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철자 오류의 음운론적 분석을 위한철자 오류 DB 구축 : 교양 강좌 <아카데믹한국어>의 자료를 활용하여

        고랑원,임현열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18 교양학연구 Vol.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cessity of building a spelling error database to analyze phonologically the causes of Korean spelling errors in Chinese Korean learners, show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data for building the spelling errors DB, and the process and practice of implementing the database. This is intended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data that will be used in subsequent studies showing that Korean spelling errors and Korean pronunciation errors of the Chinese are relevant in the future. The main points of this study are three: First, I would like to examine existing studies on spelling errors and point out the difficulty of securing objectivity in the study since it was conducted without the need for concrete database building in the existing studies. This will identify the need to build a spell-error DB. Next, we will present the data status by showing the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process for DB construction. It will characterize the data collected for DB deployment, including the collection process and the size of the collection. Finally, I want to show the process and reality of DB deployment. The process of building a database, including data processing systems and tagging symbols for building a database, will be specific and present actual examples of spelling errors produced through the process. These studies are difficult in themselves to form a theoretical discussion, but will be meaningful in that they will specifically introduce the data to be used in future studies.

      • KCI등재

        놀이식 선행조직자를 활용한 데이터베이스 개념학습의 효과

        안미희,김길모,김성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0 敎員敎育 Vol.26 No.6

        본 연구는 학습동기가 미약하고 논리적 사고력이 부족하여 추상적인 개념의 데이터베이스 교과에 대해 낮은 학습동기와 낮은 학업성취도를 보이는 학습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교과에서 놀이식 선행조직자 수업을 통한 데이터베이스 개념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개념학습 단원 중 놀이의 형태로 가능한 부분을 추출한 후 놀이식 선행조직자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놀이식 선행조직자를 바탕으로 경기도 인천에 위치한 고등학교 3학년 2개 학급 각각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집단 30명과 통제집단 30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은 놀이식 선행조직자를 활용한 교수-학습을 진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설명식 선행조직자를 활용한 교수-학습으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놀이식 선행조직자를 활용한 데이터베이스 개념학습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atabase concept learning using a playing-based advance organizer clas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that shows low learning motivation and low academic achievement of an abstract concept of database class as most students have weak learning motivation and insufficient logical thinking. To solve study issues, the study firstly extracted possible playing types of database concept learning units, and based on this it developed a playing-based advance organizer class. In addition, it selected two classes in the third grade in vocational high school that were confirmed as a homogeneous group through the pre-test as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a playing-based advance organizer class was given to the experiment group five times while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an explanation-based advance organizer class were given to the control group five times. For the statistical process about the experiment result,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 academic achievement was significant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Database concept learning using a playing-based advance organizer clas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is found to be effective for improvements in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후보

        학문ㆍ연구 자료의 형상화와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진화 : ‘영상인류학’과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차민철,이상훈 영상예술학회 2015 영상예술연구 Vol.27 No.-

        ‘인류학’은 인간에 관한 모든 것을 통시적․공시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연구하는학문으로, 연구의 대상, 범위, 방법에 따라 고고학, 민족학, 민속학, 사회인류학, 문화인류학, 인지인류학 등 다양한 하위 분과를 포괄한다. 인류학은 19세기 이후 학문적 체계화 과정을 거치면서 시대와 사회에 따라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발전시켜왔다. 사진과 영화의 등장과 발전, 특히 동시녹음, 비디오, 디지털 장비 등 영화 촬영기술의 발전은 인류학의 연구방법론은 물론 연구결과물의 형식에 있어서 커다란변화를 가져왔다. 한편, 학술(學術) 연구 분야에서 새로운 이론의 제시, 새로운 현상의 발견, 발명등 연구의 성과를 발표하고 공유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학술지(學術誌)를 통한것이다. 학술지의 원형적 시도는 17세기(마랭 메르센)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그일차적 기능은 학문적 발견에 대한 기록과 연구자의 지적 재산권 보호이며, 연구성과의 확산과 연구결과물의 보존도 학술지의 중요한 역할이다. 1665년 최초의 학술지 발간 이후 인쇄술과 출판 산업의 지속적 발전에 따라 학술지는 지금까지도 학문적 커뮤니케이션의 대표적 창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 급속도로 발전해온 디지털, IT,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보급은 학문적 커뮤니케이션에 새로운 현상과 패러다임을 등장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학문 및 연구 자료의 형상화’를 영화와 인류학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오랫동안 문자 매체에 의존해 왔던 학술 커뮤니케이션이 2000년대이후 새로운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이자 플랫폼으로 등장한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 에 의해 어떤 양상으로 진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Anthropology is a study to analyse and research all about humanity in terms of both synchrony and diachrony. It includes such diverse disciplines as archaeology, ethnology, folklore, social anthropology, cultural anthropology and cognitive anthropology, according to study objects, categories and approaches. The anthropology has been developing various study methodology especially since 19th century when it had processed to be systemized as a full-fledged science. Along with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photography and motion pictures, mainly the innovations in filming technology (such as real-time recording, video, digital, etc.), the anthropology faced a drastic changes in the form of the result of research as well as the approaching methods themselves. Meanwhile, the academic journal is the most general means to announce and share the result of a scientific research in terms of new theorization, revelation and invention. The chronological prototype of the journal might check back to the 17th century (Marin Mersenne), and the primary functions of an academic journal are to record scientific revelation and to protect researchers’ intellectual properties as well as to spread and conserve the results of researches. Owing to continuous development in printing technology and publication industry which have kept pace with the sciences since the first issue in 1665, the academic journal has held the most significant means in academic communications. However, a new phenomenon and paradigm have introduced in the field of academic communications in consequence of rapidly evolving digital and ICT technology since 1980s. This essay aims to examine the ‘visualization of research or academic data’ and the ‘evolution in academic communications’, mainly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photographic and cinematic media in the field of anthropology (progressed since the 19th century) and how the academic communication, which has largely depended on text-based media for a long while, is evolving into, by means of the ‘interactive documentary’, a newly emerging trans-media contents and platform in the 2000s.

