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업 사업계획서 작성 지원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김상수,김영천,이지형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경영교육연구 Vol.28 No.3

        As the importance of new technology-based start-up firms is increasing, many universities and organizations supported by government are providing various start-up training programs to founders of start-up firms. The most important part of start-up training program is the writing a business plan. If the solution to write a business plan is to be developed, founders of start-up can write the systematic business plan more easi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olution to support a business plan the start-up companies. The founders of start-up can use this solution to learn how to write a business plan, to make a business plan easily, an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the business plan systematically. 창업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정부와 대학 등의 지원 기관에서는 창업자의 창업 역량 강화를 위한 창업교육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창업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영역 중 하나는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능력을 향상하는 일이지만 사업계획서를 작성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지원 도구들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창업자의 사업계획서 작성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콘텐츠가 개발되고, 사업계획서 작성에 관한 지원 도구들이 개발된다면 창업자의 창업 역량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자의 사업계획서 작성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도구로서 창업 사업계획서 작성 지원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창업 사업계획 작성 지원시스템은 사업계획서에 대한 지식 학습 기능, 사업계획서 작성 기능, 사업계획서 타당성 평가 기능을 갖춘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을 활용하면 제일 먼저, 창업자가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둘째, 사업계획서 작성 방법을 잘 모르는 창업자들이 사업계획서를 보다 편리하고 쉽게 작성할 수 있다. 셋째, 본인이 작성한 사업계획서를 자가 진단함으로써, 사업계획의 타당성을 평가하고, 개선 방안을 찾을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창업자의 창업 역량을 향상함으로써 창업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경영시뮬레이션게임 교육과 창업교육 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김상수,김영천,이지형 한국경영교육학회 2014 경영교육연구 Vol.29 No.5

        As the start-up business is increasing, various start-up programs to improve entrepreneur's competence have been providing. However, satisfaction level of the education is not that high due to a lack of practical training programs and specialized lecturers. In this study, we analyzed an educational effect from start-up business programs since we thought business simulation games are needed to strengthen entrepreneurs’ willingness and abilities. As a result of analyzing educational effects from start-up business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and pre-entrepreneurs, business simulation games have positive effects on satisfaction, ability, and willingness of entrepreneurs. This proves that business simulation games consist of practical practices having significant value as an alternative way of start-up business educations. This is the very first study analyzing effectiveness of business simulation games in start-up business educational programs. If any practical educational methods such as business simulation games are widely applied to educations for business starters, it would improve founders’ level of satisfaction and strengthen willingness and capabilities of them. 창업이 활성화됨에 따라서 창업자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창업 교육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실용적인 창업 교육 프로그램의 부족과 창업 전문 강사의 부족 등의 요인들로 인해 창업자들의 창업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그리 높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영시뮬레이션게임이 창업자의 창업 의지 및 역량을 강화하는 데 필요하다고 보고, 창업 교육에서의 교육 효과를 분석하였다. 대학생과 일반인 예비창업자들을 대상으로 한 창업교육에서 경영시뮬레이션게임의 교육효과를 분석한 결과, 경영시뮬레이션게임은 창업교육 만족도, 창업역량, 창업의지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체험과 실습위주의 교육방식으로 구성된 경영시뮬레이션게임이 창업 교육의 새로운 대안으로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입증한 것이다. 본 연구는 창업 교육에서 경영시뮬레이션게임의 효과를 분석한 최초의 논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경영시뮬레이션게임과 같은 실용적 교육 방법이 창업교육에 널리 활용된다면 창업자의 교육 만족도를 높이고, 창업자의 의지와 창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창업기업의 기초경영사무 교육요구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신웅기,강신형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22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on-the-job training direction suitable for start-up companies by identifying basic office skills and tasks in corporate management and analyzing their educational needs in the reflection of characteristics of start-ups. In this paper, DACUM workshops, surveys and Borich’s needs analysis were used as methods to identify commonly required skills in most of start-ups, therefore understanding their educational needs. Through such analysis of office work skills, duties and educational needs for them, 4 conclusions were made: first, basic office skills and work types are categorized into 17 areas including asset/equipment management, accounting management, corporate registration, IP management and government/public project management. Other than these, there are more diverse areas involving basic office duties and skills. Second, educatioal needs are found high not only on professional office works such as accounting and tax affairs but also on basic office skills such as simple paper works. Third, job-related educatioal needs tended to differ depending on how long the business has been. Start-ups at early stage tends to have higher needs on basic tasks and skills needed right on the job while needs on management support and customer service/management are found higher as companies have stayed in the industry longer.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iority of education needs according to the major of the CEO of a start-up company. Through these analysis and conclusions, this paper aims to identify basic office skills and tasks required to enhance corporate management of start-ups, thereby suggesting what professional training should be prioritized. 본 연구는 창업기업의 특성을 반영한 기초경영사무의 업무와 과업을 파악하고, 교육요구도를 분석함으로써 창업기업에 적합한 교육훈련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DACUM 워크숍과 설문조사 이후 Borich 요구도 분석을 통해 창업기업에서 일반적이고,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업무와 과업을 도출하고,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창업기업의 기초경영사무 업무는 자산·비품 관리하기, 회계 처리하기, 법인 등기하기, 지식재산 관리하기, 정부·공공지원사업 관리하기 등 총 17개 분야로 도출되었으며, 이외 다양한 영역에서도 기초적인 경영사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기업의 기초경영사무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회계 및 세무 등과 같은 전문적인 영역과 함께 창업기업의 문서 관리하기와 같은 일반적인 업무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창업기업의 업력에 따라 기초경영사무에서의 교육요구도 차이가 존재했다. 업력이 낮은 창업기업 같은 경우에는 실제 업무에서 당장 활용되는 기초적인 과업들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던 반면, 업력이 높아질수록 지원사업 및 고객 관리영역의 과업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창업기업 대표이사의 전공에 따라 교육요구도에 대한 우선순위의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창업기업의 역량강화를 위해 필요한 기초경영사무를 파악하고, 우선적으로 교육훈련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예비창업자의 심리적 특성, 창업준비 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선자,변상해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벤처창업연구 Vol.12 No.4

