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복합과학으로서의 자연지리학, 진화생물학과의 만남, 생물지형학으로의 승화

        김대현,김혜진,박건우,고희종 대한지리학회 2025 대한지리학회지 Vol.60 No.1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지리학계에 생물지형학을 정식으로 소개한 김대현(2021)의 내용을 확장하여, 생물지형학의 학문적 근원을 이해하고 향후 나아갈 바를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세부 목적을 다루었다. 첫째, 자연지리학이가지는 ‘복합과학’으로서의 성격을 논의하였다. 토마스 쿤의 범례(範例) 개념을 바탕으로, 자연지리학이 기초과학에서 차용한 원리를 통해 발전해 온 역사를 조망하였다. 둘째, 지형학, 토양학, 생태학 등 자연지리학의 세부 혹은 연관 분야에서생물지형학의 태동에 영향을 준 인물들의 학문사적 발자취를 파악하였다. 이들의 주요 연구가 현재와 미래의 생물지형학에 제공하는 함의를 확인하였다. 셋째, 자연지리학자들이 진화생물학적 시각을 채택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는 생물지형학적 연구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특히, 생물과 환경의 공진화 되먹임 작용을 연구하기 위한 가설을 제안하였다.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자연지리학의 가치와 지평이 생물지형학적인 연구를 포용・확장함으로써 고양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In this paper, we aimed to expand on the work of Kim (2021), who formally introduced biogeomorphology to the field of geography in Korea. Our goal wa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academic roots of biogeomorphology and explore future directions for the discipline. To this end, we addressed three specific objectives. First, we discussed the complex nature of physical geography as a multifaceted ‘composite science’. Drawing on Thomas Kuhn's concept of paradigms, we review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physical geography through principles borrowed from the foundational sciences. Second, we identified the scholarly legacies of influential figures in related fields, such as geomorphology, soil science, and ecology, who have impacted the emergence of biogeomorphology. We examined how their major research contributed to the current and future implications for the discipline. Third, we explored the potential for biogeomorphological studies that can be conducted by physical geographers adopting an evolutionary biological perspective. In particular, we proposed three hypotheses for investigating the coevolutionary feedback mechanisms between organisms and their environment. Ultimately, we emphasized that the value and horizons of physical geography of Korea can be enhanced by embracing and expanding biogeomorphological research

      • KCI등재

        Ultrastructure of the Androgenic Gland of the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nipponense

        김대현,강정하,김대중,한창희 한국발생생물학회 1999 발생과 생식 Vol.3 No.1

        대부분의 연갑류에서 androgenic gland (AG)는 수컷의 성 분화와 성징의 발달에 관여하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징거미새우, M. nipponense의 AG는 제5보각 (fifth waking legs)의 저절 (coxopodite)내에 위치한 사정관과 수정관의 말단부 (distat vas deferens)사이에 위치하고 있었다. AG는 단일 세포 가닥 (simple cellular strand)들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세포 The androgenic gland secretes a hormone, androgenic gland hormone, which is believed to act on the differentiation of the primary, secondary, and behavioral sex characteristics in most malacostracan crustaceans. This report presents the ultrastructural morphology of the androgenic gland in the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nipponense. This gland, located in the coxopodite of the last pair of walking legs, was attached to the subterminal region of the sperm duct. The gland was composed of simple cellular strands, encased by a fibrous sheath. Microvilli were situated in the fibrous sheath, especially at the edge of each cellular strand. The androgenic gland cells had the large and round nucleus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rranged either in spirals or in concentric circles throughout the cytoplasm of the cell. They also had the well-developed Golgi complex and long mitochondria with flat and transverse cristae. The Golgi complex was similar to microvesicular cluster, but usually in the shape of typical dictyosomes, These features of androgenic gland cells coincides well with the protein/peptide secretion in their function. However, despite the apparent ultastructual equipment for protein/peptide secretion, no accumulation of materials secreted were noticed in the cytoplasm. Therefore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the transient transportation of the materials into the hemocoel has occurred just after synthesis.

      • KCI등재
      • KCI등재

        인공위성 중계기용 고출력 전력증폭기의 구현에 관한 연구

        김대현,여인혁,이두한,홍의석 한국통신학회 1994 한국통신학회논문지 Vol.19 No.11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Ku-band ($12.25GHz\sim12.75GHz$) SSPA intended as a replacement for TWTAs used in communication satelite transponder. The power stage of the amplifier consists of tow intrmally matched 8W FET divices combined using the branch-line coupler. To operate this stage, the drive stage has been designed with intermally matched 2W, 4W, 8W FET and two medium power FETs. The entire amplifier is made up by a aluminum chassis housing both the RF circuit and the bias circuitry. A regrlator/sequencing circuitry is used for FET biasing. The amplifier results implemented in this way show $41\pm0.3dB$ small-signal gain, 15W saturation power, a typical two tone $IM_3=-21.5dBc$ with single carrier backed off 5dB from saturation, $2^*/dBmax$ AM/PM conversion, and $3.47\pm0.25nsec$ group delay.