      • KCI등재

        학술정보 웹 서비스 만족도 향상을 위한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박천웅,이기동,Park, Cheon-Woong,Lee, Ki-Dong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7 No.4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scholarly web database service quality,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factors of web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quality, and analyze how these factors influencing on web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s. As a results, three dimensions were identified namely, information retrieval, ease of use and interaction. The scholarly web database service management has more critical problems than information service in these days. It indicates that the qualitative aspect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quantitative in web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management.

      • KCI등재

        일본 고전 서적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현황에 관해 -“역사적 전적 NW 사업”의 현황 및 주요 학술 데이터베이스 소개-

        양성윤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2 고전문학과 교육 Vol.49 No.-

        This paper outlines the recent progress of the "Project to Build an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for Premodern Japanese Texts (NIJL-NW project)," which is being promoted as a national project alongside the establishment of classical digital archives in Japan. This paper introduces digital archives and various academic databases useful in classical Japanese studies and explains their characteristics. Currently, the project is being carried out regarding social contributions and data applications for existing digital archives, pointing out problems vis-a-vis the original purpose of aiming for an "open digital archive" of digital image data, academic databases, and full text. In particular, I pointed out that to function as "effective information," the database of classical data needs to be based on the formation and exchange of research communities, and that exemplary databases exist already. I suggest that if worldwide researchers make their research knowledge accessible through autonomous and continuous exchanges, they can devise ways to build digital archives and practical ways to use them, to make them more easily utilized by researchers worldwide. 이 논문에서는 일본의 고전 서적에 관한 다양한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 현황을 파악하고자, 고전 서적에 관련한 디지털 아카이브의 기축이자 국책 사업으로 추진 중인 ‘일본 역사적 전적(典籍)의 국제 공동연구 네트워크 구축계획’(이하, ‘역사적 전적 NW사업’)의 진행 양상과 현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개관하며 필자의 비평을 덧붙였다. 더불어 고전 일본학 연구에서 주로 활용되는 디지털 아카이브 및 각종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선별해 소개하며 유용성에 관해 설명했다. 국문학연구자료관이 중심이 된 ‘역사적 전적 NW사업’과 그 후속 사업인 ‘데이터 구동에 의한 과제 해결형 인문학의 창성’ 프로젝트는, 현재까지 구축된 디지털 아카이브를 바탕으로 자료의 사회적 공헌 및 응용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진행 상황은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정비 및 풀텍스트 데이터의 구축으로 ‘열린 디지털 아카이브’를 지향하고자 한 본래의 취지에서 다소 멀어진 측면이 있고 바로 이 지점에서 성찰할 부분이 있다는 것을 지적했다. 특히 다양한 고전 서적의 내용을 쉽게 탐색하여 ‘유효한 정보’로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고전 서적 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 작업이, 자료 선정 및 목록화의 정비 단계에서부터 전위적인 연구 공동체의 형성과 교류를 바탕으로 한 최전선의 연구 성과, 이른바 ‘교류지(交流知)’에 기반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모범적인 데이터베이스도 그렇게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향후 세계의 연구자들이 자율적이고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서 연구의 지견을 열어간다면, 세계 각국의 연구자들이 더욱 수월하게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 방식과 활용방법도 새로이 구상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 KCI등재후보