        There are many people who start business because of unstable employment due to income polarization. There are many people who start business because of unstable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necessary situation and direction for the prospective founders who are hesitant to start their own business by lacking self - confidence and information about Preparing for start-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 - founder `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tart - up preparation characteristics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144 male and 114 female who were temporary workers and about to retire were analyze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using 258 questionnair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justment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 an interaction term i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prepa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entrepreneurship, the risk taking tendency and the preparation period for entrepreneurship were significant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addition, the greater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greater the effect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It is a meaningful study that can give confidence to the subjects who want to start a business but are afraid of failu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government 's start - up policy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pre - founders on the intention of start - up. 우리나라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성장과 경기 침체로 인해 고용의 불안이 증가되면서 창업으로 이어지는 사람들로 많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앞으로 창업을 하고자하는 예비창업자들에게 필요한 상황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예비창업자의 심리적 특성, 창업준비 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하기 위해 인천지역 직장인의 고용에 불안한 비정규직과 퇴직을 앞둔 남성 144명과 여성 114명으로 설문조사 258개 데이터 사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창업자의 심리적 특성과 창업준비 특성에서 창업교육의 조절효과를 상호작용으로 투입 분석한 결과 위험감수성향과 창업준비 기간이 창업교육에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창업교육에 미치는 영향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을 하고 싶지만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가진 조사 대상자들에게도 자신감을 줄 수 있는 의미 있는 연구라 할 수 있다. 앞으로 예비창업자들에게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창업을 하기 전 자신감을 부여하며 정부의 창업제도 정책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학생창업 활성화를 위한 대학의 창업재도전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

