독교교육정보 Vol.8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valuate the new curriculum "Holiness and Vision" of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KEHC), which is developing in 2003 for ecumenical concern within Holiness Church divided into two different denominations. For more details, first, the researcher trie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EHC curriculum according to the manual published by the Education Board of KEHC. Second, Christian curriculum theories will be classified into three approaches, i.e., traditionalists, conceptual-empiricists, and reconceptualists, in order that the KEHC curriculum could be interpreted properly. Thir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theory, the new KEHC curriculum is analysed in terms of "systematic organization," "effectiveness," and "rightness." Fourth,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the researcher suggests the new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the new KEHC curriculum. Accordingly, the KEHC curriculum developers should consider three aspects for future at least. First, they should develop the new curriculum for local church level rather than nation-wide denominational level. Second, Education Board of KEHC should continue to develop the curriculum for adults in respect of life-long education. Finally, the local church and curriculum users will restructure this curriculum as for "making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curriculum development effectively.

      • KCI등재

        교사의 교육과정 연수에 대한 권리와 교육행정의 임무

        박창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This paper investigates status of the in-service education for curriculum, and seek tasks of the curriculum administration. The major contents are the difference between in-service education and in-service education for curriculum, status of the in-service education for curriculum in curriculum development, and tasks of curriculum administration. The in-service education for curriculum is a kind of in-service education. But the in-service education for curriculum classified dissemination stage and application stage. The in-service education for curriculum in curriculum development focu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basic matters in dissemination stage, and on the in-depth contents in application stage. There are seven types of curriculum administration in-service education for curriculum. This is the classification of the dissemination and application stage, the nature of guided and advice administration, the stress on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for teachers, the classify of the in-service education target for curriculum, the diversification of the in-service education format, the recognition as duties of in-service education for curriculum training,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for in-service education out of school. 이 논문은 교사의 교육과정 연수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교육과정 행정의 임무가 무엇인지 살펴본 것이다. 연구내용은 우선 교원연수와 교육과정 연수의 차별화된 특징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교육과정연수는 교원연수의 일종이지만, 개정 교육과정이 확정․고시된 이후 보급단계가 있고, 실제 적용단계로 구분이 되는 특징이 있었다. 다음으로 교육과정 개발에서 교육과정 연수가 어떠한 위치를 지니는지 확인하였다. 교육과정 개발에서 교육과정 연수는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주요 이해를 위한 것에 있었고, 개발 이후 적용단계에서는 심화된 내용의 연수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연수의 추진 체계과 내용 및 교육과정 행정의 임무에 대해 논의하였다. 논의결과 교육과정 행정은 보급단계와 적용단계의 차별화, 지도․조언의 성격, 교원의 전문성 향상, 연수대상의 다원성의 고려, 연수방법의 다양화, 직무적 성격의 강화, 교외 자주적 연수에 대한 배려 등에 대한 제도의 정비가 요구되었다.

      •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구성요소 도출을 위한 교과 간 교육과정 문서 비교 연구

        박윤경,김미혜,김동원,장지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7 학교와 수업 연구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components of curriculum literacy requir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comparing national level curriculum documents.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documen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y comparing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subjects of Korean language,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science. From the results of primary analysis, in examining formats of curriculum documents focusing on the whole construction system, domain division, content system and accomplishment criterion, the degree of ‘formal consistency in curriculum documen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found to get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n spite of similarities in document construction methods, however, it was found that a sound understanding of internal logics of curriculum pedagogy should be required in order for elementary teachers to clearly analyze internal meaning of the curriculum owing to ‘substantial inconsistency in curriculum documents.’ Thus, this study proposed that curriculum literacy requir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constructed in three dimensions such as subject general literacy, subject particular literacy and subject integrated literacy. Based on this, this study presented suggestions related with elevation and explorat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