        학문․연구 자료의 형상화와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진화: ‘영상인류학’과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차민철,이상훈 영상예술학회 2015 영상예술연구 Vol.0 No.27

        ‘인류학’은 인간에 관한 모든 것을 통시적․공시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연구하는학문으로, 연구의 대상, 범위, 방법에 따라 고고학, 민족학, 민속학, 사회인류학, 문화인류학, 인지인류학 등 다양한 하위 분과를 포괄한다. 인류학은 19세기 이후 학문적 체계화 과정을 거치면서 시대와 사회에 따라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발전시켜왔다. 사진과 영화의 등장과 발전, 특히 동시녹음, 비디오, 디지털 장비 등 영화 촬영기술의 발전은 인류학의 연구방법론은 물론 연구결과물의 형식에 있어서 커다란변화를 가져왔다. 한편, 학술(學術) 연구 분야에서 새로운 이론의 제시, 새로운 현상의 발견, 발명등 연구의 성과를 발표하고 공유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학술지(學術誌)를 통한것이다. 학술지의 원형적 시도는 17세기(마랭 메르센)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그일차적 기능은 학문적 발견에 대한 기록과 연구자의 지적 재산권 보호이며, 연구성과의 확산과 연구결과물의 보존도 학술지의 중요한 역할이다. 1665년 최초의 학술지 발간 이후 인쇄술과 출판 산업의 지속적 발전에 따라 학술지는 지금까지도 학문적 커뮤니케이션의 대표적 창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 급속도로 발전해온 디지털, IT,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보급은 학문적 커뮤니케이션에 새로운 현상과 패러다임을 등장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학문 및 연구 자료의 형상화’를 영화와 인류학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오랫동안 문자 매체에 의존해 왔던 학술 커뮤니케이션이 2000년대이후 새로운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이자 플랫폼으로 등장한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 에 의해 어떤 양상으로 진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빅데이터 처리 플랫폼에서 학술 데이터를 사용한 전문가 검색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최도진(Dojin Choi),김민수(Minsoo Kim),김대윤(Daeyun Kim),이서희(Seohee Lee),한진수(Jinsu Han),서인덕(Indeok Seo),임종태(Jongtae Lim),복경수(Kyoungsoo Bok),유재수(Jaesoo Yoo)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3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새로운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전문가에게 자문을 받거나 전문가의 논문들을 기반으로 연구 방향을 설정한다. 기존의 학술 검색 서비스에서는 분야별 논문 정보는 제공하지만 각 분야의 전문가를 제공해주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검색된 논문을 기반으로 전문가를 직접 판단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학회에 발간된 논문 정보를 기반으로 빅 데이터 처리를 이용한 학문 분야별 전문가 검색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대량의 논문을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빅 데이터 분산 저장 기술을 활용하였다. 또한 빅 데이터 분산 처리기술을 활용하여 전문가를 판별하고 전문가와 연관 되는 정보를 분석한다. 분산처리 된 결과는 사용자가 전문가 검색 요청 시 웹페이지를 통해 보여준다. 사용자는 제안하는 시스템을 통해 해당 연구 분야의 전문가를 추천받음으로써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Most of the researchers establish research directions to conduct the study of new fields by getting advice from experts or through the papers of experts. The existing academic data search services provide paper information by field but do not provide experts by field. Therefore, users should decide experts by field using the searched papers by themselves.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n expert search system by discipline through big data processing based on paper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the academic societies. The proposed system utilizes distributed big data storage systems to store and manage large papers. We also discriminate experts and analyze data related to the experts by using distributed big data processing technologies. The processed results are provided through web pages when a user searches for experts. The user can get a lot of helps for the research of a particular field since the proposed system recommends the experts of the corresponding research field.