        김병국(Kim, Byoung-Kug) 한국의사결정학회 2020 의사결정학연구 Vol.28 No.2

        학생창업자 수는 많은 대학의 창업교육에 의해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학생창업가 배출은 일자리 창출과 고용·투자 등 경제적 가치를 향상하는 순기능 효과가 있지만, 학생창업을 대변하는 청년창업은 5년이내 생존율이 18%로 실패자를 양산하는 역기능도 발생한다. 창업에 관심있는 학생은 실패에 대한 두려움으로 창업을 꺼리는 경향이 많다. 따라서 대학은 창업실패에 대한 창업안전망 구축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본 연구는 창업안전망 일환으로 학생창업가에 필요한 대학의 창업재도전교육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제시를 위해, 학생창업현황과 전국 8개 대학의 창업교육현황 및 정부의 창업재도전 지원제도를 분석하였고, RUCK(한국지역대학연합)에서 조사한 창업재도전 관련 설문조사를 재해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창업의 현황 · 문제점 · 학생창업자의 창업재도전교육 니즈 그리고 대학의 학생창업가 위한 창업재도전교육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창업재도전교육 방법으로 3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는 창업 팀빌딩 매칭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이며, 둘째는 사업타당성 분석을 기반한 사업계획서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고, 마지막으로는 시제품 자작능력을 갖추기 위한 메이커 교육을 필수로 하는 것이다. The number of student start-up is increasing every year due to the startup education of many universities. The production of student entrepreneurs has a net function of improving economic value, such as job creation and employment and investment, but youth entrepreneurship representing student entrepreneurship has a survival rate of 18% within five years. Students interested in starting a business tend to be reluctant to start a business because of fear of failure. Therefore, universities must solve the task of establishing a startup safety net against startup failure.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the university"s entrepreneurial re-challenge education method necessary for student entrepreneurs as part of the entrepreneurial safety net. To present the method, we analyzed the student start-up status, start-up education status of 8 universities nationwide, and the government"s start-up re-challenge support system, and reinterpreted the questionnaire related to start-up re-challenge surveyed by The Regional University Consortium of Korea (RUCK).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suggest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tudent entrepreneurship, the needs of student entrepreneurs" entrepreneurial re-challenge education, and the method of entrepreneurial re-challenge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 entrepreneurs. In this study, three methods of entrepreneurship re-challenge education were suggested. The first is to operate a startup team building matching system, the second is to reinforce the business plan establishment training based on the business feasibility analysis, and finally, to provide the maker education to equip the ability to build prototypes.

      • KCI등재

        소상공인 외식창업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만족도와 창업 의도에 관한 연구

        노인균,진양호,김진우 한국호텔관광학회 2016 호텔관광연구 Vol.18 No.5

        This study has its aim on presenting the plans of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n efficient catering entrepreneurship training programs for entrepreneurs by empirically investigating satisfaction for cater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of restaurants-related entrepreneurs whether such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s. The result show that firstly, the impact of cater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on entrepreneurs’ education satisfaction was analyzed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Second, the impact of cater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on the intention of business establishment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commercial analysis, legal education, job training, and entrepreneurial spirit. Third, the impact of the personal environment of cater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on education satisfaction was presente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the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Fourth, the impact of the personal environment on the intention of establishment of business was found to have bo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Fifth, the impact of education satisfaction of cater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on the intention for establishing businesses was being evaluat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ntion of establishment of entrepreneurs through cater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catering establishments, universities, and private catering-related institutions which provide the education program should not operate the program superficially.

      • 코딩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한 징검다리 사업의 효과성 분석

        신은수(Shin Eun Soo),김용희(Kim Yong Hee),백성혜(Paik Seoung-Hey)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18 융합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현재 여성새로일하기센터에서 진행하고 있는 징검다리 취 · 창업 지원사업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징검다리 사업은 여성새로일하기센터의 직업훈련 과정인 코딩교육프로그램을 수료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의 응답을 토대로 경력단절 여성들의 직업훈련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step-by-step bridge start-up support project currently being carried out by the Women s New Work Support Center. The step-by-step bridge start-up support project was conducted for the women who completed a career training program of coding education in the Women s New Work Support Center.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Based on their responses, we suggested the implications of the career training courses for career-cut women completed in Women’s New Work Support Center.

      • 캐시클래스의 창업체험형 교육 사례 연구: 효과 검증을 위한 인자분석을 중심으로

        이광헌(Gwanghun Lee),김규동(Kyudong Kim) 한국창업학회 2018 한국창업학회 Conferences Vol.2018 No.2

        본 연구는 기업가 정신을 기초로 한 창업교육에 있어서 활동 지원금을 제공하는 캐시클래스의 지원금 효과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캐시클래스에 참여한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활동 지원금을 통하여 팀활동이 실체적인 의미를 가지게 되면서 창업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순하게 활동 지원금을 제공한다는 것으로는 의미가 없었다. 그러므로 활동 지원금을 제공하는 캐시클래스와 같은 형태의 실천중심의 교과과 정은 팀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역할이 명확하게 배분된 활동이 진행될 때 유의미한 영향 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performed an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ash class s funding to provide activity funding for start-up education based on entrepreneurship. The survey of 2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ache class was conducted, and the team activities had a practical meaning through the activity support fund, which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ense of founding efficiency. There was no point in simply providing an activity grant. Thus, a traction-oriented curriculum, such as a cache class that provides an activity support fund, specifically establishes team goals and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ogress of activities with clear roles.