      • KCI등재

        기관 삽관에 의한 기관 협착의 수술 후 발생한 기관 재협착에 대한 수술적 치료 -2예 보고-

        김대현,이인호,윤효철,김수철,김범식,조규석,박주철,황은구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Vol.38 No.11

        The treatment of choice for post-intubation tracheal stenosis is partial tracheal resection and end-to-end anastomosis. The surgical treatment of tracheal restenosis that results from unsuccessful repair of post-intubation tracheal stenosis is not easy. Failed reoperation results in permanent tracheostomy and loss of voice. If the first operation fails, about 4~6 months of period for resolution of inflammatory reaction, edema, and fibrosis is needed. The exact evaluation of the patient's status is necessary and success rate of reoperation for the appropriate candidates is over 90%. We report the results of treatment in two cases of tracheal restenosis that resulted from unsuccessful repair of post-intubation tracheal stenosis with review of literatures. 기관 삽관 후에 발생한 기관 협착에 대한 근본적 치료는 기관 부분 절제 및 단단 문합이다. 기관 협착에 대한 성공적이지 못한 교정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관의 재협착에 대한 수술 치료는 쉽지 않다. 재수술이 실패할 경우 환자는 평생 기관절개 상태 및 목소리 소실을 안고 살아야 한다. 첫 번째 수술이 실패했을 경우 염증반응, 부종, 섬유화가 해소될 때까지 약 4∼6개월을 기다린 후 재수술을 시행해야 한다. 환자의 상태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필요하며 일단 재수술의 후보자로 선정되면 재수술의 성공률은 90% 이상이다. 저자들은 기관 삽관으로 인해 발생한 기관 협착에 대해 성공적이지 못한 교정 후 발생한 기관의 재협착 2예에 대한 치험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후보

        중증 근무력증의 수술적 치료결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대현,황은구,조규석,김범식,박주철 대한흉부외과학회 2003 Journal of Chest Surgery Vol.36 No.1

        배경 : 중증근무력증은 신경과 수의근과의 접합부에서 아세틸콜린 수용체와 자가항체에 의한 자가면역반응으로 발생되는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이것의 치료법으로 내과적 치료와 수술적인 치료법이 있다. 저자들은 흉선절제술의 효과를 알아보고 흉선절제술후의 증상의 호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3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에서 중증근무력증으로 흉선 절제술을 받은 37명의 환자의 의무기록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37례중 21례(57%)에서 증상의 호전을 보였으며, 흉선종의 경우 총 16례중에서 8례에서(50%), 흉선증식의 경우 총 21례중 13례에서(62%)에서 호전을 보였다. 술후 합병증으로는 수술후의 증상의 악화로 인한 호흡부전으로 9례에서 기관내 삽관후 인공호흡기 치료를 하였고 폐렴 3례, 기흉 2례, 좌측 성대마비 1례가 있었으며, 술후 1개월이내에 사망한 경우는 1례 있었다. 성별(P=0.3222), 나이(P=0.7642), 흉선의 병리학적 차이(P=0.4335), 흉선종의 병리학적 등급과 술후 증상호전과의 관계(P=0.20)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술전 증상의 정도가 낮을수록 술후 증상의 정도가 낮을 것을 예측할 수 있는 통계적인 의미를 보였다.(P=0.0032) 술후 생존자 36명을 대상으로 외래 진찰 기록 및 환자들과의 전화 통화를 통해 2002년 10월에 추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총 36명 중 33명(91.7%)에서 추적이 가능하였고 3명은 추적이 불가능하였으며, 평균 추적 기간은 83.2개월이었다. 추적이 가능했던 33례 중 25례(75.8%)에서 증상의 호전을 보였으며, 흉선종의 경우 15례 중 8례(53.3%)에서, 흉선증식의 경우 18례 중 17례(94.4%)에서 호전을 보였다. 결론 : 중증 근무력증은 흉선절제술로서 우수한 증상의 호전을 볼 수 있었으며, 술후 증상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는 술전의 증상의 정도가 중요하다. 중증 근무력증으로 흉선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에 대한 중장기 추적 결과 술전에 비해 우수한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10.Olanow CW, Wechsler AS, Sirotkin-Roses M, et al. Thymectomy as primary therapy in myasthenia gravis. Ann NY Acad Sci 1987;505:595-606.11.강정수, 김길동, 정경영, 문준호, 이흥렬. 중증 근무력증의 수술적 치료. 대흉외지 1996;29:1010-6.12.장인석, 김성호, 최준영등. 중증 근무력증의 수술적 치료 결과. 대흉외지 1997;30:72-6. 13.DeFilippi VJ, Richman DP, Ferguson MK. Transcervical thymectomy for myasthenia gravis. Ann Thorac Surg 1994;57:194-7.14.Detterbeck FC, Scott WW, Howard JF, et al. One hundred consecutive thymectomies for myasthenia gravis. Ann Thorac Surg 1996;62:242-5. Clinical Investigation about the Result of Surgically Treated Myasthenia Grav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