      • KCI등재

        일본에서의 제주도 연구의 성과와 과제

        강경희(Kang Kyung-heui) 제주학회 2018 濟州島硏究 Vol.50 No.-

        이 글의 목적은 해방 이후 일본에서의 제주도 연구의 성과와 과제를 제시하는데 있다. 제주도 연구 자료는 일본 국립정보학연구소의 NII학술정보내비게이터(CiNii)와 국립국회도서관, 과학연구비조성사업DB(KAKEN) 등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키워드 ‘제주’, ‘탐라’로 검색한 후 활용하였다. 분야별로는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기타 등으로, 주제 대상별로는 재일제주인 연구, 제주4ㆍ3 연구, 오키나와에서의 제주연구, 박사 논문 등으로 분류하여 연구목록을 정리 분석하였다. 이렇게 대분류한 연구 목록을 바탕으로 연대별, 문헌별, 주제별 연구 주요 내용 등의 분석을 통해 일본에서의 제주 관련 연구 동향을 고찰하였다. 학문 분야별로는 인문학에서 가장 많은 연구 성과가 있으며, 주제별로는 제주의 역사와 고고학, 제주의 자연 환경과 생활문화, 민속 문화, 지역 개발, 관광, 경제, 재일제주인, 제주4ㆍ3 등 인문적ㆍ사회적ㆍ자연적 환경을 둘러싼 전반적인 주제로 연구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연대별로는 자연과학 분야 이외의 다른 분야는 1990년대 이후 연구 성과가 두드러지고, 문헌별로는 학술지 논문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앞으로 ‘제주학’이 지역학으로서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국외의 제주 관련 연구 자료의 종합적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비롯하여 학문적ㆍ시사적 가치 있는 연구 자료들을 번역 소개, 연구자들의 인적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 환경이 조성된다면, 국내외에서 후세대들이 체계적ㆍ지속적으로 제주도 연구를 진행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achievements and remaining tasks of Jeju researches in Japan since Korea’s liberation in 1945. The materials used for the research on Jeju were searched under the keywords “Jeju” and “Tamla” from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including Scholarly and Academic Information Navigator(CiNii) in NII(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cs) of Japan, National Diet Library, and Database of Grants-in-Aid for Scientific Research(KAKEN). I organized and analyzed the research list by categorizing it into humanities, social sciences, natural sciences, and others, and also by dividing them into topics such as Zainichi Jeju Islanders, Jeju 4.3 studies, Jeju studies in Okinawa, and Ph.D. thesis. Based on the research list categorized in this manner, this paper examined the Jeju-related research trends in Japan by analyzing the major research contents according to their periods, literature formats, and topics. The biggest number of researches has been in humanities in terms of discipline. In terms of topics, research activities are being carried out on overall themes surrounding cultural, social, and natural environment, such as the history and archeology of Jeju, the natural environment and ways of life in Jeju, folk culture, local development, tourism, economy, Zainich Jeju Islanders, and Jeju 4.3. In terms of periods being studied, in areas other than natural science, there has been remarkable research progress in period after the 1990s. Academic journal article is the most dominant literature format. In order for “Jeju studies” to be further developed as an area study, it is necessary to build a comprehensive database of Jeju-related researches abroad. It is also needed to translate and introduce academically advanced or timely works, and to build a network of scholars. Constructing such research environment will be a great help for future generation of researchers to conduct systematic and continuous research on Jeju Island both at home and abroad.

      • KCI등재
      • KCI등재

        토픽모델링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리터러시 연구의 동향

        이창봉,윤영,한승규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6

        본 연구는 '리터러시'가 학술적으로 어떻게 연구되어 왔으며 어떠한 주제로 연구의경향을 보이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대상은 KCI에 등재된 리터러시 관련 연구 논문의 논문명, 초록, 키워드가 포함된 서지정보이며 수집한 서지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모델링 기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리터러시 관련 연구의 흐름은 도입기, 증가기, 급증기의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특히 2017년을 기점으로 관련 연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또 텍스트마이닝 결과리터러시와 교육, 미디어, 디지털 등의 키워드가 고빈도 키워드로 분석되었다.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대주제1(디자인 이미지와 디지털 미디어), ‘대주제2(문화 예술, 교양 정보), ‘대주제3(교육 정책, 교육 내용), ‘대주제4(디지털 사회 변화)’의 4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후 토픽모델링 주제를 구성하는 키워드를 기반으로 각각의 키워드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주제의 ‘리터러시’ 연구를 구체화하였고 리터러시 관련 연구 주제의 최신 동향 또한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literacy” has been studied academically and what the research trends are.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bibli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the academic article title, abstract, and keywords of literacy-related research articles registered in KCI(Korea citation Index).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echniques were applied based on the collected bibliographic information. Analysis of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rends in literacy-related research could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settlement period, growth period, and rapid growth period. In particular, from 2017, related research was found to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Additionally, as a result of text mining, keywords such as literacy, education, media, and digital were identified as high frequency keywords. As a result of the topic modeling analysis, four themes were derived: “major topic1 (design image and digital media)”, “major topic2 (culture and arts, liberal arts information)”, “major topic3 (education policy, educational content)”, and “major topic4 (social change)”. Thereafter,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keyword based on the keywords constituting the topic modeling topic. In this process, “literacy” research on various topics was specified and the latest trends in literacy-related researchs were also confi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