      • KCI등재

        교과연계 국가자격증 비교과프로그램이 현장중심 직무역량과 맞춤형 취.창업역량간의 관계 연구

        이철우(Lee Chul Woo),장원혁(Jang Won Hyuk),심재형(Sim Jae H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최근 대학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과연계 비교과프로그램을 통해 역량중심 기반 교육과정의 방향성과 교육지원체계를 확대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연구와 다르게 역량기반 교과연계 비교과프로그램을 통해 비교과과정의 연계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는 차별성을 가지며, 최종적으로는 대학생의 현장중심 직무역량과 취⋅창업역량을 높이기 위해 효과적인 비교과프로그램 운영방안을 모색하고 역량기반 비교과프로그램의 성과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부산소재 K대학의 국가자격증 비교과프로그램을 이수한 재학생 975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만족도와 현장중심 직무역량, 맞춤형 취⋅창업역량 및 하위요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측정은 K대학에서 개발한 FOCUS 역량 진단도구(행동진술문 BARS)를 사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평균차이 분석과 국가자격증 프로그램 효과성 검정을 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했다. 국가자격증 프로그램과 현장중심 직무역량 및 맞춤형 취⋅창업역량간 영향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은 SPSS ver.26.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결과 전공계열별로 국가자격증 프로그램 만족도와 연계된 역량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국가자격증 프로그램의 사전-사후 역량평가 결과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가자격증 프로그램 만족도는 현장중심 직무역량과 하위역량인 전공실무능력, 자기주도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국가자격증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으면 맞춤형 취⋅창업역량과 하위역량인 진로설계능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경력개발능력에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교과과정 연계 국가자격증 비교과프로그램 활성화를 통해 현장중심 직무역량과 맞춤형 취⋅창업역량을 높일 수 있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전공실무능력과 자기주도성, 진로설계능력을 높이는데 국가자격증 비교과프로그램의 지속적 운영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하겠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and strengthen the direction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the educational support system through the subject-related extracurricular program that is being actively discussed in universities. Unlike previous studies, it has a differentiation in that it systematically analyzes the linkages of extracurricular courses through competency-based, subject-related extracurricular programs. Finally, in order to enhance the Field-training job competency and Specific customized job and start up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it is intended to find an effective extracurricular program operation plan and to present a performance model of the competency-based extracurricular program. Method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gram satisfaction, Field training job competency and Specific customized job and start up competency, and sub-factors was analyzed for 975 students who completed the national qualification extracurricular program at K college in Busan. For measurement, the FOCUS competency diagnostic tool(behavioral statement BARS) developed by K college was used, and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average differ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national qualification extracurricular program.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qualification extracurricular program, Field training job competency and Specific customized job and start up competency. For analysis, SPSS ver.26.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etency related to the satisfaction of the national qualification extracurricular program by major,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e-post competency evaluation of the national qualification extracurricular program was confirmed. Satisfaction with the national qualification extracurricular progra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ield training job competency, sub-competence, major practical ability, and self-direction. Whe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national qualification extracurricular program was high, it was analyzed that 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pecific customized job and start up competency and career design capability, which is a sub-competence, but was not significant on career development capability. Conclusions According to this study, by activating the national qualification extracurricular program, Field training job competency, and Specific customized job and start up competency can be increased.

      • KCI등재

        캡스톤디자인 및 현장실습이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 산학협력선도대학(LINC)을 중심으로

        박남규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 벤처창업연구 Vol.18 No.4

        In order to improve employment rates, most universities operate programs to strengthen students'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selected as the Leading Industry-Innovative University (LINC) or no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are risking their lives to improve employment rate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university establishment type and university location, which absolutely affect the employment rate, we are operating a startup education & startup support program in order to strengthen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and capstone design & field training as industry-academia-linked education programs are always available. Although there are studies on effectiveness verification centered on LINC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in previous studies, but a longitudinal study was conducted on all factors of university factors, startup education & startup support, and capstone design & field training as industry-university-linked education programs as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rate based on public disclosure indicators. No cases of longitudinal studies were reported. This study targets 116 universities that satisfy the conditions based on university disclosure indicators from 2018 to 2020 that were recently released on university factors, startup education & startup support, and capstone design & field training as industry-academia-linked education programs as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rate. We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INC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51 participating universities and 64 non-participating universities.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re is no historical information on the overlapping participation of participating students due to the limitations of public indicators, the Exposure Effect theory states that long-term exposure to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s will affect the employment rate through competency enhancement. Based on this, the effectiveness of the 2nd LINC+ (socially customized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was verified from 2017 to 2021 through a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tartup education & startup support and capstone design & field training as industry-academia-linked education programs of the 2nd LINC+ (socially customized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did not affect the employment rate. As a result of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it was reconfirmed that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areas still have higher employment rates than universities in non-metropolitan areas due to existing university factors, and that private universities have higher employment rates than national universities. Among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competency strengthening programs, the number of people who complete entrepreneurship courses, the number of people who complete capstone design, the amount of capstone design payment, and the number of dedicated faculty members partially affect the employment rate by year, while field training has no effect at all by year. It was confirmed that long-term exposure to the entrepreneurship capacity building program did not affect the employment rate. Therefore, it was reconfirm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employment rate of universities, the limitations of non-metropolitan areas and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must be overcome. To overcome this, as a program to strengthen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capabilities,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entrepreneurship through participation in entrepreneurship lectures and actively introduce and be confident in the capstone design program that strengthens the concept of PBL (Problem Based Learning), and the field training program improves the employment rate. In order for actually field training affect of the employment rate, it is necessary to pro... 대부분의 대학은 취업률 향상을 위하여 산헙혁력선도대학(LINC) 선정 여부와 상관없이 학생들의 취·창업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비수도권대학의 경우 취업률 향상을 위하여 사활을 걸고 있다. 취업률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대학설립유형과 대학소재지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취·창업역량강화를 위하여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창업교육·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 및 기관과 연계한 PBL(Problem Based Learning) 컨셉이 반영된 캡스톤디자인과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상시 운용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산헙혁력선도대학(LINC)을 중심으로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는 수행되었으나, 공시지표를 기반으로 취업률에 미치는 요인으로서 대학요인, 창업교육·지원, 산학연계교육 요인 모두를 대상으로 한 종단연구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취업률에 미치는 요인으로 대학요인, 창업교육·지원, 산학연계교육에 대하여 최근까지 공개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대학공시지표를 기반으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116개 대학을 대상으로 51개의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참여대학과 64개의 비참여대학 집단간 차이분석을 하였다. 또한 공시지표의 한계로 인하여, 참여 학생의 중복참여에 대한 이력 정보가 없는 점을 고려하여 취·창업역량강화 프로그램에 장기간 노출된다면 역량강화를 통한 취업률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노출효과(Exposure Effect)이론을 기반으로 종단적 인과관계 분석을 통하여 2017년부터 2021년까지 2차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의 창업교육·지원 및 산학연계교육 프로그램은 취업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단적 인과관계 분석결과 기존 대학요인으로 수도권대학이 비수도권대학보다 여전히 취업률이 높으며, 사립대학이 국립대학보다 취업률이 높은 것을 재확인하였다. 취·창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중 창업강좌 이수자수, 캡스톤디자인 이수자수, 캡스톤디자인 지급액, 전담교직원수는 취업률에 연도별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현장실습은 연도별로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취·창업역량강화 프로그램의 장기간 노출이 취업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대학의 취업률 향상을 위해서는 비수도권, 국·공립대의 한계를 극복해야만 함을 재확인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취·창업역량강화 프로그램으로서 창업강좌 참여를 통하여 기업가정신의 강화와 PBL(Problem Based Learning) 컨셉이 강화된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도입 및 확신이 중요하며, 현장실습 프로그램이 취업률 향상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전반적인 학사제도 및 조직의 재정비를 통한 내실 있는 프로그램 진행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